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고품질 분광 영상취득을 위한 광 균일화 연구

        강예성 ( Ye-seong Kang ),박준우 ( Jun-woo Park ),장시형 ( Si-hyeong Jang ),강경석 ( Kyeong-suk Kang ),김태양 ( Tae-yang Kim ),유찬석 ( Chan-seok Ryu ),전새롬 ( Sae-rom Jun ) 한국농업기계학회 2020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5 No.2

        본 연구에서는 많은 구조물로 인해 광 균일성을 유지하기 어려운 온실 내에서 작물의 생육 상태를 예측하는 고품질의 분광 영상을 취득하기 위해 인공조명을 이용한 광 균일화 연구를 수행하였다. 실험은 국립식량과학원 온실에서 내부로 입사되는 태양광을 차광하기 위한 99% 차광막을 설치하였고 정육면체 3x3x3 m 자동취득 영상장치 (Hortizen Co. Ltd., Korea)에 1000 w 할로겐 램프를 설치하여 진행하였다. 할로겐 램프는 사방면으로 2개씩 총 8개 장착하였고, 그 간격은 1 m였다. 할로겐 램프는 수직 기준으로 각도별 (0도, 10도, 15도, 45)로 조절한 후 위치별 및 파장별 (400-1000 nm) 반사값을 확인하기 위해 초분광 (FX 10, Specim, Finland) 영상을 취득하였고, 광센서를 이용하여 조명의 광량을 조사하였다. 영상장치 아래에 18% white reference board (EzyBalance, Lastolite Ltd., England)를 좌우 위, 좌우 아래와 중앙에 총 5개를 설치하여 위치별 초분광 영상 반사값을 취득하였다. 광량 조사는 영상장치 아래에서 가로, 세로 0.5 m 간격으로 49개 위치의 광센서 (PM6612, Peakmeter Co. Ltd., China)를 이용하여 취득된 광량 데이터로 조명의 공간적 광 분포를 나타내었다. 최종적으로 각도별 반사값과 광량은 위치 사이에 표준편차를 나타내어 최대한 균일한 광 조건에서 분광 영상을 취득하기에 가장 유리한 각도를 선정하였다. 각도별 초분광 영상의 위치 사이에 반사값의 파장별 표준편차 결과 모든 파장에서 45도, 15도 및 0도 순으로 낮았다. 특히, 600-800 nm에서 가장 큰 차이를 보였으며, 그 반사값은 45도에서 60 이상, 15도에서 약 29-33 사이와 0도에서 26 이하의 표준편차를 보였다. 각도별 광량 분포 결과 0도에서는 410 lux, 10도에서는 582 lux와 15도에서는 694 lux의 표준편차를 보였다. 반사값과 광 분포 모든 결과에서 할로겐 램프가 수직 방향으로 각도가 0일 때 여러 위치 사이에 표준편차가 가장 작아 다른 각도에 비해 광이 균일하다고 판단된다. 추후 다양한 면적 및 높이에서 최적의 할로겐 램프 개수 및 각도를 구명하여 온실과 같은 불안정한 광 조건을 극복할 수 있는 중요한 비전 영역의 기초 기술로 삼을 필요가 있다.

      • 다중분광 영상을 이용한 오이 묘 수분함량 추정

        장시형 ( Si-hyeong Jang ),유찬석 ( Chan-seok Ryu ),강예성 ( Ye-seong Kang ),박준우 ( Jun-woo Park ),김태양 ( Tae-yang Kim ),강경석 ( Kyeong-suk Kang ) 한국농업기계학회 2020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5 No.1

