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제주도 벚나무에 발생하는 벚나무깍지벌레 월동성충의 산란시기 및 부화약충 이동시기

        김동순,Kim, Dong-Soon 한국응용곤충학회 2005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44 No.3

        본 연구는 제주지역에서 계절초기 벚나무깍지벌레 방제적기를 구명하고자 월동성충의 산란시기 및 부화약충의 이동시기를 조사하였으며, 이 자료를 기존에 보고된 뽕나무깍지벌레 적산온도 예찰 모형에 적합하여 비교 검토하였다. 벚나무깍지벌레 암컷 월동성충은 4월 중하순부터 산란을 시작하여 5월 상순에는 그 알이 부화하기 시작하였으며, 5월 중순경 부화약충의 이동이 가장 활발하였다. 이와 같은 봄철 벚나무깍지벌레 발생시기는 우리나라 남부지역 및 일본 중부지역에서 보고된 뽕나무 깍지벌레 발생시기와 대체적으로 일치하였다. 또한 봄철 뽕나무깍지벌레의 >50% 부화 난괴 발생비율(y) 추정 적산온도 모형(y=1/[exp(-(-a+bx))];, a=-18.80, b=0.073; x=적산온도, 1월 1일부터 발육영점온도 $10.5^{\circ}C$ 적용)은 벚나무깍지벌레 부화약충 이동시기와 일치하여 봄철 벚나무깍지벌레 방제적기 추정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obtain the optimal spray time for Pseudaulacaspis prunicota (Maskell) (Homoptera: Diaspididae) in early seaon in Jeju. Oviposition time of overwintered females and activity of hatched nymphs of P. prunicola were monitored, and the phenology data were compared with the outputs estimated by a degree-days model of P. pentagona (Targioni-Tozzetti)). Overwintered females of P. prunicola began to lay eggs from mid to late April, and the eggs started to hatch from early May followed by the active migration of the hatched nymphs during mid May. The phenological events of P. prunicola in early season were likely comparable with those of P. pentagona reported in southern Korea and in central Japan. A degree-day model, which predicts the proportion of >50% hatched egg batches of P. pentagona (y=1[exp(-(-a+bx))]; y, proportion; x, degree-days based on $10.5^{\circ}C$ from 1 January; a=-18.80 and b=0.073), accurately described the migration time of P. prunicola hatched nymphs. Thus, it is considered that the degree-day model can be used for predicting the optimal spray time for P. prunicola in early season.

      • KCI등재

        농업생태계 다양성과 과수원 응애류 해충 종합관리: 이론적 고찰과 미래 전망

        김동순 한국응용곤충학회 2021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60 No.1

        과수에서 초기 해충종합관리(IPM) 모형은 응애류 종합관리를 기반으로 수립되었다고 할 수 있다. 근간은 기존 방제체계인 화학적 방제와 호환적인 포식성 이리응애 천적을 접목한 생물적 방제가 작동하는 것에 있었다. 이후로 생태계 종다양성과 해충 개체군 변동과의 상호작용에 대한 가설과 기작은 과수 생태계에서 응애류 중심의 해충관리에 대한 더 넓은 이해의 폭을 제공하였다. 생태계의 원리를 바탕으로 환경의 개변 또는 변경을 통한 생물적 방제와 해충관리는 농생태공학적 개념으로 발전하고 있다. 특히 응애류 해충의 관리에 있어서는 재배환경의 변화에 따라 관련된 천적의 다양성이 역동적으로 변동되어 작동하고 있으며, 식식성 응애류의 종 구성도 과원관리 환경에 따라 변화를 보이고 있다. 본 원고에서는 사과 IPM의 근간이 되었던 응애류 생물적 방제를 고찰하면서 생태공학적 측면에서 종다양성과 해충관리, 포식성 응애류 종다양성과 응애류 관리, 환경과 응애류의 종 구성 변동 원리에 대하여 기존 사례연구를 바탕으로 재조명하고, 향후 우리나라에서 사과원 응애류의 생물적 방제 전략을 제시하고자 한다. Integrated mite management provided a basic direction to early the fruit tree IPM. The early IPM concept was based on incorporation of the biological control for mite pests with the existing chemical control compatibly. Since then, the hypotheses and mechanisms of the interaction between species diversity and pest population dynamics have provided a broader understanding of mite-centered pest management in fruit tree ecosystems. Based on the principle of the ecosystem, biological control and pest management through habitat modification or manipulation are developing to the concept of agro-ecological engineering. In particular, the natural enemy diversity is dynamically changed according to the different cultivation environment in the management of mite pests, and the species composition of phytophagous mites is also changed by the environment for orchard management. This paper reviews the biological control of mites, which was the basis of apple IPM, and also re-examines the topics of species diversity and pest management, predacious mite diversity in relation to mite control and the change of species composition of mite pests in the sight of ecological engineering. Finally, we suggest a strategy for biological control of spider mites in apple orchards in Korea.

