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주요 전략지수별로 살펴 본 국내 대형건설업체의 해외건설 진출전략 효과에 대한 실증적 연구

        정우용,한승헌,장우식,구본상,Jung, Woo-Yong,Han, Seung-Heon,Jang, Woo-Sik,Koo, Bon-Sang 한국건설관리학회 2010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Vol.11 No.1

        Although international construction market gradually takes a important position among the export industries, the previous studies about international construction entry strategy have just focussed on trend investigation or suggestion for revitalization. Moreover, in order to prepare the market uncertainty such as world financial crisis and to plan the long term strategy, specific strategy studies based on corporate level are required. Therefore, this study estimates the nine strategic index and four financial index of 31 companies that performed 1920 international projects from 1993 to 2007 and evaluate the performance as three periods by multi-regression analysis. Also, this study analyze dynamic correlation between these index and the performance considering times. this study verifies that market diversification, product diversification, localization and decrease of debt to asset ratio make a good effect on the international order as long term strategy and shows that collaborated entry with domestic corporations, alliance entry with host country's company, alliance entry with third country's company, portion of labor cost and portion of management expense differently make a influence on the performance as times. these results will be helpful for the construction companies to plan the international entry strategy reasonably and specifically. 해외건설이 국가수출에 중추적인 역할을 하는 산업으로서 기여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 간 해외건설 진출전략에 관한 연구는 단편적인 동향이나 활성화 제언을 제시하는데 초점이 모아졌다. 금융위기와 같은 시장 불확실성에 대비하고 중장기 진출 전략을 세우기 위해서는 이러한 제언적 연구나 프로젝트단위의 연구보다는 제조업처럼 기업단위의 연구를 통해 실효성 있는 해외진출 전략을 모색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1993년부터 2007년까지 31개의 기업이 수행한 1,920개의 해외수주 프로젝트를 기업별로 분석하여 9개의 전략지수를 산정하고 4개의 재무지표를 조사하여 주요 기간별(아시아시장 도약기, IMF 조정기, 재도약기)로 기업의 수주성과를 다중회귀분석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주요 전략지수와 재무지표의 각 시기별 증감이 기업의 해외수주량 증감과 어떤 상관관계가 있는지를 살펴보기 위해 동태적인 분석을 추가하였다. 그 결과 건설기업의 지역다각화, 공종다각화, 현지화, 부채비율 감소는 어느 시기에나 중장기적으로 해외수주량을 증가시키는 중요한 전략으로 평가되었으며, 국내기업간 공동진출비중, 선진기업 제휴비중, 현지기업 제휴비중, 인건비 비중, 관리비 비중의 증감은 시대에 따라 다르게 평가되었다. 본 연구의 성과는 해외건설진출 기업들에게 구체적이고 근거 있는 진출전략을 수립하고 해외시장진출 리스크를 관리하는데 유익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백색소음이 몽타주에 미치는 영향 - 작품 <나의 주인공으로부터>를 중심으로 -