        오이는 박과 작물로 재배환경에 따라 생육에 크게 영향을 받는다. 육묘기때 수분 관리를 소홀히 하면 생육장해가 발생하기 때문에 실시간으로 생육 진단 기술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온실 내 다중분광 센서가 설치된 영상 시스템을 이용하여 오이 묘의 수분함량 추정 모델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는 전라북도 완주군에 위치한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내 온실에서 2020년 3월 9일부터 12일까지 총 4일 간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 장비는 5개의 (Blue, Green, Red, Red edge, NIR) 파장으로 이루어진 다중분광 센서(Rededge-M, Micasense Inc., USA)를 이용하였다. 정오마다 촬영한 오이묘 영상은 영상처리를 통해 캐노피의 반사값 추출 및 식생지수 NDVI, GNDVI를 산출하였다. 오이 묘의 수분함량은 촬영 직후 측정한 생체중과 건물중을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오이 묘의 식생지수와 수분함량을 선형회귀분석하여 추정 모델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추정 모델은 정확도(R²)및 정밀도(RMSE)로 성능을 평가하였다. 식생지수 NDVI, GNDVI를 이용한 오이 묘 수분함량 추정 모델의 정확도는 0.31, 0.13로 나타났으며 정밀도는 8.19%, 9.14%로 낮게 나타났다. 온실 내 구조물에 발생하는 그림자 영향을 최소화하고자 촬영시 차광막을 설치했으나 샘플 위치마다 그림자의 영향을 받아 광이 불균일하여 모델의 성능이 낮게 나타난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샘플 위치를 나누어 재분석하였다. 그 결과 NDVI를 이용한 앞쪽 배치된 오이 묘 수분함량 추정 모델의 정확도 및 정밀도는 0.58, 5.97%가 나타났으며 뒷쪽 배치된 오이묘 수분함량 추정 모델의 정확도 및 정밀도는 0.15, 9.99%가 나타나 앞쪽에 배치한 샘플은 뒷쪽에 배치한 샘플에 비해 상대적으로 그림자의 영향을 덜 받아 광이 균일하여 모델의 성능이 개선되었을 것으로 판단된다. 문제점을 보완하고 개선한 모델을 통해 변량 관수 시스템 도입에 기초자료로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회전익 무인기에 탑재된 열화상 센서를 이용한 콩 수분 스트레스 판별

        장시형 ( Si-hyeong Jang ),유찬석 ( Chan-seok Ryu ),강예성 ( Ye-seong Kang ),박준우 ( Jun-woo Park ),김태양 ( Tae-yang Kim ),강경석 ( Kyeong-suk Kan ) 한국농업기계학회 2020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5 No.1

        콩은 수분 영향을 크게 받는 작물 중 하나이며 수분 관리를 제대로 안될 시 생육 장해가 발생하고 수확량이 감소하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 무인기에 탑재된 열화상 센서를 이용하여 콩의 수분 스트레스 여부 추정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실험 포장은 경상남도 밀양시에 위치하고 있으며 (35°26'59.8"N 128°47'08.2"E) 가로 6m, 세로 9m로 나누어진 18개 블럭으로 이루어져 있다. 관수(12곳), 미관수(6곳) 블록을 나누어 지하부에 수분 센서를 설치하고 자동관수 시스템을 이용하여 7월 28일부터 수확 전까지 관수량을 조절하였다. 회전익 무인기(Matrice 200 v2, DJI Technology Co. Ltd., China)에 열화상 센서(altum, Micasense Inc, USA)를 탑재하여 8월 1일부터 10월 4일까지 총 6차례 영상을 취득하였다. 취득한 개별 영상들은 하나의 영상으로 접합한 후 섭씨온도로 변환하여 콩 캐노피 영역 온도값을 추출하였다. 추출한 온도값을 이용하여 관수 여부에 따른 캐노피 온도 차이를 비교하였다. 또한 토양 수분함량과 생육데이터(생체중)를 t-test검정하여 수분 스트레스 여부를 추정하였다. 열화상 센서를 이용하여 관수 여부에 따른 캐노피 온도 차이 분석한 결과 2차례(8월 1일, 8월 19일) 기간에서 온도 차이가 나타났다(p<0.05). 반면에 나머지 4차례(8월 8일, 9월 6일, 9월 20일, 10월4일) 기간에서 온도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는데 영상을 취득하기 전 날 강수영향으로 인해 캐노피 온도가 회복했을 것으로 판단된다. 관수 여부에 따른 토양 수분함량 및 생육 차이 분석한 결과 캐노피 온도 차이와 달리 8월 19일에서만 차이가 나타났다. 8월 1일에서 일부 관수 블럭의 배수가 불량하여 토양 내 수분이 과다로 양분 부족으로 인해 생육 부진이 나타난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를 통해 짧은 시간에 생육 상태를 진단하고 적정 시기에 수분 공급하여 재배 관리에 도움을 줄 것으로 판단된다.

