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간호학생의 임상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변인

        강혜승(Hye-Seung Kang),김윤영(Yoon-Young Kim),이홍선(Hong-Sun Lee) 한국산학기술학회 2018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9 No.3

        본 연구는 간호학생의 문제해결능력, 의사소통능력, 자기효능감 및 임상수행능력의 관계를 파악하고 임상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요인을 규명하여 간호학생의 임상수행능력을 증진할 수 있는 역량강화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대상은 D와 G시에 소재한 간호학과 6곳에 재학 중인 4학년 184명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로 조사하였으며, 자료수집 기간은 2016년 9월 1일부터 9월 10일까지이었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방법은 IBM SPSS/WIN 20.0 program을 이용하여 독립 t-검정,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stepwise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문제해결능력은 평균 3.60점, 의사소통능력은 평균 3.79점, 자기효능감은 평균 3.45점으로 나타났으며, 임상수행능력은 문제해결능력(r=.537, p<.001), 의사소통능력(r=.507, p<.001), 자기효능감(r=.541, p<.001)과는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임상수행 능력에 대해 문제해결능력(β=.283, p<.001), 자기효능감(β=.249, p<.001), 전공 지원동기(β=.182, p=.002), 의사소통능력(β=.176, p=.016), 대인관계(β=.101, p=.082)의 순으로 총 42.8%의 설명력을 가진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중에서 문제해결능력이 가장 높은 설명력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간호학생에게 문제해결능력, 자기효능감 및 의사소통능력을 증진시키는 역량강화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This study examined the influence of problem solving ability, communication skill and self-efficacy on clinical competence of nursing students. The research subjects were 184 grade 4 nursing students in D and G city. Data were collected from September 1 to September 10, 2016 and analyzed by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using the IBM SPSS/WIN 20.0 program.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roblem solving ability was 3.60, communication skill was 3.79, and self-efficacy was 3.45. The clinical competence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problem solving ability, communication skill and self-efficacy. Problem solving ability (β=0.283, p<0.001), self-efficacy (β=0.249, p<0.001), motivation for nursing (β=0.182, p=0.002), communication skills (β=0.176, p=0.016),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β=0.101, p=0.082) explained 42.8% of the total variance in clinical competence of nursing students. The most significant predictors of clinical competence were problem solving ability, followed by self-efficacy and communication skill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 empowerment program to improve problem solving ability, self-efficacy and communication skills of nursing students.

      • KCI등재

        요양보호사의 노인 돌봄 태도에 미치는 영향

        강혜승(Hye Seung Kang),이소영(So Young Lee) 한국산학기술학회 2019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0 No.9

        본 연구목적은 요양보호사를 대상으로 하여 감정노동, 회복 탄력성이 노인 돌봄 태도에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 요양보호사의 노인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 형성 및 유지를 위한 전략을 제공하고자 시행된 조사연구로 D시, K도 요양보호사 142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시행되었다. 결과 분석 프로그램은 SPSS/WIN 21.0 program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one-way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를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노인 돌봄 태도는 3.56± 0.90점, 감정노동은 3.23± 0.74점, 회복 탄력성은 3.94± 0.40점이었다. 노인 돌봄 태도는 회복 탄력성(r= .294, p<.005)과 유의한 정적(+)상관을 보였고, 노인 돌봄 태도의 설명력은 15.6%로 회복 탄력성(β= .360, p= .002), 근무 형태(β= - .282, p= .001)가 요인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 요양보호사들에 관한 근무형태가 안정적일수록 자신의 직무인 노인 돌봄 태도가 증가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어려운 상황을 스스로 이겨낼 수 있는 회복 탄력성에 관한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이들에게 미치는 영향을 파악해 볼 필요성이 있다.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resilience, emotional work, and attitudes toward caregivers caring for the elderly.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from November 01, 2018 to December 31, 2018.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Win 21.0 program. The attitudes toward caring for geriatric subjects were 3.56 ± .90 points out of 5, 3.23 ± .74 points out of 5 for emotional work, and 3.94 ± .40 points out of 5 for resilience. The attitudes toward caring for geriatric patients were related to resilience (r= .294, p<.001). Resilience (β= .360, p= .002) and work type (β= -.282, p= .001)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attitudes toward caring for the elderly (F=7.5355, p<.001). The explanatory power of these variables was 15.6%.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nterventions may be necessary to improve the attitudes of the caregiver toward caring for the elderly.

