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영국 브루더호프 공동체의 평화적 영성과 교육: Darvell과 Beechgrove에서의 경험을 중심으로

        강순원(Kang Soon-Won)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2008 신학사상 Vol.0 No.143

        본 논문은 영국의 다벨과 비치그로브에 위치한 브루더호프 공동체 삶에 관한 참여관찰을 통해 조망해 본 기독교 대안교육의 성격에 관한 일상생활분석연구(ethnomethodological research)이다. 본 연구는 2006년부터 2008년까지 일년에 일회 직접 방문하여 생활하면서 기술한 현장연구이다. 브루더호프 종교공동체가 주는 교육학적 함의는 교육과 공동노동, 영적 생활, 기도, 찬양, 놀이, 약자를 보호하는 이타적 행동 등이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있다는 점에서 홀리스틱 교육의 전형이다. 따라서 브루더호프 공동체의 기독교 대안교육적 특징은 초대 기독교정신에서 유래한 공동생활에 따라 융합적이고 개방적인 기독교교육의 성격을 지닌다는 점, 교육에 있어서 결과보다는 과정을 중시한다는 점, 비폭력적 갈등해결을 강조하는 평화교육의 장이라는 점, 적극적이고 융통성있는 교수학습방법을 사용하는 대안적 교육현장이라는 점, 교사-학부모-공동체가 함께 하는 작은 생태교육 공동체라는 점 등이다. This paper put an emphasis on what an alternative Christian education is and what’s going on the daily lives of two Bruderhof Communities in Darvell and Beechgrove in UK. The methodology is ethnomethodological research through participatory observation once a year during three years 2006-2008. The educational implication of religious Bruderhof community combines with working together, education, spiritual life, praying, singing, playing, solidarity with others is characterized as followed: it is holistic and inclusive, open-ended Christian education according to the communal life originated from the early Christianity, focused on process rather than results in education, comprehensive peace education coping with conflicts in general, practicing alternative educational methods based on active and flexible learning methodology together with teachers and community, and it is small school oriented beyond bureaucratic educational operation.

      • KCI등재

        영국과 프랑스의 교육복지사업 비교연구를 통해서 본 우리나라 교복투사업의 정치사회학적 성격

        강순원(Kang, Soon Won) 한국비교교육학회 2012 比較敎育硏究 Vol.22 No.4

        본 연구는 우리나라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 지원사업’을 영국과 프랑스의 교육복지사업과 비교 연구함으로써 교복투사업이 지니는 정치사회학적 의미를 추론해보고자 한다. 우리나라에서 외환위기 이후 부각된 ‘교육복지’의 중요성은 2003년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 지원사업’으로 구체화되어 지속적으로 확대되다가 2008년 이후엔 ‘교육복지우선 지원사업’으로 명칭이 바뀌면서 교육취약지역의 학교들에 우선적으로 투자하던 교복투사업의 골격이 변화되었다. 우리나라가 벤치마킹한 영국의 EAZ와 프랑스의 ZEP 사례를 보면, 모두 진보정당의 집권기에 ‘평등’의 철학에 기반하여 수립된 정책이었음에도 신자유주의적 세계화의 영향 하에서 보수정당이 들어서면서 수월성 위주의 평가지표로 운영방향이 바뀐다. 우리나라 교복투사업 역시 학력수준 향상이라는 수월성 지표가 평가의 근간을 이룬다고 비판받고 있다. 이렇듯 교육평등이념에 입각하여 추진된 교복투 사업의 방향이 이후 수권정권의 정치철학에 의해 변화되는 것을 견제하기 위해서는 관주도의 하향적 교육복지정책을 관민협력의 쌍방적 협력모델로 전환하여야 할 것이다. This comparative study attempts to explore in what politico-social context‘Education Welfare Invest Priority Zone Plan’has been developed and to find politico-social implications of Korean EWIPZP through critically comparing the cases of UK and France. Korean financial crisis brought up the importance of‘Education Welfare’ turning into a concrete system,‘EWIPZP’in 2003. This educational welfare policy has expanded since 2005 up to now by the changed name of‘Education Welfare Priority Plan’in 2008, that is structurally different from the original framework which was to support schools in educationally disadvantaged areas. Even the cases of EAZ in UK and ZEP in France started by progressive political parties and established on the ground of‘equity’ philosophy, turned into the excellence-based equality policy confronting with the harsh condition of neo-liberalistic global economy under the conservative regime. So does Korea under the critics against this tendency. Comparing Korean case with the cases in UK and France, the current Education Welfare Priority Policy in Korea should be back to the original principle of educational equity and transform into the bottom-up bilateral cooperation model from the top-down model by the authorized party itself in order not to be manipulated politically.