      • 식생지수를 이용한 봄감자 생육시기별 염해 예측 모델

        박준우 ( Jun-woo Park ),유찬석 ( Chan-seok Ryu ),강경석 ( Kyeong-suk Kang ),장시형 ( Si-hyeong Jang ),김태양 ( Tae-yang Kim ),강예성 ( Ye-seong Kang ),백현찬 ( Hyeon-chan Baek ),박민준 ( Min-jun Park ),김치호 ( Chi-ho Kim ) 한국농업기계학회 2021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6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생육 시기별로 인위적인 염 스트레스를 받은 봄감자를 다중분광 영상으로 촬영하여 정상과 염 처리의 구분 및 염처리 농도에 따른 분류 가능성을 검토하여 염해 피해 정도를 예측할 수 있는 모델을 개발하는 데 있다. 실험은 전라북도 김제시 광활면 새마을 간척지 시험포장에서 봄감자 (수미)의 영양생장기 (VP), 괴경형성기 (TFP)와 괴경비대기 (TGP)에 각각 정상관수 (0.5 dS/m), 염 농도별 관수 (2, 4, 8 dS/m) 처리하였다. 다중분광 센서 (Altum, MicaSense, USA)를 탑재한 무인기를 이용하여 각 생육 시기별로 염 처리 후 10일 차 정오에 영상을 취득하였다. 잎의 반사값을 식생지수 (NDVI, GNDVI, NDRE, EVI, VARI, ExG)로 변환 후 일원배치 분산분석 (One-Way-ANOVA)을 통해 각 생육 시기별 염농도의 구분 가능성을 비교하였다. 영양생장기에서는 NDVI, 괴경형성기에서는 NDVI, VARI 및 ExG를 제외하고 정상과 염해(2 dS/m, 4 dS/m, 8 dS/m)로 구분하는 것이 가능하였고 괴경비대기에서는 모든 식생지수로 두 그룹으로 분류하는 것이 가능하였다. 염 처리 농도는 영양생장기 및 괴경비대기에서는 일부 염농도 간의 구분을 제외하고 모든 식생지수를 이용하여 분류하는 것이 가능하였다. 괴경형성기에서는 EVI를 이용하여 염처리 농도별 분류가 가능하였다. 식생지수에 관계없이 영양생장기에서는 2 dS/m과 4 dS/m, 괴경비대기에서는 2 dS/m와 4 dS/m 및 4 dS/m와 8 dS/m를 구분하는 것이 불가능하였다. 추후 타 간척지 필지에 심겨진 봄감자 또는 내년도 봄감자의 분광데이터에 적용하여 염해 예측 모델 재현성 검토 및 보정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 초분광 영상을 이용한 딸기 역병(Phytophthora cactorum) 반응 측정

        진효정(Hyo Jeong Jin),윤석한(Seok Han Yoon),김우일(Uil Kim),황연현(Yeon Hyeon Hwang),장영호(Young Ho Jang),강경석(Kyeong Suk Kang) 한국원예학회 2021 한국원예학회 학술발표요지 Vol.2021 No.10

        딸기 역병은 Phytophthora cactorum에 의해 여름 고온기와 수확 초기에 관부, 뿌리, 꽃대, 잎 등에서 발생하며 갈변되는 증상을 보인다. 역병은 토양과 물에 의한 전염으로 발생하기 때문에 병이 발생하면 작물보호제로 치료가 어렵고 진단을 위해서는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최적 방제시기에 대응하지 못하는 물리적 한계가 존재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작물의 상태를 측정하는 방법 중 신속·비파괴적 품질 계측 방법인 초분광(400nm ‒ 1000nm) 영상기술을 이용하여 딸기 역병 반응을 조기 진단 하고자 수행하였다. 시험방법은 딸기 ‘금실’ 품종을 대상으로 관부에 상처를 낸 후 유주자 현탁액을 토양관주 하였으며, 초분광 영상을 4월 26일부터 6월 1일까지 37일 동안 측정하였다. 취득한 영상은 ENVI 소프트웨어(ENVI 5.3, Exelis Visual Information, USA)를 이용하여 표준반사판으로 광 보정된 식물체에서 밴드의 반사율을 추출하였다. 육안으로 역병이 나타난 처리구의 초분광 영상을 역추적한 결과 가시적으로 역병이 나타나기 3일전부터 718nm 이상의 비율값에서 처리구들의 차이가 발생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Real-time PCR 결과에서도 Positive인 딸기 역병균과 같이 Melting temperature가 88.50으로 처리구에서도 동일하게 peak를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해 특정 파장의 적외선 영상이 딸기의 역병 반응에 이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추가적인 실험을 통해 정확도를 확보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