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척추동물(脊椎動物)(포유류(哺乳類))위(胃)의 비만세포(肥滿細胞)에 관한 전자현미경적 연구

        강호석,김창환,Kang Ho-Suck,Kim Chang-Whan 한국현미경학회 1981 Applied microscopy Vol.11 No.1

        성숙하고 정상인 포유류 6종의 동물들을 이용하여 위에 분포하는 비만세포의 형태와, 세포내 과립의 구조적 형태의 종간차이를 비교하고자 전자현미경으로 관찰을 하였다. 저자는 특히 관찰된 세포질내 과립을 편의상 다음과 같이 분류하였다. 1) 동질성 과립 (homogeneous granule, GR1) 2) 미세 입자과립 (particulate granule, GR2) a. 고전자밀도 미세 입자과립 (dark dense particulate granule, GR2-1) b. 중전자밀도 미세 입자과립 (less dense particulate graunle, GR2-2) 3) 망상구조과립 (reticular granule, GR5) a, 고전자말도 망상구조과립(dark dense reticular granule, GR5-1) b. 저전자밀도 망상구조과립(light dense reticular granule, GR5-2) 포유류인 염소, 개, 고양이, 햄스터에서는 대부분 세포질내 소기관중 골지체 및 사립체가 나타났으며 세포질내 과립의 대부분이 전자밀도가 높은 동질성인 것 (GR1)과 미세입자형으로 된 것 (GR2)이 나타났다. 그러나 Guinea pig에서는 망상구조형의 과립들 (GR5-1, GR5-2)이 나타났다. 또한 개와 Guinea pig 에서 과립의 한쪽이 함몰되었거나 반월형인 것이 나타났다. 위 결과로 보아 표유류 각 종 간의 비만세포, 세포내 과립은 형태학적으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러한 차이는 아마도 종 간의 기능에 따른 과립의 구조적 차이와 구성성분 및 성숙도등과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추측된다. An electron microscopical observation was carried out to compare the general shape of the mast cells and structures of granules inside the cells in the stomach of 5 species in 3 orders of Mammals. In convenience, the granules in the cytoplasm were abbreviated as follows: 1) Homogeneous granule, GR1 2) Particulate granule, GR2 a. Dark dense particulate granule, GR2-1 b. Less dense particulate granule, GR2-2 3) Reticular granule, GR5 a. Dark dense reticular granule, GR5-1 b. Light dense reticular granule, GR5-2 In Mammalia including goat, dog, cat, and hamster, most of cytoplasmic organelle were Golgi apparatus and mitochondria, and most of the cytoplasmic granules were highly densed GR1and GR2. However GR5-1 and GR5-2 appeared in guinea pig while one side sunken or crescent-like types occured in both dog and guinea pig. All mast cells were oval or spindle with cytoplasmic processes around the cell. There was also found vacuoles and vesicles in these cells. These results demonstrated that there was a morphological difference between species of vertebrate in the mast cells and their cytoplasmic granules. It was also suggested that a variety of structures of granules were closely related with the composition (histamine, heparin, serotonin, hyaluronic acid etc.) and mature of the granules.

      • KCI등재

        Morphine Hydrochloride로 인한 흰쥐 장간막 비만세포의 형태학적 변화에 대한 전자현미경적 연구

        강호석,김창환,Kang, Ho-Suck,Kim, Chang-Whan 한국현미경학회 1973 Applied microscopy Vol.3 No.1

        The effects of morphine HCl on the mesenteric mast cells were studied the electron microscopy. The results of the observations are as follows: 1. In the experimental group for intravenous injection of morphine HCl 12 mg/kg, the granules appeared cluster, granular lysis and an electron transparent appearance. Frequently, some granules appeared in the extracellular space. 2. In the experimental group for intravenous injection of morphine HCl 24 mg / kg, it was observed. that the formation of a clear halo or a space around each granule. Many altered granules showing a reticular texture (type 2) are observed in the cytoplasm. 3. From the results mentioned above, it is suggested that rat mesenteric mast cell' granules were affected by morphine HCl.

