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몽골과 한국의 초등 및 중등 화학 교육과정 비교 연구

        강투무르 다리수엔,김현경 부산교육대학교 미래교육원 2023 초등교육연구 Vol.38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specifics of previous curricula in Mongolia and Korea, the current education system, curriculum documents, and the content of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chemistry, and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future development of two countries. Chemical content elements were analyzed in the 2019 revised curriculum in Mongolia and the 2015 revised curriculum in Korea. As a standard for comparative analysis, TIMSS (Trends in International Mathematics and Science Study) 2019 is used as a framework for 4th and 8th grade assessment, and a newly developed standard framework based on NGSS (Next Generation Science Standard) was used for integrating high school chemistry content elements. The test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main featur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previous curricula of two countries were different. Second, although the current education system, curriculum structure, and science learning objectives were similar, the number of science classes was different by school level. Third,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chemistry curriculum, which is the main area of interest in this study, showed that Mongolia covers all elements of the TIMSS 2019 primary and secondary school science assessment framework, while Korea does not cover all elements of the framework; periodic table and reaction rate were not included in Korea curriculum. In high school, the Mongolia curriculum included all the basic concepts of the NGSS-based reference framework, while the Korean curriculum included only some, and elements related to organic chemistry, industry, and everyday life were removed. In the future, when revising the curriculum, Korea needs to consider adding content elements or developing new subjects. In contrast, Mongolia needs to prioritize the integration and consistency of the curriculum considering the relevance of content and level. Through this result, the direction of future science curriculum revision in Mongolia and Korea and implications for educational exchange between the two countries were obtained. 본 연구의 목적은 몽골과 한국의 이전 교육과정의 특징, 현재의 교육제도, 교육과정 문서, 초·중·고 화학 교과의 내용을 비교하고, 양국의 미래 발전을 위한 기초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가장 최근에 개정된 몽골의 2019 개정 교육과정과 한국의 2015 개정 교육과정을 대상으로 하여 화학 내용요소를 분석하였다. 비교 분석을 위한 기준으로 TIMSS(Trends in International Mathematics and Science Study) 2019의 4학년과 8학년 평가틀 및 NGSS(Next Generation Science Standard)를 기반으로 고등학교 화학 교과의 내용요소를 통합하여 새로 개발한 기준 틀을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몽골과 한국의 과학 교과 교육과정의 개정 방향은 모두 학생 중심의 교육과정을 지향하고 있었지만, 몽골은 지식, 기술, 태도를 중시하고, 한국은 창의성과 통합을 강조하는 차이가 있다. 둘째, 현재 교육제도, 교육과정 구조, 과학 교과의 학습 목표는 두 나라가 비슷했지만 학교급에 따라 과학 시수에 차이가 있다. 셋째, 본 연구의 주요 관심이었던 화학 교육과정에 대한 비교 분석 결과, 초등학교와 중학교에서 몽골은 TIMSS 2019 과학 평가틀의 모든 요소를 다루고 있는 반면 한국은 주기율표와 반응 속도 등 일부 요소를 다루고 있지 않았다. 고등학교의 경우 몽골은 NGSS 기반 기준 틀의 모든 기본 개념을 화학 교육과정에서 다루고 있었으나 한국은 일부만 포함된 경우가 많았고, 특히 유기 화학 및 산업과 일상 생활에 연계된 요소는 제외되었다. 앞으로 한국은 교육과정 개정 시 내용요소를 추가하거나 새로운 교과목 개발을 고려할 필요가 있으며 대조적으로 몽골은 내용과 수준의 관련성을 고려하여 교육과정의 통합과 일관성을 우선시할 필요가 있다. 본 결과를 통해 몽골과 한국의 향후 과학 교육과정 개정의 방향과 두 나라의 교육 교류에 대한 시사점을 얻었다.

