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음식소설의 맥락과 가능성 - 한국 음식문학의 맥락과 가능성 ① -

        김주언 우리어문학회 2015 우리어문연구 Vol.52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to bring sub-genre named ‘novel of food’ into being at the history of Korea novel. As the characteristic of subject matter, this study tried to secure the distinctive feature of the genre concept ‘novel of food’. This study also set the face to binding those novels with fixed affinities, those literatures focusing on the matter of foods, the food as the subject matter relating to form the theme not as the simple material; the food is the main situation itself. First of all, it was concentrated on the theoretical study for researching ‘novel of food’. What the studying was that the concept of need, demand and desire from the theory of Jacques Lacan can be the useful concept tool for studying variety of realistic literature of novel of food. “Alcohol”(1914) written by Shim, Woo-sub is the origin of novel of food among realistic novels of food. The subject, alcohol, seems to have been completed by Hyun, Jin-geon as the outstanding novel of food. In 1910s, “alcohol” in print, “from my diary” by Baek, Dae-jin and “one bowl of cold noodle” by Yoo, Jong-seok, standing on the symmetric position with “alcohol”, are the case of having the possibility of giving birth of the main stream from the food literature of colonial modernity. Mentioning “water” by Kim, Nam-cheon and “avidy” by Lee, Gwang-soo are worthy of as food novel among jail motif novels in 1920-30s. There are more readable novels, written by Choi, Seo-hae and Lee, Gi-yung, as novel of food. This study tries to raise the persuasive power for strengthening suitability of this genre without cling to an impractical classification as novel of food. The fact of novel of food could be more visualized with some supplementation and successive work for drawing overall of topographic map.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소설사에 ‘음식소설’이라는 장르를 출현시키는 것이다. 장르 개념의 설정에 있어서는 제재(subject matter)의 특이성으로 ‘음식소설’이라는 장르 개념의 변별적 특징을 확보하고자 했다. 음식이 단순 소재나 소품을 넘어 주제 형성에 관여하는 제재로 등장하는 작품, 음식 문제가 소설의 주요 상황이 되는 작품, 음식 문제가 주요 관심사로 초점화된 작품을 일정한 친연성으로 묶고자 했다. 먼저 음식소설을 탐구하는 데 필요한 이론적 탐구에 주력했다. 라캉의 욕망 이론에서 말하는 욕구(need), 요구(demand) 그리고 욕망(desire) 개념이 음식소설의 천차만별의 문학 현실을 탐색하는 데 유용한 개념 도구가 될 수 있다는 점을 논구했다. 실제 음식소설의 세계에서는 심천풍(심우섭)의 「주」(1914)라는 작품을 음식소설의 기원으로 꼽았다. 술 문제에 관한 한 뛰어난 음식소설로 기록할 만한 문제작은 현진건에 와서 완성된다고 볼 수 있다. 「주」가 발표된 1910년대에 「주」와 대칭적인 자리에 놓여 있는 백대진의 「나의 일기로부터」와 유종석의 「냉면 한 그릇」은 식민지 근대의 음식문학에서 주류적 흐름을 낳을 수 있는 가능성을 갖고 있는 경우이다. 1920⋅30년대 옥살이 모티프 소설 가운데서 음식소설로 특기할 만한 소설로는 김남천의 「물」과 이광수의 「무명(無明)」을 거론했다. 음식 문제에 초점이 맞춰진 최서해의 일련의 소설들과 이기영의 소설도 음식소설로 읽을 수 있는 작품들이다. 이 연구는 ‘음식소설’이라는 무리한 분류와 논단에 집착하지 않고, 이러한 장르 명칭이 합당하다고 판단되는 작품에 대해 그 사유를 밝혀 논지의 설득력을 제고하고자 했다. 작품의 누락을 보완하고, 좀더 총체적인 지형도가 그려지는 후속 작업이 이어진다면, 음식소설의 실상이 한층 더 분명하게 가시화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한다.