      • KCI등재

        필리핀의 평화교육과 평화과정

        강순원(Kang, Soon-Won) 한국비교교육학회 2009 比較敎育硏究 Vol.19 No.3

        본 연구는 현재까지도 내전으로 인한 사회적 갈등이 첨예하게 드러나고 있는 필리핀의 평화과정이 어떻게 평화교육과 관련성이 있는가를 고찰해보는 현장연구이다. 2004년부터 2008년까지 교육대학원 차원에서 5년간 평화교육 공동수업을 전개하면서 평화과정에 연계되어 있는 평화운동가, 정부각료, 평화연구자 및 관련 교사들을 심층면담하고 평화교육이 어떻게 평화과정에 개입하여 교육을 통한 평화문화 증진에 이바지할 수 있는가를 관찰하였다. 오늘날 필리핀의 사회적 폭력은 미국 식민지화 과정에서 기독교적 지배질서로 재편하는 과정으로부터 연유된 사회적 갈등의 성격을 지닌다. 식민지 종결 후 정치적 민주화가 왜곡되고 민다나오를 중심으로 기독교 지배권력이 이슬람 주민들을 배제하는 과정에서 일어난 반군활동이 오늘날 내전의 주요 원인이다. 이를 근본적으로 해소하고자 한 1996년 평화협정 과정에서 평화교육은 평화를 이루는 가장 비폭력적인 평화적 수단으로 간주되었다. 하지만 지난 십여 년간 평화교육은 평화과정과 상보적 관계로 민주적 평화과정이 진행되는 과정에서는 평화교육이 진전되나, 평화과정이 강압적으로 억제되는 상황 하에서는 평화교육도 위축되는 과정을 보여준다. This study is focused on how peace education is related to peace process in Philippines where the social conflicts still go with internal wars up to now. The author used to visit the Philippines for the joint peace education class with Center for Peace Education in Miriam College once a year during the last 5 years and have depth-interview with peace activists, public officials, peace researchers, and teachers in order to observe the inter-relatedness of peace process and peace education for the culture of peace. The present violence socio-historically is characterized in the social conflict, originated from the American colonization towards restructuring the Philippine society into Christian dominating system. After colonization, liberation process in politics was dependent on the America power again. As a result Muslims were to be excluded from the Christian mainstream and be a part of revolt army for their own land. Mindanao is the highlight zone of conflicts in the Philippines. In 1996 Peace agreement was settled and peace education was regarded as the most important one among peaceful means. Peace education was to be a non-violent tool for eliminating conflicts, cutting the chain of reproduction of social violence in the schools as well as in the communities. In such circumstances as peace process is going well democratically, peace education is inter-related to peace process properly, while in such cases as peace process is not inter-respected by two parties, peace education is not proceeded well enough to fit the peace process.

      • KCI등재

        한반도 평화시민성 교육담론 : 분단시대 통일교육에서 평화시대 시민교육으로

        강순원(Kang, Soon-Won) 한국국제이해교육학회 2020 국제이해교육연구 Vol.15 No.2

        본 연구는 해방 후 지금까지 통일교육의 변천사에 반영된 한반도 평화프로세스에 주목하며 통일교육과 접목된 민주시민교육의 한계와 가능성을 탐색하여 평화시대를 여는 시민교육에 담길 평화시민성 담론을 분석하였다. 정권의 변화가 평화프로세스에 직접적 영향을 미쳤고 이에 따라 통일교육의 방향이 좌우되었다. 분단된 한국사회를 구축할 역사적 주체로 호국공민에서 애국애족 국민으로 이어서 민주시민으로 개념적 변화가 이루어진 가운데 유신시대이래 설정된 민주시민의 자질 함양이 통일교육 목표로 자리 잡았다. 국가 차원의 민주주의를 실현할 역사적 주체로서의 민주시민이 분단사회 극복을 주도할 평화시대 주체로서 적합한 개념인가에 대한 문제제기가 일면서, 한반도 평화구축을 담당할 시민은 민족정체성 위에 아시아시민성 그 위에 세계시민성을 혼종한 평화시민성을 함양해야 한다는 담론의 적합성을 제안하게 되었다. 따라서 분단시대 통일교육을 넘어선 평화시대 시민교육의 구체적 태인 평화·통일교육의 목표도 이러한 평화시민성 담론에 근거하여 재구성되어야 한다. This paper puts emphasis on designing the peace-oriented citizenship education towards the peaceful coexistent era beyond unification education in the divided society, analyzing the limits and possibility of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connected with unification education which has been reflected by the peace process of present governments since liberation from the colonial period in 1945. According to the changes of unification education connected the peace process of each government, the name of historical subjects to take the initiative to overcome the division has been changed from civics saving the country to patriotic nation and onto the democratic citizen. Since Yushin reformation period, raising the democratic citizenship has been set up as the goal of unification education. But some critics of democratic citizenship were given to the limitation of the democratic citizen on overcoming the division and realizing peaceful coexistence and to the birth of hybrid citizenship with national commonality, Asian citizenship and global citizenship to challenge Korean peninsula agenda. Thus peace·unification education beyond division should be reconceptualized on the ground of the discourse of peace-oriented citizenship, which is applied to North Korea and South Korea as a global peace education framework.