      • KCI등재

        박쥐 위의 비만세포에 대한 전자현미경적 연구

        강호석,Kang Ho-Suck 한국현미경학회 1978 Applied microscopy Vol.8 No.1

        Mask cells are distributed in the animal tissue, The bat subject has not been studied with the electron microscope, The material was fixed in 2.5% phosphate buffered glutaraldehyde for 24 hours at $4^{\circ}C$ and then post-fixed in phosphate buffered 1% osmium tetroxide for 2 hours at $4^{\circ}C$ and then the cleared tissues were embedded in Epon. The mast cell has numerous cytoplasmic processes projecting into the surrounding connective tissue. In general, the cytoplasmic granules showed ovoid, round, lunal or irregular shape, most of them were fine particulate substructure in texture. Especially, the granules was enclosed by the lamella structure.

      • KCI등재

        얕은위팔동맥(Superficial brachial artery) 1 예

        강호석(Ho Suck Kang),조병필(Byung Pil Cho),김지원(Ji Won Kim),송대용(Dae Yang Song) 대한체질인류학회 2000 해부·생물인류학 (Anat Biol Anthropol) Vol.13 No.1

        한국인 남성의 왼쪽 위팔에서 알은위팔옹액을 l예 발견하였으며, 이를 기존에 보고원 위활동액의 변아 들과 비교 ,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l. 얄은위팔동맥은 큰원근 위모서리 근처의 겨드랑동맥으로부터 계속되었으며 정중신경 안쪽뿌리의 앞을 지 난 후 정중신경의 안쪽을 따라 계속되였다. 이 동액은 위팔의 중간부분에서 정중신경의 앞을 가로지른 후 위팔의 아래부분에서는 팔오금까지 정중신경의 가쪽에 위치하였다 2. 팔요금에서 자동액과 노동맥으로 분지하는 얄은위팔동맥이 존재하는 경우 정중신경의 뒤쪽으로 지나가는 위팔동맥이 같이 존재하고 이것은 아래팔에서 온뼈사이동맥으로 계속되는 것이 보편적이라 알려져 있지 만, 온 예의 경우에는 정중신경의 뒤쪽으로 지나가는 동맥은 존재하지 않았다 3. 얄은위팔동맥은 깊은위활동맥과 근육가지, 아래자쪽경동맥을 내고 팔오금에서 두 종말가지인 노동액과 자 동맥으로 나뉘였다 위자쪽곁동맥은 깊은위팔동맥에서, 온뼈사이동맥은 자동맥에서 분지하였다 아래팔에서 노동액과 자동맥의 경로와 분지양상은 정상이었다 4. 본 변이는 발생과정 중 위팔동맥이 완전히 퇴화하고 발생초기에 생성된 얕은위팔동맥이 이를 대신함으로써 형성되는 것으로 추측되었다

      • KCI등재

        한국 성인에서 근육피부신경과 부리상완근의 관계

        강호석(KANG Ho Suck),조병필(CHO Byung Pil),황태선(WHANG Tae Sun),양영철(YANG Young Chul) 대한체질인류학회 1992 해부·생물인류학 (Anat Biol Anthropol) Vol.5 No.2

        한국 성인(28-94세) 시체 49남(남, 29, 여, 20 )에서 관찰한 98예의 어깨에서 근육피부신경과 부리 상완근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부리상완근의 짧은 길이는 평균 11.5㎝, 긴 길이는 16.2㎝ 였으며, 짧은 길이는 남녀 간에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긴 길이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근육피부신경의 부리상완근에 대한 관계는 신경이 근육을 관통하는 경우를 A형으로 그렇지 않을 경우 B형으로 분류하였으며, A형은 89.8%(98예 중 88예 ), B형은 10.2%(98예 중 10예)였다. A형은 근육피부신경 입구의 방향에 따라 두 아형으로 세분하였는바, 후 내측 또는 내측으로부터 관통하는 경우를 A1형(87.8%), 전 내측으로부터 들어가는 경우를 A2형(2.0%)으로 구분하였다. A형의 경우, 근육피부신경의 입구는 부리돌기 하방 2.9~10.6㎝의 범위에 걸쳐 존재하였고 평균 5.7㎝였으며, 4.0~4.9㎝의 범위에서 가장 높은 빈도(28.4%)로 관찰하였다. 부리돌기로부터의 거리가 5.0㎝미만인 경우는 39.8%(88예 중 35예)였다. 근육피부신경의 출구는 부리돌기 하방 4.5~11.1㎝의 범위에 걸쳐 위치하였고 평균 7.4㎝였으며, 8.0~8.9㎝사이에가 가장 높은 빈도 (28.4%)로 관찰되었다. 근육피부신경 출구의 높이는 남녀에 따른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으나 입구의 높이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상관분석 결가 근육피부신경 입구의 높이는 부리상완근의 긴 길이 및 짧은 길이와, 출구의 높이는 상완골의 길이와 각각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 KCI등재