      • KCI등재

        김훈 소설에 나타난 사랑의 불가능성

        김주언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18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78 No.-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meaning of love, especially the impossibility of love, in Kim Hoon’s novel. In Kim Hoon’s novel, the aspect of love discourse is noteworthy, but it is the judgment of this study that the problem of love that constantly emerges with certain discriminating qualities is worth exploring. For Kim Hoon, the problem of love does not come from the relationship between man and woman but from the relationship between existence and non-existence, and between life and death. What is love for a dying being? This is the first question about love. This question is no different from the question of the desire for life to a dying being. However, Kim Hoon’s characters are surrounded by an environment of death too much to pursue the possibility of love. This is why the sign of ‘love’ is seen as a very poor form in the text of Kim Hoon’s novel. “Cremation”, which places the problem of love as the central situation of the novel, is a work in which the reason for the “difference”, which is the core problem of the impossibility of love, is fully developed. The relative othernes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men and women, which can not resolve the difference in this work, functions as the metonymy of the absolute othernes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 and death. This is a profound dimension and dignity that the artist Kim Hoon gives to the theme of impossibility of love. In Kim Hoon’s novel, love becomes an impossible absolute demand to end. If there is no dimension of absolute otherness that calls for this absolute need, the jouissance of world contents could be love. But, the final destiny given to the word ‘love’ in Kim Hoon’s novel makes a crack that can not be covered by such affirmation of world contents. The absurd consciousness arises from this crack. Therefore, the debate about Kim Hoon’s novel, which considers the absurd consciousness as the chronic problem of it, should be considered in the dimension of love. 김훈의 소설에 나타난 사랑의 의미, 특히 사랑의 불가능성의 의미를 탐구하는 것이 이 연구의 목표이다. 김훈의 소설 전개에서 사랑이 지연되거나 담론화되는 양상도 주목할 만한지만, 일정한 변별적 자질로 지속적으로 출현하는 사랑의 문제는 탐구해볼 만한 가치가 있다는 것이 이 연구의 판단이다. 김훈에게 사랑의 문제는 남녀관계에서 오는 것이 아니라 존재와 비존재(非存在)의 관계, 삶과 죽음의 관계에서 오는 것이다. 죽어가는 존재에게 사랑이란 무엇인가? 이것이 사랑에 대한 첫 번째 질문이다. 이 물음은 죽어가는 존재에게 삶에 대한 욕망은 무엇인가라는 물음과 다르지 않다. 그러나 김훈의 인물들은 사랑의 가능성을 추구하기에는 너무 많은 죽음의 환경에 둘러싸여 있다. 김훈의 소설 텍스트에서 ‘사랑’이라는 기표가 매우 빈곤한 양상으로 관찰되는 것은 이 때문이다. 사랑의 문제를 소설의 중심 상황으로 배치하고 있는 「화장」은 사랑의 불가능성의 핵심 문제인 ‘차이’에 대한 사유가 본격적으로 전개되어 있는 작품이다. 이 작품에서 차이를 해소할 수 없는 남녀관계의 상대적 타자성은, 삶과 죽음 관계의 절대적 타자성의 환유로 기능한다. 김훈의 소설에서 사랑은 끝내는 불가능한 절대의 요구가 되는데, 이것이 작가 김훈이 사랑의 불가능성이라는 테마에 부여한 심오한 차원이고 품격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절대에 대한 요구를 부르는 절대적 타자성이라는 차원만 존재하지 않는다면, 세계 내용의 향유나 연민 정도가 사랑이 될 수도 있을 터이다. 그런데 김훈의 소설은 우리에게 현재 삶의 향유의 지평 너머, 문명의 외부, 존재의 바깥에 대한 감수성을 거듭 환기시킨다. 사랑의 불가능성의 문제는 이 문제의 중심에 있다고 볼 수 있다.

      • KCI등재
      • KCI등재
      • 퍼지다이함수에 관한 연구

        盧永淳,成烈昱,金周彦 공주대학교 사범대학 과학교육연구소 2000 과학교육연구 Vol.31 No.1

        본 논문에서는 퍼지다이함수관계를 퍼지동치관계로 특성화하였으며, 퍼지다이함수관계와 관련하여 몇몇 성질들을 증명하였다. In this paper, we characterize fuzzy difunctional relations as fuzzy equivalence relations and prove some properties in connection with fuzzy difunctional relations.

      • KCI등재

        김훈 소설에서의 시간의 문제―<남한산성>을 대상으로

        김주언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12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54 No.-