      • KCI등재

        중년여성의 외상 후 성장, 자아존중감, 희망이 삶에 질에 미치는 영향

        강혜승(Hye-seung Kang),이소영(So-young Lee) 한국콘텐츠학회 2017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7 No.10

        본 연구는 외상 후 성장, 자아존중감, 희망이 중년여성의 삶의 질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연구대상자는 총 118명 중년여성 이였으며, 자가 보고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2017년 6월 1일부터 6월 30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1.0프로그램으로 기술적 통계, t-test, ANOVA, Scheffe`s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다중회귀분석으로 하였다. 연구 결과 자신과 타인에 관하여 희망적일수록, 자가건강상태에 대한 평가가 긍정적일수록, 자아존중감이 높고, 외상 후 성장을 극복했을수록 삶의 질의 점수가 높게 나왔다. 희망, 자가건강상태, 자아존중감, 외상 후 성장은 중년여성의 삶의 질과 순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나이대는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희망, 자가건강상태, 자아존중감, 외상 후 성장은 중년여성의 삶의 질을 예측할 수 있는 유의한 변수로 나타났다. 이 연구 결과에서 나타난 주요 변수들을 고려하여 노년기의 전 단계인 중년여성의 삶의 질을 체계적으로 관리하여 길어진 삶 속에서의 삶의 질을 효과적으로 중재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factors as post-traumatic, self-esteem and hope that affect the quality of life in middle-aged women. Number of middle-aged women participated in the survey were 118. Data were collected by means of self reported questionnaires from June 1 to 30. and analyzed by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Scheffe’s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regression with SPSS windows version 21.0.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quality of life health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hope, frequency of perceiver health status, frequency of self esteem and post traumatic state.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quality of life and hope, perceiver health status, self esteem, post traumatic state. Negative correlations were found between quality of life and aged. Hope, perceiver health status, self esteem, post traumatic state were predictors of a quality of life Nurses should focus on factors identified in this study when developing nursing interventions to quality of life for middle-aged women.

      • KCI등재

        정신전문병원 간호사의 감성지능, 의사소통능력, 스트레스 대처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강혜승(Kang, Hye-Seung),김윤영(Kim, Yoon-Young) 한국산학기술학회 2016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7 No.1

        본 연구는 정신전문병원 간호사의 감성지능, 의사소통능력, 스트레스 대처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함이다. 정신전문병원에 근무중인 간호사 16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이용하여 2015년 02월 02일부터 02월 27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IBM SPSS 20.0 Program을 이용하여 독립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Stepwise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정신전문병원 간호사의 이직의도는 감성지능(r=-.638, p<.001)과 스트레스 대처방식(r=-.649, p<.001), 의사소통능력(r=-.694, p<.001)으로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고, 정신전문병원 간호사 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요인의 설명력은 총 54.5%였다. 따라서 정신전문병원 간호사의 스트레스 대처방안을 다양하게 모색하여 감성지능 향상, 의사소통능력을 향상시키는 간호중재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이 필요하다. This study examined the influence of the turnover intention and emotional intelligence,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stress coping of psychiatric nurses.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was filled out by 160 Korean Psychiatric nurses from February 2 to February 27, 2015.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frequencies,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using IBM SPSS 20.0. The turnover intention showed a close correlation with the emotional intelligence (r=-.638 p<.001), stress coping (r=-.649, p<.001), and communication competence(r=-.694, p<.001) in psychiatric nurses. The turnover intention and emotional intelligence, stress coping, communication competence explained 54.5% of the total variance of clinical competence in psychiatric nurs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implement a curriculum and program to improve the turnover intention and emotional intelligence, stress coping, communication competence of psychiatric nurses.

