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SCOPUS
      • KCI등재

        신연 골형성술을 이용한 제4 중족골 단축증의 치료 결과

        강신욱(Sin Wook Kang),이준영(Jun Young Lee),이현준(Hyeon Joon Lee),이준연(Jun Yeon Lee) 대한정형외과학회 2022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7 No.1

        목적: 제4 중족골 단축증을 가진 환자들 대부분에서 미용상 불만스러워하며, 일부에서는 짧은 중족골로 인해 전족부 및 족지, 신발착용과 관련된 문제를 증상으로 호소한다. 본 연구에서는 외고정 장치를 이용한 신연 골형성술을 시행하여 중족골 단축증을 교정하고 임상적, 방사선학적 결과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5년 1월부터 2018년 12월까지 제4 중족골 단축증에 대해 외고정 장치를 이용하여 신연 골형성술을 시행한 환자는 45명(60예)이었다. 마지막 외래 추시 시, 외고정기 적용 기간 및 신연 퍼센트, 치료 지수, 합병증, 환자의 만족도를 평가하였다. 환자의 만족도는 American Orthopaedic Foot and Ankle Society (AOFAS) 점수를 이용하였으며, 이 점수는 강직, 통증, 기능 정렬의 정도를 측정한다. 결과: 평균 13.8 mm, 30.0% 신연되었으며 외고정기 제거 후 평균 외래 추시 기간은 14.2개월이었다. 1예를 제외한 모든 예에서 골유합을 얻었다. AOFAS 점수에 의하면, 최종 추시상 39예에서 우수, 6예에서 양호로 평가되었고, 미용상, 기능상 만족스러운 결과를 보였다. 합병증으로는 1예에서 불유합이 발생하여 골이식술을 추가로 시행하였고 1예에서는 부정유합으로 인한 각 변형에 의한 중족 족지 관절의 아탈구가 발생하여 교정 절골술을 시행하였다. 3예에서 핀에 의한 경미한 표재성 감염이 있었고, 약 2주 간의 경구 항생제 투여 및 드레싱으로 호전되었다. 1예에서 4족지 원위부의 경미한 감각 저하가 발생하였다. 교정 부위의 재골절, 골연장부의 단축, 중족 족지 관절증, 신경 혈관 관련 합병증 등은 없었다. 결론: 제4 중족골 단축증에 대한 외고정 기기를 이용한 신연 골형성술은 합병증이 적고 조기 보행, 성공적인 골 연장 및 골유합을 얻을 수 있어 유용한 치료 방법으로 생각된다. Purpose: Brachymetatarsia is a relatively rare disease that is characterized by one or more metatarsals shorter than the adjacent metatarsal bones by 5 mm or more. Corrective treatment is done, not only for cosmetic purposes but also to improve function.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radiologic and clinical results after distraction osteogenesis using external fixators for the fourth brachymetatarsia. Materials and Methods: From January 2005 to September 2018, 45 patients (60 cases) with brachymetatarsia who underwent distraction osteogenesis using external fixators and who were followed up for at least 6 months were studied retrospectively. At the final follow-up, the application time of the external fixator was measured and the percentage of lengthening, healing index, complication, and the patient’s satisfaction were analyzed. The patient’s satisfaction was evaluated using the American Orthopedic Foot and Ankle Society (AOFAS) scores, based on the level of stiffness, pain, function, and alignment. Results: The average gain in length and the percentage increase in the fourth metatarsals were 13.8 mm and 30.0%, and the mean follow-up period was 14.2 months after the removal of the external fixator. Bony union was obtained in the metatarsal bones in almost all the cases except for one case of non-union. According to the AOFAS score, 39 cases were rated excellent, and 6 cases were good at the final follow-up. The patients showed satisfactory cosmetic and functional results. Complications were pin site infections in 3 cases, all improved by oral antibiotic administration and dressing for about 2 weeks. Decreased sensation of the distal phalanx occurred in one case, and there was one case of non-union where we performed revision with an autogenous bone graft. In one case metatarsal joint subluxation occurred due to angular deformity, for which corrective osteotomy was performed. Conclusion: Satisfactory results were obtained after distraction osteoplasty using external fixation for the treatment of the fourth brachymetatarsia.