      • KCI등재

        장애성인 평생교육

        강순원(Kang, Soon-Won) 한국평생교육학회 2013 평생교육학연구 Vol.19 No.1

        본 연구는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배제현상이 두드러진 현 상황에서 장애성인 평생교육의 필요성을 ‘배제에서 포용(from exclusion to inclusion)으로’라는 민주사회의 보편적 교육이념에 입각하여 정리해 보고자 한다. 한 인간으로 살아가는데 있어서 요구되는 교육활동이 장애라는 특수한 조건과도 양립할 수 있도록 사회경제적 지원, 의료적 지원 그리고 교육적 지원을 포괄하는 포용적 장애성인 평생교육은, 우리나라에서는 학력보완형 문자해득교육에 초점이 맞춰진다. 이러한 개념적 특성은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에 구체적으로 반영된다. 하지만 「UN장애인권리협약」과 같은 국제규약에서 제시하는 장애성인 평생교육은 장애인의 시민적 참여를 지원하는 포용교육적 특성을 갖는다. 따라서 우리나라 장애성인 평생교육도 보편적인 포용교육 이념에 맞춰 배움을 통한 돌봄과 배려, 인권과 민주적 시민의식, 자립적 삶을 구현하는 교육이념에 바탕을 두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장애성인 평생교육을 통해 장애인의 역량강화에 매진할 뿐만 아니라 비장애인의 장애인이해교육도 반드시 병행해야 할 것이며 포용적인 평생교육의 틀을 유지하게 위한 정부의 관련 부처간 협력이 요구된다. This paper focuses on analyzing the necessities of lifelong education for adults with disabilities based on the democratic universal educational idea of 'from exclusion to inclusion', in the dangerous situation of social exclusion against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In order for the adults with disabilities to cope with special needs in the everyday life, lifelong education for the adults with disabilities should imply socio-economic, medical and educational rehabilitation at once. But in the Korean context it is emphasized by the literacy education for supplementing academic ability. The special education law for the disable follows this trend as well. This trend is opposite to the international regulations towards inclusive education such as UN Convention on the Right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Thus Korean lifelong education for adults with disabilities is to reorient toward lifelong philosophy of caring and compassion by learning, human rights and democratic citizenship, and self-reliant life focused on universal inclusive education. For the purpose of enacting this philosophy in the Korean society, it is suggested to empower the persons with disabilities through lifelong education for adults with disabilities, to get more mutual understanding among disabled and non-disabled persons in the community, and to bring cooperation among ministries coping with various needs of them so as to maintain the inclusive lifelong education strategy.

