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가야불교 전래시기의 사상적 경향성 연구

        정일 ( Hwang Jung-il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23 동아시아불교문화 Vol.- No.60

        본 연구는 가야불교 전래시기의 불교적 경향성을 파악하고자 했다. 이에 허왕후(許王后)가 도래한 시점인 1세기에 해로를 통해서 불교가 전래되었다면, 대승불교일 가능성이 크며, 반면에 육로를 통해서 전래되었다면, 소승 부파불교일 가능성이 있음은 논구하였다. 또한, 왕후사(王后寺) 건립 시기인 5세기에 불교가 전래되었다면, 당시 가야는 백제로부터 불교를 전해 받았던 것으로 추측된다. 그리고 당시의 백제는 동진(東晉)의 격의불교적(格義佛敎的) 경향성에 영향받은 것으로 추정된다. 그렇지만, ‘격의불교=대승불교’라고는 할 수 없으므로 백제나 가야에 전래된 불교가 대승불교라고는 단정할 수 없음을 논구했다. 오히려 삼국에 불교가 전래될 당시의 사원건축이나 탑의 양식 등을 볼 때, 당시 전래된 불교가 소승 부파불교일 가능성이 있음을 논구했다. 더욱이 백제의 겸익(謙益)이 소승 부파불교의 5부율(五部律)을 가지고 와 새로운 율서[新律書]를 편찬했을 정도로 백제에는 소승 부파불교의 영향력이 컸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백제불교는 전래 초기부터 적어도 6세기까지 소승 부파불교의 경향성을 띠고 있었으며, 백제에서 전래된 가야불교 역시 그러한 경향성이 있었을 것으로 논구했다. This study sought to understand Buddhist tendencies during the period when Gaya Buddhism was introduced. Therefore, when Heo hwang hoo (許皇后) arrived in the first century, if Buddhism was passed down through sea, it was likely to be Mahāyāna Buddhism (大乘佛敎), whereas if it was passed down through land, it was discussed that it could be Hinayāna Buddhism (小乘佛敎). In addition, if Buddhism was introduced in the 5th century, when Wanghu temple (王后寺) was built, it is presumed that Gaya received Buddhism from Baekje at that time. And it is presumed that Baekje at that time was influenced by the tendency of Gyeogui Buddhism (格義佛敎) from Dongjin (東晉). However, since it cannot be said that “Gyeogui Buddhism = Mahāyāna Buddhism”, it was argued that the Buddhism introduced to Baekje or Gaya cannot be concluded to be Mahāyāna Buddhism. Rather, considering the temple architecture and the style of the pagoda when Buddhism was introduced to the Three Kingdoms, it was discussed that Buddhism that was introduced at the time may be Hinayāna Buddhism. Moreover, it can be seen that the influence of Hinayāna Buddhism was so great in Baekje that Gyeomik (謙益) of Baekje brought the obuyul (五部律) of Hinayāna Buddhism and compiled a new Yulseo (新律書). Therefore, it was argued that Baekje Buddhism tended to be Hinayāna Buddhism from the beginning of the tradition until at least the 6th century, and Gaya Buddhism, which was introduced from Baekje, also likely showed the same tendency.

      • KCI등재

        가야불교 전래 지역 아유타에 대한 연구 -한역 경전에 나타난 음역어를 중심으로-

        정일 ( Jung Il Hwang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6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25

