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946년 전남·제주 지역의 콜레라 발병세와 지역적 질병 문화권

        임종명 ( Chong Myong Im ) 호남사학회(구 전남사학회) 2021 역사학연구 Vol.81 No.-

        5월 말부터 콜레라가 발병했던 전남에서는 목포 지역이 주요 발병 지역이었다. 즉 5월 말 콜레라가 발병했던 목포에서는 환자와 사망자가 계속해서 발생하면서 그 지역은 6월 중순 환자와 사망자 규모에서 경남 부산, 전북 부안 지역과 함께 남한 지역에서 3대 콜레라 발병지가 되었다. 그렇지만 6월 초순 콜레라가 발병했던 여수 지역과 그달 중순 환자가 발생했던 순천 지역의 발병세는 8월 상반기에 ‘안정적’이었던 목포 지역 발병세를 추월하였다. 이는 발병 초기와는 달리 전남의 발병 중심지가 8월 중순경 전남 서남권 또는 목포 권역에서 전남 동부권, 또는 순천 권역으로 옮겨 갔음을 의미한다. 반면에 6월 중순에 콜레라가 발병했던 광주 등 전남 북부 내륙의 광주 권역에서의 콜레라 발병세는 강하지 않았다. 이들 추세를 배경으로 하여, 전남은 콜레라 발생 초기였던 6월 중순까지 전북과 함께 두 번째나 세 번째로 큰 발병·사망자 규모를 기록하였다. 하지만 6월 말 홍수가 집중되었던 경북과 전북 지역에서 콜레라 발병이 폭증하면서, 6월 하반기부터 발병세가 완화되기 시작했던 전남 지역의 상대적 발병 규모는 앞의 지역들에 의해 추월되었다. 1946년 콜레라가 남한 지역에서 확산하던 초기 행정적으로 전남에 소속되어 있던 제주 지역에서는 6월 10일 처음으로 콜레라 환자가 발생했다. 그 이후 계속 해서 콜레라가 발병했던 제주도는 6월 중순 콜레라 발생 규모에서 ‘선도적’이었던 부산, 목포, 또 전북 정읍 등과 함께 콜레라 발병의 선도적 지역 중 하나였다. 더군다나 6월 하순의 장마를 겪으면서, 제주도는 제주도의 발병 규모가 목포의 그것을 능가하면서 그 지역은 6월 말 대구, 부산, 목포와 함께 최대 규모 콜레라 발생 지역으로 비정되었다. 그런데 인구 규모 대비 제주도의 발병 규모는 경북 등 타 지역의 그것들에 비해 ‘압도적으로’ 큰 것이었다. 또한, 도서 지역이었던 제주도의 대규모 콜레라 발병은 해방 직후 높은 인구 이동과 밀항, 밀무역 등 종전 직후 동아시아 정치·경제 상황과 제주 지역의 사회·경제적 상황과 연관된 것이기도 했다. 이것은 1946년 전남과 제주 지역의 콜레라 발병과 만연이 단지 세균학적이거나, 자연적 성격만을 가진 것은 아니었음을 시사한다. 그것은 종전/해방 직후 전라·제주의 지역적, 남한의 정치·경제·사회적 맥락을, 나아가 근대 동아시아권역의 역사적 맥락을 가진 사태였다. Mokp’o in which cholera epidemic had broke out since late May 1946 worked as the center of the epidemic in South Chŏlla province. In the mid June, the harbor city became one of the top three major centers of the cholera epidemic in South Korea. In the early August, however, the number of confirmed case and death of the city where the cholera outbreaks came to be stable were to be outnumbered by those of Yŏsu and Sunch’ŏn where the epidemic broke out in the early June and the mid of the same month respectively. This shows that the center of the epidemic in the province was shifted from the southwest area of the province, or Mop’o and its vicinities from the east area of the province, or Sunch’ŏn and its vicinities. Compared with these two major areas of the province, Kwangju, the provincial capital, and its vicinities located in the north inland area of the province continued to be comparatively minor in their cholera outbreaks. Based upon the overall development of the outbreaks, South Chŏlla province continued to be ranked the second or the third in South Korea in terms of the numbers of cholera case and death until the mid June characterized as the time of the initial development of the epidemic, and also until late of the month. From that time on, the case and death in South Chŏlla provinces were outnumbered by those in North Chŏlla province and North Kyŏngsang one because the situation with the epidemic began to abate in the former province while the pandemic situation got worse than ever in the latter two provinces severely damaged by contemporary great flood. Next, there broke out cholera epidemic in Cheju area in the early June when the area was contemporarilly under South Chŏlla province in the South Korean local administration system. From the mid June on, the area became one of the major centers of the epidemic in South Korea. Especially after the disastrous flood around the country, the area, continuing one of the major centers, surpassed Mokp’o in terms of the number of case and death of the area. At the same time, the cholera outbreak in the area reached the largest percentage of population in South Korea even though the case and death of North Kyŏng province and other province outnumbered those of Cheju. The worst situation with the pandemic in relation to population was due to not a few causes; post-colonial large-scale population movement, and highly activated illegal trade and passage to and from Japan Given this, we can conclude that the 1948 cholera epidemic in South Chŏlla and Cheju area was not only a natural, or bacteriological, occurrence, but also a post-War/post-colonial East-Asian and South Korean socio-historical incidence.