      • KCI등재

        간호대학생의 자기효능감과 비판적 사고성향이 셀프리더십에 미치는 영향

        강혜승(Hye-Seung Kang),김윤영(Yoon-Young Kim) 한국산학기술학회 2017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8 No.5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의 자기효능감, 비판적 사고성향 정도를 파악하고, 간호대학생의 셀프리더십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 요인을 확인하기 위함이며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는 D 시와 K 도에 소재한 간호대학 3곳에 재학 중인 3, 4학년의 간호대학생 114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로 조사하였으며, 자료수집 기간은 2015년 11월 9일부터 11월 27일까지이었다.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Win 20.0 program을 이용하여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stepwise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자기효능감은 평균 3.73점, 비판적 사고성향은 평균 3.73점, 셀프리더십은 평균 3.73점으로 나타났으며, 셀프리더십은 자기효능감(r=.520, p<.001)과 비판적 사고성향(r=.691, p<.001)과는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셀프리더십에 대해 자기효능감(β=.277, p<.008), 비판적 사고성향(β=.274, p=.006), 학년(β=.273, p<.001), 종교(β=.163, p=.023), 전공지원동기(β=-.155, p=.033)는 총 45.6%의 설명력을 나타내었다. 이중에서 자기효능감이 가장 높은 설명력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고, 다음으로 비판적 사고성향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간호대학생의 셀프리더십에 미치는 예측 요인을 다양하게 파악하고, 자기효능감과 비판적 사고성향을 향상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This study examined the influence of self-efficacy and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on the self-leadership of nursing students. The research subjects were114 nursing students in D city and K province. The data werecollected from November 9 to November 27, 2015, and analyzed by an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using the IBM SPSS/Win 20.0 program. The results showed that self-efficacy was 3.73,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was 3.73, and self-leadership was 3.73. The self-leadership has positive correlations with self-efficacy and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Self-efficacy(β=.277, p<.008),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β=.274, p=.006), grade(β=.273, p<.001), religion(β=.163, p=.023),motivation of nursing(β=-.155, p=.033) explained 45.6% of total variance of self-leadership of nursing students. The most significant predictor of self-leadership were self-efficacy, followed by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education program to improve the self-efficacy and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of nursing students.

      • KCI등재

        라이프케어증진을 위한 소규모 사업장 남성 근로자의 건강증진행위 예측요인

        강혜승(Hye-Seung Kang)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18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12 No.6

        본 연구의 목적은 라이프케어증진을 위하여 소규모 사업장 남성 근로자 대상으로 직무스트레스, 자기효능감, 건강증진행위를 확인하고,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요인을 규명하기 위함이다. 연구대상은 G도에 소재한 50인 미만 소규모 사업장에서 근무하고 있는 남성 근로자 141명이다. 자료 수집은 2017년 6월 1일부터 6월 30일까지이며, 일반적 특성 및 직무 관련 특성과 직무스트레스, 자기효능감, 건강증진행위의 측정도구를 이용하여 설문조사하였다. 자료 분석은 IBM SPSS/WIN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독립 t-검정, ANOVA, Pearson 상관관계, 단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건강증진행위는 직무스트레스(r=-.417, p<.001)와 부적 상관관계, 자기효능감(r=.535, p<.001)은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요인으로 자기효능감(β=.403, p<.001), 직무스트레스(β=-.254, p<.001), 근무형태(β=.321, p=.001), 직무유형(β=.213, p=.002), 결혼 여부(β=.157, p=.013) 순으로 나타났으며, 전체 설명력은 총 50.4%이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취약한 환경의 소규모 사업장 근로자들이 건강증진행위를 생활화하고 실천할 수 있는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중재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따라서 건강증진행위를 실천하기 위한 자기효능감 제고에 중점을 두는 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하고, 소규모 사업장의 근로 환경 개선을 통해 직무스트레스를 줄이는 것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job stress, self-efficacy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s of small-scale industries male workers and to identify the predictive factors influencing health promoting behavior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141 male workers who work in small-scale industries with less than 50 employees in G-do.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from June 1, 2017 to June 30, 2017, using tools of general characteristics, job-related characteristics, job stress, self-efficacy,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s. Data were analyzed by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by using IBM SPSS/WIN 22.0 program. The results showed that the health promoting behaviors were positive correlated with self-efficacy (r=.535, p<.001) and negative correlated with job stress (r=-.417, p<.001). Predictors of health promoting behavior were self-efficacy (β=.403, p<.001), job stress (β=-.254, p<.001), type of work (Β=.321, p=.001), work department (β=.213, p=.002), marital status (β=.157, p=.013), and the overall explanatory power was 50.4%. Based on the results of the research, it is necessary to systematic and sustained intervention program for the enhancement of health promoting behaviors in small-scale industries male worker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apply an intervention program that focuses on the improvement of the self–efficacy and to reduce the job stress by improving the working environment for small-scale industries workers.