      • KCI등재

        한국과 몽골의 과학 교과서의 비교 연구 - 에너지와 기후변화 내용을 중심으로 -

        강투무르 다리수엔,김현경 에너지기후변화교육학회 2024 에너지기후변화교육 Vol.14 No.1

        이 연구의 목적은 ‘에너지와 기후변화’를 주제로 몽골과 한국의 초중학교 과학 교과서의 내용과 삽화 등을 비교하고 양국의 교과서 내용을 위한 기초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에너지 내용 중에서는 ‘물질의 상태변화’에 초점을 맞추었으며 에너지기후변화 내용을 중심으로 교과서 비교분석을 위한 연구 방법은 다음과 같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몽골과 한국 초⋅중학교 과학 교과서에 기술된 ‘물질의 상태변화’에 대한 내용과 삽화를 비교 분석한 후 ‘기후 변화’의 내용과 삽화를 문헌조사 및 분석과 수차례의 전문가 협의를 통해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양국의 초⋅중학교 교과서에는 ‘물질의 상태변화’에 관한 내용은 적절했지만 기후변화에 관한 내용은 부족하며 에너지와 기후변화에 대한 통합적인 내용도 거의 없었다. 양국 과학 교과서의 ‘물질의 상태변화’ 관련 내용은 유사하지만 삽화, 탐구, 응용은 한국 교과서가 더 많았다. 한국 초등학교 과학 교과서의 과학 이야기에 ‘기후변화’ 내용이 4개 주제로 다루어진 반면, 몽골 초등학교 교과서는 내용이 1개 주제만 다루고 있다. 중학교 과학 교과서에는 기후변화 관련 내용이 상대적으로 적고 온실가스 관련 내용만 포함되어 있어 많은 내용을 다루지 못했다. 이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얻었다. 첫째, 몽골 초등학교 교과서에 ‘기후변화’ 관련 내용을 추가하는 것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또한 한국 교과서의 ‘기후변화’와 관련된 내용은 과학 이야기 부분이 아닌 성취기준과 연관되어 중요하게 다루고 탐구와 연계되는 것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둘째, 과학 교과서는 내용과 삽화에 초점을 맞추는 것 외에 내용의 활용성과 중요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셋째, 양국의 초⋅중학교 교과서에 ‘날씨’, ‘기후’보다는 ‘기후변화’ 와 관련된 내용을 학생 연령에 맞는 과학적, 사회적 내용으로 포함시킬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imed to compare the contents and illustrations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cience textbooks in Mongolia and Korea with the theme of “Energy and Climate Change” and to study their status and trends. This study focused on “change in the state of matter” among the energy components because energy contains many components. The research method is performed in these steps: after comparing and analyzing the contents and illustrations on “changes in the state of matter” described in the currently used Mongolian and Korea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cience textbooks, the contents and illustrations on “climate change” were compared and analyzed.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textbooks in both countries had sufficient contents on “changes in the state of matter”; however, content on climate change is lacking and energy and climate change almost had no integrated content. Because of the study, the contents related to “change of state of matter” in the science textbooks of both countries were similar, but the Korean textbook had more illustrations, exploration, and applications. While the Korean elementary school science textbook had four science stories about climate change, the Mongolian elementary school textbook had only one content. Middle school science textbooks contained relatively little content related to climate change and only included greenhouse gas-related content; therefore, they did not cover much content. Through our research, we would like to make the following suggestions: First, there is a need to consider adding content related to “climate change” to Mongolian elementary school textbooks. Additionally, it appears that content related to “climate change” in Korean textbooks should be organized as important content related to the achievement process, not as part of science stories, and should be linked to exploration. Second, science classes should place more emphasis on the usefulness and importance of content than on content and illustrations. Lastly, there is a need to include content related to “climate change” rather than “weather” or “climate” i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textbooks in both countries as scientific and social content appropriate for the age of students.

      • 홈 네트워크 테스트베드 설계 및 구축

        박세건,강투무르,김동균,이상정 순천향대학교 부설 산업기술연구소 2004 순천향 산업기술연구소논문집 Vol.10 No.2

        Recently, as many next-generation appliances are become digital and intelligent, companies have come out various networked appliances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ough home network. It will be expensive and difficult to apply new technologies using real appliances for verifying application services. Therefore, a home network testbed, which is consisted of simulator and emulator for verifying interworking services of various information appliances, is needed to reduce design cost and time. In this paper, a home network testbed is implemented and designed to support interworking services of home network. The devices in the testbed are designed with modular components for reusability, and the components are invoked through XML message. The correctness and effectiveness of the testbed is verified through interworking services on various compon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