        본 논문은 가야불교 전래지인 인도 아유타가 실재한 도시였는지를 한역불전에 근거해 연구한 논문이다. 이에 가야불교 전래지로 추정되는 아유타와 관련해 3가지 학설이 주류를 이루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첫 번째는 가야불교의 전래지를 현재의 북인도에 실재하는 아유타(Ayodhya)로 보는 것이다. 이는 『삼국유사(三國遺事)』에 나오는 『가락국기(駕洛國記)』의 내용을 하나의 역사적 사실로 받아들이는 설이다. 반면에 두번째는 아유타라는 지명 자체가 『라마야나(Ramayana)』의 신화에 근간을 둔허구라고 주장하는 것이다. 즉 고대 인도의 사께따(Saketa)라는 지역이 『라마야나』에 의해서 라마의 탄생지인 아유디야(Ayodhya)로 바뀌었다는 것이다. 따라서 『삼국유사』에 나오는 「가락국기」의 내용은 역사적 사실이 아닌 하나의 허구로 보는 것이다. 세 번째는 아유타가 북인도에 있었다거나 『라마야나』에 근거한 허구가 아니라, 남인도의 아유디야 꾸빰(Ayodhya Kuppam) 혹은 그 일부 지역일 것이라는 주장이다. 그리고 이 주장은 아유타라는 지명이『라마야나』에서 유래한 것임을 인정하지만 지리적으로는 실재한 도시임을 주장하는 차이가 있다. 하지만 본 연구를 통한 가야불교 전래지인 아유타에 관해서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이에 논자는 한역 불전에 나오는 아유타의 음역어(音譯語)를 추적한 결과, 한역 불전에서의 아유타(阿踰陀)는 적어도 10개의 음역어를 갖고 있으며, 한자표기로는 14개가 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따라서 아유타와 관련한 음역어를 조사한 결과, 초기경전인 『잡아함경(雜阿含經)』에 이미 아유타의 음역어인 아비사(阿毘도)와 아비타(阿毘陀)가 나올 뿐만 아니라, 사께따의 음역어인 사기(娑祇) 또는 파기(婆祇) 역시 나온다. 이는 이미 아유타와 사께따가 공존했다는 증거로 사께따가 『라마야나』에 의해서 아유타로 되었다는 주장과 모순된다. 또한 사께따가 『라마야나』에 의해서 아유타로 되었다는 증거로 법현(法顯)의 『고승법현전(高僧法顯傳)』 이전에는 아유타라는 지명이 없었다는 주장 역시 『고승법현전』 이전에 역경된 『불설수말소표경(佛說水沫所漂經)』이나 『불소행찬(佛所行讚)』 등에 아유타의 음역어인 아영사(阿迎도)나 아수사(阿輸도) 등이 나옴으로 재고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한 가야불교 전래지인 아유타는 초기불전에 실재하는 도시로 나올 뿐만 아니라, 부처님과 관련한 여러 에피소드를 갖고 있는 불교신봉지역임은 틀림없어 보인다. 따라서 가야불교가 인도 아유타로부터 전래되었다는 설은 그 과정의 맥락은 확신할 수 없지만, 적어도 허구적이지 않다는 것은 확실해 보인다. This study intends to find out whether Ayuta, where Gaya accepted Buddhism from, was a city that existed then or not, using Chinese Sutras. There are three main theories about the existence of Ayuta which is assumed to be the place where Gaya Buddhism came from. The first theory is, seeing Ayuta in the Chinese Sutras as the current Ayodhya in North India. This theory accepts the 「Story of the Geumgwan Gaya(駕洛國記)」 in the 『Memorabilia of the Three Kingdoms(三國遺事)』as a historical account, insisting Buddhism was transmitted to Gaya from Ayuta. The second theory states, the name Ayuta came from an Indian literature, 『Ramayana』 which is a Hindu mythology. It says Ayodhya where Rama was born in 『Ramayana』is actually an Ancient Indian city called Saketa. Also, in the second theory, the 「Story of the Geumgwan Gaya」 in 『Memorabilia of the Three Kingdoms』 is considered a folktales, not a historical event. The third theory states that Ayuta is either Ayodhya Kuppam or a part of Ayodha Kuppam which is located in the South India. It says the name Ayuta did come from 『Ramayana』, yet, the geographical existence of the city itself is still considerable. Through researching Chinese Sutras about the existence of Ayuta, it can be summarized as the follow. Looking at the sound-translation words from the Chinese Sutras, Ayuta has at least ten sound-translations, and it can be written in fourteen different Chinese characters. In one of the early sutras,『Agama(雜阿含經)』, Ayuta is sound-translated to Abhisa(阿毘도) or Abhita(阿毘陀), and Saketa is sound-translated to Sagi(娑祇) or Pagi(婆祇). This shows Ayuta and Saketa existed in the same period. Therefore, the second theory, saying Saketa is the same as Ayuta, is contradictory. Some scholars say that since the name Ayuta was not found in any records before Faxien``s travelogue, 『Record of the Buddhistic Kingdoms(高僧法顯傳)』, it proves that Saketa is the same place as Ayuta in 『Ramayana』. Only, it should be reconsidered due to Ayuta actually being found as Ayungsa(阿迎도) and Asusa(阿輸도) in the earlier records, 『Bulsulsumalsophyo-gyung(佛說水沫所漂經)』and 『Buddhacarita(佛所行讚)』. In conclusion, referring to the Early Sutras, Ayuta seems to be existed then, containing many episodes related to the Buddha and was cherished by many people as a sacred place. It is not clear how Buddhism transmitted to Gaya from Ayuta, yet, it does not look like a total fiction at least.