      • KCI등재

        마한·백제권 고분과 합천 삼가고분군 다곽식고분의 비교 -전남지역 고총고분을 중심으로-

        최영주 ( Young-joo Choi ) 호남사학회(구 전남사학회) 2021 역사학연구 Vol.82 No.-

        본 논문은 마한·백제지역 가운데 전남지역의 고총고분 중 나주 복암리 3호분과 신촌리 9호분을 중심으로 합천 삼가고분군과의 고분의 축조 순서와 기술에 대해서 비교 검토하였다. 전남지역의 고총고분과 삼가고분군의 다곽식고분은 선행하는 매장시설을 인식하면서 다장을 통한 수직확장과 주구의 의례행위 등에서 공통적인 모습을 보인다. 하지만 양 지역의 고분은 고분의 입지와 분형, 매장시설과 위치, 고총화 방식과 축조기술 등에서 차이를 보였다. 그중에서 고분의 고총화 과정에서 양 지역의 고분에서 차이를 보인다. 전남지역 고총고분은 선행분구 조정과 수직확장을 통한 고총화를 했기 때문에 이에 맞는 구축기술이 필요로 했다. 그러나 삼가고분군에서는 중 소형분이 경사면을 따라 위쪽으로 봉분을 덧붙이는 방식으로 고총화를 했기 때문에 구축기술은 필요로 하지 않았다. 따라서 합천 삼가고분군의 ‘삼가식 다곽식고분’은 전남지역의 고총고분과 다르고 가야지역 어느 고분군과도 다른 삼가고분군만의 특징이다. 고대 가야사회의 일면을 이해하는 데 매우 중요한 삼가고분군에 대한 정책적 지원과 학계의 관심과 노력이 절실하다. This paper compared and reviewed the construction sequence and technology of the ancient tombs with the Hapcheon Samga ancient tombs, focusing on Naju Bokam-ri tomb No. 3 and Sinchon-ri tomb No. 9 among the high-mounded tombs in the Mahan-Baekje area. The high-mound tombs in Jeollanam-do and multi-chambered ancient tombs in Samga ancient tombs have something in common that they were vertically expanded through many funerals and there were ritual behaviors in pits, recognizing existing burial facilities. However, the ancient tombs in the two regions differed in tomb's location and shape, burial facilities and locations, and the method of high mound and construction techniques. Among them, the ancient tombs in two regions differ in the process of high mound. The high-mound tombs in Jeollanam-do Province needed a corresponding construction technology because they became high mounds by adjusting existing burial mounds and expanding vertically. However, in Samga ancient tombs, the construction technology was not necessary because tombs were made by adding burial mounds upward along the slope of the small and medium-sized tombs. Therefore, the Samga-style multi-chambered ancient tomb in Hapcheon Samga ancient tombs is different from high-mound tombs in Jeollanam-do and any other ancient tombs in Gaya region. Samga ancient tombs are very important to understand the aspects of ancient Gaya society, so policy support and academic interests and efforts are urgently needed.

