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특수교육실무원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의 관계에서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 연구

        강석임 ( Seok-im¸ Kang ),구자정 ( Ja-jeong¸ Ku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2020 지적장애연구 Vol.22 No.4

        본 연구의 목적은 특수교육실무원의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충청도 지역 내 특수학교에서 장애학생을 돌보는 특수교육실무원 31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 상관관계분석, 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요 변수의 집단 간 차이를 알아본 결과 특수교육실무원의 경력이 높을수록, 돌보는 장애아동의 유형이 지적장애아동을 돌보는 경우 직무만족도가 낮게 나타났고, 돌보는 아동 장애유형이 지적장애일 경우 다른 장애유형을 돌보는 특수교육실무원의 직무스트레스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원하는 학생 수가 적을수록 사회적지지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무스트레스의 세 하위요인이 직무만족에 모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직무스트레스 세 하위요인은 사회적지지 하위요인인 정서적지지에 모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물리적지지에는 스트레스증상만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평가적지지에는 직무자체 및 직무여건 스트레스와 스트레스증상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직무스트레스의 하위요인 중 인간관계스트레스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서 정서적지지가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직무자체 및 직무여건 스트레스는 정서적지지와 평가적지지가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스트레스증상은 정서적지지, 물리적지지, 평가적지지가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특수교육실무원의 직무만족을 높이기 위한 방안을 제언하고, 향후 특수교육실무원의 직무만족을 통한 특수교육의 질 제고 및 실천적 지원전략을 모색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in the influence of job stress upon job satisfaction in special education workers. For this,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318 special education workers who take care of disabled students at a special school within Chungcheongdo region.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examining a group-based difference in major variables, it was indicated that the higher career in special education workers leads to the lower job satisfaction in case of taking care of intellectually disabled children in a type of disabled children who are taken care. Given being the intellectual disability in a disability type of children who are taken care, the job stress in special education workers, who take care of other disability type, appeared to be high. It was shown that the fewer number of students who are supported leads to the higher social support. Second, all the three sub-factors of job stress were indicated to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upon job satisfaction. Third, all the three sub-factors of job stress were shown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emotional support, which is sub-variable of social support. Only the stress symptom appeare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physical support. The evaluative support was indicated to be affected significantly by job itself, job condition stress, and stress symptom. Finally, in the influence of human-relation stress out of sub-factors in job stress upon job satisfaction, the emotional support was shown to have a mediating effect. In job itself and job condition stress, the emotional support and the evaluative support appeared to have a mediating effect. In stress symptom, the emotional support, physical support and evaluative support were indicated to have a mediating effect. Based on the outcomes of this study, a plan was proposed for increasing job satisfaction in special education workers. There was a pursuit for the quality improvement in special education and for the practical support strategy through job satisfaction in special education workers henceforth.

      • KCI등재

        기혼여성의 우울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가구주 여부와 빈곤 여부를 중심으로 -

        강석임(Seok-im Kang),전희정(Hee-jeong Jeon) 한국보건사회학회 2013 보건과 사회과학 Vol.0 No.33

        본 연구의 목적은 시간의 경과에 따른 기혼여성의 우울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특히 빈곤과 가구주 여부를 중심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복지패널 1~3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였고, 분석방법은 잠재성장모형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기혼여성의 우울수준이 시간의 경과에 따라 다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령과 교육수준, 가구형태, 건강상태와 자아존중감이 기혼여성의 우울수준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가구주 집단과 비가구주 집단의 차이에 따른 우울수준 초기값과 변화율은 연령과 교육수준, 가구형태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으며, 건강상태와 자아존중감에 따라서는 비슷한 양상으로 나타났다. 또한 빈곤 여부에 의한 우울수준 초기값과 변화율은 연령, 교육수준, 건강상태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고, 가구형태와 자아존중감에 따라서는 비슷한 양상을 보여주고 있다. 기혼여성의 우울의 초기값과 변화율에 다양한 요인들이 복잡하게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기혼여성의 우울예방 및 관리방안을 모색하는데 있어, 대상자의 사회경제적 여건 및 건강상태, 심리요인 등에 따른 우울의 변화양상을 고려한 보다 구체적이고 차별화된 개입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factors which impact married women’s depression change with the lapse of time, especially focusing on poverty and existence of household heads. To do this, Korean welfare panel (1st~3rd year) was applied, and a potential growth model was used for an analysis method. The analysis showed that main factors such as age, education level, one’s physical condition, and self-esteem have an influence on a longitudinal change of married women’s depression level. The initial value and changing-rate of depression level for a group of householders and a group of non-householders appeared differently according to age, education level, and housing types, but one’s physical condition and self-esteem emerged into a similar aspect. In addition, the initial value and changing-rate of depression level by existence of poverty appeared differently depending on age, education level, and one’s physical condition but showed that housing types and self-esteem were on a similar aspect. Through these results, it emphasized the need for more concrete and differentiated supporting policy of the intervention of social welfare relating to married women’s depression according to socio-economic conditions and psychological factors of candidates.

