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니버설 디자인 공모전 수상작의 디자인 경향 분석(2006~2016) - 환경 및 실내디자인 분야를 중심으로 -

        강현재 ( Hyeonjae Kang ),김영주 ( Youngjoo Kim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8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3 No.2

        (연구배경) 최근 복지환경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높아지는 가운데 유니버설 디자인에 대한 인식과 요구도 증대하고 있다. 이러한 추세를 반영하여 국내에서는 2006년부터 최근까지 매년 유니버설 디자인 공모전이 개최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디자인 공모전 출품작들에 대한 객관적 분석을 통해 디자인 트렌드 분석 및 관심 주제에 대한 디자이너들의 인식 변화 경향이나 흐름을 파악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유니버설디자인에 대한 일반 디자이너들의 인식과 디자인 적용성을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06년부터 2016년까지 실행된 유니버설 디자인 공모전의 수상작을 중심으로 주요 대상 공간과 타겟 집단의 분포를 정리하고 유니버설 디자인의 세부원리에 근거한 적용성을 분석함으로써 유니버설 디자인에 관한 최근의 전반적인 디자인 경향을 파악하였다. (연구방법) 문헌조사를 통해 유니버설 디자인의 개념과 발전과정, 목표와 원리에 기반한 디자인 평가기준, 타겟 집단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정리하는 한편 관련 연구동향을 정리하였다. 이와 함께 환경 및 실내 분야의 유니버설 디자인 공모전 수상작 100편을 대상으로 문헌조사를 토대로 도출된 평가기준을 분석틀로 이용한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분석대상 수상작들은 공공공간을 대상으로 한 경우가 가장 많았고 그 중에서도 교통 및 보행공간과 관련된 내용이 주를 이루었다. 수상작들의 주된 타겟 집단은 장애인을 대상으로 한 경우가 가장 많았다. 유니버설 디자인의 목표에 기반한 적용성 분석 결과 기능적 지원성, 접근성과 관련된 내용이 가장 많았으며 UD 원칙의 적용성 분석 결과 공평한 사용과 관련된 내용이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한 반면 사용의 융통성 원칙과 관련된 내용은 가장 적었다. (결론) 전체적으로 공공공간 및 장애인을 대상으로 한 작품이 가장 많았다는 것은 유니버설 디자인에 대한 일반 디자이너의 공간적 이해와 적용의 폭이 아직은 편향적이라고 볼 수 있다. 그러나 비록 소수이지만 워킹맘이나 재해재난민 등 사회적 특수성이 있는 집단을 대상으로 한 작품이 포함된 것은 유니버설 디자인에서 관심있게 고려해야 할 사용자 계층에 대한 사람들의 인식 확장을 보여주는 것이다. (Background and Purpose) Social interest in well-being and quality of life is increasing every day, and the need for a universal design is also currently expanding. Given this atmosphere, the first Universal Design Competition in Korea began in 2006, and it is still continu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general perceptions of designers regarding a universal design and to identify the trend in universal designs through an analysis of the target space, target population, and applicability of four universal design goals, as well as the seven principles and specific design guidelines for the prize-winning works of the Universal Design Competition from 2006 to 2016. (Method) Based on a literature review, we organized the historical background, concept, goals, and principles of universal designs and current related research trends. Using the analytic framework built from the literature review in advance, content analysis on the 100 prize-winning works concerning the area of the environment and interior of the Universal Design Competition was performed. (Result) The most frequently applied subject space was the public space, especially with respect to public transportation and spatial facilities for pedestrians. Regarding the target population, people with disabilities, especially those with physical disabilities who use a wheelchair and those who are visually impaired, composed the largest portion of the subjects of analysis. In terms of the applicability of the four universal design goals, works related to supportive designs and accessible designs were the most frequently used by designers. Works targeting equitable use accounted for the largest portion among the 7 universal principles drawn from this study. (Conclusion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e unequally distributed interest toward public spaces and disabilities with respect to the application of the goals and principles of universal design. These results may be derived from the biased perception for a barrier free design. Although such cases are limited in number, works dealing with special target groups, such as single working mothers and/or survivors of war and natural disasters, represent the extended perception regarding the considerable target population in a universal desig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