      • KCI등재

        연구논문 : 전남사범 출신의 사회운동-임종대,임종근을 중심으로-

        임선화 ( Seon Hwa Im ) 호남사학회(구 전남사학회) 2015 역사학연구 Vol.60 No.-

        이 글은 전남사범 출신 임종대와 임종근의 일제강점기와 해방 이후의 활동에 관한 것이다. 둘은 광주학생독립운동에서 성진회 관련자로 기소되었다. 그들은 이후 징역형을 선고받았고, 출소 이후 민족해방운동에 참가하였다. 그들은 사회주의 활동을 하였는데, 임종대는 전남노농협의회사건으로 체포되었고, 임종근은 노농협재건운동사건으로 체포되었다. 이 두 단체의 특징은 ML파에 의해 조직되었다는 것이다. 1920년대 후반부터 광주ㆍ전남지역 학생운동은 ML파에 의해 주도되었고, 이들이 광주학생독립운동의 주도세력이었으며, 출소 이후 사회운동에 진출하였다. 이들은 주로 노동ㆍ농민운동에 참여하여 민족해방과 무산자들의 해방에 힘썼다. 이후 해방 이전까지 그들의 활동은 찾아볼 수 없다. 해방 이후 임종대는 담양지역에서 사회운동을 지속하였다. 그러다 미군정에 쫓기는 신세가 되어 야산대가 되었고, 6ㆍ25전쟁기 빨치산 토벌작전에서 총살당하였다. 임종근은 해방 이후 행적이 불분명하다. 그러다 1950년 인천상륙작전 이후 서울에서 월북하였다고 한다. 광주학생독립운동과 관련된 이들이 이후 어떠한 삶을 살았는지 임종대와 임종근의 예를 보면, 이들은 사회주의와 관련된 활동을 하였다. 해방 이후에도 이 둘은 사회주의운동과 관계가 있었고 그랬기에 독립유공자로 포상을 받지 못하였다. 우리의 역사에서 이러한 사람들에 대한 발굴과 기억은 독립운동사를 더욱 풍부하게 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is about Im Jong-dae and Im Jong-gun who was from Jeon-nam Sa-beom, and their acting from colony of Japan to Liberation of Korea. They were prosecuted for related with Sunginheo in Gwang-joo Student Movement. They were sentenced imprisonment and after then they join the National Liberation Movement. They were socialist, Im Jong-dae was arrested with Jeon-nam Labor-Farmer Council and Im Jong-gun was arrested with Reconstructing case of the Labor-Farmer Council. These two groups were organized by ML. In late 1920 Gwangjoo Geon-nam Student Movement and they were the majority of Gwangjoo Student Movement. After they were freed they joined the Social Movement. They took part in Labor - Farmer Movement for Liberation of Korea and Liberation of proletarian. After then we can`t find their acting till Liberation of Korea. After the Liberation of Korea. Im Jong-dae continued to work in Dam-yang for social movement. After then they were wanted by American Army Government, so they went into mountain. Im Jong-dae was killed by gun in the Korea War. Im Jong-gun cann`t find after Liberation of Korea. And then he went to North Korea from Seoul when the In-cheon disembark. We can see how they lived life after the Gwangjoo Student Movement, the people like Im Jong-dae, Im Jong-gun. They related with socialism. After the Liberation of Korea, the two of them related with socialism so they can`t received the order of merit. In our history, our try of remember and finding like these people make plenty of the history of dependence.

