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어머니의 청소년기 자녀 진로관여 경험연구

        강연미(Kang Yeon Mi),김희수(Kim Hee Sue) 한국학부모학회 2020 학부모연구 Vol.7 No.1

        본 연구는 청소년기 자녀를 둔 어머니들의 자녀 진로관여 경험을 분석하기 위해 12명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실시하고 Strauss와 Corbin(1998)의 근거이론을 적용하였다. 어머니의 진로관여 경험에서 중심현상은 ‘끌어줌과 맡김 사이를 오가며 자녀를 위한 길을 모색함’이었다. 그리고 이를 발생시키는 인과적 조건, 사회․문화적 배경을 포함하는 맥락적 조건, 중심현상에 대처하기 위한 전략과 이 전략을 조절하고 촉진하는 중재적 조건을 밝혔다. 어머니의 진로관여는 ‘집중 및 탐색’, ‘고심 및 시행착오’, ‘반성과 조정’, ‘물러남과 재정의’ 단계를 거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청소년의 진로발달에 큰 영향을 미치는 ‘어머니’ 요인에 초점을 맞추어 어머니의 진로관여 경험의 실제와 특성을 설명하고 그것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함으로써, 청소년 진로지도의 주요 요소인 어머니 개입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mothers’ experience on their involvement in the careers of their adolescent children and develop a substantial theory based on the results. To address the goal, as participants, this author selected 12 mothers and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them. The major phenomenon of mothers’ experience in career involvement is ‘to come and go between leading and entrusting and seeking a path for their child.’ This author analyzed actions/interactions influenced by above intervening conditions by time, location,’ ‘consideration and trial and error,’ ‘reflection and adjustment,’ and ‘withdrawal and redefinition.’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has concretized the practice and characteristics of career involvement focusing on the inner aspects of a ‘mother,’ the factor crucially influencing adolescents’ career development and explored factors related to it. In this way, this author has been able to provide implications for career counseling for adolescents and their parents’ education.

      • KCI등재

        사진이미지를 활용한 현대예술장신구 연구

        강연미 ( Yeon Mi Kang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4 기초조형학연구 Vol.15 No.4

        현대예술장신구는 다른 예술매체처럼 주제와 그 표현방법이 작품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는 분야이다. 작가의 다양한 의도를 위해 수많은 형태, 재료 및 기법에 대한 실험이 이어져 왔으며, 그 중 사진 이미지의 활용은 사진이가진 객관성과 서술성, 그리고 누구나 쉽게 알아볼 수 잇는 대중성을 담보해 줌으로써 작가가 목표로 하는 내러티브를 공고히 하고 커뮤니케이션에 효과적으로 작용한다. 본 연구는 사진이 처음 장신구에 등장한 역사를 조사하고, 현대예술장신구에서는 초기 사진 장신구와는 어떻게 다른 의도들로 사진이 이용되는지 살펴봄으로써 표현매체로서의 예술장신구를 고찰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19세기 중반 처음 사진이 활용된 장신구는 20세기에 들어 사진의 대중화로 인해 특별한 의미를 일혹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가 1960년대 이후부터 활성화 된 현대예술장신구에서 다시 등장하였다. 초기 현대예술장신구 작가들은 장신구의 전통적 개념에 대한 도전, 사회적, 정치적 이슈에 대한 언급을 위한 장치로 사진을 활용하는 경우가 두드러졌으며, 2000년대 들어서면서 작가의 개인적 내러티브를 위해 사용하는 경우가 늘고 있는 추세이다. 예술장신구 분야엣는 작품의 주제나 조형적 요소 이외에도 소재를 다루는 기법적 능숙함이 작품의 깊이에 중요한 영향을 기침으로, 작가들은 전통적 사진칠보다 데칼 기법 등 사진을 장신구에 응용하는 자신만의 방법을 연구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이러한 응미로운 시험들이 이어져 현대예술장신구의 독특한 표현매체로서의 가능성을 넓히는 역할로 작용할 것으로 기대된다. Like in any other art media, the subject matter and the way of expression are the most important factors as well in contemporary art jewelry. For various artists`` intentions, numerous variety of forms, materials and techniques have been expolred. Among theose, the application of photography acts as a effective way of communication by being instantly recognizable and guarnteeing the objectivity and the narrative, which strengthen the artist`s message. This study investigates jewelry as an artistic medium through the research of early history of the photographic images in jewelry and the observation of its reappearance in contemporary art jewelry differentiated from the meaning of the early years. The jewelry with photography in the mid-19th century withered because it lost its exclusivity due to the generalization of photography around the early 20th oentury and reappeared in contemoprary art jewelry which have been proliferated after 1960. ln many case, photographic images in early oontemporary art jewelry were applied for effective expression to challenge the convention of jewelry, comment on social or political topics. Shnce 2000, more artists have applied photographic images to explore personal themes and narratives. ln art jewelry field, besides of themes or formal elements, techniques and the way of handing materials impact significantly on the depth of work, artists continuously explore their own way of application using techniques like traditional photo enamel or ceramic decal. These continuing experiments are expected to broaden and enrich the possibility of contemporary art jewelry as an unique medium for artistic expression.

