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구려 서사문화(書寫文化)의 형성과 전개

        고광의 ( Ko Kwangeui ) 한국동양예술학회 2017 동양예술 Vol.35 No.-

        본 논문은 문헌과 문자 유물을 통해 고구려 書寫文化의 형성과 전개 과정을 살펴본 것이다. 高句麗는 古朝鮮의 서사문화 전통을 이어받았다. 주몽은 원래 夫餘에서 성장하였고 상당수 부여계 유민들과 함께 남하한 것으로 보아 고구려 초기에는 부여의 서사문화 영향이 적지 않았을 것으로 보인다. 여기에 한나라의 서사문화를 받아들여 더욱 발전하였으며, 史書를 편찬하고 詩歌를 제작하는 등 고구려 초기 국정 전반에 다양하게 활용되었다. 고구려 문자 유물이 집중적으로 발견되는 4세기 이후 중원에서의 書體演變추세는 隸書가 쇠퇴하고, 章草가 今草로 발전하며, 行書와 楷書가 기본적인 완성을 이루었다. 당시 고구려에서도 隸書가 점차 쇠퇴하고 新隸體가 사용되었으며, 行書가 발전하고, 楷書가 성숙하는 과정이 유사하게 나타나고 있어 고구려에서 서체 연변이 국제적 보편성을 띠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고구려 서사문화는 내재적 발전을 통해 고구려의 특징을 형성하였다. 수용된 다양한 서사문화적 요소들은 고구려 특성에 맞게 변용되어 독특한 서사문화를 창조하기에 이르는데, 414년에 건립된 廣開土太王碑에 체현되었다. 비의 형태는 自然石柱碑이고, 그 서체인 廣開土太王碑體는 예서를 바탕으로 하여 전서·해서·행서·초서의 결구가 가미되는 등 독특한 서법적 특징들이 나타난다. 광개토태왕비의 양식과 서체를 비롯한 고구려 서사문화는 주변 지역에 영향을 끼치는 등 동아시아 서사문화 발전에 공헌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the process of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Koguryo`s narrative culture through related literatures and script relics. Koguryo inherited the tradition of Gojoseon`s narrative culture. Considering that Jumong was grown up in Buyeo and moved south with large numbers of the migrants of Buyeo origin, it seemed that there was a reasonable influence by Buyeo`s narrative culture. In addition, as Koguryo accepted Han`s narrative culture, the narrative culture of the early Koguryo was developed more. The major trend of calligraphy style changes in China since the 4th century when the script relics of Koguryo were intensively discovered was that LiShu style was declined, ZhangCao style was developed to JinCao style and XingShu and KaiShu styles achieved the fundamental completion. At that time, LiShu style was gradually declined, XinLi style was used, XingShu style was developed and the growth of KaiShu style was found in Koguryo and it was known that the extending changes of calligraphy styles had international universality. Koguryo`s narrative culture formed its own characteristics through immanent development. A variety of accepted narrative culture factors were transformed to fit Koguryo`s characteristics, creating unique narrative culture and being embodied in King Gwanggaeto`s stele built in 414. This stele was featured by natural stone statue and its calligraphy style was based on Yeaseo, featured by unique style combined with Jeonseo, Haeseo, Haengseo and Choseo styles. Such forms and styles of this stele influenced the surrounding regions and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narrative culture of East Asia.