      • KCI등재

        연구논문 : 5,18 민중항쟁과 1980년대 광주,전남 개신교계의 동향

        한규무 ( Kyu Moo Han ) 호남사학회(구 전남사학회) 2012 역사학연구 Vol.47 No.-

        이 논문은 1980년 5·18 직후부터 제5공화국기(1981~87) 광주·전남 개신교계의 5·18 관련 동향에 대해 살펴본 것이다. 그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980년 5·18 직후 대중집회와 단체활동이 금지되었지만 초교파적으로 구성된 광주시기독교비상구호대책위원회는 11월까지 수습 및 구호 활동을 계속했다. 그리고 기장·예장통합·기감 등 교단에서도 피해상황 조사 및 부상자 위문 등의 활동을 벌였다. 1981년 제5공화국의 성립 이후 1984년까지 광주·전남의 개신교계는 구속자 석방과 희생자 보상, 책임자 처벌과 진상규명 및 명예회복 등 5·18 관련활동을 전개했다. 그리고 그 중심은 기장 교단 및 광주시기독교연합회·NCC·EYC·YMCA·YWCA 등 진보적 교단·기관들이었다. 1985년 제1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야당이 승리하고 신민당을 중심으로 야권이 통합되는 등 정국이 변화되면서 광주·전남 개신교계의 5·18 관련활동도 더욱 활기를 띄었다. 1987년 박종철군 고문치사와 4·13 호헌선언 이후에는 참여하는 교단·기관도 확대되었으며, 개헌투쟁의 열기가 뜨거웠던 같은해 5월에는 광주의 14개 교단 교역자 534명이 초교파적으로 성명을 발표했다. 이처럼 5·18 이후 제5공화국기 광주·전남의 개신교계는 1970년대와 같이 교단의 성격(진보·보수)에 따라 5·18 관련활동에 대해 다른 입장(적극·소극)을 보였으나, 1980년 수습·구호를 위한 활동과 1987년 개헌투쟁을 통한 5·18 관련활동에는 초교파적으로 보조를 같이하기도 했다. This paper traced back the movements of the Protestant communities in Gwangju and Jeonnam Province in relation to 5·18 Civil Resistance right after its occurrence in 1980 and during the Fifth Republic(1981~ 1987). The finding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Even though mass rallies and group activities were banned right after the occurrence of 5·18 Civil Resistance in 1980, the Christian Emergency Relief Committee of Gwangju formed among different denominations continues to cope with the situation and do relief activities till November. In addition, the religious associations such as The Presbyterian Church of Korea, The Presbyterian Church in the Republic of Korea, The Korean Methodist Church also engaged in activities such as investigating the damages and consoling the wounded. The Protestant communities of Gwangju and Jeonnam Province carried out 5·18-related activities including releasing those in custody, compensating for victims, punishing those who were responsible, investigating the event to find truth, and recovering honor from 1981 when the Fifth Republic was established to 1984. At the center of those activities were progressive religious associations and organizations such as the Religious Association of The Presbyterian Church in the Republic of Korea, Christian Association of Gwangju, NCC, EYC, YMCA and YWCA. With changes to the political situations such as the opposition party winning the 12th parliamentary election in 1985 and the opposition groups unifying around the New Democratic Party, the 5·18-related activities of the Protestant communities became even more active in Gwangju and Jeonnam Province. The participating religious associations and organizations expanded in 1987 when Park Jong-cheol was tortured and killed and Protection of the Constitution was declared on April 13. In May of the same year when the zealous fight for the revision of the Constitution was fierce, 534 ministers of 14 religious bodies in Gwangju made a statement beyond difference in denomination. Although the Protestant communities of Gwangju and Jeonnam Province had different positions(active and passive) for 5·18-related activities according to their nature(progressive and conservative) during the Fifth Republic after 5·18 Civil Resistance, they kept pace with each other in the coping and relief activities in 1980 and 5·18-related activities through fight for the revision of the Constitution in 1987.

