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김정환의 교사론 연구

        전일 안암교육학회 2023 한국교육학연구 Vol.29 No.2

        Kim, Jeong-hwan(金丁煥, 1930-2019) is one of the important educational thinkers of modern Korea. His educational thoughts are based on human education as overcoming inhuman situations, national education derived from insight into the reality of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division and Non-churchism that originated from indigenous and popular beliefs. The basic theme penetrating this educational thought was the theory of teaching. In this study, I researched what kind of teacher Kim, Jung-hwan had thought of, what the ideal teacher he suggested was, and what kind of educational meaning this had in modern times. To this end, I studied teachers who aim to form human beings, teachers who live with the life of the nation, teachers who breathe with the people, and Seonbi teachers who resist with a critical mind. And through this, I thought about what kind of teacher image should be aimed at in our educational reality. I think that the research on the image of a teacher presented by Kim, Jeong-hwan will provide educational implications for the present and future image of a teacher that we should aim for. 김정환(金丁煥, 1930-2019)은 현대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교육사상가 중의 한 명이다. 그의 교육사상은 비인간적 상황에 대한 극복으로써의 인간교육, 일제 강점기 및 분단 현실에 대한 통찰에서 비롯된 민족교육, 토착적・민중적 신앙에서 시작된 무교회주의 등을 기초로 하고 있다. 이러한 교육사상을 관통하는 기본 주제가 바로 교사론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김정환이 생각해 온 교사란 어떤 존재이어야 하며, 그가 제시하고 있는 이상적 교사상은 무엇이고, 이것이 현대적으로 어떤 교육적 의미를 갖는가에 대하여 탐구해 보았다. 이를 위하여 인간 형성을 지향하는 교사, 민족의 삶과 함께 하는 교사, 민중과 함께 숨 쉬는 교사, 그리고 비판적 의식을 가지고 저항하는 교사 등에 대하여 연구해 보았다. 그리고 이를 통하여 우리의 교육 현실 속에서 어떤 모습의 교사상이 지향되어야 할 것인가에 대하여 생각해 보았다. 김정환이 제시하였던 교사상에 대한 연구는 우리가 지향해 가야 할 현재와 미래의 교사상에 대한 교육적 시사점을 제공해 줄 것이라 생각한다.

      • KCI등재
      • KCI등재

        전문직으로서의 교사의 지위에 관한 연구: 교사의 지위에 관한 UNESCO/ILO의 "권고문"을 중심으로

        전일 ( Il Kyoun Cheon ) 안암교육학회 2015 한국교육학연구 Vol.21 No.4

        교사의 지위와 관련된 대표적 국제간 협약이 UNESCO와 ILO의 ``교사의 지위에 관한 권고문``(Recommendation concerning the Status of Teachers, 1966)이다. ``권고문``은 전문직으로서의 교사가 지녀야 할 지위와 이에 따른 권리를 상세히 다루고 있다. 본 글에서는 ``권고문``에서 제시하고 있는 전문직으로서의 교직에 대한 협약 내용 중, 교사의 교육자유권, 신분 보장 과 단체활동권, 사회·경제적 지위 등에 대하여 검토해 보고, 이를 국내의 상황과 비교해서 살펴보았다. 그 결과, 우리나라에서의 교육자유권 및 신분보장과 단체활동권은 각종 공무원으로서의 신분에 따른 법률적 제약, 교육에 대한 정치·사회적 과도한 간섭 등으로 인하여 ``권고문``에서 제안하는 수준에 미치지 못하고 있으며 그로 인하여 사회·경제적 지위 또한 국제 기준보다 미흡함을 찾을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UNESCO와 ILO의 ``권고문``을 기준으로 이러한 현상의 원인과 대안을 탐구해 봄으로써 우리나라 교사의 지위 향상에 대한 교육적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Status`` means that the position of an individual in relation to another or others, especially in regard to social or professional standing. The most representative international agreements concerning the status of teachers is "Recommendation concerning the Status of Teachers" (UNESCO/ILO, 1966). ``Recommendation`` means that the Special Intergovernmental Conference on the Status of Teachers, recalling that the right to education is a fundamental human right. Especially ``Recommendation`` was covered in detail about the teacher`s right as professional and its status as a teacher. In this article study on the teachers` educational freedom, teachers` security of tenure and teachers` organizations as a profession and social-economic status of teachers, in ``Recommendation``. This study were compared domestic situations with the international standards in this issues. As a result, educational freedom and tenure rights and organizational activities in this country were able to finded that the status of teachers does not keep the ``Recommendation`` and thereby the social and economic status also not enough than international standards because a variety of legal and political factors. Recognizing the essential role of teachers in educational advancement and the importance of their contribution to the development of man and our society. In this view this study provide a lot of implications for our educational situations.