      • KCI등재

        『아비달마디-빠』의 삼세실유론 연구

        정일(Hwang, jung-il) 보조사상연구원 2014 보조사상 Vol.41 No.-

        『디빠』는 『순정리론』과 마찬가지로 세친의 『구사론』을 반박하기 위해 지어진 논서이므로, 그 구성은 『구사론』과 같다. 그러나 『순정리론』이 『구사론』의 내용을 답습하고 있는 반면에, 『디빠』는 구성방식이나 내용에 있어 차이를 보이고 있다. 『구사론』이 유부 4대 논사의 설을 시작으로 하여, 유부의 삼세실유론을 비판하고 있다면, 『디빠』는 불교내의 타학파인 비유자나 분별론자 등의 4학파를 거론해 비판하고 있다. 외도학파의 비판과 관련해서는 세우의 삼세실유설이 샹캬의 25제설과 와이셰시까의 극미집합론을 배격하는 가장 수승한 설이라고 한다. 이는 세친이 법구의 설뿐만 아니라 세우의 설도 샹캬의 전변설로 몰아가고자 하는 것에 대한 반증과 더불어 유부와 와이셰시까의 극미론이 서로 다르다는 것을 밝히고자 한 것으로 보인다. 끝으로 디빠까라는 세친을 대승의 공성론자로 하여, 대승불교로 전향한 세친을 비판하고 있다. 『순정리론』에서도 대승 공론자에 대한 언급은 있지만, 세친을 그와 같이 비판하지는 않았다. 그러나 디빠까라는 세친이 『구사론』 저작 이후, 실제적으로 대승으로 전향했을 뿐만 아니라, 유식의 『삼성론』을 저작한 대승론자이기 때문에 그를 설일체유부로부터 타락한 대승의 공성론자라고 비판한다. Like 『Abhidharma-nyāyānusāra-śāstra』,『Abhdharmadīpa』is a treatise made to refute the 『Abhidharmakośabhāṣya』of Vasubandhu, therefore its composition is the same to that of 『Abhidharmakośabhāṣya』. However, while 『Abhidharma-nyāyānusāra-śāstra』is following the contents of 『Abhidharmakośabhāṣya』, 『Abhdharmadīpa』is different from it in terms of both the method of organizing and the contents. Firstly, the difference in organizing is that while『Abhidharmakośabhāṣya』starts from the stories of the four great masters of the existence school to criticize their theory of the Three Time Periods Exist in Real, 『Abhdharmadīpa』is criticizing by mentioning Dārṣṭāntika, from another school within Buddhism. Also, it can also be seen that the criticism includes that of Mādhymaka and Vijñānavāda, which has not been discussed before. Especially in terms of the contents, on the issue of 『Paramārtha- śūnyatā-sūtra』 mentioned to criticize the minor evidence 1 of the existent school by Vasubandha, it was mentioned to reject the school arguing for the recognition theory of satkāryavāda like Sāṃkhya and Veda, which is a different understanding. These are also his unique arguments that: the existence is classified into four categories, and ubhayathā is mentioned as one of them; the theory of Vasumitra is a theory to reject the theory of existence by Sāṃkhya and Vaiśeṣika in criticizing the outside teachings; the theory of Dharmatrāta is called as a pariṇāmavāda of Sāṃkhya like that of Vasubandhu; and the viewpoint that the theory of Buddhadeva is seen as a tīrthya-pakṣa. Lastly, in 『Abhdharmadīpa』, it can be seen that criticism on Mahāyāna Śūnyavādaka is came to the surface. Especially, calling Vasubandhu a Vaitulika who has corrupted from Sarvāstivādin, in other words, a Śūnyavāda of Mahāyāna allows to assume the ideological trend of Vasubandhu at the time. In other words, although Vasubandhu was not a Śūnyavāda at the time of writing 『Abhidharmakośabhāṣya』, but he had practically turned into Mahāyāna afterwords, and became a Śūnyavāda who has written『Trisvabhāva-nirdeśa』of Vijñānavāda.

