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한국산 거미의 종 목록(2015년도 개정)

        주필(Joo Pil Kim),예성훈(Seong Hun Ye),이준기(Jun Gi Lee),이준호(Jun Ho Lee) 한국거미연구소 2015 한국거미 Vol.31 No.1

        한국산 거미 목록을 최근 분류체계와 새롭게 추가된 분류군을 총망라하여 재정리하였다. 그 결과, 한국산 거미류의 수는 총 48과 281속 795종으로 조사되었으며, 이전 김과 김(2010)의 발표보다 2과 16속 69종이 많았다. 이전의 김과 김(2010)의 목록에서 이용된 분류체계와 비교해 크게 변동된 사항으로는 기존의 코리나거미과(Family Corinnidae)에 속하는 3개 속(Genus Cetonana 괴물거미속(개칭), Genus Paratrachelas 어리괭이거미속, Genus Trachelas 괭이거미속)과 2개 속(Genus Orthobula 십자삼지거미속, Genus Phrurolithus 도사거미속)이 각각 괭이거미과(Family Trachelidae)(신칭)와 도사거미과 (Family Phrurolithidae)(신칭)로 분리, 신설되었으며(Ramírez, 2014), 밭고랑거미과(Family Liocranidae)의 족제비거미속(Genus Itatsina)이 미투기거미과(Family Miturgidae)의 1속(Genus Prochora)에 하위 동종이명(synonymy)으로 편입됨(Bosselaers & Jocqué, 2013)에 따라 Prochora 속의 국명이 족제비거미속으로 개칭되었다. 또한 오소리거미과(Family Zoridae)가 미투기거미과(Family Miturgidae)에 하위 동종이명으로 편입되었으며(Ramírez, 2014), 기존에 미투기거미과에 속해 있던 1속(Genus Cheiracanthium 어리염낭거미속)이 미투기거미과로부터 분리, 신설된 장다리염낭거미과(Family Eutichuridae)(신칭)로 분류되었다(Ramírez, 2014). 그 밖에 속, 종의 단위에서 분류군 신설, 동종이명, 오동정 등의 분류 체계 변동 사항이 있었으며, 이를 본 목록에서 확인할 수 있다. 더불어 근래에 추가된 2종의 무자격명(Nomen nudum) 처리된 종과, 국립공원 생물종 목록집(2012)에 기재되었으나 논문으로 정식 발표되지 않은 미기록종 22종을 별도로 기술하였다. 한국산 거미류는 접시거미과(101종), 꼬마거미과(84종), 왕거미과(79종), 깡충거미과(73종), 그리고 늑대거미과(57종) 이하 순으로 종수가 많았으며, 위의 5과가 전체 종수의 약 50%(394종)을 차지하였다. 전체 795종 중 한국산 고유종은 173종(21.8%)이었고, 일본산 거미류와 512종(64.4%), 중국산과 497종(62.5%), 러시아산과 360종(45.3%), 대만산과 103종(13.1%) 동일종이었다. 또한, 구북구산(Palearctic region)이 80종(10%), 전북구산(Holarctic region)이 37종(4.7%), 그리고 세계공통종(Cosmopolitan species)이 13종(1.6%)으로 분석되었다. A revised new-version of the check list of Korean spiders, including recent systematic systems and new taxa, is presented in this paper. According to additional references in the last 5 years, a total of 795 species of 281 genera belonging to 48 families were checked in Korean spider fauna, and there are 69 species of 16 genera belonging to 2 families more than the previous check list(Kim & Kim, 2010). Typical examples of some changes in systematic systems of Korean spiders compared with the previous check list(Kim & Kim, 2010) are as follows : Two families, the family Trachelidae and the family Phrurolithidae, previously in the family Corinnidae are raised to family status(by Ramírez, 2014). In Korea, the family Trachelidae includes 3 genera(Gen. Cetonana, Gen. Paratrachelas, Gen. Trachelas) and the family Phrurolithidae includes 2 genera(Gen. Orthobula, Gen. Phrurolithus); The family Eutichuridae is raised to family status, which was previously in the family Miturgidae(by Ramírez, 2014). There is one genus(Gen. Cheiracanthium) in the family Eutichuridae in Korea; The family Zoridae is included as a junior synonym of the family Miturgidae(by Ramírez, 2014); The genus Itatsina is included as a junior synonym of the genus Prochora in the family Miturgidae(Bosselaers & Jocqué, 2013). One Pisaurid species(Dolomedes jirisanensis) and a Sparassid genus(Gen. Joopilia, Joopilia joopilis) are nomina nuda. Additionally, There are 22 unrecorded species, which was found by Korean National Park Research Institute(2012) but was not described as papers, check list of them is presented separately from the check list of Korean spiders in this paper. Linyphiidae(101 sp.), Theridiidae(84 sp.), Araneidae(79 sp.), Salticidae(73 sp.), and Lycosidae(57 sp.) spiders are the most in the Korean spider fauna, and species in that 5 families formed about 50%(394 sp.) of the whole Korean spiders. In zoogeographical distribution, Korean spider fauna was found containing 80 Pa, 37 Holarctic, 13 Co, and 173 Korean endemic species. And comparison with faunas of neighboring countries, 512 species of Korean spiders also live in Japan(64.4%), 497 species live in C(62.5%), 360 species live in Russia(45.3%) and 103 species live in Taiwan(13.1%).