      • KCI등재

        연구논문 : 조선시대 유배인의 현황과 문화자원의 활용 -전남지역을 중심으로-

        김경옥 ( Gyung Ok Kim ) 호남사학회(구-전남사학회) 2010 역사학연구 Vol.40 No.-

        이 글은 조선시대 전남지역 유배인의 시기별 추이, 현전하는 유배인 관련 문화자원의 현황, 그리고 유배문화자원에 대한 활용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작성되었다. 전남지역 유배인의 현황을『조선왕조실록』에서 검색한 결과 총 534명이 검출되었다. 유배인의 時期別?郡縣別 추이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시기별 유배인의 수는 14세기(3명), 15세기(82명), 16세기(28명), 17세기(31명), 18세기(178명), 19세기(196명), 20세기 전반기(16명) 순으로 집계되었다. 즉 전남지역 유배인의 추이는 18-19세기에 무려 70%를 점유하고 있었다. 이 시기는 서남해 도서지역의 인구가 급증한 시기이기도 하다. 도서지역의 인구 증가는 지방행정편제를 변화시켰다. 즉 18세기 섬에 諸島面이 설치되었고, 19세기에는 3郡(돌산군·완도군·지도군)이 신설되었다. 둘째, 유배인의 配所는 25개 郡縣, 36處에서 확인되었다. 유배지 가운데 빈도수가 가장 높은 곳은 제주도·고금도·진도·흑산도·추자도·신지도 등 섬이었고, 그 다음으로 해남·강진·흥양·광양·장흥 등 바닷가 연안에 입지한 郡縣이었다. 즉 유배인의 배소는 絶島이거나, 혹은 이들 섬의 행정관할권을 갖고 있던 내륙지역의 郡邑이었다. 셋째 유배인의 配所와 水軍鎭과의 관련성이다. 조선전기 전남지역의 유배지는 珍島와 濟州島뿐이었다. 그런데 조선후기에 이르면 고금도·나로도·녹도·돌산도·발포·여도·임자도·신지도·지도·흑산도 등이 새로운 유배지로 추가된다. 이들 섬은 조선후기에 수군진이 증설되거나 신설된 곳이다. 즉 섬에 수군진이 설치된 결과 유배지로 활용할 수 있었던 것이다. 넷째, 현전하는 전남지역 유배 관련 문화자원으로는 ①유배인의 적거지, ②유배지에 개설된 서당, ③유배지에서 작성된 저술, ④유배인 관련 역사유적 등이다. 이 가운데 유배지에서 작성된 저술(문집·시집·일기·간찰·기행문)의 경우, 전남지역에 관한 1차 사료라는 점에서 자료적 가치가 주목된다. This is made to find out the periodic development of exiles in Jeonam province, The current situation of existing cultural resources related to exiles, and the ways of making use of exile-cultural resources. A result of searching exiles` situation in Jeonam from the Annals of the Chosun Period is that the number of exiles is 534 in all. The periodic development and the development by the type of counties and prefectures in the exiles` situation are below. First, the periodic number of the exiles is estimated to three in the 14th century, eighty-two 15th, twenty-eight 16th, thirty-one 17th, one hundred seventy-eight 18th, one hundred ninety-six 19th, sixteen the first half of the 20th. In other words, the development of the 18th century to 19th has a 70% of the number of the exiles in Jeonam province. The population of the southwest islands had increased suddenly at that time. The increase in the population of those areas changed provincial administrative organization. In other words, myuns for groups of islands were established in the 18the century, and three counties like Dolsan county, Wando county, and Jido county were created in the 19th century. Second, the allocated places of the exiles have been confirmed in 25 counties and prefectures and 36 places. The places of the exile of the highest frequency among them were islands like Jejudo, Kogeumdo, Jindo, Heucksando, Chujado, Sinjido and so on, and the next places were counties and prefectures in inland area located on the coast like Haenam, Kangjin, Heungyang, Kwangyang, Jangheung, and so on. In other words, the allocated places of the exile were isolated islands or counties and towns in inland area which had administrative jurisdiction over the islands. Third, there were connections between the allocated places of the exiles and the camp of the naval forces. The allocated places of the exiles were only Jindo and Jejudo during the early days of Chosun Period . In the late of Chosun Period, however, new places of exile were added like Kogeumdo, Narodo, Dolsando, Balpo, Yudo, Limjado, Sinjido, Jido, Heucksando, and so on. The camp of the naval forces in those islands were established more or created in the late of Chosun Period. In other words, establishment of the camp of the naval forces resulted in making use of the islands as the places of exile. Fourth, existing cultural resources related to the exile in Jeonam province are the living places of exiles, seodang established in the places of exile, the books written in the places of exile, historic sites related to the exiles, and so on. In the books written in the places of exile like collections of works, poetical works, diaries, letters, traveler`s journals, the value of their materials have been noticed from the view of primary historic materials regarding Jeonam province.

      • KCI등재

        연구논문 : 미군정기 한민당 전남도당의 조직과 활동

        임선화 ( Seon Hwa Im ) 호남사학회(구 전남사학회) 2011 역사학연구 Vol.42 No.-

        이 논문은 해방 이후 결성되었던 한민당 전남도당에 관한 연구이다. 전남도당은 1945년 10월 미군의 광주진주와 더불어 조직되었고, 도군정에 적극 협력하였다. 전남도당이 조직적으로 확대된 계기는 탁치정국에서 반탁운동을 전개하면서부터였다. 학생단체 청년단체를 지원하여 격렬한 반탁운동을 전개하였으며, 부·군단위까지 조직을 확장시켰다. 1947년 한민당은 읍·면단위까지 조직을 확장시켰으며, 이러한 힘을 바탕으로 1947년 후반기부터 본격적인 단독정부 수립 운동을 이끌었다. 이러한 한민당의 파급력은 여러 우익단체들 특히 청년단체를 앞세워 남로당 등을 무력으로 압도하였기 때문에 가능하였다. 한민당 전남도당에 관계하였던 이들은 미군정의 관리로 재직하기도 하였다. 또한 한민당 전남도당 간부들 가운데 우익 청년단체의 지도자들도 다수 눈에 띈다. 한민당 전남도당의 가장 큰 역할은 탁치정국 이후 우익 세력이 지방에 침투할 수 있도록 많은 지원을 하였고, 또한 행동대 역할을 한 학생·청년단체와 함께 군·읍·면 단위까지 진출하여 단독선거를 치룰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였다. This paper is about the Korean Democratic Party in Jeonnam Provincial Part which was established after the Korean Independence. Korean Democratic Party in Jeonnam Provincial Part was organized in a October 1945 after the U.S army stayed in Gwang-ju, and it cooperated so much the Provincial Government. Korean Democratic Party in Jeon-nam Provincial Part`s enlargement caused to change the Trusteeship political situation. It supported the Student Group and the Youth Group to develop the anti-Trusteeship, and it expanded to Bu and Gun. Korean Democratic Party expanded it to Yup and Myun in 1947, and the late 1947 it can lead the campaign of the establishment of a separate government. Korean Democratic Party had many right-wing especially the Youth Group overwhelmed to South Korea Labor Party. In Korean Democratic Party the Korean Democratic Party in Jeon-nam Provincial Part`s connected people served and U.S Military Government officer. Also there were many Korean Democratic Party in Jeon-nam Provincial Part`s executives served the Right-wing`s Youth Group`s leader. Korean Democratic Party in Jeon-nam Provincial Part`s main role was it spread its right wings power to the small district unit in Korea and its acting part, Student Group and the Youth Group can permeate into Gun, Yup, Myun unit and they prepared the independent election.

