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Acoustic Characteristics of Recorded-Voice Depending on Gender in the External Ear Canal

        Hui-Ra Kang(강희라),Seung-Deok Heo(허승덕)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9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4 No.3

        배경 및 목적: 모음의 음향 자질은 변형된 성도를 지나면서 달라지며, 해부학적 구조와 발화 습관 등이 다른 남녀 차이에 따라서도 달라진다. 소리는 외이를 통해 청각기관이 수용하며, 음향 특성은 성도와 마찬가지로 공명기인 외이도를 지나면서 더욱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이 연구는 남녀가 발화한 /ㅏ/, /ㅣ/, /ㅜ/, /ㅔ/, /ㅗ/를 외이도 내부에서 녹음한 음성의 포먼트 주파수를 분석하고, 남녀 차이를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방법: 연구에는 10명의 여자(23세±3.77)와 8명의 남자(25세±3.68)가 화자로, 23세 남자 1명이 청자로 참여하였다. 음성 녹음은 탐침관을 연결한 두 개의 콘덴서 마이크를 이용하였다. 남녀 음성은 마이크를 이개 상부(upper pinna)와 고막 1 cm 가까이 외이도(external auditory canal) 내부로 삽입한 후 이수(lobule)에 각각 고정한 후 녹음하였다. 녹음한 음성은 F1, F2, F3, F4를 각각 구하여 기술통계하였다. 이개 상부와 외이도 내부 음성의 남녀 차이는 독립표본 t-test로 검증하였다. 결과: 이개 상부 음성의 남녀 차이는 /ㅏ/의 F1, F2, F3, F4 (p=.000), /ㅣ/의 F1 (p=.000), F3 (p=.012), F4 (p=.000), /ㅜ/의 F1 (p=.000), /ㅔ/의 F1 (p=.000), F3 (p=.000), F4 (p=.000), /ㅗ/의 F1 (p=.015), F4 (p=.000)에서 여자가 유의하게 높게 관찰되었다. 그러나 /ㅜ/의 F2 (p=.039), /ㅗ/의 F2 (p=.004), F3 (p=.000)은 유의하게 낮게 관찰되었다. 외이도 내부 음성의 남녀의 차이는 /ㅏ/의 F1, F2, F3, F4 (p=.000), /ㅣ/의 F1 (p=.005), F2(p=.041), F3 (p=.023), F4 (p=.000), /ㅔ/의 F2 (p=.001), F3, F4 (p=.000)가 여자가 유의하게 높게 관찰되었다. 논의 및 결론: 이개 상부 음성의 남녀 간 차이는 F1, F2, 원순 및 평순모음의 F3, F4 등에 영향을 받아 여자의 모음 공간이 전체적으로 넓게 관찰되었다. 외이도 내부 음성의 남녀 간 차이는 여자의 저모음과 고모음, 전설 및 후설모음에서 F1과 F2의 차이가 커졌다. F3은 여자의 원순과 평순모음에서 높아졌고, F4는 여자의 저모음, 고모음과 전설 및 후설모음에서 모두 높게 관찰되었다. 외이도 내부 음성의 남녀 간 모음 공간은 분명하게 구분되며, 특히 F3, F4의 모음 공간은 중복되지 않고 독립적으로 관찰되었다. Objectives: The acoustic feature of vowels become different when they pass through the vocal tract, and also differ depending on gender differences such as anatomical structures and vocalization habits. Sound is perceived by the hearing organs through the outer ears, and the characteristics of sound also become different by passing the outer ears, which act as resonators, just as the vocal tracts do. Thus,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formant frequency of the /a/, /i/, /u/, /e/, /o/ recorded in the external auditory canal (EAC) and to investigate gender differences. Methods: Ten female (mean age, 23±3.77 years) and 8 male (mean age, 25±3.68 years) participated as speakers, and 1 male participated as a listener. Two condenser microphones connected with a probe tube were used for sound recording. Male and female voices were recorded, which were fixed probe tube at upper pinna and in the EAC. After determining the F1, F2, F3, and F4, formant frequencies were analyzed through descriptive statistics. Gender differences between upper pinna and EAC were examined and analyzed using an independent sample t-test. Results: In terms of gender differences in the upper pinna, female voices in F1, F2, F3, and F4 (p=.000) of /a/, F1 (p=.000), F3 (p= .016), and F4 (p=.000) of /i/, F1 (p=.000) of /u/, F1 (p=.000), F3 (p=.000), and F4 (p=.000) of /e/, and F1 (p=.015), F4 (p=.000) of /o/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male voices. However, F2 (p=.013) of /u/, F2 (p=.000) and F3 (p=.000) of /o/ were significantly lower. On the other hand, in the EAC, F1, F2, F3, and F4 (p=.000) of /a/, F1 (p=.005), F2 (p=.041), F3 (p= .023), and F4 (p=.000) of /i/, F2, F3, and F4 (p=.000) of /e/ were significantly higher for female participants. Conclusion: With respect to the gender difference of voice in the upper pinna, the female vowel space was observed to be spacious on the whole, affected by the F1 and F2, F3 and F4 of rounded and unrounded vowel. In case of the voice in the ear canal, the difference between low and high vowels and the difference between F1 and F2 of the front and the back vowels of the female participants became larger. F3 was higher in rounded and unrounded vowels of female participants. F4 was higher in low, high, front and the back vowels of female participants. In the ear canal, the vowel space of both genders showed conspicuous differences, and notably the vowel space of F3 and F4 was observed independently without any overlapping.

