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아의 거친 신체놀이와 대인문제해결력의 관계

        강영식(Kang, Young-Sik),마지순(Ma, Ji-Sun),안라리(Ahn, Ra-Ri)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3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8 No.5

        본 연구는 거친 신체놀이와 대인문제해결력의 관계 및 거친 신체놀이가 대인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거친 신체놀이와 대인문제해결력은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둘째, 유아의 거친 신체놀이는 대인문제해결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대상은 충청남도 H어린이집 4, 5세 유아 73명이었다. 유아의 거친 신체놀이는 바깥놀이에서 이루어지는 놀이상황을 캠코더로 기록하고 분석하였으며, 대인문제해결력은 유아와 개별적인 면담을 통해 기록되고 유아들이 반응한 것은 분석범주에 의해 점수화 되었다. 연구결과는 첫째, 유아의 거친 신체놀이와 대안적 해결사고의 하위요인인 부정적 해결방안과 결과예측 사고는 정적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거친 신체놀이의 잡기는 긍정적 해결방안의 예측변인이었으며, 부정적 해결방안은 팔 휘두르기, 넘어지기는 정적영향력이 있는 반면 도망가기는 부적영향력이 있는 예측변인으로 나타났다. 결과예측 사고의 예측변인은 거친 신체놀이 중 팔 휘두르기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유아의 대인문제해결력을 증진시키기 위해서 거친 신체놀이를 활용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유용한 기초자료를 제공했다는 점이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amine the effect of children"s rough-and-tumble play on the interpersonal cognitive problem solving ability. The subjects were 73 boys and girls who were 4, 5 years old in Chungchungnamdo.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children"s rough-and-tumble play and alternative solutions thought negatively and consequential thought. Second, the alternative solutions thought positively was affected by children"s rough-and-tumble play what the “pretending to catch”. The alternative solutions of thought negatively was affected by the “pretending to collapse”, “pretending to running”, “pretending to swing an arm. The consequential thought was affected by the pretending to brandish arms.

      • KCI등재

        유아의 숲동화 구연학습이 자기감정조절과 공동체의식 함양에 미치는 효과

        강영식(Kang Young-sik),마지순(Ma Ji-soon) 한국산학기술학회 2018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9 No.7

        본 연구는 유아의 숲동화 구연학습이 자기감정조절과 공동체의식 함양에 미치는 효과를 밝히는데 목적을 갖고 S시소재 유아 40명을 대상으로 8주간 16회기 실험 연구 하였다. 연구결과 전체적으로 숲동화 구연학습을 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높게 나타나 실험집단의 숲동화 구연학습의 유용성을 입증해주었다. 특히 공동체의식 요인의 기본생활 습관과 공동체의식, 사회성발달, 자기인식에서 모두 실험집단이 비교집단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이는 숲 체험 활동에서의 자연과에서 소통과 함께 동화소재를 자연 속에서 읽으면서 듣고 직접 체험함으로써 유아들이 동화를 통해 주의 집중하고 자연과의 교감 속에 자연 그대로 느끼는 순수한 감성을 바탕으로 또래와 함께 상호 협력하고 공존을 위한 관계 향상은 물론 원칙과 질서를 지키고 이를 실천하려는 소중한 마음이 동화 속 이야기와 함께 자기감정조절까지 증가시킴을 실증해준 것으로 볼 수 있다. 이 같은 결과는 숲 활동에 있어 단순한 놀이나 교육 중심에서 벗어나 숲동화 연계 활동을 통해 감정조절 뿐만 아니라 공동체의식 향상에도 긍정적인 교육효과를 가져다 줌에 따라 이의 활용이 보다 확산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 of oral narration learning for children`s forest fairy tales on self-emotional regulation and community spirit cultivation. To achieve this aim, experiments were conducted involving 40 children in S city during 16 sessions over a period of 8 weeks. Findings showed that the experimental group with oral narration learning regarding forest fairy tales was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 confirming the usefulness of oral narration learning for forest fairy tales. In particular, the experimental group was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 in basic lifestyle, community spirit, sociality development and self-awareness of community spirit factors. In other words, children can focus their attention on fairy tales by reading, listening and directly experiencing fairy tale materials in nature as communication with nature in forest experience activities, and can collaborate with peers based on their emotional connection with nature. Their ability to practice principles and order as well as to improve relationships with peers and increase self-emotional regulation is enhanced through experience with fairy tale stories. Such results imply that the utilization of forest fairy tales needs to be enhanced, as forest fairy tale-linked activities have a positive educational effect on community spirit cultivation as well as self-emotional regulation.