      • KCI등재SCOPUS
      • KCI등재

        원통형 활성탄 카트리지 내 폐활성탄의 휘발성 유기화합물 저온 탈착 특성

        강신욱(Sin-Wook Kang),이성우(Seongwoo Lee),손두정(Doojeong Son),한문조(Moonjo Han),이태호(Tae Ho Lee),홍성오(Sungoh Hong) 한국청정기술학회 2021 청정기술 Vol.27 No.1

        본 연구에서는 도장 공정에서 사용된 폐활성탄을 원통형 카트리지에 충진하여 저온 가스에 의한 탈착 특성을 파악하였다. 폐활성탄의 탈착유량을 결정하기 위하여 활성탄의 톨루엔 흡착 및 탈착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결과에서 1, 2, 4 ㎥ min<SUP>-1</SUP>의 유량으로 탈착을 하였을 때 높은 THC 농도와 탈착시간에 의하여 2 ㎥ min<SUP>-1</SUP>이 적절하다고 판단하였다. 폐활성탄은 탈착시간 초기에 가스성분에서 비점이 낮은 2-butanone과 MIBK (methyl isobutyl ketone)가 높은 비율로 발생되었고, 그 이후에는 THC의 농도가 감소하면서 BTX계열이 상대적으로 높은 비율로 탈착되었다. 폐활성탄의 탈착시간 동안 발생되는 가스 성분의 총열량은 316 kcal kg<SUP>-1</SUP>으로 나타났다. 폐활성탄을 이용하여 톨루엔으로 5회 반복 재생한 결과에서는 요오드가 및 비표면적이 신탄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원통형 카트리지 2개를 직렬로 연결한 탈착실험에서는 최대 THC농도가 약 470 ppm으로 나타났다. In this study, the waste activated carbon used in the painting process was filled into a cylindrical cartridge and the characteristics of desorption by low temperature gas were investigated. Adsorption and desorption experiments of toluene with activated carbon were conducted to determine the flow rate of desorption. In an experiment where desorption was performed while changing conditions at flow rates of 1, 2 and 4 ㎥ min<SUP>-1</SUP>, it was determined that 2 ㎥ min<SUP>-1</SUP> was appropriate due to the high THC concentration and desorption time. In the early stage of the desorption of waste activated carbon, 2-butanone and MIBK (methyl isobutyl ketone) with a low boiling point were generated at a high rate in the gas component, and after that, the concentration of THC decreased and the BTX was desorbed at a high rate. The total calorific value of the gas component generated during the desorption of waste activated carbon was 316 kcal kg<SUP>-1</SUP>. From repeating the regeneration of waste activated carbon with toluene five times, it was observed that the iodine value and the specific surface area were relatively lower than that of new activated carbon. In the desorption experiment where two cylindrical cartridges were connected in series, the maximum THC concentration was about 470 ppm.

      • KCI등재

        족관절 개방성 삼과골절의 즉각적인 수술의 결과

        이준영,조용진,강신욱,조영민,최현배,Lee, Jun-Young,Cho, Yong-Jin,Kang, Sin-Wook,Cho, Yung-Min,Choi, Hyun-Bai 대한족부족관절학회 2020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Vol.24 No.1

        Purpose: Generally, the treatment of ankle trimalleolar open fractures is divided into two stages: external fixation and debridement; and secondary internal fixation. On the other hand, this two-stage operation takes considerable treatment time and is challenging in procedures requiring reduc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radiologic and clinical results of an immediate one-stage internal fixation operation considering the wound conditions to overcome two stage operation disadvantages. Materials and Methods: From September 2009 to January 2018, 24 cases of ankle trimalleolar open fractures, who underwent immediate internal fixation and were followed up for at least one year, were studied retrospectively. The open wound was divided into the Gustilo-Anderson classification. Open reduction and internal fixation were performed on every medial and lateral malleolar fracture. On the other hand, with posterior malleolar fractures, surgical or conservative treatment was performed depending on the fragment size. The radiologic outcome was evaluated using the Burwell and Charnley criteria and American Orthopaedic Foot and Ankle Society (AOFAS) scores, and complications, such as infection and posttraumatic arthritis, were used for the clinical evaluation. Results: The wound was classified into eight cases (33.3%) of type I, 11 cases (45.8%) of type II, and five cases (20.8%) of type IIIa. The degree of reduction was anatomical, fair, and poor in 16 cases (66.7%), six cases (25.0%), and two cases (8.3%), respectively. The mean AOFAS score was 79 points, and there were complications, such as infection in three cases (12.5%) and post-traumatic arthritis in two cases (8.3%). Conclusion: Satisfactory results were obtained through immediate surgical treatment in ankle trimalleolar open fractures of types I, II, and IIIa.

