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동빈문고의 中國飜刻本과 그 가치-「近思錄」과 「韻府群玉」을 중심으로-

        영정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12 민족문화논총 Vol.51 No.-

        This paper that is bibliographical study of the Book Culture of East Asia deals with value and meaning of Geunsarok and Unbugunok belonging to Dongbin Collection of Yeongnam University and printed in late Goryeo and early Joseon. In other words, I proceeded to study focusing on Geunsarok and Unbugunok belonging to Dongbin Collection of Yeongnam University which had been reprinted in Joseon in the process of importing Chinese edition printed in Song-Yuan Dynasty. Examining the real books, I inquired into pattern and circulation of the book exchange and found out new materials. Also I think this is meaningful in understanding origin and early form of Korean old books. In case of reprinting Chinese books imported in Joseon, they were reprinted as original forms or printed in new style maintaining original format. Also at first having reprinted as original forms, later they were printed in new layout making use of movable type. Based on Chinese books, Geunsarok and Unbugunok were reprinted as original forms. I consider that the comparison between reprinting of Song-Yuan books and original books remaining in Korea, based on the physical bibliography of Song-Yuan edition, will be helpful in clarifying influence and contents of Chinese books in East Asian Book Culture. 이 연구는 동아시아 서적문화에 관한 서지학적 고찰로 영남대 동빈문고 소장의 중국 번각본 중 고려말과 조선전기에 간행된 「근사록」과 「운부군옥」에 대하여 그 가치와 의의를 다루었다. 송・원시기 중국에서 간행된 서적이 조선에 수용되는 과정에서 조선에서 간행된 번각본인 「근사록」과 「운부군옥」을 중심으로 영남대 동빈문고의 두 책을 대상으로 삼아 연구를 진행한 것이다. 실물자료에 의한 구체적인 사례를 통해 서적 교류의 유형과 유통 및 새로운 자료에 대한 발굴이란 측면에서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는 국내 고문헌의 원류와 초기의 형태를 파악하는 데에도 의의가 있다. 조선에 유입된 중국간본은 간본을 저본으로 하여 그대로 번각하는 경우도 있지만, 본래의 판형을 유지하되 새롭게 중간하는 경우가 있다. 또 처음에는 간본을 그대로 번각하였다가 새로운 활자가 제작되면 해당 활자를 이용하여 새로운 판식으로 간행하기도 하였다. 「근사록」과 「운부군옥」은 저본을 바탕으로 그대로 번각하는 경우의 예로서 그 방식을 잘 보여준다. 송・원간본의 형태서지적 속성을 바탕으로 고려・조선에서 간행된 송・원간본의 번각본들 중에서 현존하는 자료를 파악하여 한국에 남아있는 송・원간본과의 실증적인 예를 통한 확인 작업이 이루어진다면 동아시아의 서적문화에서 중국 간행서적의 영향과 그 내용을 확인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후보

