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 KCI등재

        사회과 인공지능 리터러시 교육 방법에 대한 탐색적 연구

        정문성,이바름 한국사회과교육학회 2023 시민교육연구 Vol.55 No.2

        본 연구는 인공지능이 이미 생활 속에 공존하고 있는 상황에서 시민교육관점에서 인공지능을 어떻게 접근해야 하는지, 어떤 점에 주목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의를 바탕으로 사회과교육에서 인공지능 리터러시를 함양하기 위한 방향과 내용, 방법에 대해 탐색해보았다. 사회과에서의 인공지능 리터러시 교육은 비판적이고 주권자적인 태도에 주목해야 하며, 구체적으로 인공지능으로 인한 사회변화 인식, 인공지능의 사용과 영향에 대한 분석, 인공지능 활용과 성찰, 인공지능 관련 문제해결을 위한 인공지능 윤리 정립 등의 내용으로 구성해야 한다. 이러한 시민교육 관점에서의 인공지능 리터러시 요소들을 토대로 사회과교육에서의 인공지능 리터러시 내용 체계를 도출하였다. 또한 시민교육 관점에서의 인공지능 리터러시 교육 방법 중 하나로 인공지능 활용 수업의 절차를 구상하고 이를 사회과 수업에 적용해 보았다. 기존 선행연구들의 인공지능 활용 수업은 프로그래밍 방법을 학습하기 위해 교과 학습 내용을 도구로써 사용하거나 학습 내용을 담은 결과물을 만들어 내는 것에 초점을 두고, 이 과정에서 정보 활용 역량이 주로 강조되었다면, 사회과 수업에서의 인공지능 리터러시는 인공지능 설계 전 과정을 구성원들과 비판적으로 검토하며 해결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에 비판적 사고와 문제해결력이 함께 강조된다. 구체적으로는 범주별, 요인별, 대안별 관련 정보를 수집하고 분류하는 과정에서의 정보 활용 능력뿐만 아니라 인공지능 활용의 필요성 검토, 자료 검증과 설계과정을 검토하는 과정에서의 비판적 사고력과 의사소통 및 협업능력, 합리적 의사결정을 위해 고려해야 할 사항을 질문으로 설계하는 과정에서의 의사결정능력 함양을 기대할 수 있다.

      • 현상액의 사용 시일 경과에 따른 필름 특성의 변화

        정문성 전남대학교 치과대학 1989 전남치대논문집 Vol.1 No.2

        This study was undertakened to investigate the change of image characteristics on dental films according to the process of using time of processing solution in automatic processor. Base+fog density, film dinsity and subject contrast were measured with the digital densitometer, the pH of developing and fixing solution were measured with Digital pH/ION Meter. The following results obtained : 1. Base+fog density was increased with the process of using time of the processing solution and was over the maximum permissible base + fog density 0.25 from the 3rd day. 2. Film density was increased with the process of using time of the processing solution. 3. Subject contrast developing decreased with the process of using time of the processing solution. 4. The pH of the developing solution was decreased with the process of using time, the pH of the fixing solution was increased.

      • KCI등재

        시민의 사법서비스 향상을 위한 민사항소제도의 개선에 관한 고찰

        정문성 호남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12 인문사회과학연구 Vol.37 No.-

        헌법 제27조에서는 국민의 재판청구권과 신속한 재판을 받을 권리를 보장하고 있다. 즉 국민의 재판 받을 권리와 신속한 재판을 받을 권리는 헌법이 보장하고 있는 기본권이며, 인간존중의 원칙과 평등권의 구체적 실현이기도 하다. 이러한 헌법의 기본이념에 의해 사법행정이 구현되는 것이며, 사법서비스의 제공을 통하여 국민의 기본권을 최대한 충족시킬 수 있는 방향으로 진행 되어야 할 것이다. 이렇게 볼 때 국민의 재판청구권 확대나 사법 서비스의 질적·양적 확대를 요구하는 국민의 목소리는 당연하다고 할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의 민사소송구조에서는 제1심에 대한 불복비율이 매우 높아 항소심이 사법적 심리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매우 높다는 점이 문제의 심각성을 더하고 있다. 국가가 국민에게 항소제도를 보장하여 사건을 다른 절차에서 새로 다툴 수 있게 보다 정비된 절차에서 다시 심판을 받을 수 있게 하는 것은 판결의 적정을 가져올 수도 있지만, 오히려 그것을 이용하여 권리의 신속구제를 지연시키는 수단으로 이용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국민에 대한 사법서비스 향상을 위해서 현재의 민사항소심제도를 개선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항소이유서제출의 의무화, 둘째 변호사강제주의를 도입하여 소송절차의 원활한 진행과 불필요한 소송방지 등 사법절차의 효율적인 운용과 이를 통한 양당사자의 불평등을 보완하고 실질적인 변론능력의 평등을 기하여야 할 것이다. 셋째 항소심의 심판범위를 제한하는 방법, 넷째 법원 내 조정을 활성화하여 법원에 계속된 사건들이 판결에 의한 해결보다 그 전의 절차에 의해 분쟁이 해결되기 때문에 항소율을 낮출 수 있고 원만한 분쟁해결을 기대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처럼 항소심이 사후심화 되면 항소심에서의 소송행위 및 심판범위를 제한함으로써 사실심리는 실질적으로 1심에서 집중적으로 이루어지게 되고, 항소심에서는 구체적인 쟁점에 대한 법률적 판단 위주로 재판이 진행됨에 따라 불필요한 상고를 줄임으로써 시민에 대한 사법서비스의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There exist numerous remaining questions, such as structure of appellate mechanism and the relation with the courts, which need to be resolved. The purport of it is, if a defendant has shown a positive attitude a plaintiff's claim to protect his interest that the dispute against the plaintiff should be settled by judgement in this opportunity of the suit and the activities during the defense should not be meaningless. We have discussed about establishing an appellate court in each province. Setting up a new appellate system will help people appeal against an instant court decision freely. It will improve the appeal right and the access of the judicial service. It engenders the decentralization of judicial power, implying judicial independence. We are aware of the fact that the independence of the judges had been threatened by the judiciary itself, which had become more and more bureaucratic. Courts have made efforts to revitalize civil mediation and achieve more or less good results according to the courts. By increasing the number of judges, the workload pressure per judge would be lessened, creating desirable conditions for a judge to put in time and efforts necessary for each case and thereby, in the end, contributing to enhancing the consent on court rulings or reducing the appeal rate. The mediation procedure is very useful for solving civil disputes.