      • KCI등재

        프로세스 마이닝 기반의 프로세스 분석과 개선에 관한 연구 :글로벌 IT 기업의 인시던트 관리 프로세스 분석을 중심으로

        강영식 ( Young Sik Kang ),강창재 ( Chang Jae Kang ),김성봉 ( Sung Bong Kim ),한을진 ( Eul Jin Han ),김병수 ( Byoung Soo Kim ) 한국경영공학회 2014 한국경영공학회지 Vol.19 No.2

        Recently, there has been an increasing interest in process analytics which provides insights gained from analyzing voluminous log data recording business process behaviors in IT systems. Among process analytics fields, process mining offers innovative techniques for gaining process insights through evidence-based understanding and analyzing business process behaviors. We analyzed incident and problem management processes in a global IT company by using process mining and related analytical techniques. The incident and problem management logs contain 7,554/2,306 cases and 65,533/9,011 events respectively. By analyzing these logs, we could deal with the four challenges raised by the company. In addition, improvement initiatives based on analysis results have been successfully suggested. We hope that domestic managers will be interested in process mining in a big data world.

      • KCI등재

        유아의 숲 체험 수학놀이 활동이 수와 공간 개념 이해에 미치는 효과

        강영식(Young-Sik Kang) 한국산학기술학회 2018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9 No.11

        본 연구는 유아의 숲 체험 수학놀이 활동이 유아의 수와 공간 개념의 이해에 미치는 효과를 밝히는데 목적을 갖고 연구하였다. 대상은 만 4 세 유아 실험 집단과 통제 집단 각 20명으로 숲 수학놀이 활동을 통한 4 주간 주 4회씩 총 16회기에 걸쳐 숲 수학놀이 활동 놀이를 한 후 평가지에 의해 평가하였는데 그 결과를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숲 수학놀이 활동이 유아의 수와 공간 개념 이해에 미치는 효과 검정 결과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 차이 비교 결과 실험집단이 분류하기와 순서찾기 문항에서 높은 것으로 나타내 숲 수학놀이에서 분류하기와 순서찾기 놀이가 수와 공간개념 이해력에 도움을 주는 요인임을 확인시켜 주었다. 이는 유아들이 숲 수학놀이 활동이 유아의 수와 공간개념 이해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침을 의미한다. 따라서 유아들의 숲 수학놀이 활동을 통해 과제별 대상을 분류하고 순서를 찾아 과제를 풀어가는 과정 속에 수의 개념을 이해시키기 위한 유아들의 숲 수학놀이 활동의 적극적인 활용이 요구된다. This study is intended to look into the effects of children"s forest math game activities on their understanding of number and space concept. To achieve this, an evaluation was carried out to 20 4-year-old children in each group –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 by an evaluation sheet after forest math game activities during a total of 16 sessions 4 times a week for 4 week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children"s forest math game activities had an effect on their understanding of number and space concept. Second, the difference between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showed that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higher evaluation in the classifying and order finding items than the control group. It was confirmed that classifying and order finding in the forest math game were factors to help children"s mathematical problem-understanding abilities. This implies that their forest math game activities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ir mathematical problem-understanding abilities. Consequently, active forest math game activities for children are needed to help them understand the concept of number in the process of classifying task objects and solving tasks in order.

      • 숲 체험활동에 대한 유아교사들의 인식 및 요구에 관한 연구 (2015 춘계 학술발표)

        강영식(Young-Sik Kang) 한국산학기술학회 2015 한국산학기술학회 학술대회 Vol.2015 No.1

        본 연구는 프로그램 운영에 영향을 미치는 교사들의 인식과 요구도를 살펴봄으로써 교사들이 자연체험 프로그램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으며, 인식의 차이는 무엇인지, 또한, 무엇을 요구하고 있는지를 파악하여 그 시사점을 제안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을 가지고, 여구를 실시한 결과 교사들의 숲 체험활동에 대한 효과가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숲 체험 활동에 대한 요구에서 숲 체험교육의 유용성에 따른 교육 프로그램에의 적극적인 반영지지와 이를 권장할 것을 지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숲 체험 교육의 중요성과 유아교사들의 인식 개선을 통한 자연과 상호작용하면서 그 안에서 인간과 자연의 공존에 대한 중요성을 깨닫고 공동체 의식을 함양하는 다양한 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을 시사한 것이라 할 수 있다. Overall findings showed that early childhood teachers thought forest experience activities positive. And they supported that forest experience activities need to be actively reflected and recommended in educational programs for the usefulness of forest experience education. Consequently, it is important to introduce the forest experience education.