      • KCI등재

        프레이리의 좋은 교사론에 관한 연구

        전일 ( Il Kyoun Cheon ) 한국교육사학회 2012 한국교육사학 Vol.34 No.1

        This study on Paulo Freire(1921-1997)`s theory about ``good teacher`` and the qualities and abilities as a ``Good Teacher``. This study use the original works of Freire for the achieve the aims of this study. Specially, I wish to find out Freire`s thought about good teacher` qualities and abilities. The study begins by researching the philosophical origins and assumptions underlying the concepts of Freirean thought. Freire thought that education must be made the critical attitude as a human being established his independence and it must overcomed fatalism. And he did not the teacher with from the occupational person who delivered a knowledge, but he emphasized the image of teachers to initiate the sense of responsibility against the human being and a culture and a history. With like this reason Freire defined based on the political sensitivity, for students who love and care, humility and tolerance, and critical thinking is a ``Good Teacher`` qualities and he thought good teacher should be had a ability about teaching skill, a feeling share with students and authority, having abandoned the ability of the authority as teachers. Freire dreamed a ``Good Teacher`` in our educational` reality and that many aspire to be a good teacher. 본 연구는 프레이리가 생각하는 ``좋은 교사``란 어떤 교사이며, 교사로서의 자질과 능력은 구체적으로 무엇인가를 알아보기 위하여 시작되었다. 프레이리의 원저작들을 중심으로 해서 이루어진 본 연구 과정을 통하여 프레이리는 정의에 기초한 정치적 감성, 학생에 대한 사랑과 관심, 겸손과 관용 그리고 비판적 사고가 좋은 교사가 지녀야 할 자질이며, 잘 가르칠 수 있는 능력, 피교육자와의 감정 교감 능력, 권위를 버리고도 교사로서의 권위를 갖는 능력 등이 좋은 교사가 지녀야 능력이라는 사실을 밝히게 되었다. 프레이리가 꿈꾸었던 ``좋은 교사``에 대한 구체적인 모습을 통하여, 우리의 교육 현실과 좋은 교사가 되기를 열망하는 많은 교육자들에게 또 하나의 교육적 시사점을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 KCI등재
      • KCI등재