        정우용 ( Jung Woo Yong ) 한국기초조형학회 2021 기초조형학연구 Vol.22 No.6

        시각과 청각의 상반된 이미지 충돌이 관객의 감정선을 자극하기 위한 효율적 몽타주 기법이라는 것은 널리 알려진 사실이다. 그러나, 대부분의 사운드 몽타주는 음악을 청각 콘텐츠로 사용하는데 국한되어 왔으며, 백색소음을 청각 이미지의 주요 콘텐츠로 활용한 경우는 찾아보기 어렵다. 따라서 백색소음의 정체성을 음향의 주체별 분류를 통해 확고히 하여 백색소음이 비인칭 음향으로써 사운드 몽타주를 위한 확장성 풍부한 콘텐츠라는 근거를 마련한다. 이러한 근거를 바탕으로 백색소음을 몽타주의 주요 청각 콘텐츠로 활용하였을 때 나타나는 긍정적 효과를 탐구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은 푸도프킨, 에이젠슈타인, 미셀시옹의 견해를 통해 몽타주와 사운드의 관계를 알아보고, 시각 이미지와 일치하지 않는 청각 이미지의 대비 효과로 인해 입체적인 정서적 효과를 연출할 수 있었던 씬들을 큐브릭 감독의 영화를 통해 살펴본다. 연구대상은 백색소음이 몽타주에 미치는 긍정적 효과를 구체화하기 위해 연구자가 제작한 작품 <나의 주인공으로부터>로 하였다. 작품에서는 영상을 시각과 청각으로 구분한 샷별 구성의 특징과 몽타주 효과를 통해 백색소음의 역할에 접근할 수 있었는데 관객 대상의 설문 내용을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1)몽타주에 백색소음 적용으로 입체적 미장센 연출 가능. 2)상상력 확장과 감정이입 증폭을 통해 작품에 대한 몰입도 향상. 3)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한 보편적 이미지 전달 및 개인적 기억을 자극할 수 있는 개방성 확보. 4)시각 이미지와는 독립되어 있는 백색소음의 특성에 의해 연출자의 주제를 지배하는 이미지로 사용 가능. 본 연구성과는 사운드를 활용한 몽타주에 있어서 백색소음이 구체적으로 어떠한 긍정 요소가 있는지를 객관적으로 확인한 것이다. 연구를 통해 몽타주 작업에 있어서 백색소음을 청각 요소로 활용하였을 때 나타난 상상력 확장, 감정이입 증폭 등의 현상이 궁극적으로 영상 미장센의 확장에 기여할 수 있는 근거를 제시할 수 있다. It is widely known that visual and auditory image collision is an effective montage technique to stimulate the audience's emotional lines. However, most sound montages have been limited to using music as auditory content, and it is difficult to find cases where white noise is used as the main content of auditory images. Therefore, by solidifying the identity of white noise through classification by subject of sound, white noise is a non-personal sound, providing a basis for scalable and rich content for sound montage. Based on this evide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positive effects of using white noise as the main auditory content for montage. The research method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montage and sound through the views of Pudoffkin, Eisenstein, and Michelcion, and examines the scenes that could produce a three-dimensional emotional effect due to the contrast effect of the auditory image that does not match the visual image. The research subject was < From My Hero >, a work produced by the researcher to materialize the positive effects of white noise on montage. In the work, the role of white noise could be approached through the montage effect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shot-by-shot composition that divided the video into visual and auditory. 1) Three-dimensional mise-en-scène can be produced by applying white noise to the montage. 2) Improving immersion in the work by expanding imagination and amplifying empathy. 3) Delivering universal images to unspecified people and securing openness to stimulate personal memory. 4) It can be used as an image that dominates the director's subject by the characteristic of white noise independent of the visual image. The result of this research is to objectively confirm the specific positive elements of white noise in montage using sound. Through this study, phenomena such as imagination expansion and empathy amplification that appeared when white noise was used as an auditory element in montage work could ultimately contribute to the expansion of the video mise-en-scène.