      • KCI등재

        사회과 교과 역량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 조사연구

        정문성 한국열린교육학회 2022 열린교육연구 Vol.30 No.3

        This study examines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oughts on the level of understanding, importance, difficulty of classes, and suitability of social studies subject competency presented in the 2015 revised social studies curriculum. For this, the responses of 178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Gyeonggi-do were analyzed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a whole, elementary school teachers showed a very positive attitude toward social studies competency. They answered that they fully understand, consider it important, and are suitable for teaching social studies. However, there were some difficulties in putting it into practice, but not enough to be concerned about. Such a positive response is because the subject competency differed in expression only, but it was traditionally emphasized in social studies education. However, how to incorporate the competencies required by the new era, such as creative thinking and information utilization, into the contents and skills of social studies education emerged as challenges. Second, although they generally responded positively to social studies subject competency, there were also differences by several variables. In the understanding and importance of creative thinking, male teachers showed higher positive responses than female teachers. Conversely, female teachers showed a higher positive response than male teachers in the importance of communication and collaboration skills and the importance of information utilization skills. Regarding the importance of critical thinking abilities and the overall difficulty of classes, those from social studies majors responded more positively than those from non-social studies majors. This seems to be because critical thinking is an ability emphasized only in the social studies education, which is not found in other subjects. On the other hand, as for the importance of information utilization, teachers from non-social studies majors responded more positively than teachers from social studies majors. This seems to be because teachers in social studies education thinks it is relatively less important compared to the other subject competencies that have been traditionally emphasized. Further, competencies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social studies, which have been traditionally emphasized in the survey on social studies competency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should be further emphasized and elaborated, but efforts required by the new era should be melted into the characteristics of social studies to be reborn as social studies competency. And it is judged that these efforts should be made together with additional theoretical discussions and consideration of teachers' perceptions. 이 연구는 2015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에서 제시한 사회과 교과 역량에 대해 초등교사의 이해도, 중요도, 수업 곤란도, 적합도에 대한 인식을 조사 분석한 것이다. 이를 위해 경기 지역 초등교사 178명의 설문 응답을 분석하였고 초등교사 5명의 FGI를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교사들은 사회과 교과 역량에 대해 매우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다. 충분히 이해하고 있으며,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고, 사회과에 적합하다고 응답하였다. 다만 수업으로 실천하기에 어려움이 다소 있으나 크게 우려할 만큼은 아니었다. 이러한 긍정적 반응은 교과 역량이 표현만 달리 했을 뿐 전통적으로 사회과에서 강조하던 능력들이기 때문이다. 다만 새로운 시대가 요구하는 역량, 예컨대 창의적 사고력이나 정보 활용 능력 등을 어떻게 사회과교육의 내용과 기능으로 녹여낼 것인지가 과제로 부각되었다. 둘째, 창의적 사고력의 이해와 중요성에서 남교사가 여교사보다 더 높은 긍정 응답을 보였다. 반대로 의사소통 및 협업 능력의 적합도와 정보 활용 능력의 중요도에서는 여교사가 남교사보다 더 높은 긍정 응답을 보였다. 비판적 사고력의 중요도와 수업의 곤란도에서는 사회과전공 출신이 비사회과전공 출신보다 더 긍정적으로 응답하였다. 반면에 정보 활용 능력의 중요도는 비사회과전공 출신이 사회과전공 출신보다 더 긍정적으로 응답하였다. 이론적 논의와 함께 교사의 인식을 고려하면서 사회과 특성에 기초한 역량들은 더욱 강조하고 정교화하되, 시대가 요구하는 새로운 능력들을 사회과의 특성에 녹여서 사회과의 교과 역량으로 재탄생시키는 노력이 필요하다.