        프레이리의 교사론 연구

        전일 ( Il Kyoun Cheon ) 교육철학회 2009 교육철학연구 Vol.46 No.-

        본 연구에서는 프레이리가 생각하는 교사는 어떤 존재이며 역사와 사회 그리고 교육 현장에서 어떤 역할을 가져야 한다고 생각 하였는가 등을 밝힘으로써 그가 지향하는 교사상을 찾아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프레이리의 원저작들을 중심으로 그의 교사론에 대하여 탐구해 보았는데, 그 결과로 프레이리가 지향하는 교사상은 주체적 문화생산자, 비판적 인간 형성자, 해방과 사회변혁의 선구자, 사랑과 희망의 전달자라는 결론을 얻게 되었다. 프레이리의 교사론에 관한 이러한 연구는 교사란 어떤 존재이며 역사와 사회 속에서 어떤 역할을 해야 하는 지, 그리고 입시와 성적 지상주의에 병들어 있는 우리의 교육 현장 속에서 어떻게 하는 것이 교사로서의 바른 길을 가는 것인지 등에 대하여 교육적 시사점을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This paper argues for Paulo Freire(1921-1997)`s theory about teacher. This study begins by exploring the origins of Freire`s Works, for the achieve the aims of this paper. Specially, I wish to find out Freire`s thought about teacher in this paper. The study begins by researching the philosophical origins and assumptions underlying the concepts of Freirean thought, notably the critique of banking education, and revolutionary character of the concepts of dialogue. For Freire, the aim of the pedagogy of the oppressed is to emancipate people from social and economic repression. Critical education in Freire is connected to the ideas of social justice and democracy. So, critical education is intellectual work that aims to make the world more just. So, the problems of teacher are very important facts in Freire`s thought. Role of the teacher as facilitator, and the liberating nature of the literacy method in which participants` awareness of the `world`. Afterwards I will distinguish the importance of inserting Freire`s thinking in the knowledge needed to the teacher action and establish with the competence notion. Teacher with critical pedagogy is form of education which emerge from critical compassion: a transcendence of emotional and the intellectual: the heart and mind learn to see and know in new ways. After researching Freire`s thinking about teacher, I got following conclusion conclusively. Freire thinking that teacher is a cultural worker and critical thinking maker, emancipator and social reformer, and messenger of the hope and the love. Freire thinks that critical educator`s task in fighting against social injustice is more import work in the human history and for the new world.

      • KCI등재

        김정환의 교육사상 연구

        전일 한국교육철학학회 2022 교육철학연구 Vol.44 No.2

        Kim, Jeong-hwan (金丁煥, 1930-2019) was born in Jeongeup, Jeonlabuk-do. In 1970, he received his Ph.D. from Hiroshima University. His dissertation was on Pestalozzi's mathematics education. By the time he passed away in 2019, he had become an educational philosopher who had published about 48 papers, 32 books, including supplementary and revised editions, and various letters to his students and friends. His exploration of educational thought began with Pestalozzi, who focused on European education ideology centered on Germany in the 18th and 19th centuries. Based on this, Kim Jeong-hwan develops a frame of the educational ideologies of humanistic education as a resistance to the dehumanizing modern society, national education based on contemplating the reality of Japanese occupation and the division of north and south, and religious education based on the non-church Christian faith. Through this, Kim Jeong-hwan tried to find a diagnosis of and pedagogical solution to our educational reality. This study seeks to obtain new implications for our education through research on Kim, Jung-hwan's theory of human, national, and religious educations. Scholarship on Kim, Jeong-hwan, one of the modern educational thinkers, is still in its early stages, but provides a new perspective on the pedagogical direction our education follow. 김정환(金丁煥, 1930-2019)은 전북 정읍에서 출생하여 1970년 히로시마 대학에서 “페스탈로찌의 교육학에 있어서 수학교육의 이론과 그 교육사적 위치”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2019년 별세할 때까지 약 48편의 논문과 증보 개정판을 포함하여 32권의 저역서, 그리고 제자 및 친지들과 소통한 각종 서한들을 남긴 교육철학자이다. 그의 교육사상은 페스탈로치를 근간으로 하여 시작되었으며 특히 18-19세기 독일을 중심으로 한 유럽의 교육사상에 대한 연구를 바탕으로 하고 있다. 그는 이를 바탕으로 비인간화되어 가는 현대사회에 대한 저항으로서의 인간화 교육, 일제 강점기와 분단 현실에 대한 고민 속에서 얻어진 민족교육, 그리고 무교회주의 기독교 신앙에 근거한 종교교육이라는 교육사상의 틀을 갖게 되며, 이를 통하여 우리의 교육현실에 대한 진단과 교육학적 처방을 찾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김정환의 인간교육론, 민족교육론, 종교교육론에 대한 연구를 통하여 우리 교육에대한 새로운 시사점을 얻고자 진행되었다. 현대의 교육사상가 중의 한 명인 김정환에 대한 연구는 아직은 시작에 불과하지만, 현재 우리 교육이 가야 할 교육학적 지향점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제공해 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