      • KCI등재

        대학에서 온라인 수업의 질과 수업만족도가 학습몰입을 매개로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강혜승(Hye-Seung Kang),이하나(Ha-Na Lee),정주영(Ju-Young Jung) 한국산학기술학회 2022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3 No.3

        본 연구는 온라인 수업의 질과 수업만족도가 학습몰입을 매개로 한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이들 간의 관계를 다각적인 분석을 통해 온라인 수업에서의 학업성취도 향상을 위한 기초연구로서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20년도 8월 1일부터 2020년도 8월 15일까지 B시 소재 D 대학교와 J시 소재 D 대학교 재학생 총 19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Statistics 18.0과 Amos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상관관계 및 경로모형 분석으로 통계처리 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학습몰입은 온라인 수업의 질(β=.25, p=.021) 및 수업만족도 (β=.51, p<.001)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업성취도는 온라인 수업의 질(β=.08, p=.311), 수업만족도(β=.66, p<.001), 학습몰입(β=.25, p=.002)의 영향을 받았다. 학업성취도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Bootstrapping 방법을 적용하여 간접효과를 분석한 결과, 수업의 질과 수업만족도 모두에서 학습몰입의 유의한 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온라인 수업에서 학업성취도 향상을 위해 온라인 수업에 대한 질적 개선 및 대학교육에서의 지원과 개선방안을 도출하는데 기초 자료가 될 것이다. This study aimed to confirm the mediating effects of learning engagement in the relation between online class quality, class satisfac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in universitie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199 students at universities in B and J Cities between August 1 and August 30, 2020. The collected data were statistically processed using SPSS 18.0 and Amos 18.0 software. The findings showed that learning engagement was affected by online class quality (β=.25, p=.021) and class satisfaction (β=.51, p<.001). Furthermore, academic achievement was affected by online class quality (β=.08, p=.311), class satisfaction (β=.66, p<.001), and learning engagement (β=.25, p=.002). Learning engagement showed mediating effec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online class quality, class satisfac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serve as basic data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online classes and deriving support and improvement measures for university education to enhance academic achievement.

      • KCI등재

        라이프케어증진을 위한 대학생의 우울과 건강증진행위의 관계에서 가족기능의 매개효과

        배은숙(Eun-Sook Bae),강혜승(Hye-Seung Kang),이소영(So-Young Lee)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20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14 No.3

        본 연구는 대학생의 우울이 가족기능을 매개로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매개효과 검증을 시행하였다. 연구대상자는 G도와 B시 지역에 소재한 대학 중 대학교 3곳, 전문대학 4곳에 재학 중인 대학생 340명이다. 자료 수집은 2018년 12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였으며, 일반적 특성, 우울, 가족기능, 건강증진행위의 구조화된 측정도구를 이용하여 온라인 설문조사하였다. 자료 분석은 IBM SPSS/WIN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Mann-Whitney U 검정과 Kruskal-Wallis H 검정, 스피어만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활용한 Baron과 Kenny의 3단계 매개효과 검증절차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매개효과에 대한 통계적 유의성 검증은 Sobel test로 검증하였다. 앞서 평균차이 검정을 통해 건강증진행위에 대하여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낸 성별과 전공을 통제변수로 사용하였다. 먼저 독립변수와 매개변수의 관계에 대한 유의성 검정을 시행한 결과, 우울은 가족기능에 음의 영향(β=-.44, p<.001)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독립변수와 종속변수의 관계에 대한 유의성 검정을 시행한 결과, 우울은 건강증진에 음의 영향(β=-.45, p<.001)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독립변수와 매개변수가 동시에 투입된 모형에서 종속변수와의 관계를 살펴보면, 독립변수인 우울이 종속변수인 건강증진에 음의 영향(β=-.39, p<.001)을 미치고 있으며, 매개변수인 가족기능은 건강증진에 양의 영향(β=.14, p<.010)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종속변수 건강증진행위에 대한 독립변수의 전체 설명력은 27%였다. 매개효과에 대한 통계적 유의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Sobel 검정을 시행한 결과, 가족기능은 부분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대학생의 건강증진행위를 향상시키기 위해 우울을 중재할 때 가족기능을 포함하는 것이 대학생의 건강증진행위를 촉진시키는데 중요하다는 것을 시사하며, 우울로 인한 건강증진행위를 개선하기 위해 가족기능을 적절하게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중재가 필요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mediating effects of family func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health promotion behavior among university students. Data were collected from December 1 to December 31, 2018 and the participants included 340 university students, who responded to the question regarding health promotion behavior, family function and depression. The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Spearma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regression, mediation regression analysis of Baron and Kenny using the SPSS/WIN 23.0 program. As a result, A negative correlation is found between health promotion behavior and depression (r=-.48, p<.001), and positive correlation is among family function (r=33, p<.001), negative correlation is found between depression and family function (r=-.45, p<.001). family function have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health promotion behavior (Sobel test: -2.53, p<.05).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t is important to manage family function to improve health promotion behavior caused by depression.