      • KCI등재

        조선궁궐의 건축구조를 응용한 장신구 문화상품 개발연구-공포(□包)구조를 중심으로-

        강연미 ( Yeon Mi Kang ),현지연 ( Ji Yeon Hyun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4 기초조형학연구 Vol.15 No.5

        서울에 위치한 조선의 5대 궁궐은 왕실 건축의 웅장함을 보여주는 중요한 문화유산으로 한국의 전통적 미감을 그 시대 최고의 건축 기술로 구현한 대표적 관광지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에 장신구 상품에서 소재로 다루지 않았던 궁궐건축의 공포구조를 활용하여 장신구 문화상품을 개발하였다. 기둥과 처마를 잇는 역할을 하는 공포는 구조적이면서도 장식적이고, 고풍스러우면서도 현대적인 느낌으로 장신구 문화상품의 모티브로 활용 가능성이 크다. 본 연구는 공포의 구조적 특징을 입체적으로 살리되, 현대적 감각에 맞게 기하학적 미와 장식적 효과를 적절히 반영하고자 하였다. 공포부분의 조형적 특징을 구성요소들의 반복과 중첩에서 오는 공간감, 수직과 수평, 격자 결합에 의한 대칭적 균형미, 정교한 조각에 의한 전통적 장식미로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장신구 디자인을 전개하였다. 이러한 조형적 분석을 바탕으로 첫째, 공포의 네 가지 구성부재인 주두, 소로, 첨차, 살미의 형태를 기본단위로 하여 CAD/CAM으로 기초적인 디자인을 제작하였으며, 둘째로, 이 기본 단위들의 결합부분과 지붕형태를 연결하여 궁궐 건축의 전체적 특징을 함축적으로 전달하고자 하였다. 셋째로, 장식적인 안초공 부분을 응용하여 전통적 미감을 극대화하고자 하였고, 넷째로, 공포의 수직적 결합구조를 단순화하여 격자구조의 기하학적 아름다움을 살리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문화재를 소재로 한 장신구 디자인의 다양한 해석 가능성을 위한 하나의 사례이며, 앞으로 이러한 연구개발이 뒤따를 것을 기대한다. Five magnificent royal palaces located in Seoul are tourist attractions as cultural heritage where Korean traditional aesthetic realized by the highest architectural technology of Joseon dynasty. In this study, a series of jewelry product has developed based on the bracket system of palace architecture which has not been a design motif for jewelry product before. The traditional wooden bracket between pillar and eaves has a potential as a design motif for jewelry product because of it`s aesthetic property; structured yet decorative, traditional yet modern. This study was to properly reflect the geometric and decorative beauty of the bracket system as well as it`s structural characteristic. The aesthetic values of bracket system are the spatial sense which comes from the repetition of structural elements, the beauties of symmetry from the horizontal and vertical bonding structure, and the traditional decorative beauty from the elaborate engraving. Based on this aesthetic analysis, first, units are made using CAD/CAM based on the shapes of four components, ju-du, so-ro, chum-ja, sal-mi, and assembled into jewelry. Secondly, these units are combined with roof silhouette parts to imply the characteristic of royal place architecture as a whole. Thirdly, decorative an-cho-gong is applied to maximize traditional sense of beauty, and lastly, simplified vertical structure of bracket is applied to enhance the geometrical beauty of lattice structure. This study is a example of diverse possibile interpretations of cultural assets in development of jewelry cultural product and various study and development expected to be followed in the future.