      • KCI등재

        법구의 삼세실유설에 대한 비판과 그 의미- 『아비달마디-빠』의『수면품』을 중심으로

        정일 ( Jung Il Hwang ) 한국불교선리연구원 2013 禪文化硏究 Vol.14 No.-

        본 연구는 유부의 4대 논사 중의 한 사람인 법구(Dharmatrata)의 삼세실유설을 둘러싼 여러 논서와 논사들의 평가를 통해, 법구설에 대한 비판과 그 의도를 살펴보자한 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법구설에 대한 세친의 비판과 중현의 반론을 중심으로 그 전후의 논서 및 논사들의 평가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세친 이전의 유부 논서에서는 『大毘婆沙論』이 처음 법구설에 대해 문제제기를 했지만, 그 전후로 한 논서에서는 구체적인 비판을 찾을 수는 없었다. 다만 『雜阿毘曇心論』에서 “이것이 전변하는 살바다.”라는 내용이 있지만, 그 내용만으로 법구설이 샹캬(Samkhya)의 전변설(parinama)과 같다는 확증은 될 수 없음을 밝혔다. 그러나 세친은 법구설이 우중외도(雨衆外道, Varsaganya) 의 주장과 같다고 하여, 법구설을 샹캬의 전변설로 치부한다. 그리고 그 의도는 법구의 유부동설(類不同說)이 세우의 위부동설(位不同說)과 다르지 않다는 것을 말하고자 한 것으로 보인다. 즉 법구설을 샹캬의 전변설로 치부함으로써 유부의 정통설로 인정받는 세우의 설마저 샹캬의 전변설로 몰아가고자 하는 의도에서 비롯되었다고 생각한다. 이에 중현은 그 의도를 차단하기 위해, 법구설은 세우의 설과 다르지 않다고 전제하고서, 세친의 비판에 대해 조목조목 반박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중현의 사상을 계승했다고 평가받는 『아비달마디 - 빠』의 저자인 디빠까라(dipakara)는, 법구설은 세친이 비판한 바와 같이 샹캬의 전변설과 같다고 비판하고 있다. 이는 디빠까라가 반드시 중현의 사상을 계승한 것은 아니라는 것을 반증하는 한 예가 된다. 그리고 그와 같은 비판의 의도는 당시 세력이 강성해진 대승불교와 외도들의 사상에 대항하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즉 법구설로 인해, 타학파로부터의 오해의 여지를 없애고, 유부의 정통사상을 재확립하기 위한 의도로 보인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critics of Dharmatrata`s theory and their intents based on various treatises and assessments about the theory of real existence of the three time - periods of Dharmatrata, one of the four great masters of the existence school. This paper`s main exploration centers around the criticism of Vasubandhu about Dharmatrata`s theory and the counter - argument of Samghabhadra and covered related discussions and assessment of masters. As for discussions of the existence school prior to Vasubandhu, Abhidharma - mahavibhasa- sastra was the first to raise an objection to Dharmatrata`s theory. However, there was no other criticism of Dharmatrata`s theory before and after this objection. Still, Vasubandhu maintained that Dharmatrata`s theory was identical to Varsaganya`s maintenance, arguing that Dharmatrata`s theory should be identical to Samkhya`s theory of parinama. The intention might have been that Dharmatrata`s theory was not different from Vasumitra`s theory. This means that it was aimed to maintain that even the theory of Vasumitra was Samkhya`s theory of parinama by regarding Dharmatrata`s theory as Samkhya`s theory of parinama. Hence, Samghabhadra assumed that Dharmatrata`s theory was not different from Vasumitra`s theory in order to prevent the realization of such an intention and raised objections to criticism of Vasubandhu thoroughly one by one. However, Dipakara, often considered to be a successor of Samghabhadra`s thoughts maintained that Dharmatrata`s theory was no different from Samkhya`s theory of parinama, criticizing Dharmatrata`s theory. This disproves the maintenance that Dipakara necessarily succeeded Samghabhadra`s thoughts. Also, his intention was to counter - balance Mahayana Buddhism and non - buddhist teachings which became prevalent by then. In other words, the intention was to remove any misunderstanding of other schools arising from Dharmatrata`s theory and establish orthodox thoughts of the existence school.