      • 한국산 거미 종 목록(2017년도 개정)

        주필(Joo Pil Kim),예성훈(Seong Hun Ye) 한국거미연구소 2017 한국거미 Vol.33 No.2

        한국산 거미 목록을 최근 분류체계와 새롭게 추가된 분류군을 총망라하여 재정리하였다. 그 결과, 한국산 거미류의 수는 총 46과 290속 865종으로 조사되었으며, 이전 김과 김 (2010)의 발표보다 4속 32종이 많았다. 이전의 김과 김(2010)의 목록에서 이용된 분류체계와 비교해 크게 변동된 사항으로는 기존의 코리나거미과(Family Corinnidae)에 속하는 3개 속(Genus Cetonana 괴물거미속(개칭), Genus Paratrachelas 어리괭이거미속, Genus Trachelas 괭이거미속)과 2개 속(Genus Orthobula 십자삼지거미속, Genus Phrurolithus 도사거미속)이 각각 괭이거미과(Family Trachelidae)(신칭)와 도사거미과(Family Phrurolithidae)(신칭)로 분리, 신설되었으며(Ramírez, 2014), 밭고랑거미과(Family Liocranidae)의 족제비거미속(Genus Itatsjna)이 미투기거미과(Family Miturgidae)의 1속(Genus Prochora)에 하위 동종이명(synonymy)으로 편입됨(Bosselaers & Jocqué, 2013)에 따라 Prochora 속의 국명이 족제비거미속으로 개칭되었다. 또한 오소리거미과(Family Zoridae)가 미투기거미과(Family Miturgidae)에 하위 동종이명으로 편입되었으며 (Ramírez, 2014), 기존에 미투기거미과에 속해 있던 1속(Genus Cheiracanthium 어리염낭거미속)이 미투기거미과로부터 분리, 신설된 장다리염낭거미과(Famil y Eutichuridae)(신칭)로 분류되었다(Ramírez, 2014). 그 밖에 속, 종의 단위에서 분류군 신설, 동종이명, 오동정 등의 분류 체계 변동 사항이 있었으며, 이를 본 목록에서 확인할 수 있다. 더불어 근래에 추가된 2종의 무자격명(Nomen nudum) 처리된 종과, 국립공원 생물종 목록집(2012)에 기재되었으나 논문으로 정식 발표되지 않은 미기록종 22종을 별도로 기술하였다. 한국산 거미류는 접시거미과(101종), 꼬마거미과(84종), 왕거미과(79종), 깡충거미과(73종), 그리고 늑대거미과(57종) 이하 순으로 종수가 많았으며, 위의 5과가 전제 종수의 약 50%(394종)을 차지하였다. 전체 795종 중 한국산 고유종은 173종(21.8%)이었고, 일본산 거미류와 512종(64.4%), 중국산과 497종(62.5%), 러시아산과 360종(45.3%), 대만산과 103종(13.1%) 동일종이었다. 또한, 구북구산(Palearctic region)이 80종(10%), 전북구산(Holarctic region)이 37종(4.7%), 그리고 세계공통종(Cosmopolitan species)이 13종(1.6%)으로 분석되었다. A revised new-version of the check list of Korean spiders, including recent systematic systems and new taxa, is presented in this paper. According to additional references in the last 5 years, a total of 795 species of 281 genera belonging to 48 families were checked in Korean spider fauna, and there are 69 species of 16 genera belonging to 2 families more than the previous check list (Kim & Kim, 2010). Typical examples