      • KCI등재

        백색소음 중심의 몽타주 효과 연구 - 작품 <누구지> 제작과정을 중심으로 -

        정우용 ( Jung¸ Woo Yong ) 한국기초조형학회 2021 기초조형학연구 Vol.22 No.1

        본 연구는 몽타주 제작에 있어서 백색소음의 긍정적 효과를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백색소음을 몽타주의 청각콘텐츠로 사용하였을 때 얻을 수 있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연구자의 작품 <누구 지>를 분석대상으로 한다. 연구방법으로 작품의 내러티브와는 무관한 백색소음을 몽타주에 개입시켰을 때. 백색소음으로 인해 나타나는 영상의 특징과 몽타주 효과를 살펴봄으로써, 백색소음의 몽타주 활용 가능성을 확인한다. 몽타주에서 나타나는 백색소음의 구체적 성과에 접근하기 위해 샷별 구분에 의한 콘텐츠 구성의 내용과 몽타주 효과를 분석한다. 분석에 의하면, <누구지>의 몽타주에서 백색소 음은 다음과 같은 활용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첫째, 현장음만으로는 충족하기 어려운 청각 미장센의 완성도를 강화할 수 있다. 둘째, 관객의 감정에 적극적으로 개입할 수 있는 보편성과 개방성에 기여할 수 있다. 셋째, 현장음, 음악과는 별개로 독자적인 톤을 유지하며 영상전반의 지배음으로써 활용 가능 하였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백색소음이 몽타주를 통해 영상의 미장센을 강화하는데 쓰여질 수 있는 청각콘텐츠로써 관객의 감정을 적극적으로 자극할 수 있는 보편성 있는 개방적 이미지이며, 영상전반 에 절대적으로 관여하는 지배음으로써의 역할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사실에 기초하여 백색소음이 몽타주의 개념확장에 긍정적으로 관여할 수 있는 청각콘텐츠로서 논의해 나갈 필요성이 있을 것이다. 백색소음을 활용한 몽타주 실험을 지속한다면, 불특정 다수의 인간들에게 적용 가능한 보편성에 근거하여 작가의 의도를 증폭시키고 관객의 자유로운 해석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positive effects of white noise in montage production.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using white noise as a montage auditory content, the researchers’ work < Who Are You? > was selected to be the subject of analysis. In order to find out the effect that can be obtained when white noise is used as a montage's auditory content, the researcher's work < Who are you? > is the subject of analysis. When the method of research involves white noise, which is irrelevant to the narrative of the work, in the montage. By examin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image and the montage effect caused by white noise, we confirm the possibility of using white noise as a montage. In order to approach the concrete performance of white noise that appears in the montage, we analyze the contents of the content composition and the effect of the montage by division by shot. According to the analysis, white noise in the montage of < Who are you? > showed the following possibilities.. First, it is possible to reinforce the completeness of the auditory mise-en-scene, which is difficult to satisfy with only the spot sound. Second, it can contribute to the universality and openness that can actively intervene in the emotions of the audience. Third, it could be used as the dominant sound of the overall image while maintaining its own tone independent of the field sound and music.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tudy, white noise is an auditory content that can be used to reinforce the mise-en-scene of an image through a montage. It is a universal, open image that can actively stimulate the emotions of the audience, and as a dominant sound that is absolutely involved in the overall image. You can see that the role is possible. Based on this fact, there will be a need to discuss white noise as an auditory content that can positively participate in the expansion of the concept of montage. If the montage experiment using white noise continues,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able to amplify the artist's intention and contribute to the free interpretation of the audience based on the universality applicable to a large number of unspecified humans.

      • KCI등재

        영상 수업 활성화 방안 연구 -2014년도 광주,전남지역 중등교사 직무연수 사례를 중심으로-

        정우용 ( Woo Yong Jung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5 기초조형학연구 Vol.16 No.4

        2014 년도 광주ㆍ전남 중등교사를 대상으로 한 영상제작 직무연수 사례를 통해 중등교육 영상수업 활성화 방안을 연구하였다. 연수는 순천대학교 영상디자인학과 주관으로 진행되었으며, 시나리오, 촬영, 편집을 체험하는 내용으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의 이론적 고찰을 위해 청소년의 영상교육 필요성과 청소년 커뮤니케이션 문화의 특성을 살펴보았다. 연수를 이수한 교사들의 담당과목별 분포도를 살펴보면 영상관련 단원이 개설되어 있는 인문 . 예체능 계열 담당교사의 참여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외에도 다양한 과목을 담당하는 교사들의 고른 분포도를 보여주었다. 이는 향후 중등교육 전반에서 영상관련 단원의 개설 필요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교사들이 영상물 제작의 팀별 작업과정에서 보여준 능동성, 협의성은 최종 결과물인 영상작품의 높은 완성도를 이루어냈으며, 이러한 체험을 바탕으로 연수를 이수한 교사들은 일선학교에서 학생들을 대상으로 효율적인 영상제작 수업을 진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서 교사들의 영상언어에 대한 이해와 영상물 제작 체험이 중등교육 현장의 영상수업 활성화를 위한 중요한 계기로 작용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o promote the revitalization of classes in the image field of secondary school education the case study of 2014 Kwangju . Jeonnam secondary school teachers job training was scrutinized. The job training was held under the supervision of image design department in Sunchon university, and was composed of experiencing scenario writing, filming and editing. The characteristics of youth communication culture was surveyed in an effort to enhance the necessity of image education, and to suggest an efficient teaching-learning method. The study also focused on the classification of subjects conducted by teachers who took part in the job training. This study is expected to serve a momentum in enhancing teachers positive interest on utilizing image media in youth education, and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technical capability in dealing with image medi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