      • KCI등재

        한반도 분단극복 평화교육으로서 통일교육과 국제이해교육과의 조율

        강순원(Kang Soon-Won) 한국국제이해교육학회 2019 국제이해교육연구 Vol.14 No.1

        한반도 평화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분단관련 국가들 간의 관계는 매우 중요하다는 점에서 국가 간 우호주의에 기반한 평화교육으로서 국제이해교육은 한반도 평화통일교육과 그 맥락을 같이 하기 때문에, 한반도 분단극복 평화교육으로서 통일교육은 국제이해교육의 관점과 방향을 조율하여 재구성하여야 한다. 한반도 분단은 냉전체제의 지정학적 피해로 귀결된 것으로써 이후 체제대립의 국면에서 통일은 민족지상과제로 대두되면서 통일교육 역시 통일의식 함양을 위한 이데올로기 교과로 이용되었다. 통일안보교육에서, 통일교육으로 평화통일교육으로 진전되어온 역사적 소용돌이에서 현 단계 평화․통일교육은 국제이해교육의 과제와 일치한다. 따라서 한반도적 특수성이 반영된 인간안보적 시각, 상호의존성 강조, 인권교육적 접근, 탈식민주의적 논의, 포용적 평생학습체계를 지향하는 평화․통일교육 틀로 국제이해교육의 맥락에서 재개념화되어 실천되어야 한다. In terms of the fact that the relationship among the connected countries to the national division is critical to the peace process in the Korean Peninsula, education for international understanding(EIU), cooperation and peace, and education relating to human rights has common ground with the context of unification education. Thus Peaceful unification education beyond division of the Korean Peninsula should be reconstructed according to the perspective and orientation of education for international understanding. National division in the Korean peninsula was resulted as a victimized zone during the cold war, and the after the unification has been regarded the national priority to be achieved, and education for unification has been stressed as an ideological state curriculum to raise the aspiration for unification. Putting the foot-paintings from unification security education to peaceful unification education, current peace-unification education and education for international understanding both comprise the educational orientations such as human security perspective, interdependence based, human rights approach, de-colonization discourse and inclusive lifelong learning. This reconceptualized model of peace-unification education seems to be developed as a universal peace education, specialized in the Korean peninsula.

      • KCI등재

        유네스코 평화교육의 한반도 현지화

        강순원(Kang, Soon-Won) 한국교육사회학회 2022 교육사회학연구 Vol.32 No.1

        본 연구는 유네스코의 존립근거인 평화교육의 발달과정과 관련 규정을 비판적으로 고찰하고 해독하여 재구성한 후, 한반도 평화구축을 위한 토대로서 유네스코 평화교육의 현지화(localization) 방안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유네스코는 1945년 설립 이래 교육차별 금지 협약을 비롯하여 인권, 반차별, 다양성, 환경, 평생교육 등 사회적 핵심 교육현안 주제를 다루는 국제규약을 선언하였다. 이를 전 세계 회원국의 교육에 일반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보편적 준거라고 가정할 때, 그 기본 원리는 평화권 기반, 정의 기반의, 관용과 비폭력 및 다양성 중심의, 홀리스틱 교수법 등을 기반으로 이루어진다고 볼 수 있다. 남북한이 공히 유네스코 회원국으로서 한반도 평화구축을 위한 교육을, 상대 체제의 흡수를 전제하는 논쟁적 통일교육이 아닌 유네스코 평화교육 실천을 통해 추진하는 것이, 유네스코 평화교육의 현지화 전략으로서 타당하다. This paper aims to make the localization strategy of UNESCO peace education at the basis of peacebuilding in the Korean peninsula, by the way of codifying the UNESCO peace education-related documents and reconstructing them. Peace education surely is at the heart of UNESCO’s raison d être. Since the inauguration of UNESCO in 1946, in response to political and social developments, lots of UNESCO documents on the global issues such as human rights, anti-discrimination, diversity, environment and lifelong learning have been ratified in the name of declaration, recommendation and convention. The‘convention against discrimination in education.’is the foremost one among them. With an Assumption that they are the universal criteria to be applied to the UNESCO member countries all over the world, UNESCO peace education is composed of four elements that are the rights to peace for the culture of peace, global justice-based, tolerance/nonviolence/diversity, and holistic pedagogy. Thus, UNESCO peace education might be the shared definition for ROK and DPRK as a member country of UNESCO. This is the reason why I suggest the localization of UNESCO peace education for the peacebuilding in the Korean peninsula rather than forging the reunification education that provokes lots of disagreements between two antagonistic systems.

