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교육과정-수업-평가의 일체화를 통한 초등학교 문화유산학습의 실제 - <안성의 문화유산 PR 대작전> 수업을 사례로 -

        허영훈 한국역사교육학회 2019 역사교육연구 Vol.- No.3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e design and teaching process of elementary school cultural heritage lesson by alignment of curriculum - instruction - evaluation from the viewpoint of the student's cultural practice in order to overcome the problems and limitations of existing cultural heritage learning. First, it examines the meaning and current status of cultural heritage education in Korea, and set the direction and task of new cultural heritage education as conversion from knowledge-based cultural heritage learning to “Cultural practice”, learning of heritage linked with students' life and experience, learning of cultural heritage, learning of cultural heritage through integration by alignment of curriculum-instruction-evaluation, and increasing the interest in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fter designing a cultural heritage lesson reflecting this, I focused on drawing implications while appreciating the process of class practice. The implications of the research and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are as follows. First, we carried out cultural heritage learning to move from ‘Cultural Heritage Learning as a Transmission’ to ‘Cultural Activities’. Second, we conducted cultural heritage learning in the area that links students' lives, experiences and living world. Third, it showed the typical characteristics of elementary school cultural heritage learning through integration by alignment of curriculum-instruction-evaluation Fourth, through the study of cultural heritage, it showed the possibility of ‘recontextualization’ in addition to expanding awareness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Fifth, we pay attention to the role of teachers as a practitioner in creating curriculum, design and implement cultural heritage education, and analyze(reflect) the process and result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research, researchers who are interested in cultural heritage education can diversify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of each region, life experiences of students and aspects of cultural heritage resources, I hope to practice learning about cultural heritage of ‘Cultural Activities’ through alignment of curriculum-instruction-evaluation. 본 연구에서는 기존 문화유산학습의 문제점과 한계를 탈각하기 위해 학생 주체의 ‘문화행하기’ 관점에서 교육과정-수업-평가의 일체화를 통한 초등학교 문화유산수업의 설계와 수업 실천 과정을 드러내었다. 먼저, 우리나라 문화유산교육의 의미와 현황을 검토하여 지식 중심의 문화유산학습에서 ‘문화행하기’로의 전환, 학생들의 삶과 경험 및 생활세계와 연계한 문화유산학습, 교육과정-수업-평가의 일체화를 통한 교과 통합의 문화유산학습, 무형문화유산에 대한 관심 증대라는 새로운 문화유산교육의 방향과 과제를 설정하였다. 그리고 이를 반영한 문화유산수업을 설계한 후, 수업 실천의 과정을 음미하면서 함의를 도출하는 것에 주안점을 두었다. 연구의 함의와 교육적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달・전수식의 문화유산학습에서 탈피하여 ‘문화행하기’로 나아가는 문화유산학습을 실시하였다. 둘째, 학생들의 삶과 경험 및 생활세계를 연계한 지역의 문화유산학습을 실시하였다. 셋째, 교육과정-수업-평가의 일체화를 통한 교과 통합의 초등학교 문화유산학습의 전형을 보여주었다. 넷째, 문화유산학습을 통해 무형문화유산에 대한 인식 확대와 더불어 ‘재맥락화’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다섯째, 교육과정을 창조하는 실천가로서의 교사의 역할에 주목하고, 문화유산교육을 설계하고 실천하였으며 그 과정과 결과를 분석(반성)했다는 점이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문화유산교육에 관심을 가지고 있는 연구자들이 각 지역의 특성과 학생들의 생활세계 경험 및 문화유산 자원의 양상에 따라 다양하게 변용하며 교육과정, 수업, 평가의 일체화를 통한 ‘문화행하기’의 문화유산학습을 실천하기를 기대해 본다.