        『華城城役儀軌』와 『뎡니의궤』의 서지적 분석과 비교

        영정 진단학회 2016 진단학보 Vol.- No.127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reassess the value of Hwasung Castle Construction Manual, which is written in Chinese, by examining the process of its publication and the existing materials, and to conduct comparative research between its Chinese character edition and recently discovered materials written in Korean. The first compilation of Hwasung Castle Construction Manual was accomplished on November 9, 1796, but there had been a series of proofreading drafts and a change in the method of compilation during the period between the completion of the first draft and printing. The printing started after the last compilation in the leap month of April, 1800, and the specific number of copies was determined on May 28 in the same year, but after about a month the printing was suspended due to the sudden death of King Jeongjo. It was eventually published in the form of 10 volumes and 9 books by using Jeongrija, which is a movable metal type, in September, 1801. It is confirmed that about thirty two varieties of existing editions are being kept by main domestic holding institutions and around seven other types of existing editions are being kept in foreign countries. The Korean-character edition of Dungny Manual consists of 13 volumes and 13 books, and includes “Hwasung Castle Construction.” It is confirmed that it was made by King Jeongjo for his mother, Hegyonggung Hong, in around October, 1797. The contents of five books—vol. 40, vol. 46, vol. 47, vol. 48, and the recently discovered vol. 39—are related to the Hwasung Castle construction done in the period between January 1794 and September 1796. The distinctive feature of these Korean character materials is that most of the contents were recorded chronologically. This means it is possible to know the process of the construction of Hwasung Castle in order. It can be understood that Volume 39 of Dungny Manual is the initial volume with a plate, and the text, which corresponds to Hwasung Castle Construction Manual, begins from Volume 40. It may have been comprised of ten volumes, because Volume 48 is the final volume. “Hwasung Castle Construction” in Dungny Manual coincides with many parts of Hwasung Castle Construction Manual, which is found only in the Chinese language. This means that a Korean-character edition of Hwasung Castle Construction Manual, which had previously been found only in Chinese characters, has been discovered. This also allows the confirmation of new records of the Hwasung Castle construction that are not included in the existing Korean annotation of Hwasung Castle Construction Manual. As a result of comparison with the existing literatures, thirty six distinctive materials have been identified and presented. Moreover, it has been found that there are many unknown valuable records that include explanations for readers dealing with the same contents included both in the Korean edition and in the Chinese edition. 이 연구는 한문본 『화성성역의궤』의 간행이 이루어지까지 과정과 현전하는 자료를 통해 그 가치를 되짚어 보고, 한문본과 함께 최근에 알려진 한글자료에 대해서 비교 검토하여 살펴본 것이다. 『화성성역의궤』는 1796년 11월 9일에 1차 편찬이 이루어졌지만 초고의 완성 이후 인쇄가 이루어지기까지 여러 차례의 교정과 편찬 체재의 변동이 있었다. 1800년 윤4월에 최종 편찬을 마치고 인쇄작업에 착수하게 되고 같은 해 5월 28일에는 구체적인 간행부수까지 정하였지만 약 한달 후 정조의 갑작스러운 昇遐로 인쇄가 중단 되었고, 이후 1801년 9월이 되어서야 금속활자인 정리자를 이용하여 10권 9책으로 간행되었다. 현존본은 국내 주요 소장처에 약 32종, 국외에 7종 정도를 확인하였다. ‘화성성역’을 포함하고 있는 한글본 『뎡니의궤』 13권 13책은 1797년 10월경에 작성된 것으로 정조가 어머니 혜경궁 홍씨를 위하여 제작한 것이 확인된다. 이번에 새로 발견된 권39를 비롯하여, 권40, 46, 47, 48까지 5책의 내용이 1794년(정조18) 1월부터 1796년(정조20) 9월까지 진행되었던 화성 성역에 관련된 것이다. 이 한글자료의 큰 특징은 대부분 기록이 날짜순으로 수록된 체계라는 것이다. 이는 곧 화성성역의 진행과정을 순서대로 파악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한글본 『뎡니의궤』 의 권39가 『화성성역의궤』와 마찬가지로 도판이 있는 卷首에 해당하고 권 40부터 본문이 시작됨을 알 수 있다. 권48이 마지막 권이므로 전체 10권으로 이루어졌을 것이다. 한글본 『뎡니의궤』의 “화성성역”은 한문본으로만 알려진 『화성성역의궤』의 내용과 많은 부분이 일치하고 있기 때문에 기존에 한문본 형태로만 남아있는 『화성성역의궤』에 대한 한글본 발굴이라는 의미도 있다. 또한 기존의 『화성성역의궤』에 대한 한글언해와 함께 수록되지 않은 새로운 화성성역의 기록까지 확인할 수 있다는 점에서 가치를 지닌다. 기존 문헌과의 비교결과 확연히 드러나는 37건의 내용을 확인할 수 있었고 이를 제시하였다. 하지만 한글본과 한문본에 이미 수록되어 동일한 내용을 다룬 것 중에도 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한 설명 등 알려지지 않은 소중한 기록들이 산재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 서울역사박물관 소장 홍두선 기증 古書의 현황과 그 가치