      • KCI등재

        국내 예물주얼리 디자인 변화 동향 연구 -한(韓)·일(日) 예물주얼리 브랜드 사례를 중심으로-

        김윤경 ( Kim Yoon Kyung ),강연미 ( Kang Yeon Mi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7 기초조형학연구 Vol.18 No.4

        본 연구는 점차 축소되고 있는 우리나라 예물주얼리 시장의 돌파구로서 예물주얼리 디자인 개선의 필요성과 그 중요성에 대한 연구이다. 오랫동안 예물주얼리는 재화적 의미가 크고 디자인은 큰 변화 없이 보수적이었다. 하지만 혼인수 감소로 인한 시장 규모 축소 및 예물주얼리 구매자들의 소비 양분화 현상은 예물주얼리가 과거의 보수적인 이미지를 탈피하고 실용적이며 세련된 디자인으로 변화되길 요구하고 있다. 예물주얼리 시장의 축소와 소비 인식의 변화는 중국 주얼리 시장의 빠른 성장과 해외 주얼리 브랜드의 강세로 위협받고 있던 일본에서도 동일하게 나타났다. 일본 예물주얼리 브랜드 중 타사키는 장기간 정체되어 있던 디자인을 기하학적이고 미니멀하게 개선하여 디자인 경쟁력을 강화시킴으로서 크게 성장하였고, 루시에는 고객 맞춤형 오트쿠튀르 시스템을 통한 디자인 차별화를 통해 꾸준한 성장세를 보여주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예물주얼리의 디자인을 통한 변화의 움직임을 볼 수 있다. 예물주얼리 브랜드 골든듀는 변화하는 트렌드에 잘 어울리고 활용도가 높은 실용적인 디자인을 지속적으로 개발하여 타깃 소비자층을 확대해가고 있으며, 패션주얼리 브랜드 디디에두보는 미니멀하고 구조적인 콘셉트와 개성 있는 착용 스타일로 새로운 세대의 소비자 트렌드에 부응하는 디자인을 제시하면서 일반 소비자뿐만 아니라 예물주얼리 소비자들의 높은 관심까지 끌며 새로운 예물주얼리 브랜드로 부상하고 있다. 또한 디자인을 중심으로 한 예물주얼리 브랜드 사례들에서 보여주는 매출 상승효과는 예물주얼리에 있어서 디자인의 중요성을 더욱 방증하고 있다. 이번 연구를 통해 앞으로 국내 예물주얼리의 시장에서 디자인을 통한 새로운 성장과 혁신의 사례가 계속해서 뒤따르기를 기대한다. This is a study that examines the need and importance of improvement in wedding jewelry design, as a countermeasure to the steadily shrinking wedding jewelry market in Korea. For a long time, wedding jewelry was exchanged between the families for their monetary values, and as such, the design aspect was largely overlooked and remained conservative without much change over the years. However, the decline of marriage has inevitably lead to the decline of the wedding jewelry market, as well as polarized consumption. Such phenomenon requires that our domestic wedding jewelry breaks from its past old-fashioned and conservative image, and emerge with practical and modern designs. The decline in wedding jewelry market and change in consumer perception was also observed in Japan, who had been threatened by the rapid growth of Chinese jewelry market as well as the stronger performance of imported international brands versus their domestic brands. Tasaki which is Japanese wedding jewelry brand achieved strong sales growth after modernizing its designs which had been at a standstill for many years by taking on a more geometric and minimal look, and Lucie has also shown continuous sales growth by differentiating its designs through its haute couture customized design service. This type of change in wedding jewelry brought on by fresh and updated design can also be seen in Korean jewelry market. Wedding jewelry brand, Golden Dew continues to produce practical designs that reflect the ever-changing trends, thereby increasing its target audience, and fashion jewelry brand, Didier Dubot presents minimal and structural designs that are unique in the way they are worn, attracting not only general consumers but also brides-to-be, and is emerging as a new wedding jewelry brand. Furthermore, the case studies of the sales growth of design-focused wedding jewelry brands prove the importance of design in wedding jewelry. We hope that through this study, we will continue to see cases of new growth and innovation in Korea domestic wedding jewelry market, through enhanced design.