      • KCI등재

        연구논문 : 여순사건과 지역의 기억

        주철희 ( Cheol Hee Joo ) 호남사학회(구 전남사학회) 2014 역사학연구 Vol.56 No.-

        여순사건으로 국가는 반공체제를 굳건하게 구축하였고, 국가 공권력은 국민을 억압 통제하면서 전남동부지역 사람에게는 피해의식이 컸다. 이러한 피해의식은 여순사건을 매우 부정적으로 기억하는 결과로 나타났다. 즉 ‘반공주의자=민족주의자=애국자’란 인식에서 ‘반공 국민’으로 살아야 했다. 이렇게 매우 부정적으로 인식하며 민감한 사건으로 여전히 기억하고 있는 것은, 당시 벌어진 상황에 대한 직접적인 체득이기도 하다. 하지만 지역사회 전반에 내재된 의식이나 분위기에 편승한 간접적인 기억도 적지 않다. 간접적인 기억에는 정부가 법과 제도를 통한 공권력을 악용한 측면과 언론ㆍ문화예술 등 통제하면서 편향적이고 왜곡되게 선전ㆍ홍보에 기인한 결과이기도 하다. 지역에서 기억하는 여순사건을 분석하기 위해 전남동부지역에서 발간한 지방지의 문헌을 살펴보았다. 1960~80년 초반까지 편찬된 문헌은 대체로 정부의 인식과 차이가 없었다. 주목할 것은 1962년에 편찬한 여순사건으로 국가는 반공체제를 굳건하게 구축하였고, 국가 공권력은 국민을 억압 통제하면서 전남동부지역 사람에게는 피해의식이 컸다. 이러한 피해의식은 여순사건을 매우 부정적으로 기억하는 결과로 나타났다. 즉 ‘반공주의자=민족주의자=애국자’란 인식에서 ‘반공 국민’으로 살아야 했다. 이렇게 매우 부정적으로 인식하며 민감한 사건으로 여전히 기억하고 있는 것은, 당시 벌어진 상황에 대한 직접적인 체득이기도 하다. 하지만 지역사회 전반에 내재된 의식이나 분위기에 편승한 간접적인 기억도 적지 않다. 간접적인 기억에는 정부가 법과 제도를 통한 공권력을 악용한 측면과 언론ㆍ문화예술 등 통제하면서 편향적이고 왜곡되게 선전ㆍ홍보에 기인한 결과이기도 하다. 지역에서 기억하는 여순사건을 분석하기 위해 전남동부지역에서 발간한 지방지의 문헌을 살펴보았다. 1960~80년 초반까지 편찬된 문헌은 대체로 정부의 인식과 차이가 없었다. 주목할 것은 1962년에 편찬한 『여수향토사』였다. 『여수향토사』에 서술된 여순사건은 발발당시 상황을 이해하는데 문헌적 가치가 매우 높다고 할 수 있다. 1980년 후반부터는 중립적 시각에서 지역의 상황과 민간인 피해에 관해서도 서술하는 형태로 변화의 조짐이 있었다. 하지만 몇몇 지역에서는 ‘반공주의’를 답습한 형태로 서술했다. 이는 국군과 경찰의 비호아래 우익세력의 힘이 지역사회에서 여전히 발휘하고 있다는 것을 방증한 것이다. 이들은 여순사건을 빨갱이며 공산주의자로 짓누르면서 지역의 유지ㆍ여론주도층으로 오랫동안 지역사회를 지배하였다. 국가권력에 의한 폭력이 지역사회에서도 폭넓게 재현되고 있었음을 문헌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여순사건은 미완의 상태로 존재하고 있다. 지역사회에서는 여순사건 명예회복과 진실규명을 위한 특별법 제정을 촉구하고 있다. 하지만 현장에서 느끼는 지역주민의 반응은 여전히 부담스러우면서 민감한 반응을 보이고 있다. 여순사건의 진실규명을 위한 법적ㆍ제도적 장치도 중요하다. 하지만 지역주민의 기억하고 있는 편향ㆍ왜곡된 인식을 올곧게 바꾸는 것도 무엇보다 우선되어야 한다. 즉, 지역사회가 여순사건을 올바르게 기억하는 것도 여순사건의 또 다른 진실규명이며, 역사적 재평가를 위한 첫걸음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여순사건으로 국가는 반공체제를 굳건하게 구축하였고, 국가 공권력은 국민을 억압 통제하면서 전남동부지역 사람에게는 피해의식이 컸다. 이러한 피해의식은 여순사건을 매우 부정적으로 기억하는 결과로 나타났다. 즉 ‘반공주의자=민족주의자=애국자’란 인식에서 ‘반공 국민’으로 살아야 했다. 이렇게 매우 부정적으로 인식하며 민감한 사건으로 여전히 기억하고 있는 것은, 당시 벌어진 상황에 대한 직접적인 체득이기도 하다. 하지만 지역사회 전반에 내재된 의식이나 분위기에 편승한 간접적인 기억도 적지 않다. 간접적인 기억에는 정부가 법과 제도를 통한 공권력을 악용한 측면과 언론ㆍ문화예술 등 통제하면서 편향적이고 왜곡되게 선전ㆍ홍보에 기인한 결과이기도 하다. 지역에서 기억하는 여순사건을 분석하기 위해 전남동부지역에서 발간한 지방지의 문헌을 살펴보았다. 1960~80년 초반까지 편찬된 문헌은 대체로 정부의 인식과 차이가 없었다. 주목할 것은 1962년에 편찬한 『여수향토사』였다. 『여수향토사』에 서술된 여순사건은 발발당시 상황을 이해하는데 문헌적 가치가 매우 높다고 할 수 있다. 1980년 후반부터는 중립적 시각에서 지역의 상황과 민간인 피해에 관해서도 서술하는 형태로 변화의 조짐이 있었다. 하지만 몇몇 지역에서는 ‘반공주의’를 답습한 형태로 서술했다. 이는 국군과 경찰의 비호아래 우익세력의 힘이 지역사회에서 여전히 발휘하고 있다는 것을 방증한 것이다. 이들은 여순사건을 빨갱이며 공산주의자로 짓누르면서 지역의 유지ㆍ여론주도층으로 오랫동안 지역사회를 지배하였다. 국가권력에 의한 폭력이 지역사회에서도 폭넓게 재현되고 있었음을 문헌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여순사건은 미완의 상태로 존재하고 있다. 지역사회에서는 여순사건 명예회복과 진실규명을 위한 특별법 제정을 촉구하고 있다. 하지만 현장에서 느끼는 지역주민의 반응은 여전히 부담스러우면서 민감한 반응을 보이고 있다. 여순사건의 진실규명을 위한 법적ㆍ제도적 장치도 중요하다. 하지만 지역주민의 기억하고 있는 편향ㆍ왜곡된 인식을 올곧게 바꾸는 것도 무엇보다 우선되어야 한다. 즉, 지역사회가 여순사건을 올바르게 기억하는 것도 여순사건의 또 다른 진실규명이며, 역사적 재평가를 위한 첫걸음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여수향토사』였다. 『여수향토사』에 서술된 여순사건은 발발당시 상황을 이해하는데 문헌적 가치가 매우 높다고 할 수 있다. 1980년 후반부터는 중립적 시각에서 지역의 상황과 민간인 피해에 관해서도 서술하는 형태로 변화의 조짐이 있었다. 하지만 몇몇 지역에서는 ‘반공주의’를 답습한 형태로 서술했다. 이는 국군과 경찰의 비호아래 우익세력의 힘이 지역사회에서 여전히 발휘하고 있다는 것을 방증한 것이다. 