        영정 한국서지학회 2011 서지학보 Vol.0 No.38

        이 연구는 2008년 7월에 서울역사박물관에 기증된 홍두선 선생 기증고서를 대상으로 고서의 전체적 현황과 성격 및 그 가치를 살펴보는 데 초점을 두었다. 이 기증고서는 2010년에 1차적 정리가 이루어져 2010년 9월 30일부터 10월 31일까지 특별 전시회가 이루어졌다. 기증고서는 홍두선 선생이 평생 심혈을 기울여 모은 총 303종 603책의 자료이다. 집안 대대로 전해져 내려온 장서는 아니지만 단일 개인소장 장서로서 의미가 있다. 특히 그 판본이 다양한 금속활자본이 주종을 이루고 간행시기가 비교적 오래된 귀중본 자료를 다수 포함하고 있어 중요한 가치를 지닌다. 여기에는 목판본이 163종 금속활자본이 57종으로 주종을 이루고 있으며 이 외에 필사본과 목활자본, 연활자본, 석인본이 포함되어 있다. 자료 중에 조선전기의 중요 전적이 다수 포함되어 있다는 점에서 그 가치가 높게 평가되며, 특히 금속활자본의 경우 다양한 활자본이 분포되어 있어 금속활자본의 연구에 중요한 자료가 된다. 기증고서의 현황과 가치를 간략히 살펴봄으로써 향후 연구자들의 관심과 다양한 학문적 접근이 이루어지는데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This study focused on looking into total present situations and its values of old books by objecting to donated ones to Seoul Museum of History at July 2008 from Hong, Doo Seon. This donated old books were arranged firstly in 2010, and a special exhibition has been held from September 30 to October 31, 2010. The donated old books are data of total 303 kinds and 603 books having been gathered through his lifetime with his heart’s blood. The books are not collections having been handed down for generations in his family, but it has a meaning of collection as a uniquely private-owned one. Specially, the block book is composed of various metal types mainly, and the publicized period contains old precious book’s data relatively, and thus it has important values. Also, this point has another meaning in that it raised phases of owned data in Seoul Museum of History. In this donated books, there are 163-kind block books and 57-kind metal type ones mainly, and also scripts, wooden type books, zinc type ones, and lihoprints are contained. As this data’s values are evaluated high in that it includes important records on early Joseon period, and the data becomes important data for researching metal type books because various printed books are distributed widely. This study tried to give helps in making interests and various academic approaches from forthcoming researchers by watching for present situations and values of the donated old books.