      • KCI등재

        숲 체험 활동이 유아의 공동체 의식함양에 미치는 효과

        강영식(Young-Sik Kang) 한국산학기술학회 2020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1 No.12

        본 연구는 숲 체험 활동이 유아의 공동체 의식 함양에 미치는 효과를 밝히는 데 목적을 갖고 충남지역 A 어린이집의 40명의 유아를 대상으로 사전사후 실증분석을 진행하였다. 전체적인 연구 결과 숲에서 숲 체험 활동을 한 실험집단과 기존 누리 과정 실외 활동을 한 비실험집단 간 공동체 의식의 하위요인인 친밀감, 정서, 상호 공공의식, 참여의식의 사후검사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 연구문제는 모두 채택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숲 유치원에서 자연을 활용한 유아들의 인성 교육은 오감이 깨어나는 경험을 통해 유아들의 감성 및 정서적 안정감의 발달을 촉진시키고 또래 간 숲 활동을 통해 자기 인식과 자립심, 신뢰감을 형성하고 긍정적인 태도와 사회성이 발달과 타인에 대한 배려와 존중을 배우고 잠재능력, 상상력, 창의성을 발달시키는 교육 장소로 훌륭한 대상이 됨을 시사한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또한 숲 체험 활동이 유아가 공동체를 지향하는 삶을 살아가게 하는데 효과적이므로 다양한 프로그램을 구성하여 지속적인 제공이 필요하다는 경험적 근거를 제공하였다는데서 실무적 의의를 갖는다. This study is aimed at exploring the effects of forest experience activities on promoting children"s community spirit. To achieve this, a pre-post survey was empirically carried out with 40 children at Kindergarten A in the city of Chungnam. The comprehensive finding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had forest experience activities, and the control group, which had outdoor activities based on the existing Nuri curriculum. Based on a pre-test for intimacy, emotion, mutual public awareness, and participation consciousness as sub-factors of community spirit, which adopted all the research hypotheses,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forest kindergarten will become an educational place for children. Consequently, personality education using nature in forest kindergartens can become an excellent goal, helping to boost the development of children"s sensitivity and emotional stability through awakening the five senses; building up self-awareness, self-reliance, and trust; learning consideration and respect for others; and developing positive attitudes, sociality, potential, imagination, and creativity through forest activities with their peers.

      • 차세대 업무 프로세스 성숙도 모형의 개발에 관한 연구

        강영식(Kang Young-Sik),송민석(Song Min-Seok) 영남대학교 산경연구소 2010 영상저널 Vol.2 No.2

        높아진 고객과 시민의 기대수준과 글로벌 경쟁의 심화, 산업 탈규제화로 국내 기업들과 공공 조직들은 어려운 도전에 직면해 있다. 이에 따라서 국내 기업들과 공공 조직들은 프로세스 지향성과 혁신을 강조하고 있다. 일반 기업들과 조직들의 전반적인 업무 프로세스 성숙도와 프로세스 재설계와 관리를 위한 준비도를 평가하기 위해서 업무 프로세스 성숙도 모형들이 개발되었다. 기존의 모형들은 인터뷰와 설문과 같은 정성적 평가에만 의존하고, 최근에 발전한 프로세스 마이닝과 같은 기법을 활용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 본 연구는 차세대 업무 프로세스 성숙도 모형이 충족해야 하는 기준들과 단계들을 제안하고자 한다. 제안된 기준들과 단계들은 차세대 업무 프로세스 성숙도 모형의 개발에 관심이 있는 연구자들에게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고, 제안된 단계들에 따라서 개발된 차세대 모형은 현업의 적용가능성이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Due to the higher expectation of customers and citizens, intense global competition, and industrial deregulation, domestic businesses and public organizations are facing tough challenges. Therefore, these businesses and organizations are putting emphasis on process orientation and innovation. To diagnose the maturity of their business processes and the readiness of their business process change and management, business process maturity models have been developed. The models rely on qualitative evaluations such as interview and survey and do not employ a process mining technique, which has recently developed. To fill in this void, this study aims to offer the criteria that a next-generation business process maturity model meets, and the development process for the next-generation model. We believe that the suggested criteria and process will give important implications to the researchers who are interested in the related research area.