of some changes in systematic systems of Korean spiders compared with the previous check list (Kim & Kim, 2010) are as follows : Two families, the family Trachelidae and the family Phrurolithidae, previously in the family Corinnidae are raised to family status (by Ramírez, 2014). In Korea, the family Trachelidae includes 3 genera (Gen. Cetonana, Gen. Paratrachelas, Gen. Trachelas) and the family Phrurolithidae includes 2 genera (Gen. Orthobula, Gen. Phrurolithus); The family Eutichuridae is raised to family status, which was previously in the family Miturgidae (by Ramírez, 2014). There is one genus (Gen. Cheiracanthium) in the family Eutichuridae in Korea: The family Zoridae is included as a junior synonym of the family Miturgidae (by Ramírez, 2014): The genus Itatsina is included as a junior synonym of the genus Prochora in the family Miturgidae (Bosselaers & Jocqué, 2013). One Pisaurid species (Dolomedes jirisanensis) and a Sparassid genus (Gen. Joopilia, Joopilia joopilis) are nomina nuda. Additionally, There are 22 unrecorded species, which was found by Korean National Park Research Institute (2012) but was not described as papers, check list of them is presented separately from the check list of Korean spiders in this paper. Linyphiidae (101 sp.), Theridiidae (84 sp.), Araneidae (79 sp.), Salticidae (73 sp.), and Lycosidae (57 sp.) spiders are the most in the Korean spider fauna, and species in that 5 families formed about 50% (394 sp.) of the whole Korean spiders. In zoogeographical distribution, Korean spider fauna was found containing 80 Pa, 37 Holarctic, 13 Co, and 173 Korean endemic species. And comparison with faunas of neighboring countries, 512 species of Korean spiders also live in Japan (64.4%), 497 species live in C (62.5%), 360 species live in Russia (45.3%) and 103 species live in Taiwan (13.1%).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일반논문 : 조일 역관의 의사소통에 사용된 언어,문자의 특성