      • KCI등재

        廣開土太王碑 釋文 一考

        고광의(Ko KwangEui)(高光儀) 백산학회 2014 白山學報 Vol.- No.100

        필자는 2004~2005년에 중국 학계를 중심으로 廣開土太王碑 釋文 비교표를 작성한 적이 있다. 최근에는 이를 보완하고 일본과 남북한 및 서구 학계의 석문을 추가하는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그간의 석문에 대한 이견들을 파악하고 논란이 된 글자들을 중심으로 원석탁본의 자형과 비교 검토하는 작업을 진행하였다. 본 논고에서는 광개토태왕비 제1면과 제2면에서 새로 판독하거나 기존 다수설과 다르게 석문한 일부 글자들을 소개하였다. 새로 읽은 글자는 1-1-34(제1면 1행 34번째 글자)를 ‘豫’, 1-2-2를 (聿), 1-2-15를 ‘聿’, 1-3-9를 (於) 또는 (祚), 1-7-14를 ‘(祠)’, 1-7-16을 ‘久’, 1-7-24를 ‘貧’, 2-1-22를 (國), 2-2-13을 (祙), 2-5-3을 ‘衘’, 2-6-29를 ‘聆’자 이다. 笔者于2004~2005年曾经做过广开土太王碑释文对比表,主要收录了中国学界的研究成果。最近对释文对比表加以补充,并增加了日本和南北韩以及西欧学界的释文。把握过去对释文的歧见,并以争议文字为中心进行比较分析。 本稿对广开土太王碑第㊀面和第二面的文字作了重新识别,或者对原有的多数学说持不同意见,对㊀些文字重新进行解释。重新解释的文字是,1-1-34(第㊀面第㊀行第34字)为‘豫’, 1-2-2为‘聿’, 1-2-15为‘聿’, 1-3-9为‘於’或者(祚), 1-7-14为‘祠’, 1-7-16为‘久’, 1-7-24为‘貧’, 2-1-22为‘國’, 2-2-13为 ‘祙’, 2-5-3为‘衘’, 2-6-29为‘聆’字。

      • KCI등재

        충주 고구려비 판독을 위한 3차원 스캐닝 기술의 적용 및 고찰

        조영훈(Young Hoon Jo),권다경(Da Kyung Kwon),고광의(Kwangeui Ko) 한국고대사학회 2020 韓國古代史硏究 Vol.0 No.98

        충주 고구려비의 판독은 지금까지 주로 탁본을 이용하여 진행되었다. 현재 시점에서 선행 판독 결과의 가치를 높이고, 미판독 글자를 객관적으로 재검토하기 위해서는 3차원 스캐닝 기반의 디지털 영상분석이 필요하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충주 고구려비 비문의 글자와 형상학적 특징을 가시화할 수 있는 다양한 디지털 영상분석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고구려비의 디지털기록화에 적용된 3차원 스캐닝 기술은 총 5종류이다. 특히 비문 판독에 활용된 고정밀스캐닝 결과는 평균 0.05∼0.12㎜의 고해상도 점간격을 나타냈다. 이러한 스캐닝 모델을 기반으로 개별 글자의 디지털 판독을 위해 비사실적 가시화 렌더링과 기하정보 매핑기술을 적용하였다. 이 결과, 글자의 음각 깊이, 경계 및 필획이 드러났고, 비문의 배열특징 등 제작기법을 이해할 수 있었다. 이 연구는 전통적 판독방법과 선행 결과를 개선하는데 큰 기여를 하였고, 디지털 판독의 필요성을 인식시키는데 중요한 전환점이 되었다. 충주 고구려비 비문 판독에 대한 최종 합의는 다학제간 융합연구를 통해 실현할 수 있기 때문에 인문학자와 과학자들의 지속적인 공동연구와 공론화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Previous efforts to decipher the Goguryeo Stele in Chungju were performed through manual rubbing. To objectively reexamine and improve upon these earlier efforts, it is necessary to apply digital imaging analysis based on three-dimensional scanning. Accordingly, the present study suggests various methodologies of digital imaging analysis that can be used to visualize the features of the characters and shapes of inscriptions on the Goguryeo Stele. Five kinds of three-dimensional scanning technologies were applied to produce digital documentation. In particular, the precision scanning results used for decipherment achieved a high-resolution point density of 0.05–0.12 mm. Non-realistic rendering and geometric mapping technologies were utilized for the digital decipherment of each character based on the scanning model. As a result, engraving depths, boundaries, and character strokes were clarified, and the manufacturing techniques like how to arrange characters were identified. This study makes a significant contribution by improving upon the traditional decipherment method and previous results and represents an important turning point in establishing the necessity of digital decipherment. It concludes that continuous cooperation and public discussion between humanities scholars and scientists is required because a final consensus on the decipherment of the Goguryeo Stele can only be achieved through the convergence of interdisciplinary researc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