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제3족지 근위지골에 발생한 기괴성 방골성 골연골성 증식증: 1예 보고

        노행기,전호승,전승주,문찬삼,강서구,송경섭,Noh, Haeng-Kee,Jeon, Ho-Seung,Jeon, Seung-Joo,Moon, Chan-Sam,Kang, Seo-Goo,Song, Gyung-Sub 대한근골격종양학회 2011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Vol.17 No.2

        기괴성 방골성 골연골성 증식증은 수부와 족부의 단관골의 표면에 발생하는 양성 종양이다. 치료는 일반적으로 변연부 절제술을 시행하지만 절제 후 국소적인 재발을 잘한다. 국내에서는 족부에 발생한 기괴성 방골성 골연골성 증식증에 대한 보고가 극히 드물다. 저자들은 44세 여자 환자에서 우측 제3족지의 근위지골에 발생한 기괴성 방골성 골연골성 증식증을 경험하고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Bizarre parosteal osteochondromatous proliferation (BPOP) otherwise known as Nora's lesion, is a benign surface tumor of the small tubular bone of the hands and feet with high probability of local recurrence. The report of BPOP in the foot is very rare in our country. We report a case of BPOP of proximal phalanx of right $3^{rd}$ toe in 44-year-old female, successfully managed by en-bloc marginal excision with a review of the literatures.

      • 대퇴골의 과골증을 동반한 방골성 지방종: 증례 보고

        김도연,전호승,전승주,노행기,강서구,송지웅,박병문,Kim, Do-Yeon,Jeon, Ho-Seung,Jeon, Seung-Ju,Noh, Haeng-Kee,Kang, Seo-Goo,Song, Ji-Ung,Park, Byeong-Moon 대한근골격종양학회 2012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Vol.18 No.2

        방골성 지방종은 골막 주위의 지방 조직에서 발생하는 매우 드문 형태의 지방종으로 대퇴골, 요골, 경골 및 비골 등에서 호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치료는 골 부착부를 포함한 지방 종괴를 절제하고 과골증을 동반시 골막의 제거를 원칙으로 한다. 저자들은 대퇴골 간부 내측에서 발병한 드문 방골성 지방종 1예에 대해서 문헌고찰과 함께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Parosteal lipoma is a rare kind of lipoma that occurring adipous tissue around the periosteum. It has been reported most commonly in the femur, the radius, the tibia and the fibular. Treatment consists of resecting the lipomatous tumor with further exeresis of the bone and periosteal excrescence in cases with hyperostosis. The authors report a rare case of parosteal lipoma occurring at the medial portion of the femur shaft with a review of the relevant literatures.

      • KCI등재

        Hook 금속판을 이용한 쇄골 원위부 불안정성 골절의 치료 결과 분석

        전호승(Ho-Seung Jeon),우영균(Young-Kyun Woo),황석하(Seok-Ha Hwang),서승표(Seung-Pyo Suh),강서구(Seo-Goo Kang),이준경(Joon-Kyung Lee) 대한정형외과학회 2014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9 No.5

        목적: 쇄골 원위부 불안정성 골절을 Hook 금속판으로 치료한 결과 및 합병증을 분석하고, 금속판 제거 전, 후의 기능적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9년 3월부터 2012년 12월까지 쇄골 원위부 불안정성 골절(Neer type II)을 Hook 금속판으로 수술 후 금속판을 제거한 20예를 분석하였다. 술 후 평균 추시는 12개월(8-20개월), 금속판 제거는 술 후 평균 18주(10-36주)였다. 임상적 기능 평가는 University of California at Los Angeles (UCLA)와 Korean Shoulder Scoring System (KSS) 점수를, 방사선학적 평가는 단순 방사선사진을 이용하였다. 결과: 방사선학적 평가상 20예 중 20예 모두 술 후 평균 11.4주(8-20주)에 골 유합을 얻었다. 20예 모두 술 후 견관절 운동 감소, 동통 등을 보였고, 금속판 제거 후 20예 모두 제거 전보다 UCLA 및 KSS 점수가 향상되었다. 결론: 쇄골 원위부 불안정성 골절 치료에서 Hook 금속판 고정술은 견고한 고정력을 얻을 수 있어 유용한 방법이나 술 후 견관절 운동 감소, 동통 등 합병증이 있어 골 유합 시 가능한 한 조기에 Hook 금속판을 제거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reatment results and complications in unstable distal clavicle fractures which were treated with a Hook plate, and, in particular, to compare the functional results before and after removal of the Hook plate. Materials and Methods: We examined 20 cases in 20 patients who underwent removal of Hook plates after bony union was obtained in an unstable fracture of the distal clavicle (Neer type II) from March 2009 to December 2012. The average follow-up period after initial surgery was 12 months (8-20 months). Plates were removed at 18 weeks (ranged from 10-36 weeks) after initial fixation. University of California at Los Angeles (UCLA) and Korean Shoulder Scoring System (KSS) scores were used for clinical functional evaluation, and plain radiographs were used for radiological evaluation. Results: In radiological evaluation, bony union was obtained at an average of 11.4 weeks (ranged from 8-14 weeks) in all of the 20 patients. All of the 20 patients showed limited range of motion, mild pain, and discomfort of the shoulder before removal of the Hook plate, and all of the 20 patients showed better results in UCLA and KSS score after removal of the plate, when compared to before removal. Stress fracture as a major complication, was united completely with a ‘figure of 8’ bandage and deep wound infection was resolved after repeated debridement and antibiotic treatment with satisfactory functional results. Conclusion: Hook plate in treatment of unstable fracture of the distal clavicle is considered to be a useful method because rigid fixation can be obtained. However, there are some complications, such as limited range of motion, pain, and discomfort of the shoulder joint, before removal of the Hook plate. Therefore, we think that removal of the Hook plate as soon as possible if bony union is obtained would be desirable.

      • KCI등재

        전완부 단순 근육 긴장으로 오인한 쇄골 불유합에 의한 늑쇄증후군 -증례 보고-

        김종민 ( Jong Min Kim ),전승주 ( Seung Ju Jeon ),전호승 ( Ho Seung Jeon ),노행기 ( Haeng Kee Noh ),강서구 ( Seo Goo Kang ) 대한골절학회 2013 대한골절학회지 Vol.26 No.1

        Thoracic outlet syndrome is a relatively common disease. However, costoclavicular syndrome as a condition secondary to nonunion of a displaced fracture of the clavicle is very rare. Most clavicular fractures in adults are united with no or minimal persistent symptoms. Also, symptomatic nonunion of a displaced fracture of the clavicle is rare. A 55-year-old male initially presented with persistent forearm pain after slip-down was initially diagnosed with simple muscle strain. However, he was given a delayed diagnosis of costoclavicular syndrome, caused by compression of the subclavian artery due to trauma in the fibrotic nonunion of the right clavicle without apparent symptoms. We obtained satisfactory results by surgical treatment. Here we report this case with a review of the litera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