이들은 여순사건을 빨갱이며 공산주의자로 짓누르면서 지역의 유지ㆍ여론주도층으로 오랫동안 지역사회를 지배하였다. 국가권력에 의한 폭력이 지역사회에서도 폭넓게 재현되고 있었음을 문헌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여순사건은 미완의 상태로 존재하고 있다. 지역사회에서는 여순사건 명예회복과 진실규명을 위한 특별법 제정을 촉구하고 있다. 하지만 현장에서 느끼는 지역주민의 반응은 여전히 부담스러우면서 민감한 반응을 보이고 있다. 여순사건의 진실규명을 위한 법적ㆍ제도적 장치도 중요하다. 하지만 지역주민의 기억하고 있는 편향ㆍ왜곡된 인식을 올곧게 바꾸는 것도 무엇보다 우선되어야 한다. 즉, 지역사회가 여순사건을 올바르게 기억하는 것도 여순사건의 또 다른 진실규명이며, 역사적 재평가를 위한 첫걸음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As Yeosun Revolt, the country was building firmly an anti-communist system and national public authorities gave a big victim mentality to Jeonnam east area(전남동부지역)``s people while suppressing and controlling the people. Such victim mentality was to remember that Yeosun Revolt is the extremely negative results. That is, Jeonnam east area people(전남동부지역사람) had to live ``the anticommunist national`` on an awareness of ``anti-communism=patriot=ethnic group`` This event has been remembered as a very negative perception. It is also directly learned the happened situation at the time. But it is also less indirect memory jumped on the bandwagon by awareness and atmosphere of the inherent community at large. It is also the result of the abuse of public power with the government``s laws and regulations and the result of biased and distorted propaganda·public relations, while controlling the media·cultural art. I examined the Local-History(지방지) literature published by Jeonnam east area to analyze Yeosun Revolt within local``s remembrance. There was no difference generally between the government``s recognition and the compilation of literature from 1960 to early 1980s. ‘여수향토사’ should be noted that it was compiled in 1962. Yeosun Revolt described in ‘여수향토사’ can be a very high literature values to the understanding of the situation at the time of the outbreak. Since the late 1980s, ``여수향토사‘ was signs of change into a description about the status of the local and damage to civilian in neutral point of view. But some areas still described as a form of followed anti-communism. This threw a sidelight on that strength of right-wing under the protection of the armed forces and police exerted still in community. They thought that Yeosun Revolt is Bbalgangi(빨갱이) and communist and were dominated by maintenance·opinion leaders of this area for a long time. This can be confirmed through the literature that violence by the state power has been reproduced widely in community. Yeosun Revolt is in a state of incomplete. The community is urged to enact a special law for Yeosun Revolt``s rehabilitation and clarification of truth. But the reaction of the local people at the scene still seems burdensome and sensitive. It is important legal and institutional devices for Yeosun Revolt``s clarification of truth. But it should take precedence over what changing correctly the biased·distorted perception within local people``s remembrance. In other words, that local residents remember correctly Yeosun Revolt was also another Yeosun Revolt``s clarification of truth and was able to confirm the firs step for historical reassessment.