      • KCI등재

        아일랜드 교육혁신에 반영된 북아일랜드 통일/평화 과제

        강순원(Kang, Soon-Won) 한국비교교육학회 2021 比較敎育硏究 Vol.31 No.3

        본 연구의 목적은 한반도와 유사하게 식민지 종결 후 분단된 아일랜드 섬의 중심국가인 아일랜드 공화국의 분단극복을 향한 적극적 평화교육의 관점에서 교육혁신운동을 질적 연구방법을 통해 분석함으로써 한국의 분단극복 평화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밝혀보고자 한다. 아일랜드는 식민지적 유제극복의 일환으로 안정적인 민주주의체제 수립, 경제개발과 성장, 아일랜드문화와 역사의 발전 및 국제적 기여 등을 통해 자주독립국가로서 성공적인 길을 걸어왔다. 그러한 과정에서 교육혁신사업 역시 세계적으로 주목받았다. ‘전환학년제(TY)’와 ‘모두 함께 교육하자(ET)’ 프로젝트는 아일랜드가 도달해야 할 포괄적인 역사적 과제 실현을 목적으로 한 것은 아니었으나 결과적으로 적극적 평화의 지표인 교육의 탈식민주의화와, 민주적 교육제도 수립, 교육에서의 차별철폐 및 아일랜드 섬 평화구현 등에 일정하게 기여하는 것으로 평가된다. 아일랜드 적극적 평화교육에 관한 비교연구 결과로서, 분단극복을 향한 이성적인 교육적 노력이 민족정체성 기반의 통일교육의 형식보다는 평화교육이어야 한다는 점은 우리나라 통일교육의 전환에 주는 시사점이 크다고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et an implication to the peace education beyond division in Korea through the qualitative field research on the educational innovation projects towards positive peace in the Island of Ireland, which has been divided since being liberated from the colonization by UK such as in the Korean peninsula. For its sake of eradicating the legacy of colonization, Ireland republic has proceeded a successful track for establishment of stable democracy, economic development and growth, restoration of Irish language, culture and history, and international cooperation and contribution. Irish educational innovation projects were attracted to globally. Transition Year(TY) and Educate Together(ET) are not stick to the same orientation for realization of the Irish historical tasks, however, it is said that both educational reformations are evaluated as contributing for de-colonization of education, transformation of democratic educational system, elimination of discrimination in education of gender, class and ethnic backgrounds, and peacemaking of the Irish Island through education. As a comparative result, it is a significant implication for the peace education in Korea that the educational effort towards overcoming division has to be frame of educating for positive peace intellectually, not single national identity-based unification emotionally.

      • KCI등재

        북아일랜드 평화협정 이후 적대적 종파공동체 간의 관계(Community Relations) 조성을 위한 평화교육 전달과정 연구

        강순원(Kang, Soon-Won) 한국국제이해교육학회 2020 국제이해교육연구 Vol.15 No.3

        This paper put an emphasis on the critical review of community relations programs so called education for peace and reconciliation in Northern Ireland, moving now from the negative peace(absence of violence during the troubles) to the positive peace after the Belfast Agreement. As a common vision of shared society through making community relations historically fixed in antagonism better ones, many CR programs have been incubated by EU, UK government and Irish government and USA fund named such as CRED, PEACE Ⅳ, T:BUC, Fresh Start and Shared Education. These programs focusing on children and young people have resulted in positive outcome indicators. Based on the qualitative research on the peace advocators involved in CR programs, it is criticized that the delivery processes of implementing peace education in two communities are duplicated of fund allocation on the similar CR things, abstract goal of CR locality in a mess confusion of target group, resulting in a lack of sustainability of peace education due to the inconsistency of CR policy in the local as well as regional and global level. It is concluded that CR peace policy in the divided NI society needs to be an inclusive model with all parties involved on the common ground of mutual recognition beyond NI particularistic approach toward the universality in the all forms of division and the transition from negative peace to the positive peace. 본 연구는 북아일랜드 종파공동체 간 갈등이 폭력적 사태로 치솟았던 분쟁기에 형성된 전쟁(폭력) 부재 지향의 평화교육이 평화협정 이후 어떻게 변화되었는지에 주목하면서, 종파공동체 간 우호적 관계 수립을 평화교육의 목표로 설정하면서 추진된 CR 평화와 화해 프로그램 전달과정을 비판적으로 분석함으로써 분단사회 갈등하는 주체 간의 평화적 관계설정에 대한 비전을 제시하고자 한다. 북아일랜드 평화와 화해를 이루기 위한 교육관련 프로그램으로 CRED, PEACE Ⅳ, T:BUC, Fresh Start, Shared Education 등이 아동청소년을 대상으로 진행되었고 긍정적인 성과지표를 보였다. 그럼에도 평화교육 전달과정에서 동시다발적 재정지원 및 관련 사업의 중복성, 프로그램 목표의 추상성 및 프로그램 초점대상의 혼선 등으로 인해 실행주체들의 열의와 프로그램의 지속가능성을 보장하는 것이 쉽지 않다는 비판이다. 따라서 북아일랜드 CR평화·화해교육이 분쟁기에 형성되었던 소극적 평화에서 갈등 후 사회에서의 적극적 평화로 순연되도록 분단사회 평화교육의 특수성과 보편성이 결합되는 상호인정에 기반한 포용모델로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