      • KCI등재

        포뮬러 형태 자작자동차의 경량화 및 주행 성능 향상을 위한 최적설계에 관한 연구

        신상원(Sang-Won Shin),강신욱(Sin-Wook Kang),하승현(Seung-Hyun Ha),박진표(Jin-Pyo Park),김대완(Dae-Wan Kim),이무연(Moo-Yeon Lee) 한국산학기술학회 2017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8 No.10

        경량화는 현재 자동차 산업에 있어 가장 중요하게 여겨지는 화두 중 하나이다. 내연기관은 물론 미래형 자동차, 친환경 자동차 개발을 위해 경량화는 자동차 산업에 있어서 결코 빠질 수 없는 소재이다. 친환경 자동차를 개발하는데 있어 연비향상과 주행성능향상은 경량화가 핵심이기 때문이다. 본 연구팀에서도 포뮬러 형태의 자작자동차를 제작하면서 경량화와 최적설계를 통한 주행 성능 향상에 주안점을 두고 연구를 시작하였다. 본 연구는 전년도 제작 차량을 바탕으로 다음의 네 가지 항목으로 나누어 진행하였다. 첫 번째, 엔진의 교체를 통한 엔진룸의 구조설계 및 경량화. 두 번째, 프레임의 최적설계를 통한 부재의 단순화 및 경량화 연구. 세 번째, 프레임의 최적설계에 따른 서스펜션의 구조설계 및 해석. 마지막으로, 업라이트와 허브의 설계 및 경량 부품 사용을 통한 경량화 등이다. 이러한 목표설정을 두고 차량 설계를 진행하였으며 결과적으로 전년도 차량대비 48 kg을 감량하여 19.5% 만큼의 경량화 하였고 이에 가속도 또한 80 m 기준 6.65 s에서 5.8 s만큼 단축시켰다. Weight reduction is one of the important issues in the automotive industry and the development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vehicles, future vehicles, and eco-friendly vehicles for improving fuel efficiency.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mprovement of driving performance by weight reduction and optimum design for a formula-type self-designed on-road vehicle. This study is divided into the four steps. Firstly, the engine room was replaced and designed with a lighter engine. Secondly, an optimization study was conducted to simplify and lighten the vehicle components with the design of the frame. Thirdly, the structure design was optimized and the suspension was analyzed with the design of the frame. Finally, the design of an upright and hub with reduced weight was carried out usinglighter parts. As a result, we reduced the weight of the vehicle by 48.5kg compared to the previous year (19.5%) and increased the acceleration from 6.8 s to 5.8 s.s.

      • KCI등재

        인공 슬관절 전치환술에서 Tranexamic Acid의 관절 내 도포 및 정맥 투여 방법에 따른 실혈량에 대한 비교

        이광철(Gwang Chul Lee),김동휘(Dong Hwi Kim),이정우(Jung Woo Lee),강신욱(Sin Wook Kang),조성원(Sung Won Cho) 대한정형외과학회 2018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3 No.2