        주필 ( Joo Phil Kim ) 반교어문학회 2015 泮橋語文硏究 Vol.0 No.41

        역사학계에서는 왜관에서 활동한 조선과 일본 역관들의 의사소통은 어떠한 상황에서나 조선어로 이루어진 것으로 주장해 왔다. 당시 왜관의 정황을 살펴보면 구어적 상황에서 조일 역관 간 의사소통은 원칙적으로 조선어로 이루어졌을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상황에 따라 조선어는 일본어와 수시로 코드 전환이 이루어지며 사용되었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이와 달리 공식적 상황에서 역관들은 외교 의례에 따라 통역하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일본 외교 사절 중에는 조선어를 구사하지 못하는 인사도 있었을 뿐 아니라 봉진연에 관한 기록이나 <동래부사접왜도>에 그려진 참석자들의 위치는 외교 의례에 따라 행사가 진행되었음을 보여주기 때문이다. 문어적 상황에서 역관들은 공식적으로 한문이나 조선식 한문 또는 이두문으로 문서를 작성하여 교류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공식성이 떨어지는 상황에서는 한글로 문서를 작성하여 주고받은 것으로 보인다. 근래 발견된 대마도 종가문고 소장 조일 역관들의 실무문서는 국한혼용의 한글로 작성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들 문서는 주로 2음절의 자립적인 한자어를 한자로 표기한 국한혼용의 문장이라는 점이 특징인데, 이러한 특징은 당시 문서 작성에 사용된 조선식 한문이나 이두문에 한글로 조사나 어미를 붙여 만들어졌기 때문에 나타나는 것으로 보인다. 조일 역관들의 문어적 의사소통에 사용된 국한혼용체의 한글 문장은 국어생활사에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고 할 수 있다. 경서의 한문학습 방법에 유래하는 대한제국이나 일제시대 공문서의 국한문체와 달리, 조선식 한문이나 이두문을 바탕으로 만들어진 국한혼용체의 문장이 조선시대에 이미 사용되고 있었음을 보여주기 때문이다. 앞으로 이러한 국한혼용체의 한글 문장이 경서의 한문 학습 방법에 유래한 일제시기의 국한문과 어떻게 상호작용하면서 현대국어 문장을 형성하게 되는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In history, it had been insisted that Chosun-Japanese translators who had worked in Waegwan (Japanese office in Chosun) had communicated in Korean language. On the basis of several circumstances, their usual communication was assumed to be in Korean language. Yet in an official situation their communication were believed to be translated in accordance with the rite, since there were several Japanese diplomats who never speak Korean language. However some records were found that the Japanese diplomats had lead some ceremonies in Bongjin Yeon or others had been showed that who attended <Dongrae Busa Jeopwae Do> followed diplomatic rite of both countries. Their formal style of communication was reflected in their Bunryu Kisa Daekang. The translator`s documents were mostly written in Idu, yet other records of documents written in Hangul were rarely seen. This is almost similar to the documents from Japanese government owned. In this regards we could assume that there was a high possibility of using Idu in the official communication between the translators. However when it was less official situation, it sometimes communicated in Hangul. It is recently found that around 110 sheet of letters and kakseo documents, the correspondence between Chosun-Japanese translators, and those documents were almost written in kukhan honyong style(sentence of Hangeul with Chinese characters), which was the writing style of Korean and Chinese characters in combination. The letters of kukhan-honyong style housed in Soga Bungo in Tsushima Japan have used a lot of two syllabled independent Chinese characters. This characteristics are seem to be based on the trends of writing in Idu in the official documents by translators. We can also find some papers were mixed among those documents having one or two postpositions or endings added at the end of Idu as so called kukhan-honyong. It has significant meanings in the history of korean language life. Since it shows that the kukhan-honyong style is used from quite early, other than the times of Korean Empire when the way of reading Chinese writing of Confucian classics or kukhanmun style, Korean and Chinese writing style in Japanese colonial period. It is expected to study in depth on these field how those two different styles of documents are interact with each other and how they form a modern Korean language.

      • KCI등재
      • 한국산 적갈늑대거미(Arctosa ebicha Yaginuma, 1960)의 생활사에 관한 연구

        주필(Kim, Joo-Pill),채준호(Chae, Jun-Ho) 한국거미연구소 2011 한국거미 Vol.27 No.2

        2009년 후반부터 2011년 후반까지 충청남도 홍성군 홍북면 용산리에 소재하는 삽교천 부근에서 한국산 적갈늑대거미(Arctosa ebicha Yaginuma, 1960)의 생활사에 대한 생태학적 관찰을 실시하였고 생활사를 조사하였기에 이에 보고하고자 한다. The authors observed the life history of Arctosa ebicha Yaginuma, 1960 during from 2009 to 2011, hunting spiders, Arctosa ebicha Yaginuma, 1960 are distributed in oriental region including Korea, China, Japan. In from October to November hibernated, In May spidering which emerged from sac. They dispersed without the adult take care them. Female moulted times male unknown.

