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동진시기 부곡.병호의 구성과 부곡주의 성격

        신성곤 ( Sung Kon Shin ) 중국사학회 2003 中國史硏究 Vol.24 No.-

        在魏晉南北朝戰亂時期, 如何保證充足的兵源不僅是各政權, 也是以豪族爲中心的地方割据勢力要解決的重要課題. 但自三國以來開始實施的正規軍事制度, 卽由世襲的兵戶補源的兵戶制度到西晉末東晉初已失去了其應有的機能. 其實, 在與五胡政權進行戰爭的過程中活躍在北方的軍事統帥大多是因戰亂而南渡的華北的行主,塢主,堡主爲主的流民帥. 他門作爲堡,壁,壁,壘等武裝自衛組織的統帥, 指揮着通過施惠的方式, 幷憑借自身的名望招募來的流民. 384年東晉與前秦的??水之戰中的發揮重要作用的主力軍是東晉的北府兵, 究其來源, 是從山東徐州,??州,靑州南下后集結在京口,晋陵一帶的由??鑒的統領的武裝力量. 377年, 謝玄將其改編成北府軍. 這些統領着招募而來的流民的流民帥同時也具有部曲主的特性. 具有任俠特性的部曲主招幕了其麾下的部曲, 由此部曲和部曲主之間存在着緊密的人身依附關係. 由于北方五胡政權的軍事威脅, 東晉給帶領流民南下的行主,塢主, 授予都督諸軍事,州刺史,將軍等職, 幷賦與他們招募權, 同時利用他們的武力爲其服務. 與此相反, 與衰弱的皇權相比較, 掌握了强大的軍事力量的流民帥出身的塢主,部曲主, 卽統領了由自己招募的大規模兵力的君主,府主, 在??制北方的威脅方面雖起到了重要的作用, 但又對要削弱地方武裝勢力的中央政權形成了威脅. 發生在東晉的流民帥王敦,蘇峻,祖約,郭默等攻陷建康后對中央構成的威脅就是一個有力的證明. 他們的軍事核心是以流民爲基礎的具有私兵性質的部曲, 部曲主通過部曲督和部曲督進行監督和指揮, 最終其部曲的存在與否也發展成了衡量軍事自立的尺度. 總之, 大部分部曲主出于流民帥, 成爲了統領塢堡的塢主和堡主以后, 他門不顧國家利益, 而是以追求集團利益而存在的. 他門的自衛武裝組織的主力部曲的成員構成與兵戶一樣都是由南下的流民爲主體構成的, 但部曲與部曲主的關係, 流民與流民帥的關係不同, 一旦形成了人身依附關係,部曲就像家屬成員一樣, 其隸屬關係有進一步强化的傾向. 其結果, 隸屬關係發展成了世襲的繼承關係, 當然, 部油主的權限在得到國家承認時, 部曲轉變成了侍衛親兵, 身分也轉變成了兵戶的一部分. 但招募的一般流民和世襲的兵戶的性質不同, 換言之, 在軍隊的部指揮系統中, 部曲和部曲主之間的人身依附關係是最爲主要的關係. 由如此强大的任俠性質的施惠行爲而形成的流民帥與流民, 部曲主與部曲間的無條件服從關係在戰亂時直接轉化成了一種戰鬪共同體, 從而發揮了强有力的戰鬪力.

      • KCI등재
      • KCI등재후보

        10세기 이전 동아시아의 기후 변화와 인구 이동

        신성곤 ( Sung Kon Shin )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 (구 한양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0 동아시아 문화연구 Vol.48 No.-