      • KCI등재

        지적장애 아동을 지원하는 특수교육실무원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 및 사회적지지의 관계 : 스트레스 과정모델 검증

        강석임(Seok-im Kang) 한국장애인복지학회 2021 한국장애인복지학 Vol.53 No.53

        본 연구는 통합교육의 활성화와 특수교육의 질 향상을 위해 도입된 특수교육보조인력인 특수교육실무원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의 관계를 살펴보고, 그 과정에서 사회적지지의 하위요인 별 매개효과와 조절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연구이며, 스트레스 과정 모델을 이론적 틀로 설정하여 진행하였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충청지역 내 특수학교에서 지적장애 아동을 지원하는 특수교육실무원 19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직무스트레스는 직무만족에 부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무스트레스는 사회적지지의 네 하위요인에 부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과의 관계에서 사회적지지의 네 하위 요인인 정보적지지, 정서적지지, 물질적지지, 평가적지지 모두가 부분매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직무스트레스가 높아지면 직무만족이 감소하였지만 사회적지지의 네 하위요인 중 정보적지지만이 부정적인 영향을 억제하는 중요한 보호요인의 역할인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지적장애 아동을 지원하는 특수교육실무원의 직무스트레스의 영향을 낮추고 직무만족을 높일 수 있는 방안과 사회적 자원으로 사회적지지를 높이기 위한 실천적‧이론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This is a study in order to verify a mediating effect and a moderating effect by sub factor of a social support in the influence upon job satisfaction by job stress in special education assistants as the special education paraprofessional of having been introduced for vitalizing the integrated education and improving the quality of special education. It was progressed by establishing a stress process model as the theoretical frame. To achieve the objective of research,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192 special education assistants who support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t a special school within Chungcheong area. Examining the findings, they are as follows. First, job stress was shown to have a negative effect on job satisfaction. Second, job stress appeared to have a negative impact on four sub factors of the social support. Thir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the informational support, emotional support, material support and evaluative support, which are four sub factors of the social support, were indicated to have a partial mediation effect. Finally in the influence of job stress upon job satisfaction, only the informational support was shown to have a moderating effect.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re was a suggestion for a plan capable of lowering job stress and enhancing job satisfaction in special education assistants and for a practical & theoretical implication in order to raise a social support as a psychosocial resource.

      • KCI등재

        정신장애인 회복과정 영향 요인

        강석임(Seok Im Kang),이용표(Yong Pye Lee)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2013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41 No.4

        정신장애인을 대상으로 그들의 회복 지향점이고 목표인 지역사회통합을 이루는 데 스트레스, 사회적 자원 및 지역사회통합 간의 관계를 스트레스 대처이론으로 검증하였다. 상당수의 기존연구들이 스트레스 대처이론을 이용하여 연구하였지만 정신장애인을 대상으로 스트레스 대처이론을 검증한 연구는 거의 없으므로, 이 연구를 통해 스트레스 대처이론이 정신장애인에게도 적용되는지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서울ㆍ인천ㆍ경기지역과 충청도에 위치한 사회복귀시설 또는 정신보건센터를 이용하는 정신장애인 415명의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구조방정식 모형을 사용하여 정신장애인의 지역사회통합에 대한 예측요인을 분석한 결과, 스트레스 요인인 증상과 낙인은 모두 지역사회통합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스트레스 요인인 증상이 많이 발생할수록, 그리고 낙인의 지각이 높을수록 지역사회통합이 낮아지지만 부모, 형제, 전문가 등의 사회적 지지는 정신장애인의 지역사회통합을 부분적으로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정신장애인의 회복의 지향인 지역사회통합에 스트레스 요인이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사회적 지지는 스트레스 요인을 완화시켜주는 대처자원임을 확인 하였고, 이를 위한 실천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The relationship of stress and social resources to community integration among the person with Psychiatric Disabilities were analyzed based on a stress-coping theory, as community integration is the ultimate goal of their rehabilitation. Stress-coping theories have been utilized in lots of earlier studies, but few studies have ever attempted to apply this kind of theory to the person with Psychiatric Disabilities. Therefore it`s meant in this study to analyze whether a stress-coping theory could be applied to the person with Psychiatric Disabilities. What factors predicted the community integration of the person with Psychiatric Disabilities were analyzed by us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 As a result, both of symptoms and perceived stigma that were stressors were found to exert a direct influence on community integration, and more symptoms and more perceived stigma that were stressors led to less successful community integration. But social support from parents, siblings and experts had a partial effect on the community integration of the person with Psychiatric Disabilities. The above-mentioned findings of the study ascertained that social support was one of coping resources available to relieve the stressors while the stressors had a negative impact on community integration which was the ultimate goal of the rehabilitation of the person with Psychiatric Disabilities. And the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 KCI등재