      • KCI등재

        법구의 삼세실유설은 전변설인가⑴ : 세친의 비판과 중현의 반론을 중심으로

        정일(Hwang, jung-il) 보조사상연구원 2010 보조사상 Vol.34 No.-

        세친은 『구사론』을 통해, 유부의 사상을 비판한 대표적인 논사임에 반해, 중현은 ?순정리론?을 통해, 세친의 비판을 반론한 대표적인 논사이다. 그리고 이 비판과 반론에 있어 가장 첨예하게 대립하고 있는 부분이 존재론, 즉 유부의 삼세실유론을 둘러싼 논쟁이다. 삼세실유론과 관련한 논쟁에서 가장 먼저 언급되는 것이 바로 법구의 설로, 세친은 그의 설을 샹캬의 전변설로 보지만 중현은 그의 설이 세우와 별반 다르지 않다고 반론한다. 사실 중현이 세친의 비판에 대해, 그와 같이 반론하는 가장 큰 이유는, 법구의 설이 샹캬의 전변설로 치부되면, 세우의 설 역시 그와 같은 비판을 받을 수밖에 없기 때 문이다. 법구의 설은 정말 샹캬의 전변설과 같은 것인가. 문제의 단초를 제공한 『대비바사론』이나 그 전후의 유부 논서를 보면, 법구의 설이 전변설이라고 단정할 수 있는 것은 없다. 다만, 『잡아비담심론』에서 법구의 설에 대해, ‘이것인 전변하는 살바다(존재)이다’고 하는 대목만이 유일하게 유추할 수 있는 부분이다. 그러나 세친은 확장된 샹캬의 전변설을 근거로 법구의 설을 샹캬의 전변설로 확정하고 나아가 그것을 근거로 세우의 설까지도 전변설의 한 유형으로 비판하고 있다. 하지만 중현은 법구의 설은 세우의 설과 별반 다르지 않다고 하는데, 중현과 세친은 각각 샹캬의 전변설에 대한 다른 이해를 전제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Vasubandhu is a representative debater to criticize thought of Sarv?stiv?din in the Abhidharmako?abh??ya and Sa?ghabhadra is also a representative debater to make a counterargument against criticism of Vasubandhu through the Abhidharma-ny?y?nus?ra-??stra. And the sharp opinion taking issue about this criticism and counterargument is the ontology, that is to say, a dispute about the Three Time Periods Exist in Real of Sarv?stiv?dain. What is mentioned first about argument involved with the Three Time Periods Exist in Real is the very theory of Dharmatr?ta. Vasubandhu regards his theory, that is to say, the theory of Dharmatr?ta as the pari??ma of S??khya. But Sa?ghabhadra makes a counterargument that his theory is not much different from that of Vasumitra. The special reason Sa?ghabhadra set forth a counterargument like so, about criticism of Vasubandhu is the very that if the theory of Dharmatr?ta is treated as the pari??ma of S??khya, the theory of Vasumitra has also nothing to do but be received the criticism of the kind. Actually, Is the theory of Dharmatr?ta identical with the the pari??ma of S??khya? when it comes to the analyzing the Abhidharmamah ?vibh???-??stra and the text of Sarv?stiv?din, the theory of Dharmatr?ta is difficult to be identified with the pari??ma of S??khya. The phrase "this is the sattva of transformation" is the only part that the theory of Dharmatr?ta can be inferred about the pari??ma of S??khya about the theory of Dharmatr?ta in the Sa ?yukt ?bhidharma-h ?daya. But Vasubandhu is based on the expanded pari??ma of S??khya, and he is confident that the theory of Dharmatr?ta is the pari??ma of S??khya. And then he has a base on this theory, and has criticized that the theory of Vasumitra is also the one type of the pari??ma theory. However, Sa?ghabhadra says that the theory of Dharmatr?ta is not much different from the theory of Vasumitra. We can concluded that both Sa?ghabhadra and Vasubandhu have a different premise of understanding the pari??ma of S??khya each other.

      • KCI등재

        각천(覺天, Buddhadeva)의 사상적 경향성 연구

        정일 ( Hwang Jung Il ) 인도철학회 2017 印度哲學 Vol.0 No.50

        각천(覺天, Buddhadeva)은 유부 4대 논사로서 삼세를 대부동설(待不同說, anyathanyathatva)에 근거해 건립한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하지만 4대종(大種)과 심(心)만의 실체를 인정하고 4대 소조색(所造色)과 심소(心所)의 별체를 부정한 것이나 멸진·무상정(滅盡·無想定)의 유심설(有心說)등을 주장하여 유부와 대립각을 세웠다. 더욱이 각천의 주장 대부분은 정통 유부의 최대 논적인 비유자(譬喩者, Darstantika)의 주장과 궤를 같이 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즉 신·구바사론 (新舊婆沙論)에서의 각천설을 보면, 그의 법유론(法有論) 이외에 많은 부분 비유자의 설과 유사한 주장을 한다. 이에 시즈타니 마사오(靜谷正雄)는 문헌적 분석과 더불어 마투라 지역에서 발견된 각천과 관련한 명문(銘文)을 근거로 각천을 비유자의 선험이라고 주장했다. 즉 당시의 마투라 지역은 카슈미르 정통 유부나 간다라 유부와 공간적, 물리적 거리로 인해 정통 유부의 영향을 덜 받을 수 있었다는 것과 마투라가 대중부(大衆部, Mahasamghika)의 주요 활동 지역이었다는 것이다. 따라서 만약 명문에 언급된 궤범사 각천(Arya Buddhadeva)이 유부 4대 논사 중의 각천이라면, 그의 사상적 경향이 정통 유부적 관점에서는 다소 벗어난 비유자적 경향을 띈 것은 오히려 당연한 것으로 생각된다. Buddhadeva, who was one of the greatest treatise masters of Sarvastivada, is well known for establishing his idea of the three times(三世) based on the anyathanyathatva(待不 同說). In his assertion, not only did he accept the existence of four elements(catvarimahabhutani, 四大種) and the mind(citta, 心), but also he denied the separate entity of the derivative matter from four elements(四大所造色) and the mental functions(caitta, 心所). Nonetheless, since he held to his view on the possessing mind(有心說) of cessation and concentration without thought (滅盡, 無想定), he had a confrontation with Sarvastivadins. Furthermore, his most contention had many parallels with those of Darstantika(譬喩者) who was a philosophical opponent of Sarvastivada. To be specific, concerning the citation of Buddhadeva in Abhidharmamahavibhasasastra and Abhidharmavibhasasastra(大毘婆沙論, 阿毘曇毘婆沙論), it is possible to know that Buddhadeva and Darstantika made similar claims in many cases. In addition, Shizutani Masao(靜谷正雄) insisted that Buddhadeva was a transcendental figure of Darstantika based on the inscription bearing the name of Buddhadeva, which was discovered in the vicinity of Mathura. This is largely because the Mathura region was less influenced by Sarvastivada in Kashmir as well as Gandhara because of physical and geographical distances, and Mathura is the important place where the Mahasamghika(大衆部) were based in. Therefore, if AryaBuddhadeva appeared in the inscription were Buddhadeva who was one of the greatest treatise masters of Sarvastivada, it is no wonder that Buddhadeva`s ideology deviating slightly from Sarvastivada showed a similar tendency with that of Darstantika.