      • KCI등재

        프로세스 마이닝의 전자정부 적용에 관한 탐색적연구: 전자정부의 성공적인 구현 관점에서

        강영식 ( Young Sik Kang ),박승범 ( Sung Bum Park ),최형석 ( Hyeoung Seok Choi ),강성구 ( Sung Ku Kang ) 한국경영공학회 2016 한국경영공학회지 Vol.21 No.1

        The Korean Government has invested heavily in the implementation of administration information system and e-government to provide fast and efficient administration service. With this national effort and investment, Korea has become a world-famous IT country and achieved outstanding works in the area of e-government. However, achieving e-government’s three goals(improving business process efficiency, its transparency, and public service) and strengthening national competitiveness are still at a standstill. How can we implement successful e-government and link its performance into achieving its goals in a big data era? Many nations with high world e-government rankings have been paying attention to process mining. It can help us improve process performance by extracting process knowledge from voluminous process data stored in e-government systems. To elucidate the mechanism of how process mining can contribute to the implementation of e-government, this study attempts to derive challenges related to the implementation and to suggest how process mining can address them. Furthermore, it aims to validate the added value of process mining when applied to e-government by analyzing five Dutch municipalities’ building permit application process with process mining. We hope that our research results will lead to many Korean public institutions’ interest in process mining adoption. This adoption is likely to help successfully implement e-government and connect its performance with the achievement of its goals.

      • KCI등재

        숲 체험 놀이 활동이 유아 학부모의 기대감과 유아의 다중지능향상에 미치는 영향

        강영식(Young-Sik Kang) 한국산학기술학회 2020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1 No.5

        본 연구는 숲 체험 놀이 활동이 유아 학부모의 기대감과 유아의 다중지능향상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기 위해 A지역 소재 어린이집 유아 학부모 152명을 대상으로 구조방정식 모델을 적용하여 실증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유아의 숲체험 놀이 활동의 신체적, 사회적, 인지적 요인이 학부모가 유아의 안전 활동 기대감과 미세먼지 염려에 미치는 요인에 있어 신체적, 인지적 요인이 채택된 반면, 사회적 요인은 기각되었다. 둘째, 유아 숲체험 놀이 활동이 유아의 다중지능 향상에 미치는 영향에서 신체적, 사회적, 인지적 요인이 다중지능 향상의 하위 요인인 사회성에 영향을 미쳤다. 또한, 사회적, 인지적 자발성은 감수성과 창의성 향상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의 숲체험 놀이 활동이 다중지능 향상에 미치는 영향에서 학부모의 기대감이 매개역할을 할 것이라는 가설 3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기각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숲체험 활동의 신체적, 인지적 요인이 유아 학부모의 미세먼지 염려와 안전활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요인임을 확인하였으며, 그리고 사회성 요인은 유아의 어린이집 내 다양한 교육에서 충분히 습득될 수 있는 요인으로 숲체험 놀이 활동에 대한 학부모의 기대감과는 다소 거리가 있음을 시사한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children"s play activities through forest experience on their parents" expectation and multiple intelligence improvement. To achieve this, an empirical survey was conducted by apply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 to 152 parents with children. As a result, first, physical and cognitive factors were adopted, and social factors were rejected in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physical, social, and cognitive factors of children"s forest experience play activities on parents" expectation of children"s safety activities and concern about fine dust. Second, their physical, social and cognitive factors affected their sociality among sub-factors of multiple intelligence improvement. Their social and cognitive spontaneities significantly affected their sensitivity and creativity improvements. Third, parents" expectation did not appear to play a significant mediating role in the effect of play activity through forest experience on multiple intelligence improvement. This study has confirmed that their physical and cognitive factors of play activities through forest experience are directly affected by their parents" concern about fine dust and expectation of their safe activities, and has suggested that their sociality can be thoroughly learned through various educational programs in daycare centers, which is somewhat far from their parents" expectation of their play activities through forest experie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