      • KCI등재

        한국의 전통 그래뉼레이션에 관한 연구 -제작과정 분석을 중심으로-

        이진아 ( Jin A Lee ),강연미(교신저자) ( Yeon Mi Kang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6 기초조형학연구 Vol.17 No.1

        본 연구는 한국 고대의 삼국시대에 꽃피웠지만 현재는 사용되지 않고 있는 우리나라 전통 그래뉼레이션의 제작기술 연구이다. 기법의 제작기술 연구에 앞서 현재 국내에서 정립되지 못한 기법의 명칭과 의미가 기초사료의 구축을 어렵게 만드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어 명칭과 의미의 고찰을 선행하였다. 명칭은 그래뉼레이션으로 통일하였으며 금, 은, 동 또는 이들의 합금으로 알갱이를 만들고, 공융접합 방식으로 접합하는 독립적인 금속 세공장식기법으로 정의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우리나라에서 발전한 그래뉼레이션의 제작과정이며 연구방법은 기법을 삼국시대 유물의 표면묘사와 일치하게 재현하는 김영창 누금공예연구소 소장의 시연을 분석 및 정리하였다. 우리나라의 그래뉼레이션은 서구 문화권에서 실크로드를 통해 고구려와 백제, 신라로 전래된 기법이므로 서양방식의 원리와 과정을 선행 분석하였으며 이것은 4장에서 자세히 다루었다. 그래뉼레이션은 금속 알갱이를 이용한 특수한 접합 방식으로 알갱이와 바탕금속간의 접착 면이 뚜렷하게 구분되어 세밀한 표현과 묘사에 탁월한 기법이다. 현재 우리나라에 남아있는 김영창의 시연을 분석한 결과 한국적 방식의 구리화합물 제조와 특유의 첨가제를 개발해 사용하는 등 서양에서 전래된 기법이 우리나라에 정착하여 독자적으로 발전하였으며 기술력도 빼어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우리나라에 전래된 그래뉼레이션이 향후 한국의 금속공예기법으로써 지속가능한 연구주제가 되어 현대적 접목이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Korean Traditional Granulation which had reached its climax in the Three Kingdoms of Korea but is not currently being used. Before the research, this study contemplates about name and meaning of the technique, which has undefined in Korea and made it difficult to build a basis for the study. This study standardizes the name of technique as granulation and defines it as an independent metal craft technique which makes granules with gold, silver, copper or alloy of them and binds metals by using Eutectic Soldering.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advanced production process of our Granulation Technique and the method of this study is analyzing and organizing of demonstration of Kim Young Chang, a head of Granulation Laboratory, who reenacts process and technique as relics of Silla. Granulation was conveyed from western cultural area to Goguryeo, Baekje and Silla along the Silk Road.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the principle and technical process of western Granulation, which is covered in detail in Chapter 4. Granulation refers to the specific binding process in which adheres a granule to a metal surface. It is also known as Eutectic Soldering, one that has distinctly divided adhesive surface between grain and metal surface so it has been exceptional technique for delicate description. Analysis result of demonstration of Kim Young Chang, now remanent in Korea, show our Granulation was from western but developed of its own, like production of copper compound in Korean way and invention of special additive, also validate our granulation is remarkable. It is expected to be a sustainable subject of research as an independent Korean metal craft technique that combines with modern metal craft.