      • KCI등재

        효봉, 보조 계율사상의 계승과 발전

        정일(Hwang Jung il) 보조사상연구원 2017 보조사상 Vol.47 No.-

        본 연구를 통해 본 효봉(曉峰, 1888-1966)은 간화선 수행자일 뿐만 아니라 계율을 철저히 지키는 율사(律師)였다. 이에 그의 삶과 사상을 보면, 보조국사 지눌의 영향이 지대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효봉의 법명이 고봉 원명에서 효봉 학눌(學訥), 즉 ‘지눌을 배우다’로 개명한 기연에서도 알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효봉이 송광사 삼일암(三日庵)에 주석하면서 보조의 목우가풍(牧牛家風)과 정혜쌍수(定慧雙修)의 선풍(禪風)을 재현하고자 제2정혜결사운동을 일으킨 것에서도 잘 알 수 있다. 그러나 두 결사를 비교해 보면, 보조의 정혜결사가 다소 수동적, 은둔적이라면, 효봉의 제2정혜결사는 능동적, 적극적인 결사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차이는 효봉이 처한 당시의 한국불교의 현실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즉 조선의 억불정책과 일제강점기의 왜색불교로 인해 한국불교의 존립자체가 위협받던 시기였기 때문일 것이다. 이것은 효봉이 보조의 정혜결사정신을 계승해서 자신의 시대적 상황에 맞게 발전시킨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효봉은 삼학(三學)에 있어서도 보조의 삼학에 큰 영향을 받았다. 보조의 삼학은 곧 육조(六祖) 혜능(慧能)의 삼학을 전승 및 발전시킨 것으로, 효봉의 삼학은 두 스승의 삼학을 자신의 방식으로 계승 및 발전시킨 것이라 할 수 있다. 특히, 효봉은 계율을 ‘집터’로 비유함으로써 계율이 보다 근본적인 의의를 갖는 것임을 밝히고 있다. 정혜결사의 이념에 대한 이해사(理解史) 속에서 계학은 너무나 오랫동안 외면되어 왔지만, 효봉 만큼은 보조의 결사정신이 계학(戒學)에 뿌리를 두고 있음을 알고 있었다. 더욱이 효봉은 단지 이해에만 그치지 않고 제2정혜결사, 종단정화운동 등을 주도함으로써 당시의 타락한 한국불교를 혁파하고자 했다. Through the this study, it is possible to identify venerable Hyobong(曉峰, 1888-1966) was the practitioner of the phrase-observing meditation(看話 禪) as well as the master of the rules of the discipline. Not only to this, the study enables us to know that Buddhist national teacher Bojo Jinul(普照 智訥, 1158-1210) was the one who most affected Hyong. This is largely because his dharma name was changed into Hyobong Haknul(曉奉 學訥), which means ‘learn from the venerable Bojo Jinul’ from Unbong Wonmyeong(雲峰 元明). Furthermore, while staying at the Samil hermitage(三日庵) of the Songgwang temple(松廣寺), Hyobong led the second movement of samādhi and prajñā society(定慧結社) to reenact the cowherd (a metaphor for the task of bringing the mind to awakening) family tradition(牧 牛家風) of Bojo and to reawaken the Chan style(禪風) of dual practice of meditation and wisdom(定慧雙修). However, in comparison with the first movement, the second which Hyobong guided was different: while the first movement of samādhi and prajñā society of Bojo was slightly passive and seclusive, the movement of Hyobong was active and aggressive. Such a difference was attributed to the reality of Korean Buddhism at that time when Hyobong had practiced. In other words, Korean Buddhism was threatened not only by the policy of suppressing Buddhism in the Joseon Dynasty period but also by Japanese style Buddhism during Japanese colonial era. Therefore, Hyobong needed to succeed to the spirit of the movement of Bojo by adjusting it in accordance with his time and situation. In addition, with regards to the three disciplines(三學), Hyobong followed the teaching of sixth patriarch Huineng(慧能, 638-713) to develop the doctrine of three disciplines of Bojo. Hyobong, in particular, used an expression ‘a site for a house’ as a metaphor for moral restraints and rules of discipline(戒律) to clarify the fundamental meaning of discipline itself among the three disciplines. The discipline by the precepts has been disregarded among the three disciplines for a long time. However, it was not until he started the second movement that it was possible to know the spirit of the movement of Bojo was rooted in the discipline by the precepts. Moreover, taking the lead in the second samādhi and prajñā movement and the religious order movement for purification, Hyobong had aimed at reforming Korean Buddhism at that time.