      • KCI등재

        초등학교 에코뮤지엄 지역사 탐구체험학습의 가능성 모색: 경기도 안성 원곡·양성면의 4 · 1독립만세운동을 중심으로

        허영훈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018 사회과교육연구 Vol.25 No.3

        In this study, we have traced memories on the basis of the remaining memories in consideration of the fact that the memories to be memorized in the original and the positive 4.1 independence movement were forgotten, and then examined from the view point of memory and oblivion. In addition, the students paid attention not to being alienated as the master of history learning in the classroom space but to the inquiry experience learning that covers the area where students live as a way of doing history as a history producer. In addition, the Ecomuseum, a new concept of museology that allows students to engage in a cultural centering role while creating a participatory and networked network of students in the community beyond the space of the classroom, To find the applicability and to derive educational significance. However, this study has limitations in that it has not been able to carry out concrete action in the field because it is a research study. In the future, students will be invited to take a closer look at the specific aspects and results while practicing the students’ ecomuseum area exploration experience. 본 연구에서는 우리 지역에서 원곡․양성 4․1독립만세운동의 기억되어야 할 흔적들이 망각되어 있다는 것에 착목하여 남아있는 사료들을 바탕으로 기억들을 추적한 후 기억과 망각의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그리고 학생들이 교실 공간에서 역사학습의 주인으로서 소외되지 않고, 역사 생산자로서 역사를 행하는(doing) 방안으로 학생들이 살아가는 지역을 범위로 한 탐구체험학습을 주목하였다. 또한, 교실의 공간을 넘어 학생들이 지역 사회에서의 주체적인 참여와 네트워크를 형성하면서 문화적 구심적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박물관학의 개념인 에코뮤지엄(Ecomuseum)을 교육적 관점으로 원곡․양성 독립만세운동에 도입하여 적용 가능성을 모색하고 교육적 의의를 도출하였다. 다만, 본 연구는 시론적인 연구라는 점에서 현장에 아직 구체적인 실천은 하지 못했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추후 학교 현장에서 학생들과 에코뮤지엄 지역사 탐구체험학습을 실천하면서 구체적인 양상과 결과를 면밀히 살펴볼 것을 기약한다.

      • KCI등재
      • KCI등재후보

        2015 개정 교육과정에 기반한 교과 통합형 초등학교 독도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허영훈,김봉석 한국사회과수업학회 2017 사회과수업연구 Vol.5 No.2

        This study is about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n integrated Dokdo education program with an awareness of the problem from micro and segmental approaches and administration of exhibition toward Dokdo education. The process of the study first describes a series of processes and procedures that developed a program that is highly relevant to the field. Next, the study applied the developed program to students and analyzed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of the program is as follows. First, it extracted learning elements from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and the Dokdo education content system, secures sequence and systematicity, and develops and applies a curriculum-integrated program that guarantees its applicability to school. Second, the problem-solving type of project learning was designed so that actual and self-directed learning activities could be performed not just staying on the cognitive-level approach to the content elements of Dokdo. Third, we showed the example of teachers who have the literacy over the curriculum as the developer of the curriculum and the expert of the operation of the curriculum. Fourth, the study tried to reflect on the program while applying the program directly to the classroom while viewing teachers as professional practitioners. Fifth, students increased their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Dokdo, and developed the willingness and ability to logically respond to the Dokdo issues and resolve them correctly. 본 연구는 미시적이고 분절적인 접근과 전시성 행사나 사업 위주의 독도 교육에 대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교과 통합형 독도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현장에 적용한 연구이다. 연구의 진행은 먼저, 현장 적합성이 높은 프로그램을 개발해 나갔던 일련의 과정과 절차를 구체적으로 서술하였다. 다음으로, 개발한 프로그램을 학생들에게 적용하고, 분석하여 교육적 의의를 규명하였다. 이를 통해 2015 개정 교육과정이 5~6학년군에 적용되는 2019년을 앞두고 있는 현 시점에서 교육 현장의 아래로부터 만들어나가는 교육과정 개발의 전형적인 실천 사례 및 모델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프로그램의 교육적 의의로는 첫째, 2015 개정 교육과정과 독도 교육 내용 체계에서 학습 요소를 추출하여 계열성과 체계성을 확보하고, 현장 적합성을 담보한 교과 통합형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했다는 점이다. 둘째, 독도의 내용 요소에 대해 인지적 접근에 머무르지 않고, 실제적이면서 자기 주도적인 학습 활동이 가능하도록 문제 해결형의 프로젝트 학습을 구안했다는 점이다. 셋째, 교육과정 개발자 및 교육과정 운영의 전문가로서의 교육과정 문해력을 가진 교사의 사례를 보여줬다는 점이다. 넷째, 교사를 전문적 실천가로 보는 관점을 견지하면서, 직접 교실 현장에 프로그램을 적용하면서 반성적 성찰을 시도했다는 점이다. 다섯째, 학생들이 독도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높아졌으며, 독도 문제에 논리적으로 대응하고 올바르게 해결하기 위한 의지와 능력이 신장되었다는 점이다. 본 연구를 통해 독도 교육에 관심을 가지고 있는 연구자들이 교육과정과 연계하여 다양한 교과 통합형 독도 교육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개발하고 실천할 것을 기대해 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