        전늑상근(M. Supracostalis Anterior) 1예

        강호석(KANG Ho Suck),조병필(CHO Byung Pil) 대한체질인류학회 1989 대한체질인류학회지 Vol.2 No.1

        58세의 남성사체에서 우측 전늑상근(M. supracostalis anterior)을 1예 관찰하여 그 형태학적 특징과 신경 지배를 조사하였던 바 그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전늑상근은 소 흉근의 심부에서 제1늑골과 제4늑골 사이에 걸쳐 종으로 길게 위치하였으며 우측에서만 관찰되었다. 2. 기사부위는 제1늑골의 쇄골하정맥구 아래쪽, 쇄골하근과 전거근의 제 1늑골 부착부 사이에 위치하였으며, 이 부위는 전사각근의 정지부 맞은 편에 해당하였다. 제 1늑골 전 하면에서 기지한 전늑상근은 체축과 거의 평행하게 하행하였으며 그중 내측근섬유는 제 3늑골 상연에, 외측근섬유는 제4늑골 상연에 각각 정지하였다. 3. 전늑상근의 길이는 9.9cm였으며 폭은 기지부가 0.8cm, 제3늑골 정지부가 1.7cm 그리고 제4늑골 정지부가 2.4cm였다. 4. 입체현미경하에서 전늑상근의 신경 지배를 관찰해본 결과 제1,2흉 신경에서 유래하여 첫 번째 외늑간근에 분포하는 제1외늑간근지의 종말지가 본근을 지배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혈관은 액와동맥의 분지인 외측 흉 동맥이 주로 분포하였다.

      • KCI등재

        한국인의 정중신경과 원회내근의 상관관계

        강호석(Kang Ho Suck),조병필(Cho Byung Phil),양영철(Yang Young Chul),조사선(Cho Sa su),정인혁(Chung In Hyuk),고정식(Ko Jeong Sik),천명훈(Chun Myung Hoon),이무삼(Lee Moo Sam),이원복(Lee Won Bok),박성식(Park Sung Sik) 대한체질인류학회 1991 해부·생물인류학 (Anat Biol Anthropol) Vol.4 No.2

        정중신경과 원회내근의 상호관계를 보기위하여 한국인 사체에서 345예의 정중신경과 원회내근을 해부한 후 5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제1형은 정중신경이 원회내근의 척골갈래와 상완골갈래 사이로 지나가는유형으로 345예중 228예(66.1%)로서 그중 남자는 136예(68.7%), 여자는 92예(62.6%)였다. 2.제2형은 원회내근의 척골갈래가 없고 정중신경이 상완골갈래의 심부로 지나가는 유형으로 345예중 16예(4.6%)였으며 그 중 남자는6예(3.0%) 여자는10예(6.8%)였다. 3.제3형은 척골갈래가 정상적으로 존재하며 정중신경이 척골갈래보다 심부로 지나는 유형으로 345예중 69예(20.0%)로서 그중 남자는 41예(20.7%), 여자는 28예(19.0%)로 나타났다. 4.제4형은 상완골갈래가 두 개로 나뉘여져 있고 정중신경이 상완골갈래 사이로 지나는 유형으로 345예중 28예(8.1%)였으며 그 중 남자는 14예(7.1%), 여자는 14예(9.5%)로 나타났다. 5.제5형은 정중신경이 원회내근의 척골갈래를 뚫고 지나가는 유형으로 345예중 4예(1.2%)였으며 그 중 남자는 1예(0.5%) 여자는 3예(2.0%)를 나타냈다. 6.정중신경과 원회내근과의 관계를 남ㆍ여 및 좌ㆍ우 별로 비교하엿던 바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 KCI등재

        한국 성인 및 태아에서의 상완골, 척골 및 요골 길이의 상관관계

        강호석(KANG Ho Suck),황태선(WHANG Tae Sun),조병필(CHO Byung Pbil),양영철(YANG Young Cbul),김명순(KIM Myung Soon¹) 대한체질인류학회 1992 해부·생물인류학 (Anat Biol Anthropol) Vol.5 No.1