      • KCI등재

        非小說 漢文坊刻本 刊行에 대한 書誌的 고찰

        영정 열상고전연구회 2010 열상고전연구 Vol.31 No.-

        이 연구는 한문으로 간행된 비소설방각본에 대해 기존의 연구에서 다소 부족한 면이 있는 서지적 고찰을 목적으로 작성되었다. 연구대상인 한문방각본은 방각본 가운데 그 서사 문자가 한글이 아닌 ‘漢文’인 것을 말한다. 다만 본고에서는 한문 방각본 가운데 많은 분량을 차지하고 있는 소설류는 연구대상에서 제외하였다. 먼저 방각본의 정의와 특징에 대한 기존의 논의 가운데 몇 가지 주요 쟁점을 검토해보았다. 우선 방각본에 대한 서지학적 논의를 통하여 정의를 재고하였다. 방각본의 정의는 민간의 범주와 상업성의 성격을 고려하여 “민간이 영리를 목적으로 간행한 목판본 또는 고활자본”을 일컫는 것으로 수정할 필요가 있음을 밝혔다. 그리고 방각본의 특징을 살펴본 후 한문방각본의 내용과 특징, 형태서지적 특징, 간행의 유형 등을 다루었다. 내용적 특징과 형태서지적 분석, 간행의 유형은 방각본의 특징을 서지학적 관점에서 고찰한 것이다. 특히 간행의 유형에서는 국내판본의 전승, 국외판의 번각, 새로운 간행으로 구분하여 해당 사례를 제시함으로써 국내 전존하고 있는 한문방각본의 원류를 파악하기 위한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duct bibliographical consideration on commercially woodblock-printed books of nonfiction written with chinese characters, centered on what has been insufficiently coped with in previous researches. The subject, commercially woodblock-printed books with Chinese characters, indicates the ones written with not Korean but Chinese characters, but fiction occupying much of the commercially woodblock-printed books with Chinese characters is not included in this study. The author examined several main issues among the existing discussions on the definition and characteristics of commercially woodblock-printed books. First, the definition was reconsidered through bibliographical discussion on commercially woodblock-printed books; the author clarified that the definition of commercially woodblock-printed books should be adjusted to be block books or old movable-type books that were published on the purpose of profit by common people, by consideration of the scope of common people and characteristics of commercial viability. After characteristics of commercially woodblock-printed books were established, contents and characteristics, material bibliographical characteristics, and types of publication of commercially woodblock-printed books with Chinese characters were coped with. Content characteristics, material bibliographical analysis, and types of publication indicate that the characteristics of commercially woodblock-printed books were considered from bibliographical aspect. As for types of publication, in particular, the author presented methodology to understand the origins of the commercially woodblock-printed books with Chinese characters in Korea by dividing into transmission of domestic printed books, reprinting of foreign printed books, and new publication and providing relevant cases respectively.

      • KCI등재후보

        『東醫寶鑑』 初刊本과 한글본 『동의보감』의 서지적 연구

        영정(Ok Young-jung) 한국학중앙연구원 2010 장서각 Vol.0 No.24

        이 연구는 『동의보감』 초간본의 간행 과정과 그 현전본을 조사하여 서지적 특징과 의미를 알아보고, 장서각 유일본으로 남은 한글본 『동의보감』의 특징과 편찬 목적을 살펴본 것이다. 전근대시기 중앙기구의 편간물은 대부분의 인쇄 공정을 수작업에 의존하기 때문에 많은 비용과 인력이 투입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과정에는 까다로운 인쇄기술이 뒤따르기 마련이어서 그 자체로 기술문명의 수준을 반영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문화적 척도가 될 수 있는 것이다. 『동의보감』은 이러한 사실을 보여주는 좋은 사례이다. 초간본 『동의보감』이 이러한 인쇄문화적인 측면에서 지니는 의미는 우선 고려 · 조선을 거치면서 이어져 내려온 서적 編刊體系가 전쟁으로 붕괴된 상황에서 일구어낸 거질의 책이라는 점에 있다. 이에 대한 의미 부여를 위해서 이 글에서는 당시에 인쇄를 위해 쓰인 활자, 조판의 방법 등 인쇄기술에 대한 접근과 함께 앞으로 다루어져야 할 간행의 주관 기구에 대한 기초적 접근을 시도하였다. 『동의보감』 간행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기구로서 훈련도감, 내의원, 교서관, 서적교인도감과의 관계를 규명해내는 작업이 필요하며, 아울러 『동의보감』과 동일한 활자와 인쇄의 방식으로 간행된 서책에 대한 종합적 검토를 통해 각 자료에 새로운 가치를 부여할 필요가 있다. 초간본 『동의보감』은 기록유산으로 지정된 자료 이외에도 10여 종을 더 확인하였다. 개인이 소장하고 있는 자료이거나 목록이 작성되지 않은 고문헌이 국내외에 아직까지 많이 남아 있을 가능성이 있으므로 이에 대한 발굴 조사가 반드시 필요하다. 3책만 현전하는 한글본 『동의보감』 역시 낙질의 규모와 필사 부수에 대한 검토가 있어야 할 것이다. 한글본 『동의보감』은 이 글에서도 한글본의 특징과 편찬 목적에 한하여 간략하게 서술하였으나 서지학적, 국어학적 측면에서 그 내용과 한문본과의 차이를 규명하는 연구가 추가로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특히 책을 읽는 주체가 왕실의 여성이고 한문에 대한 한글 표기이므로 왕실 내에서 쓰인 언어 연구에도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bibliographical characteristics and meanings of the first edition of Donguibogam by looking into its publication process and its remaining edition and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and publication purposes of the Korean edition of Donguibogam. The publications issued by a central agency in the traditional age required a good amount of cost and manpower in many cases as most of the printing processes depended on manual works. Since those processes were usually accompanied by complicated printing technologies, such publications not only reflect the technological civilization of the times, but also can serve as a cultural barometer. Donguibogam is one good example to demonstrate the fact. The significance of the first edition of Donguibogam in the aspects of printing culture is that it was a book comprised of very many volumes published when the system of book edition and publication collapsed after years of transmission through Goryeo and Joseon due to war. To specify its significance, the study made an approach to the printing technology including the printing types and typesetting methods used for printing those days and attempted a basic approach toward the agencies that were in charge of publication, which subject should be dealt with in future. Closely related to the publication of Donguibogam were Hulyeondogam, Naeuiwon, Gyoseogwan, and Seojeokgyoindogam, relationships of which should be examined as well. In addition, it is required to comprehensively review the books published in the same printing types and methods as Donguibogam and to grant each of them new value. The study confirmed the presence of ten more kinds of the first edition of Donguibogam in addition to the ones already appointed as records heritage. It is absolutely necessary to identify and investigate the materials possessed by individuals or old literature whose lists have not been made yet since such records are likely to remain in big numbers home and abroad. The study briefly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and publication purposes of the Korean edition of Donguibogam, failing to review its production background, process, and scripters. Additional researches on its content and differences from the Chinese edition from the bibliographical and Korean perspective will help to understand the accurate purpose behind its production. They will also be useful for the study of the language used by the royal family since the readers of the book were the female members of the royal family and the book provided Hangul for the original Chinese transcription.