      • KCI등재

        인문계 고등학생의 학업 스트레스와 수면의 질 관계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배은숙(Bae, Eun Sook),강혜승(Kang, Hye Seung),이하나(Lee, Ha Na) 한국간호교육학회 2020 한국간호교육학회지 Vol.26 No.3

        Purpose: This study aimed to confirm mediating effects of academic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stress and sleep quality among academic high school students. Methods: The participants included 195 academic high school students who were attending a private educational institution in the Gwangju or Pusan metropolitan city. Data were collected from September 1 to September 30, 2019.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PROCESS macro SPSS/WIN 3.2 and bootstrapping was used to test the mediating effects. Results: There were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sleep quality and academic stress (r=-.55, p<.001), sleep quality and academic self-efficacy (r=.35, p<.001), and academic stress and academic self-efficacy (r=-.16, p<.020). Academic self-efficacy showed partial mediating effec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stress and sleep quality. Conclus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development of a program that improves the academic self-efficacy of academic high school students who are experiencing academic stress is a way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ir sleep.

      • KCI등재

        요양병원 간호사의 직무착근도와 소진이 프리젠티즘에 미치는 영향령

        이소영(So-Young Lee),강혜승(Hye-Seung Kang) 한국산학기술학회 2019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0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요양병원 간호사의 직무착근도, 소진, 프리젠티즘의 정도를 파악하고, 프리젠티즘에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시도하였다. 자료수집은 2018년 5월1일부터 5월31일까지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보건복지부의 의료인증평가를 통과한 병원(2018년 5월 기준) 중 기관장의 승인을 받은 대구, 부산, 광주, 대전, 수원 5개 도시에서 근무 중인 간호사 240명을 편의 추출하였고, 불충분하거나 미기재 분을 제외한 209명을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을 이용하였으며, 직무착근도는 2.91± .47, 소진은 2.86± .48, 프리젠티즘은 2.95± .44였다. 프리젠티즘은 소진(r= .152, p< .005)과 유의한 정적(+)상관이 나타났고, 직무착근도는 소진(r= -.466, p<.001)과 부적(-)상관을 보였다. 프리젠티즘은 소진(β= .244, p< .001), 직무착근도(β= .183, p= .016), 이직경험(β= -.251, p= .003), 밤 근무여부(β= -.187, p= .006), 이직횟수(β= -.037, p= .044)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F=5.227, p< .001), 이들 간의 설명력은 33.0%였다. 즉 요양병원 간호사에 대한 관심과 시각의 변화를 위한 프로그램개발과 요양병원 간호사의 직무능력을 향상 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This study is a descriptive study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embeddedness, burnout and presenteeism of nursing in long-term care hospital.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from May 01, 2018 to May 31, 2018. 209 nursing in long-term care hospital in this stud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Win 21.0 program. The embeddedness of the subjects was 2.91±.473 points out of 5, burnout was 2.86±.480 points out of 5 and presenteeism was 2.95±.449 points out of 5. The embeddedness was related to burnout(r= -466, p<.001), presenteeism(r=.152, p<.005),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urnout(β=.244, p<.001), embeddedness(β=.183, p=.016), experiences of turnover(β= -.251, p=.003), night shifts(β= -.187, p=.006), and number of turnover(β=-.037, p<.001) had a significant effect on presenteeism(F=5.227, p<.001). The explanatory power of these variables was 33%.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