      • KCI등재

        장신구에 나타난 그로테스크 미학

        김희주 ( Kim Hee Joo ),강연미 ( Kang Yeon Mi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8 기초조형학연구 Vol.19 No.2

        이 연구는 인간에게 아름답게 치장하려고 하는 욕구와 기괴한 것에 대한 호기심이 공존한다는 것을 전제로 하여 인간의 미의식이 가진 양면성과 그것이 장신구에 어떤 모습으로 드러나고 있는지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그로테스크에 대한 이론적, 철학적 고찰에 이어 르네상스 시대부터 현재까지의 장신구의 그로테스크를 유형별로 분류하고 각 유형에 해당하는 장신구 사례들을 고찰함으로써 다른 예술과 구별되는 장신구만의 그로테스크의 특징을 규명하였다. 그로 테스크는 15세기 이탈리아 고대 로마의 유적지에서 발굴된 물건들을 지칭하는 용어로 시작하여 초기에는 기괴한 것, 뒤틀린 것, 이질적인 것의 조합을 의미하는 것이었지만 20세기에 들어 다양한 예술 분야에서 기존 질서의 전복을 시도하기 위한 미학적 메커니즘으로 자리 잡았다. 그로테스크는 잔인함에 대한 호기심과 금기를 깨는 데서 오는 해방감, 혐오스럽고 끔찍한 감정들이 희극적 표현을 통해 상쇄되면서 생기는 불편한 웃음과 해소되지 않은 긴장에서 주로 유발된다. 이러한 심리적 고찰을 바탕으로 장신구에 드러난 그로테스크의 유형을 기괴함과 환상, 표현 소재로서의 몸, 자학적 착용으로 분류하고 각각에 해당하는 사례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장신구의 그로테스크는 몸과의 관계 속에서 강하게 드러나며, 착용하면서 경험하는 촉각적 그로테스크, 몸에 비례하는 장신구의 작은 크기가 공포와 혐오를 익살로 치환하며 생성하는 그로테스크, 관습적 의미의 장신구에 저항하기 위한 그로테스크한 실험들이 그 특징으로 나타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장신구가 몸과 필연적 관계에 있기 때문에 그로테스크가 드러나는 과정에서 관람자는 착용자가 되고, 착용 자는 다시 그로테스크의 일부분이 되며, 이를 다른 예술의 그로테스크와 차별되는 지점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고찰을 통해 그로테스크 장신구는 인간 심리의 복잡성과 다양함이 독특하게 표출된 결과이며 아름다움과 혐오에 관한 전통적인 관념을 무너뜨리고 장신구에 대한 보편적 인식을 확장시킨다는 것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uality of aesthetic consciousness in humanity and to investigate into how such aesthetic consciousness would be reflected in the jewelry, assuming that the humanity had both desire for beautiful adornment and curiosity towards uncanny things.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grotesqueness from theoretical and philosophical standpoints, classified the types of grotesqueness of jewelry from the Renaissance to the present times, and furthermore, looked into the cases of jewelry corresponding to respective cases of grotesqueness, thus shedding light on the characteristics of grotesqueness unique to jewelry distinctive from other mode of arts. Grotesque mode began with the term referring to objects discovered in ancient Roman archeological sites of Italy which dated back to the 15th century and initially meant a combination of uncanny, twisted, and heterogeneous things, but in the 20th century, it has taken root as an aesthetic mechanism attempting to overthrow existing order in various fields of art. Grotesqueness arises primarily from curiosity about cruelty, relief obtained by breach of taboos, uncomfortable laughter resulting from counterbalance of disgusting and terrible emotions with comic expressions, and unresolved tensions. Based on consideration of such psychological aspects, we classified the types of grotesqueness revealed in jewelry into uncanniness, fantasy, body as expression material, and self-abusive wear, and then analyzed the cases corresponding to each category. As a result, grotesqueness of jewelry is revealed explicitly in the relationship with the body and had its characteristics highlighted by grotesque experiments with tactile grotesqueness experienced by wearing the jewelry, grotesqueness of small jewelry proportional to the body and turning the fear and abomination into the jest, and grotesqueness resisting the jewelry of customary significance. As the ornament is inevitably related to the body, the spectator becomes wearer in the process where the grotesqueness is being revealed, and in turn, the wearer becomes part of the grotesqueness, which can be considered as a point of differentiation from the grotesque mode of other art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grotesque jewelry arose from unique expression of complexity and diversity of human psychology, broke the mold of traditional notions towards beauty and abomination, and broadened the universal consciousness towards jewelry.