        이 글은 김훈의 「남한산성」을 무엇보다도 한 편의 시간론의 담론장으로 읽는다. 「남한산성」에서 시간은 서술자의 목소리뿐만 아니라 인물의 담론을 통해서도 드러나는 기표의 현실이고, 나아가 텍스트의 무의식으로 내면화된 심층 무의식의 주인공이기도 하다. 작가는 일단 내면성을 중시하는 시간의식과는 정반대의 입장에서 시간 문제를 담론화한다. 영도의 글쓰기로 펼쳐진 시간론은 시간론을 감당할 만한 인물의 사유와 상황 속으로 코드화되는데, 그 구체적인 모습이 영원론과 신생론이다. 시간을 사물의 시간과 사건의 시간으로 구분하는 관점에서 말하자면 크로노스의 시간은 아이온의 시간이 되는 셈이다. 이때 시간은 비로소 역사가 되고 삶이 된다. 결국 작가의 궁극적 선택과 옹호는 전(前)근대적이거나 탈근대적인 우주적 시간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입장은 우주적 시간에 대한 신비화로까지 발전하지는 않는다. 다만 진보의 역사적 시간이 상정하는 목적론적 시간관에 거부를 표현하고 있다고 볼 수 있는 것이다. 김훈의 시간 인식이 제기하는 문제들의 함의의 함의들을 숙고할 때, 궁극적인 문제는 이런 것이다. 즉, 그렇다면 우리는 김훈의 텍스트에서 영원의 단순 순환 반복이 아니라 의미 있는 차이를 생성하는 반복을 어떻게 긍정적으로 모색할 수 있는가. This paper tries to seek the ultimate implication through analyzing the time discourse showed in "Fortress on Mt. Namhan" by Kim Hoon. The research object, "Fortress on Mt. Namhan", is of course the narrative for closed space, Fortress on Mt. Namhan. "Fortress on Mt. Namhan", however, not only the narrative for absolute and limited situation of space but also the record for 45days in confined space. The time in 「Fortress on Mt. Namhan」 is the power for existence of the narrative as well as the hidden hero. The people's destiny, locked in Fortress on Mt. Namhan, is simply to say that nothing but the matter of time. The internality is usually well known for important mark of Kim Hoon's literature. But the writer discuss the matter of time from a different angle that he usually empathizes. The writer's will of neutral 'writing degree zero' could be read in his logic of time that not to easily contaminate the situation subjectively and internally. As the situation develops by, however, the time of object becomes the time of affair. Furthermore, through the leading characters' voice, the time becomes of its history. In a word, time becomes the history. "On newborn" and "On eaternity" are the two axis of discourse on time. As narrative ends, the final time order quoted is the cosmos time. It implies two things. First, the choice for the cosmos time implies the exclusion of historic time. Second, can read the alertness of internal mysticism of time.

      • 우리나라 都市化의 變化推移 分析

        김주언 연세대학교 대학원 1990 원우론집 Vol.- No.17

        The studs of urbanization as a Societal Process of population Concentration makes a more manageable problem of a high complex and significant Phenomenon in the history of Society. Urbanization is a process-the process by which rural areas become transformed into urban areas. In demographic terms, urbanization is an increase in population concentration : organizationally, it is an alteration in structure and functions. Demographically, Urbanization involves two elements : the multiplication of points of concentration, and the increase in the size of individual concentrations. The historical incidence and process of urbanization can be broadly framework promises to be a fruitful way of treating long-run phenomena of urbanization. But recently, Some make use of the political economy of urban problem. This paper tries to analyze the process of urbanization in Kerea. It is possible to delineate four the main characteristics of the urbanization process : The first, rapid urbanization and the emergence of cities. The Second, population concentration within the area defined as metropolitan. The third, the transfer of population from rural to urban places. The fourth, national economic policy as the dominant force behind urbanization. This paper consist of four chapters. The first chapter is introduction. The second one examines the theoritical background of urbanization. The third one analyze the phenomenon of urbanization in Korea. The last suggests the desirable direction of national urbanization policy in Korea.

      • KCI등재

        신과 인간에 대한 모독을 넘어 : 프리모 레비의『이것이 인간인가』와 소수자 문학

        김주언 한국문학과종교학회 2014 문학과종교 Vol.19 No.3

        이 연구는『이것이 인간인가』를 소수자 문학의 가장 우수한 사례 가운데 하나로 읽으며, 우리 시대 소수자 문학의 가능성을 시사 받고자 한다.『이것이 인간인가』는 종교적 모티프가 풍부한 텍스트이다. 그러나 이 연구는 특정 모티프 보다는 인간의 존재, 신의 존재가 광범위하게 모독되는 종교적 상황을 더 주목했다. 이 논문에서 소수자 문학은 인간의 부재, 신의 부재, 나아가 문학 부재의 극한상황에서 탄생한 또 하나의 문학의 이름이다. 따라서 소수자 문학은 기존의 주류 문학에 대한 단순한 반동을 넘어 질적으로 새로운 문학이다. 이 시론은 레비가 단순히 소수자-‘이기’의 한 객체가 아니라, 소수자-‘되기’의 주인공이 되는 과정을 분석했다. 레비의 문제작은 단지 홀로코스트의 증언을 넘어 종교적 깊이에까지 닻을 내리고 있는 인간 존재의 심연에 대한 뛰어난 통찰과 물음으로 읽을 수 있다. 이처럼 소수자 문학의 가치는 결국, 문학이란 과연 무엇인가의 물음을 활성화하는 데 있다고 할 수 있다. While reading If This Is a Man this essay intends to receive a preview for the possibility of minority literature as one of the outstanding case in our generation. If This Is a Man has abundant religious motifs. Rather than studying a specific motif, this paper focused on the religious situation in which the presence of human being and God are blasphemed. In this paper, minority literature is another name of literature which originated under the extreme environments of the absence of human being, God, and furthermore, literature. Qualitatively, the minority of literature is a new literature beyond the simple rebound against the canonized mainstream in existing literature. This essay analyzed the process of becoming a main character of minority-becoming, not a merely minority-being as an object. After all, the value of minority literature lies in activating what literature is all abou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