      • KCI등재

        章太炎的『齊物論釋』的語言觀

        黃晶一(Hwang, Jung-il) 중국어문학연구회 2012 중국어문학논집 Vol.0 No.72

        본고에서는 장타이옌(章太炎)의 『齊物論釋』에 드러나는 언어관에 대해 고찰해보고자 한다. 장타이옌은 『齊物論釋』에서 불교의 유식으로 장자의 제물론을 해석하는 것을 시도하면서 언어의 ‘비어있음’을 강조하였다. 본고에서는 장타이옌이 식(識)에 기반하여 사물에 집착하는 언어관이 허구임을 폭로하는 것과 언어로써 언어를 부정하고 있는 방식에 주목하였다. 장타이옌은 『齊物論釋』에서 언어의 허구성을 직시하면서 이를 불교의 유식(唯識)개념으로 풀어내고 있다. 유식에서는 한 개념에 상응하는 객관적 실체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그 한 개념의 의미는 그것을 포함하고 있는 전체의 관계 안에서 다른 개념들을 통해서만 규정될 수 있다고 보는 것처럼, 장타이옌은 언어의 허망함을 직시하고 일체의 전복을 시도하였다. 장타이옌은 언어의 혁명론적 사고를 통해 ‘언어’로써 ‘언어’를 극복하고자 하였다. 또한 장타이옌은 이러한 文에 대한 반성적 사유를 바탕으로 개인과 언어와의 관계성에 근거하여 차이 있음의 평등(‘以不齊爲齊’)을 실현하고자 하였다. 장타이옌은 “無我”의 상태를 견지함으로써 『齊物論釋』에서 언어를 포함한 일체의 고정된 실체를 부정하였고 이로써, ‘말하고자 하는 것’과 ‘말하는 것’ 사이의 긴장관계에 주목하였다. 장타이옌의 文의 혁명론은 중국의 현대성에 대한 답을 구하기 위한 노력의 실천적 자세를 전제로 한다. 장타이옌은 보편이라고 불리는 것을 “끊임없이” 반성하고 그 대안을 모색하였다. 장타이옌의 혁명론의 중요성은 새로운 대안에 대한 그 깨달음 자체에 있지 않다. 장타이옌의 혁명적 사유는 단순히 깨달음의 차원에 머물러 있지 않고, 장자를 유식으로 해석함으로써 『齊物論釋』에서 얻은 깨달음을 “文”의 전복적 사유로써 실천하고자 한 데 있다. 그러므로 언어를 언어로써 부정하고 관계론적 사유를 강조하는 노력이야말로 장타이옌이 상대주의 평등론을 실현하고자 하는 일관된 혁명의 자세라 할 수 있다.

      • KCI등재

        부파불교 불설 논쟁으로 본 불설의 의미

        정일 ( Hwang Jung-il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8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35