      • KCI등재

        퓨터의 판금기법과 활용 -기물제작을 중심으로-

        김동현 ( Kim Dong Hyun ),강연미 ( Kang Yeon Mi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7 기초조형학연구 Vol.18 No.4

        이 연구는 우리나라 현대금속공예 분야의 판금기법에 의한 기물 제작에 있어 활용 가능한 재료 선택의 폭을 넓히기 위한 것으로, 서구문화권에서는 오랫동안 사용되었으나 아직까지 우리나라에서는 기물 제작에 활용된 사례를 찾기 어려운 퓨터의 특성을 고찰하여 활용 가능성을 모색하기 위한 것이다. 선행연구로 2장에서는 형태적인 연구와 기법적인 측면에 치중하여 재료적인 연구가 부족하다는 견해가 있어왔던 현대금속공예의 현황을 우리나라 대학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살펴보고 금속재료별 각각의 특징을 실용기물 제작과 관련하여 분석하였다. 3장에서는 퓨터의 역사와 재료적 특성을 살펴보고 판금기법에 의한 기물 제작에 적합한 것인지를 고찰하였으며 퓨터의 역사에서는 납이 제거된 시기와 합금비율의 변화 및 국가에 의한 규제를 언급하였고 해외의 다양한 사례를 통해 퓨터 기물 제작의 시장 현황과 가능성을 알아보았다. 4장에서는 서구권에서 출간된 퓨터와 관련된 기법서적을 토대로 하여 샘플의 제작을 통해 현재 우리나라 실정에 맞는 적용 방안을 모색하였다. 샘플의 제작과 관련된 퓨터재료에 있어서는 영국에서 주로 활용되고 있는 브리타니아 메탈의 성분 비율을 참고하였으며 각종 설비와 부자재는 우리나라에서 확보가 가능한 것으로 하였다. 또한 주로 사용되는 판금기법의 적용을 퓨터의 재료적 특징과 관련하여 각 과정별로 서술하여 실물 제작에 참고할 수 있는 자료가 되도록 하였다. 결론적으로 퓨터는 판금기법에 의한 가공성이 우수하며 식기의 재료로써 보존성이 높고 심미적으로도 오랫동안 광택이 보존되어 기물의 제작에 적합한 재료이다. 또한 판금기법을 사용하는 한국현대금속공예 작가와 공방에 있어 기존의 설비와 기법의 응용이 용이하여 지금까지 주로 사용되던 금속재료를 보완하여 재료 선택의 폭을 넓힐 수 있는 재료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broaden the selection of materials in silversmithing in the contemporary metal craft in Korea. Although pewter has been used as a superior material for tableware for a long time in the western culture, it is relatively rare in the silversmithing production in Korea. In chapter 2 of this study, the current usage of metal in Korean contemporary silversmithing, which had the view that material research is insufficient due to the university curriculum focusing on formal aesthetic and technical aspects, was examined, and the characteristic and usage of each metal was analyzed in relation to the production of holloware. In chapter 3, the history and characteristic of pewter is reviewed and whether it is suitable for silversmithing is investigated. In the part of history of pewter, the lead removal time, changes of alloy ratio and the national regulation were reviewed and also examined the market situation and possibility of pewter ware through examples from overseas. In chapter 4, based on the technical books related to pewter, I have searched for the application method suitable for the present situation in Korea through the sample making. Regarding these pewter samples, I referred to the composition ratio of Britannia metal, which is mainly used in the UK, and used various facilities and subsidiary materials that can be available in Korea. The application of the silversmithing which are mainly used was described for each process in relation to the material characteristics of pewter, so that the data can be referred to in the actual making process. In conclusion, pewter is excellent in workability by the sheet metal technique, high preservation of food, and preservation of gloss for a long time, making it suitable for tableware production. In addition, pewter is material that can broaden the choice of materials by supplementing the metal which have been used so far by applying the existing equipments and techniques to Korean contemporary metal artis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