        우리나라 영성연구의 동향과 향후과제

        정명숙(Chung, Myung Sook),강석임(Kang, Seok Im),김승주(Kim, Seung Ju),전혜원(Jeon, Hye Won) 가톨릭대학교(성심교정) 인간학연구소 2017 인간연구 Vol.0 No.34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1970년대부터 2014년까지 영성을 주제로 발표된 연구의 전반적 동향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향후 영성연구의 주요과제 및 발전방향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총 941편의 논문을 분석대상으로 선정하고 이 논문들을 학문분야와 연도별로 연구방법, 논문유형, 영성관점, 연구대상, 측정도구, 분석방법 및 영성변수유형에 따라 차례로 분석하였다. 이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연구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야 할 연구과제들을 탐색하였다. 우리나라 영성연구의 주요 과제는 다음의 네 가지로 압축될 수 있었다. (1) 연구방법의 다원화, (2) 연구대상의 다변화, (3) 한국인의 영적 특성을 측정하기에 적합한 ‘한국형’ 영성척도의 개발, 그리고 (4) 효과성이 객관적으로 입증된 영성증진 프로그램의 개발이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overall trends of spirituality research performed in Korea from the 1970s to 2014, and then to suggest important topics of the research. In this article a total of 941 studies were selected for analysis. Research methodology, type of publication, view toward spirituality, participants of research, measuring instrument, method of analysis, and type of spirituality variable were analyzed respectively as a function of academic field and publication year. Based on these results the topics to be addressed in the future spirituality research were determined: (1) diversification of research methodology, (2) diversification of participants, (3) development of the “Korean” spirituality scale, and (4) development of the spirituality enhancement program, the effectiveness of which is empirically supported.

      • KCI등재후보

        시설거주 정신장애인의 삶에 대한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정명숙(Myung-Sook Chung),강석임(Seok-Im Kang)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2010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Vol.24 No.-

        본 연구는 생활시설에 거주하는 정신장애인들의 삶에 대한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알아내고 이들 요인의 상대적 중요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 지지는 정신장애인들의 삶에 대한 만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중에서도 물질적 지지와 정보적 지지의 영향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아존중감 과 병식도 정신장애인들의 삶의 질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우울수준은 상대적으로 영향력이 적었다. 셋째, 시설관련 변인 중에서는 외출자유가 정신장애인들의 삶의 질에 특히 중요한 요인인 것으로 밝혀졌다. 넷째, 인구사회학적 변인들은 영향력이 극히 미미 하였다. 끝으로, 시설거주 정신장애인들은 친구관계와 관련한 영역에서 만족도가 가장 낮았으나, 이 영역의 만족도가 다른 영역의 만족도에 비해 전체만족도에 대한 설명력은 상대적으로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시설거주 정신장애인들의 삶에 대한 만족 증진과 관련하여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find out the factors having significant influences on life satisfaction of mentally disabled people residing in institutions, and to examine relative importances of those factors. A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to 299 participants from four institutions to measure the following variables: self-esteem, depression, insight, social support, demographic and institution-related factors. The results showed that different types of social support were found to affect varying domains of life, but overall, the participants who received more social support showed higher satisfaction with their lives. Among person-related factors, self-esteem and insight in particular proved to be important factors influencing life satisfaction of the participants. Several institution-related factors such as duration of admission and leave out frequency were shown to play significant roles in affecting life satisfaction of the participants. Demographic factors, however, had little influences. Finally, while the participants were the least satisfied in the domain of relationship, this domain proved to have substantial influences on overall quality of life of the participants. The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