        한국불교사에서 불설·비불설 논란이 불거진 것은 1990년대 이후 초기불교에 대한 연구가 본격화 되는 시점부터일 것이다. 이후 이 논란은 최근 권오민이 대·소승의 불설 기준은 전통이나 권위가 아닌 법성에 근거한다는 초종파적 불설론을 재기하면서 다시 촉발되었다. 하지만 권오민의 주장은 그의 의도와 상관없이 초기경전과 대승경전의 친설·비친설론으로 변질되어 한국불교의 종파적 입장 차이만 재확인하는 결과를 낳았다. 더욱이 부파불교에서의 불설론이 제대로 평가되지 못한 아쉬움을 남겼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우선 초기불교에서의 불설론 제기와 부파불교에서의 불설론 논쟁을 통한 불설론의 정의 및 의미를 살펴보고, 그것이 대승경전 불설론 주장에 미친 영향을 논구했다. 그 결과, 초기불교는 사대교법에 근거한 불설론을 주장했으며, 부파불교를 대표하는 설일체유부 학파의 불설론은 사대교법을 전승 및 확대한 의미에서의 정의였다. 즉 유부는 법성, 은몰, 밀의라는 방편을 통해, 아비달마가 법성에 위배되지 않고, 사라진 경에 있었으며, 은밀한 뜻으로 전해졌음을 주장했다. 또한 유부의 불설론은 무착, 세친 등의 대승불교 논사에게도 영향을 주었는데, 무착은 『대승장엄경론』에서, 세친은 『구사론』, 『석궤론』을 통해서 전승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한편, 청변은 기존의 불설론을 인정하지 않고, 정리와 추리에 근거한 불설론을 주장했다. 이는 무착이나 세친의 불설론이 설일체유부의 불설론에 근거한 것이며, 그러한 불설론으로는 대승불교만의 불설론을 주장할 수 없다고 판단했기 때문일 것이다. 불설론은 초기불교에서부터 시작해서 대승불교에 이르기까지 다양하게 논의되어 왔으며, 최근의 불설론 논쟁도 그 연장선상에 놓여 있다. 따라서 앞으로의 불설론이 보다 의미 있는 논의가 되기 위해서는 기존의 불설론을 넘어선 새로운 정의 및 방법이 제시되어야 할 것이다. The Korean history of Buddhism saw arguments surface over the Buddha’s word (Buddhavacana) or not theory as, after the 1990s, studies on early Buddhism began to be conducted in earnest. Afterwards, these arguments were triggered again as Gwon O-min recently presented the super-sectarian Buddhism theory which says that the standards for the Mahayana Buddhism and Hinayana Buddhism and Buddhism theory are not founded on tradition or authority but on dharmata. His insistence, however, regardless of his intention, gave way to the Buddha's real teachings or not theory of the early-time sutras and Mahayana sutras, thus leading to the reconfirmation of the sectarian position difference in Korean Buddhism. Further, this regretably led to the Buddha’s word theory not properly evaluated in the sectarian Buddhism. This study thus examined the arguments over the Buddha’s word theory presented in early Buddhism and over the Buddha’s word theory presented in sectarian Buddhism, and determined the effects of these arguments on the Buddha’s word theory of Mahayana sutras. Thus, it was found that the early Buddhism embraced the Buddha’s word theory based on Mahapadesa, while the Buddha’s word theory of the sarvasti-vada school which represents the sectarian Buddhism helped inherit and spread Mahapadesa. It was insisted that Sarvasti-vada existed in the disappearance sutras by the menas of dharmata, antardhana, and abhipraya without Abhidharma going against dharmata, and thus was handed down by the secret.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Buddha’s genuine word theory of Sarvasti-vada influenced Mahayana Buddhism masters such as Asanga and Vasubandhu, while Asanga was inherited in Mahayanasutralamkara; and Vasubandhu in Abhidharmakosasastra and in Vyakhyayukti. Meanwhile, Bhavaviveka did not accept the existing Buddhism theory, but embraced the Buddha’s genuine word theory based on yukti, nyaya and anumana. This presumably was because they judged that the Buddha’s genuine word theory of Asanga or Vasubandhu was founded on the Buddha’s genuine word theory of Sarvasti-vada, and that such Buddhism theory alone could not postulate Mahayana Buddhism's own Buddhism theory. the Buddha’s word theory has been discussed in various ways from early Buddhism to Mahayana Buddhism, including the recent arguments over the Buddha’s word theory. Thus, for the Buddha’s word theory to be discussed more meaningfully, new definitions and research methodologies beyond the existing Buddhism theories should be presented.

      • KCI등재

        황반원공 수술 후 발생한 중심외 황반원공 1예

        상조,정일,이종현.Sang Jo Hwang. M.D.. Jung Il Park. M.D.. Jong Hyun Lee. M.D. 대한안과학회 2008 대한안과학회지 Vol.49 No.8

        Purpose: To report a case of eccentric macular hole formation after surgery for a traumatic macular hole. Case summary: A 27-year-old man was admitted to our hospital because of baseball trauma to his left eye. A vitreous hemorrhage and Berlin’s edema were found in the macula. One month later, a full thickness macular hole was detected. Vitrectomy and internal limiting membrane (ILM) peeling and gas injection were performed. Two months postoperatively, the primary macular hole was closed, but an eccentric macular hole temporal to the fovea was observed. J Korean Ophthalmol Soc 49(8):1341-1344, 2008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