      • 점봉산 (강원도, 인제군)의 거미상 [1]

        주필(Joo-Pil Kim),남윤(Nam-Yoon Kim),채준호(Jun-Ho Chae),심선보(Seon-Bo Sim),이응재(Eung-Jae Lee),성민규(Min-Kyu Sung),정재훈(Jae-Hun Jung),정병민(Byeong-Min Jung),이형민(Hyeong-Min Lee) 한국거미연구소 2012 한국거미 Vol.28 No.2

        2012년 6월 22일부터 24일까지 강원도 양양군과 인제군 사이의 군계를 이루는 점봉산일대를 한국거미연구회 회원들이 채집 조사한 결과 16과 38속 64종이 조사, 연구되어 이에 보고하는 바이다. The authors investigated the spiders of jeombong-san from 22nd to 24th June 2012. In the present paper jeombong-san, from 64 species of 38 genera belong to 16 families, were identified.

      • 계방산(강원도, 평창군)의 거미상 [2]

        주필(Joo-Pil Kim),채준호(Jun-Ho Chae),남윤(Nam-Yoon Kim),이응재(Eung-Jae Lee),성민규(Min-Kyu Sung),이정준(Jung-Jun Lee),동훈(Dong-Hun Kim),이주용(Ju-Yong Lee),박성은(Sung-Eun Park) 한국거미연구소 2013 한국거미 Vol.29 No.1

        2012년 5월부터 9월까지 강원도 평창군과 홍천군 사이의 군계를 이루는 계방산일대를 한국거미연구회 회원들이 채집 조사한 결과 15과 42속 59종이 조사, 연구되어 이에 보고하는 바이다. The authors investigated the spiders of gyebang-san from May-September, 2012, In the present paper gyebang-san, from 97 species of 56 genera belong to 20 families, were identified, Two new species were discovered by this survey.

      • KCI등재

        특집 : 근대 언어와 매체의 다층성 ; "한글"(명칭) 사용의 역사적 배경과 특징

        주필 ( Joo Phil Kim ) 반교어문학회 2013 泮橋語文硏究 Vol.0 No.35

        갑오개혁 이후 ‘우리 문자’의 명칭으로 국내에서는 ‘國文’이 사용되기 시작하였으나 해외에서는 그 이전부터 ‘韓文’이 사용되어 왔다. 1910년을 전후한 시기에 해외 신문은 이미 한글 전용이 상당히 이루어자 ‘韓文’도 ‘한문’으로 표기되어 ‘漢文’과 ‘韓文’을 구별하기 어려운 문제가 생기게 된다. 이러한 중의성을 해소하기 위하여 ‘韓文’의 ‘文’을 그 훈(訓)인 ‘글’로 바꾸어 ‘한글’이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하였다. 그런데 한일합병으로 주권을 상실하여 국내의 정치적 상황이 해외와 유사하게 되고 ‘國文’으로 ‘일본문’을 지칭해야 하는 상황에 이르게 되자, 민족을 나타내는 ‘한(韓)’이 포함된 ‘한글’을 국내에 끌어와 대내적으로도 우리 문자의 명칭으로 사용하기 시작한 것으로 추정하였다. From the Gabo Reform of 1894, the name of Korean Alphabet was mainly called as ``Kukmun`` (lit. the national characters) domestically, while it was called as ``Hanmun`` (lit. the Korean characters) abroad. In those circumstances, people in abroad enforced the exclusive use ``Hangeul`` in the writing system and so, when people mentioned ``Hanmun``, it meant both ``Korean Characters`` and ``Chinese Characters`` because it was the same writing form. Thus, this paper proposed that the name of ``Hangeul`` assumed to begin with being used after changed the character ``mun`` in the final character of ``Hanmun`` into ``geul`` in order to disambiguate the word sense of ``Hanmun``. However, after losing the sovereignty of a nation on August 29, 1910, ``National Characters`` meant ``Japanese Characters`` and Korean could not use the name of a country ``Choseon`` no longer. Thus, as all Korean in and outside the country were in the same oven, ``Hangeul`` has been used after changing ``mun`` into ``geul`` instead of ``Hanmun`` which seemed to be related to nationa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