      • KCI등재

        중학교 교실에서 협동학습구조가 사회과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연구 : 협동적 논쟁 수업 모형을 중심으로

        정문성 한국사회과교육학회 1999 시민교육연구 Vol.28 No.1

        본 연구는 중학교 사회과 협동 학습 구조의 학업성취효과를 검증하려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협동학습모형 중에서 Johnson과 Johnson의 pro-con 논쟁 학습 모형을 사용하여 중학교 6개 학급에서 4주간 수업을 실시한 후 학업성취효과를 분석하였다. 실험 결과에 의하면 실험 집단과 비교 집단 사이에 학업성취효과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협동 학습에 대한 국내의 실험 연구에서 학습동기나 수업에 대한 흥미, 인간 관계 등 정의적 효과는 높게 나타났으나 인지적 효과가 뚜렷이 나타나는 경우는 그리 흔하지 않다. 그 이유는 실험 기간이 짧아서 그렇기도 하지만 우리 나라의 교실 구조가 근본적으로 협동적인 환경이 아니기 때문에 실험을 하더라도 진정한 의미의 협동 학습이 일어나기 힘들기 때문이다. 주입식 교육에 젖어있는 중학생들이 새로운 학습방법에 잘 적응하지 못한 것도 원인으로 생각된다. 협동학습 이론가들은 협동학습의 효과가 나타나지 않는 중요한 이유를 학습자의 학습스타일이 굳어져 있기 때문이라고 주장한다. 실험을 진행하면서 다소 수업이 매끄럽게 진행되지 않았던 것도 연구를 하기 전에 충분한 사회적 기능 훈련과 학습스타일의 변화에 대한 준비를 많이 하지 못했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이처럼 실험 집단과 비교 집단의 학업성취 효과의 차이가 없었으나 학습자의 학업능력 수준에 따라 또 고급 사고와 저급 사고에서 각각 다른 학업 성취 효과가 다르게 나타났다. 즉 저급 사고에서 하위 수준의 학습자들이 협동학습의 효과를 많이 보았다는 점이다. 협동 학습 주창자들은 협동 학습에서는 동료와의 상호 작용이 활발하기 때문에 단순한 정보들이 자연스럽게 많이 언급되고, 따라서 자연스럽게 기억되기 때문에 억지로 정보를 기억하려는 전통적 학습 구조보다 저급 사고에서도 인지적 효과가 있다고 주장한다. 이번 실험에서도 그러한 효과가 반영된 것으로 생각된다. 최근 연구들에서는 협동 학습이 고급 사고나 저급 사고, 학업능력수준이 높은 학습자와 낮은 학습자 모두에게 효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저급 사고에서 학업능력수준이 하위 수준인 학습자에게만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러한 결과를 일반화하기에는 기존의 연구들과 배치되는 점이 많이 있고, 본 연구의 실험 과정에서 학습자들의 논쟁 수업에 대한 적응이 충분치 않았던 점을 고려하면 보다 더 정교한 실험연구가 요청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ve effects of cooperative and traditional competitive goal structures on student achievement in secondary social studies education. The literature review reveals conflicting opinions about the effectiveness of cooperative learning. This study is aimed to shed additional light on the controversy in a secondary social studies classroom. From the theoretical argument and empirical evidences, I propose a series of research questions as folollows: First, Is cooperative learning more effective than traditional competitive learning at both lower and higher level thinking? Second, who benefits from cooperative learning? The subjects for this study consisted of six 9th grade social studies classes from a selected junior high school. Each class was randomly assigned to one of the treatments; cooperative learning method and traditional competitive learning method. Among six groups three received the cooperative learning strategy pro-con model. For a four-weeks period, six groups studied the same content from social studies textbook. The results of data analysis by t-tes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experimental group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on student achievement, on both lower and higher level sub-tests, in secondary social studies. My findings also indicated that the significant effect of interaction between the learning structure and the academic ability was found on the lower level sub-test of the post-test. This indicates that low-ability students benefits from the cooperative learning on the lower level thinking. "This paper was supported by NON DIRECTED RESEARCH FUND, Korea Research Research Foundation, 1997"

      • KCI등재

        사회과 협동학습의 유형과 실제

        정문성 한국사회과교육연구회 1996 사회과교육 Vol.- No.2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e the usefulness of cooperative learning in social studies classroom and introduce some models of cooperative learning in social studies. These are found positive interdependence, individual accountability, equal opportunity, positive social interaction, division of labor, specific student learning outcome objectives, acceptance of the student outcome objectives, face to face interaction, heterogeneous groups, postgroup debriefing over group processes, social skill, and many sources of information in cooperative learning. These elements are contributed to social studies classroom which characterized as democratic citizenship, rational decision making, 'social study', objectives of knowledge, abilities, valuing, social participation. This fact is found in models of STAD, JIGSAW, TGT, and DME.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