        10세기 이전 동아시아에서 대규모로 인구가 이동하는 되는 계기는 정치적 경제적 요인 등 다양하지만 가장 중요한 요인은 연평균 기온의 변화였다. 기상학자와 기후학자, 식물학자, 지질학자 등의 학제간 연구에 의하여 동아시아에서는 대략 지금부터 5000년 동안 4차례의 온난기와 4차례의 한냉기가 있었음이 드러났다. 온난기에는 정착 농경민인 한족 세력이 서쪽, 북쪽, 남쪽을 향해 표출되어, 군사적 정복과 이주 정책을 통해 인구가 이동하였다. 반대로 한냉기 혹은 온난기에서 한냉기로 변화할 때에는 북방의 유목민이 대거 남하하여 정착 농경민을 정복하고, 남하해온 지역에서 각기 이주정권을 세우고 서로 패권을 다투었다. 이들 이주정권들은 자신들의 남하로 일어난 인구 이동 외에도, 정복한 정착민과 복속시킨 유목민을 특정 지역으로 강제로 이주시키는 정책을 취하여, 이동해간 지역내에서의 인구 이동을 한층 강화시켰다. 또한 이들 이주정권들은 토착정권에 비해 영토나 토지에 대한 애착보다 호구에 대한 애착이 강하였다. 이는 수많은 인구를 대동한 채 수도를 자주 옮기고 있는 점에서 확인이 가능하다. 수도를 옮길 때마다 수많은 관료와 군대 및 상인과 수공업자 및 농민이 강제 이주당해야 했다. 정착 농경 생활을 영위하던 한족도 기온의 저하와 유목민의 남하에 대응해야 했다. 일부는 남아서 낮아진 기온에 적합한 농작물을 경작하면서 남하해온 이주정권 치하에서 살아갔다. 반면 많은 인구가 과거에 자신들이 살던 환경과 비슷한 지역을 찾아 역시 남하해갔다. 그렇게 ‘발견’된 지역이 과거 습윤하였지만 기후 변화에 따라 거주가 가능하게 된 장강 하류의 강남 지방이었다. 이주 농경민이 보유한 선진적 농법과 철제 농기구 덕분에 강남 지방은 곧 경제적으로 발전하기 시작하였고, 이주민들은 예전의 문화적 전통을 강남 지방에서도 이어갔다. 그 결과 강남 지방은 10세기 이후 경제적 문화적 중심지가 되어 오늘날에 이르게 되었다. Before the 10th century, there were diverse factors in large-scale mobility of population in East Asia, including the political and economic factors, but the most important factor was the changing in avenge temperature for the year with variations of climatic change. Interdisciplinary researchers with meteorologists and climatologists, botanists, geologists and historians traced the climatic change that there were 4 times of warm era and 4 times of cold era in East Asia about 5000 years until now. In the warm era, the powers of the settled agricultural people, mainly Hanzhu(漢族), extended towards west, east and south by their military conquest and policy of deportation. In cold era, whereas, the massive northern nomadic people moved southward to conquer the settled agricultural people, and they established a lot of migrated regimes one after another, fought each other to control over the population of migrants. The main leaders of the migrated regimes who themselves were migrants also took policies of deportation moving the conquered agricultural people and nomadic people to particular area by force, strengthened the mobility of population. In addition, they were more concerned about holding of conquered populations than conquered territory or land, compared the native regimes. They didn`t mind moving of the capital, therefore many officials, military troops, merchants, craftsmen and farmer should be moved together by force whenever the migrated regimes moved of the capitals. Hanzhu, settled agricultural people, likewise had to respond the decline of the average temperature and the moving southward of the nomadic people. Some survived under the rule of migrated regimes, but the many of the people migrated southward to look for similar environment and areas they have been lived. They finally ``discovered`` in Jiangnan(江南) region, humid regions in past, but now changed proper region to live in because of the climate change. Through their efforts to cultivate wasteland with the advanced farming and the iron agricultural tools, the economy and culture of Jiangnan region began to develop rapidly, and migrants managed to keeping up their cultural traditions. Since the 10th century, Jiangnan region hold the center of the economy and culture in East Asia even today.

      • KCI등재

        종묘(宗廟) 제도(制度)의 탄생 -종묘(宗廟)의 공간과 배치를 중심으로-

        신성곤 ( Sung Kon Shin )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구 한양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4 동아시아 문화연구 Vol.57 No.-