      • KCI등재

        Influence of Real Ear Resonance on Male Voice Formant Frequency

        허승덕(Seung Deok Heo),강희라(Hui Ra Kang),고도흥(Do Heung Ko)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7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2 No.3

        배경 및 목적: 소리는 음장을 지나 외이도, 중이, 내이 등으로 상행한다. 외이도는 음향에너지 특성이 유지되는 곳으로 공명에 의해 말소리의 음향학적 특성이 달라질 것으로 예상된다. 이 연구는 실이에서 음성의 포먼트 주파수를 분석하여, 외이 공명이 음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모음은 사용 빈도가 높은 /ㅏ/, /ㅣ/, /ㅜ/, /ㅔ/, /ㅗ/를 사용하였다. 음성은 남자가 발성하여 여자 12명의 외이도 내부와 이개 상부에서 각각 녹음하였다. 이들 음성은 포먼트 주파수를 분석한(Praat ver. 6.0.19) 후 기술통계 하였고, 대응표본 t-test (SPSS ver. 22.0)와 Wilcoxon test로 검증하였다. 결과: 음장과 실이 음성 사이에서는 /ㅏ/의 F3, F4, /ㅣ/의 F2, F3, F4, /ㅜ/의 모든 포먼트 주파수, /ㅔ/의 F2, F4, /ㅗ/의 F1, F3, F4 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었다(p<.05). 논의 및 결론: 실이 음성의 포먼트 주파수는 공명, 음원으로부터 거리 등의 영향을 받아 주파수가 모아진다. 이러한 변화는 음색 및 개인 목소리의 특성을 해석하고 어음을 이해하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Objectives: Voice in the external auditory canal (EAC) is expected to change while being affected by the resonance of the concha cavity and the EAC. Acoustical analysis should include the frequency range of EAC resonance. This study aims to determine the influence of the resonance of the EAC by analyzing formant. Methods: Male voiced monophthongs were used in this study; the most frequently used vowels were /a/, /i/, /u/, /e/, /o/. Experimental voice in the real ear and sound field was recorded by 12 healthy young female subjects. Voice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by Praat (ver. 6.0.19). The formant frequency of the sample and experimental voice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ample voice and experimental voice was analyzed by a paired t-test. Results: The voices between the sound field and real ear demonstrated significant differences at F3 and F4 of /a/, F2, F3, and F4 of /i/, all formant frequencies of /u/, F2 and F4 of /e/, and F1, F3, and F4 of /o/ (p<.05). Conclusion: Voice in the real ear is collected under the influence of resonances, distance from the sound source, and rounding. Understanding these changes is expected to improve the analysis of timbre and individual voices and speech understanding.

      • 실이에서 고빈도 모음의 포먼트 주파수

        허승덕(Seung Deok Heo),강희라(Hui Ra Kang),고도흥(Do Heung Ko) 한국언어치료학회 2016 한국언어치료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016 No.12

        Purpose: The aim of the study is to check Formant Frequency F1, F2, F3, and F4 that belong to frequently used Korean vowel’s acoustic qualification on real ear. Methods: For sample voice, the vowel /ᅵ/, /ᅮ/, /ᅦ/, /ᅩ/, and /ᅡ/ are recorded as male voice. These vowels are frequently used and distinguishable vowels with no characteristic of diphthong. Experimental voice is recorded in upper pinna and external auditory canal of 12 women by playing the sample voice. The formant frequency of experimental voice is analyzed with Praat and compared by Paired t-test. Results: There was observed significant change at every Formant Frequency between two voices recorded at sound field and real ear, except F1 of /ᅡ/, F2, /ᅦ/ of F1, /ᅵ/ of F1, /ᅩ/ of F2. (p <.05). Conclusions: F1 and F2 did not relay on source-filter theory on external auditory canal, and it is assumed that the resonance in external auditory canal shifts F3 and F4 near center frequency and helps understanding speech soun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