        한국 성인 및 태아에 있어서 상완골, 척골 및 요골 길이의 상호 비율을 측정하기 위하여 성인의 마른 상지뼈 100쪽과 태아(18-31주)의 상지 40쪽을 사용하여 상완골, 척골 및 요골의 최대 갈이를 측정하였으며 태아의 경우에는 단순 x선 활영으로 골화된 뼈의 길이를 측정하였다. 척골/상완골, 요골/상완골 및 요골/척골의 길이 비를 구하여 성인과 태아 남녀 및 좌우의 차이를 조사하였고 태아의 나이(LMP)와 머리둔부길이(CRL)에 대한 상완골, 척골 및 요골 길이의 상관관계를 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척골/상완골의 길이 비는 성인에서는 0.82±0.05, 태아에서는 0.92±0.05를 보였고 요골/상완골의 길이 비는 성인에서는 0.76±0.03 태아에서는 0.82±0.05를 보였으며 요골/척골의 길이 비는 성인에서는 0.92±0.04, 태아에서는 0.90±0.02를 보여서 성인과 태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P<0.05). 2.태아(18-31주) 시기에는 나이가 듦에 따라 척골/상완골의 길이 비와 요골/상완골의 길이 비가 감소하나 요골/척골의 길이 비는 변화가 없었다. 3.척골/ 상완골, 요골/상완골, 요골/척골의 길이 비는 성인과 태아 모두에서 남녀 및 좌우에 따른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4.태아의 나이(LMP)를 추정하기 위한 회귀방정식은 0.09×CRL+4.76, 0.41×hunmerus+6.83, 0.42×ulna+7.96, 0.48×radius+7.54였으며 머리둔부길이를 추정하기 위한 회귀방정식은 4.39×humerus+28.65, 4.80×ulna+28.72, 5.41×radius+27.04였다.

      • KCI등재

        한국인 배세모근(M.Pyramidalis)에 대한 해부학적 관찰

        강호석(KANG Ho Suck),양영철(YANG Young Chul),조병필(CHO Byung Pil),고정식(KO Jeong Sik) 대한체질인류학회 1990 해부·생물인류학 (Anat Biol Anthropol) Vol.3 No.1

        한국 성인사체 51구(남 33,여 18)를 대상으로 좌우측 배세모근 의 존재여부, 수 및 형태를 조사하였다. 배세모근은 대부분의 경우 양측 모두존재 하였으나, 우측 배세모든이 결여된 경우가 1구의 남성사체에서,좌측이 결여된 경우가 2구의 남성사체에서 관차되였으며, 양측이 결여되어 있거나 중복되여 있는 경우는 없었고, 기시부가 양측 모두 이분외어 있는 경우가 1구의 남성사체에서 관찰되였다. 남녀간의 배세모근의 크기를 비교해본 결과 남서의 배세소근이 여성의 배세모근보다 비교적 컸으나 여성의 배세모근이 남서으이 배세모근보다 형태지수가 높게 나타났다.

      • KCI등재

        복강동맥의 이상기시 1예 보고

        강호석(KANG Ho Suck),황태선(WHANG Tae Sun),조병필(CHO Byung Pil),양영철(YANG Young Chul) 대한체질인류학회 1990 해부·생물인류학 (Anat Biol Anthropol) Vol.3 No.2

        드물게 나타나는 복강동맥의 이상기시 1예를 한국인 64세 남성에서 관찰한바 본례에서는 복강동맥의 가지중, 왼위 동맥은 배대동맥에서 따로 기시하고 총간동맥과 비장동맥은 위장간막동맥에서 함께 기시하는 유형으로서 제 1, 2요추사이의 척추사이원반 놀이의 배대동맥에서 위장간막동맥이 기시하고, 기시점으로부터 4cm부위에서 총간동맥과 비장동맥이 공동줄기를 이루어 1cm정도 나오다가 분지하며 총간동맥은 분지후 4.Scm지점에서 오른위동맥과 고유간동맥으로 나뉘었다. 왼위동맥은 왼아래횡격막동맥과 공동줄기를 이루어 위장간막동맥의 기시부 윗쪽 0.8cm지점에서 배대동맥으로부터 직접 기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