        왕실의 조상신을 받드는 공간인 종묘의 기원이 商周에 있었는지, 西周에서 완비된 이상적 제도로 존재했는지 현재로서는 확실하지 않다. 다만 西周라는 도시국가 형태의 왕실 조상제사를 모시던 종묘와 秦漢처럼 방대한 영토를 다스리던 제국의 황실 조상제사를 모시던 종묘는 차이가 있을 수밖에 없다. 춘추 말, 전국시대부터 왕릉 주변에 陵園을 조성하고 寢殿과 宗廟를 두어조상 제사를 받들던 형태, 즉 陵旁立廟에서 벗어나 전한 초부터 점차 수도와 郡國에 다양한 형태의 종묘가 두어졌다. 이후 유교가 국교화 되면서 이러한 형태의 종묘가 점차 단일한 공간으로 통합하고, 선황들의 神主를 일정한 원칙을 가지고 배치하고 迭毁하는 제도로 발전하였다. 원제 때부터 西周의 종묘를 따르자는 유학자 관료의 주장에 따라 시작된 종묘 개혁은 애제와 평제를 거쳐 마침내 외형적으로나마 ``天子七廟``가 확정되었다. 비록 王莽의 ``天子九廟``가 있었지만 이는 일시적인 현상이었고 후한 내내 형식상의 ``天子七廟``는 유지되었다. 특히 후한에서 光武帝를 제사지내는 世祖廟의 경우, 靈帝 때까지 모셔진 神位의 배열을 보면 ``天子七廟``에 근거하여 1祖6宗으로 구성된 구조였다. 한편 ``同堂異室``이 시행된 후한의 明帝와 章帝 때에 이르면 廟를 한 곳 즉 전한의 황제들은 始祖廟(高廟)에, 後漢의 황제들은 始祖廟(世祖廟)에 모아 제사지내는 방식으로 각 황제의 神主가 단일한 공간을 공유하게 되었다. 神主마다 墓室을 별도로 갖추지는 못했지만 종묘라는 단일공간이 형성되고 그에 따라 신주를 배치하게 되었다. 다만 神主의 배치가 昭穆의 순서에 잘 들어맞지 않았을 뿐 아니라, 迭毁를 어떠한 기준으로 할지에 대한 고려가 아직은 미비하였다. 그러나 世祖廟에서 殷際 즉 5년마다 諦 제사, 3년마다 협 제사를 合祭로 지내고, 四時에 제사를 지내는 방식을 여전히 유지하였다. 즉 안정적인 제사 형식은 유지되었다고 판단된다. 그렇다면 후한 초가 되어 五廟, 七廟, 九廟에 상관없이 왕조의 창업자와 그 후계자의 神主를 모시는 별도의 독립적 공간(廟堂)이 단일하게 만들어지고, 宗廟에서 神主를 모시는 廟數가 일정한 원칙 하에서 고정적, 안정적으로 유지되며, 증가하는 廟數에 일정한 제한을 가하는 방식 즉 迭毁가 일정한 원칙 하에서 유지되는 종묘가 탄생하였다는 점은 부정할 수 없을 것이다. 다만 여전히 남은 문제는 宗廟 내에서 神主를 昭穆에 따라 어떻게 질서정연하게 배치할 것인가하는 점과 迭毁할 때에 어떠한 기준을 적용할 것인가 하는 점만 남았다고 하겠다. 이러한 세부적인 논점이 완전히 해소되기까지는 다음 魏晉 시대를 기다려야 했다. Until recently, we cannot conscientiously say whether royal ancestral shrine has its origins in Shang-Zhou dynasties or ideal type of its institution actually existed in Zhou dynasty. For one reason or another, there is a very distinct difference between royal ancestral Shrine of Zhou dynasty as the small scale city-state and that of Qin-Han dynasties as the large scale empire. The shrine building with a large garden and royal palace around royal tomb appeared from the end of the Spring and Autumn period and advanced through the Warring States period. At the early part of Han Empire, various versions of royal ancestral shrine was established not only around the royal tomb but in the capital, Chang`n(長安) and the provinces(郡國). But according to the triumph of Confucianism in the Former Han period, the various versions of royal ancestral shrine gradually have been consolidated in a single space and the ancestral tablets(神主) of the preceding emperors was arranged in good order within the shrine hall. At the insistence of officials well trained in the Confucian classics, the reform drive of royal ancestral shrine system was started from the first century BC, carried over steadily for more than half a century. And on the surface finally introduced renewal of royal ancestral shrine system, Son of God practice 7 preceding emperors. Although Wang Mang(王莽), a learned Confucian scholar, founded Xin Dynasty and practiced 9 preceding ancestors, it was transitional factors in the development. Finally new types of royal ancestral shrine, having separate rooms within single chamber, appeared by the early part of the Late Han period, emperors of Later Han practiced 7 preceding emperors including the founder of their dynasty in the shrine for founder` chamber sharing the space for storage of the other preceding emperors` tablets. Although there were no chambers for 6 preceding emperors, only respectively having separate rooms, royal ancestral shrine was composed a single hall with founder` chamber as the center. Besides, whenever performing ancestral rites in royal ancestral shrine, the ancestral tablets of the preceding emperors was arranged left and right according to order within the shrine hall. Since then this form of royal ancestral shrine closely settled and continued for many centuries.