        목적: 인공 슬관절 전치환술 후 실혈을 줄이기 위해 tranexamic acid (TXA)를 정맥 주사하는 것과 배액관을 통한 관절 내 투여 방법에 따른 실혈량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13년 10월부터 2016년 3월까지 인공 슬관절 전치환술을 시행 받은 환자 18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TXA의 투여 방법은 2015년 8월 이전에는 정맥 주사하였고, 그 이후에는 관절 내 봉합 후 관절 내로 배액관을 통해 도포하였다. 정맥 주사 편측군(intravenous unilateral, IVU), 양측군(intravenous bilateral, IVB), 관절강내 편측군(intraarticular unilateral, IAU), 양측군(intraarticular bilateral, IAB) 각각 4군으로 나눠 혈색소 및 적혈구 용적률 수치, 배액량, 수혈 빈도, 평균 수혈량 및 실혈량과 합병증 발생 여부를 비교하였다. 결과: 배액량은 IVU에서 558.08±296.29 ml, IAU에서 498.39±199.70 ml로 IAU에서 적었으나 유의하지는 않았고, IVB에서 1,110.39±396.23 ml, IAB에서 827.14±282.47 ml로 IAB에서 유의하게 적었다. 수혈 빈도는 IVU에서 5/50명(10.0%), IAU에서 2/44명(4.5%)으로 IAU가 적었으나 유의하지는 않았고, IVB에서 16/54명(29.6%), IAB에서 1/35명(2.9%)으로 IAB에서 유의하게 적었다. 평균 수혈량은 IVU에서 44.80±144.71 ml, IAU에서 21.80±106.86 ml로 IAU가 적었으나 유의하지 않았고, IVB에서 177.80± 321.00 ml, IAB에서 18.30±108.18 ml로 IAB에서 유의하게 적었다. 실혈량은 IVU에서 1,318.70±724.20 ml, IAU에서 963.28±454.03 ml로, IAU에서 유의하게 감소했고, IVB에서 1,837.40±699.70 ml, IAB에서 1,337.60±382.20 ml로 IAB에서 유의하게 감소했다. 합병증으로 심부 정맥 혈전증이 IVU에서 1예 발생하였다. 결론: 인공 슬관절 전치환술 시행 시 TXA의 관절 내 도포는 정맥 주사보다 실혈량을 유의하게 감소시켰으며, 특히 양측 인공관절 치환술시 수혈 빈도를 줄일 수 있는 방법이었다. Purpose: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in blood loss between two injection methods, intravenous (IV) and intra-articular (IA) methods via drain tube. Materials and Methods: A total of 183 patients who underwent total knee arthroplasty between October 2013 and March 2016 were included. The method of tranexamic acid (TXA) administration was intravenously injected before August 2015, and it was applied thereafter to the joint through a drainage tube post intra-articular suture. Our subjects were divided into the following groups: The intravenous unilateral (IVU), intravenous bilateral (IVB), intra-articular unilateral (IAU), and intra-articular bilateral (IAB) groups. Hemoglobin and hematocrit, drainage amount, transfusion frequency, mean transfusion volume, and blood loss, as well as complications were compared between the groups. Results: Drainage amount was 558.08±296.29 ml in IVU, and 498.39±199.70 ml in IAU; there was less drainage in IAU than in IVU, but without significance (p=0.262). Moreover, the drainage amount was 1,110.39±396.23 ml in IVB and 827.14±282.47 ml in IAB, which was significantly lower in IAB (p=0.000). Transfusion frequency was 5 patients (10.0%) in IVU and 2 patients (4.5%) in IAU, but without significant difference (p=0.442). Moreover, the frequency was 16 patients (29.6%) in IVB and 1 patient (2.9%) in IAB, which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IAB group (p=0.002). Mean transfusion volume was 44.80±144.71 ml in IVU and 21.80±106.86 ml in IAU, but without significant difference (p=0.389); the volume was 177.80±321.00 ml in IVB and 18.30±108.18 ml in IAB,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p=0.001). Blood loss was 1,318.70±724.20 ml in IVU and 963.28±454.03 ml in IAU, which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IAU (p=0.006); blood loss was 1,837.40±699.70 ml in IVB, and 1,337.60±382.20 ml in IAB and it was significantly lower in IAB (p=0.000). Complications included deep vein thrombosis in one case in IVU. Conclusion: In TKA, IA injection of TXA significantly reduced blood loss compared with IV injection, especially in bilateral TKA.

      • SCOPUSKCI등재

        장기간 지속성 외래 복막투석을 시행 받은 환자의 임상적 특성

        노현정(Hyun Jung Roh),류동렬(Dong Ryul Ryu),유태현(Tae Hyun Yoo),박형천(Hyeong Cheon Park),신석균(Suk Kyoon Shin),강신욱(Sin Wook Kang),최규헌(Kyu Hun Choi),이호영(Ho Yung Lee),한대석(Dae Suk Han) 대한신장학회 2001 Kidney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Vol.20 No.2