      • SCOPUSKCI등재

        노인 환자에서 척추마취에 의한 혈압하강에 대한 Ephedrine 근주와 전해질용액 주입의 효과비교

        김동순,김동찬,최훈,송희선,박장훈 대한마취과학회 1994 Korean Journal of Anesthesiology Vol.27 No.7

        This study was designed to compare the efficacy of an ephedrine intramuscular injection with crystalloidadministration for the prevention of hypotension during spinal anesthesia in geriatric patients undergoing hip fracture surgery. Twenty-seven ASA II patients scheduled for the .arthroplasty of femoral neck fracture under spinal anesthesia were randomly allocated to receive either 15 ml/kg of Ringer's lactated solution (crystalloid group) or an ephedrine intramuscular injection (ephedrine group). Spinal anesthesia was performed in a lateral decubitus position. According to the patient's height, 10-12 mg of hyperbaric 0,5% tetracaine was injected through a 23-25 gauge spinal needle at the L3-4 or L4-5 interspace. Patients in crystalloid group received Ringer's lactated solution 15 mVkg, over 20 minutes before spinal anesthesia. Patients in the ephedrine group were injectede 30 mg of ephedrine I.M immediately after spinal anesthesia. The incidence of hypotension was 8/12 (66%) in the crystalloid group and 6/15 (40%) in the ephedrine group (p$lt;0.01).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in the level of anesthesia or heart rate, and hypertension did not occur in either group. The result of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intramuscular injection of ephedrine may be more effective than crystalloid infusion for the prophylaxis of hypotension associated with spinal anesthesia in geriatric patients.

      • KCI등재후보

        어두음절구조 차이에 따른 말더듬 발생 차이: 한국아동과 일본아동의 비교를 중심으로

        김동순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03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8 No.2

        본 연구는 학령기에 있는 말더듬 아동을 대상으로 한국과 일본의 말더듬 아동의 말더듬의 언어적 특성을 각각의 음절구조를 중심으로 검토한 것이다. 한국어를 모국어로 하는 말더듬 아동 15명(평균연령 9세 1개월)과 일본어를 모국어로 하는 말더듬 아동 20명(평균연령 9세 0개월)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연속된 6장면의 그림과 한 장의 풍경화를 도구로 산출된 아동의 자발화를 전사, 분석한 것이다. 결과, 한국의 말더듬 아동의 말더듬 평균 발생률은 21.2%, 일본의 말더듬 아동의 말더듬 발생률을 17.4%였다. 자음으로 시작되는 말과 모음으로 시작되는 말의 말더듬 발생률은 한국과 일본의 말더듬 아동이 모두 모음으로 시작되는 말에서 높은 경향이 있었고, 단모음으로 시작되는 말과 이중모음으로 시작되는 말의 말더듬 발생률은 한국과 일본의 말더듬 아동 모두가 단모음으로 시작되는 말에서 유의미하게 높은 발생률을 나타내었다. 말더듬의 반복유형을 어두자음(C), 어두자음과 모음((C)V), 어두자음과 모음과 종성자음((C)VC)으로 나누어서 비교 분석한 결과, 양국의 말더듬 아동은 모두 (C)V를 단위로 하는 반복유형이 그 외의 반복유형보다 유의미하게 높은 발생률을 나타냈다. 한편, (C)VC를 단위로 하는 반복유형은 한국의 말더듬 아동이 일본의 말더듬 아동보다 발생률이 높은 경향을 나타냈다. 이상의 결과는 말더듬이 개별언어의 어두음절구조와 밀접하게 관련이 있음을 시사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