      • KCI등재
      • KCI등재

        당대(唐代) 장안(長安)의 시장과 일상

        신성곤 ( Sung Kon Shin )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구 한양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5 동아시아 문화연구 Vol.62 No.-

        7~8세기 동아시아에서는 都城의 시대가 열려 각국이 수당 장안성을 본딴 격자형 도성의 건설에 나섰다. 따라서 이 시기에 장안은 동아시아의 도성 표상이랄 수 있고, 그 안에 거주하던 주민들의 모습은 당시를 잘 반영해주는 일상의 표상이라고 할 수 있다. 이글은 장안 거주민들이 일상적으로 들렀을 시장의 모습을 일상생활의 표상으로 구성해 보고자 하였다. 장안의 거주민들은 높은 담장으로 둘러싸인 110坊에 넣어져 정부에 의해 공간과 시간을 통제받고 있었다. 어떤 학자는 이를 ‘감옥도시’라고까지 표현하였다. 이들의 일상의 자유는 일출과 일몰까지 방 밖을 나갈 수 있는 시간, 그리고 필요한 물품을 구입하고 제한된 자유를 누릴 수 있는 시장의 출입 외에는 없었던 것 같다. 이글에서는 먼저 시장을 구성하고 있는 공간적 배치와 시서를 통한 각종 통제를 통해 국가가 어떻게 주민들을 통제하고, 시장을 관리하려고 하였는지를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시장 통제를 담당하는 市署의 역할을 상세히 분석함으로써 시장의 역동성을 검토하였으며, 市籍에 등재되어 동시와 서시에서 살아가는 상인들의 다양한 모습을 그려내려고 하였다. 특히 서시와 그 주변을 중심으로 활동하던 商胡의 활동을 통해 당시 장안성이 지니고 있던 국제도시적 면모를 중점적으로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동시와 서시에 존재했던 각종 行을 분석함으로써 상인과 주민 사이에 거래되던 주요 물품들을 알아보고, 이어서 8세기 이후 국가가 강요하던 시제와 방제가 붕괴되면서 나타나는 시장의 변모 즉 시장 공간의 확대 현상의 의미를 검토하였다. 이를 통해 당대 장안이라는 공간을 무대로 살아가던 도시 거주민들의 일상생활의 일면을 엿볼 수 있었다. Emulating Sui-Tang Chang`an, East Asian countries constructed their own capital city and capital city era had come to order in 7-8 centuries. Wherefore Chang`an was the symbol of city life at that time and diverse activities of the residents within Chang`an was meant to be the symbol of everyday life. This paper researched the appearance of the marketplaces where the residents in this capital city visited almost everyday as a representation of everyday life at that time. Putting the 110 wards with a high wall all around it, the residents of Chang`an was controlled by Tang government. Therefore some scholars expressed this capital city as a jail city. The residents only had freedom of everyday life for a time to get out of the residence ward from sunrise to sunset, to visit the marketplaces purchasing necessary goods and enjoy the sense of restricted freedom. Examining the space arrangement of capital city and two marketplace and every kind of residents control by market administration, this paper reviewed how to control the merchants and how to manage the marketplaces. Concretely analyzing the role of market administration, this paper represented the dynamics of market and tried to show the diverse figures of merchants living in Eastern Market and Western Market. Especially focusing the activities of “foreign merchants” lived in western marketplace and that neighboring wards, I emphasized the cosmopolitan city of Chang`an. And examining the various bazaar, this paper researched the various type of commodities sold in marketplaces between residents and merchants. Last but not least, market regulation system and time limit system collapsed and merchants expanded the market area into the surrounding of marketplaces.

      • KCI우수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