      • KCI등재
      • KCI등재
      • 1910년대 전남지역의 항일비밀결사

        홍영기 전남사학회 2002 역사학연구 Vol.19 No.-

        I looked through the resist-Japanese movement of underground organization which was in Chunnam in 1910s. First of all, we investigated the main characters and their activity of a group of assassination against five traitor which originated from the underground organization. Secondly, we examined how the remaining Righteous Army could succeed to the Resist-Japanese Movement after the Righteous Army in Honam got serious damage by the large-scale Japanese military operation which broke out in Sep. ∼Oct. 1909. I investigated Gwangbokhyoi(Association of Independence Fighters) and Dokribyokunbu(Righteous Army for Independence Organization) in detail as the representative underground organizations in Gwangju-Chunnam area in 1910s. Dokribyokunbu was the underground organization which succeeded to the Righteous Army, making a plan to seek Independence closely related to our emperor Gojeong. On the other hand, Gwangbokhyoi was established by a group of the Righteous Army & the enlightenment movement in Kyovgbuk and Chungchung area, and linked with other powerful group for Independence abroad. Dokribyokunbu showed its transitional character from the Righteous Army to the Independence Army against Japan. Dokribyokunbu revealed a sort of limit in terms of construction by metaphysical ruling order based on Hwangyak(Community Agreements governing Morality). Gwangbokhyoi, by contrast, focused on the establishment of liaison organ, punishment of pro-Japanese rich class and raising military fund. They expected the thing similar to Shinhae Revolution to take place even in Korea through heroic struggle of a few people which could obtain strong effect. In short, the direction of Anti-Japanese Movement changed from the Righteous Army into Underground Organization. This Underground Organization was peculiar in terms of nationwide formation. The conservative Underground Organization which came from Righteous Army held on to the idea of Monarchism on the other hand, underground organization led by reformist Confucian scholars supported Republicanism actively. Such activity by progressive Confucian scholars contributed greatly to the settlement of Republicanism passing through Sam-Il Move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