        지속성 외래 복막투석은 도입 된지 20여년이 경과되어 현재 널리 쓰여지는 신대체 요법으로 혈액투석과 비교하여 사망률 면에서는 별 차이가 없으나 낮은 기술적 생존률로 인해 장기간 시행하기가 어려운 것으로 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의 장기 복막투석 환자들을 대상으로 장기 복막투석을 위한 요건과 투석 중 임상 양상의 변화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1981년 11월부터 1999년 3월까지 연세의료원에 내원하여 복막투석을 시행 받은 환자 중 10년 이상 복막투석을 시행 받은 환자 23명을 장기투석군으로 설정하였고, 이와 대조군인 단기투석군으로는 복막투석을 시행 받은 환자 23명을 장기투석군으로 설정하였고, 이와 대조군인 단기투석군으로는 복막투석 시작 후 4년 이내에 혈액투석으로 전환한 환자 22명과 4년 이내에 사망한 환자 41명을 대상으로 하여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모든 환자에서 복막투석 시작 당시와 복막투석 시작 후 18개월간의 임상적 특성 및 체중, 생화학적검사 결과를 조사하였다. 장기 복막투석환자를 대상으로는 2년마다 추적 검사한 체중, 생화학적검사 결과를 조사하였다. 1) 평균 투석기간은 장기투석군 129.9±8.3개월, 혈액투석 전환군 20.2±11.1개월, 사망자군 18.9±14.7개월이었다. 2) 투석 시작 연령은 장기투석군 39.7±12.4세, 혈액투석 47.7±12.2세, 사망자군 60.9±13.8세로 장기 투석군의 연령이 낮았다. 당뇨병의 유병률은 장기 투석군 4.3%(1/23명), 혈액투석 전환군 31.8%(7/22명), 사망자군 61.0%(25/41명)으로 혈액투석 전환군과 사망자군에서 높았으며, 심혈관계 질환의 합병률은 장기투석군 4.3%(1/23), 혈액투석 전환군 4.5%(1/22), 사망자군 34.1%(14/41)로 역시 사망자군에서 높았다. 성과 체중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3) 투석 시작 당시 혈청 creatinine은 장기투석군 16.7±6.2mg/dL, 사망자군 8.4±3.6mg/dL였고, 혈청 알부민은 장기투석군 3.5±0.6g/dL, 혈액투석 전환군 3.3±0.6g/dL, 사망자군 3.2±0.6g/dL, 로 장기투서군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4) 18개월간 세 군의 체중은 큰 변화가 없었으나 남자 사망자군은 18개월경 급격한 체중 감소가 있었고, 혈청 크레아티닌과 알부민은 세 군에서 모두 증가하였으나 장기투석군에서 더 현저하였다. 5) 10년간 장기 투석 환자를 추적 검사한 결과 체중은 여자 환자에서 처음 2년간 급속히 증가하였고 그 이외는 남녀 모두에서 큰 변화가 없었다. BUN, 혈청 크레아티닌, 알부민은 투석시작 후 2-4년까지 증가하다가 그 이후부터 서서히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단기 투석 환자군과 비교하여 장기 투석 환자는 젊은 연령에서 투석을 시작하였고 당뇨병, 심혈관계 질환력이 적으며 투석 시작 당시 영양학적 지표가 양호하였다. 또한 장기간 복막투석을 시행할 경우 투석 시작 후 4-6년경부터 영양학적 지표가 서서히 악화되기 시작하여 이시기부터 영양 상태의 개선을 위한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Although CAPD has become firmly established as an effective mode of renal replacement therapy, it's technique survival rate is much inferior compared to hemodialysis. To date, few patients have been main- tained on this therapy for more than 10 years. To gain insights into clinical features of patients who had maintained over 10 years on CAPD in Korea, we retrospectively compared 23 patients who survived more than 10 years on PD(Long-term survivors, LTS) and 63 patients who died(Short-term survivors, STS-died, 41 patients) or changed to hemodialysis(STS-HD, 22 patients) within 4 years of initiating PD. For all patients, age, sex, diabetic history, prior cardiac events, body weight and biochemical profiles were analyzed. 1) The LTS were younger(39.7±12.4 vs. 47.7± 12.3 vs. 60.9±13.8 years) compared with STS-HD and STS-died. 2) The LTS had less cases of DM(4.3% vs. 31.8 % vs, 61%), and had less cases of prior cardiac events(4.3% vs. 4.5% vs, 34.1%) compared with STS-HD and STS-died. Sex ratio and body weight were comparable in three groups. 3) At the initiation of PD, the LTS had higher serum creatinine(16.7rng/dL vs. 12.4mg/dL vs, 8.4mg/ dL), albumin(3.53g/dL vs. 3.27g/dL vs, 3.20g/dL) lev- els compared with STS-HD and STS-died. 4) During 10 year CAPD treatment, LTS showed relatively stable body weight except the increase of body weight for the first 2 years in female. BUN, creatinine, protein, albumin constantly increased for the first 4 years, and then started to decline by 4 th to 6 th years. In conclusion, young age, non-diabetic history, less prior cardiac events and good nutritional status can predict the long-term survival on peritoneal dialysis. The evaluation of nutritional status and nutritional support by 4 th to 6 th years may be important in maintaining long-term survival in CAPD pati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