      • KCI등재
      • KCI등재

        漢文本『老乞大』解題

        玉泳晸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01 민족문화논총 Vol.24 No.-

        여기에 影印하는 자료는 영남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본인 漢文本 『老乞大』이다. 『老乞大』는 조선시대 譯官들의 외국어 학습 및 譯科試용으로 사역원에서 간행한 중국어 회화 학습서로서 시대에 따라 여러 형태로 편찬되었다. 간행년도가 불분명한 한문본을 시작으로『飜譯老乞大』(1517년), 『老乞大諺解』(1670년, 1745년), 『老乞大新釋』(1761년), 『老乞大新釋諺解』(1763년), 『重刊老乞大』(1795년), 『重刊老乞大諺解』(1795년) 등 조선 초기부터 후기까지 여러 번 수정, 간행되었다. 『老乞大』와 그 諺解本에 관하여서는 書誌學, 國語學, 中國語學, 歷史學 등의 분야에서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고, 특히 최근에 現傳하는 가장 이른 시기의 한문본 『老乞大』가 발견되면서 관련연구에 새로운 계기를 마련하였다. 본 자료는 가장 이른 시기의 한문본 『老乞大』를 발견하고 고증한 慶北大 南權熙 교수의 연구에 의해서 밝혀진 것으로 기존에 알려진 규장각본과 동일한 계통의 甲寅字覆할刻本이지만 판본상의 형태적 특징이 다른 刊本으로 알려져 있다. 해제는 『老乞大』의 명칭과 내용, 편찬 및 간행, 影印하는 資料의 서지사항과 그 판본에 관하여 기존의 연구에 의거하여 간략하게 살펴보았다. [Noguldae] was a chinese dialogue textbook printed by Sayeokwon(司譯院) to study chinese and prepare a translation state examination in Chosun period. It was issued in various editions as time. This photoprinting material is chinese character edition [Noguldae] published before Imginwaeran (壬辰倭亂) owned in Youngnam University. Bibliographical explanation of [Noguldae] was done briefly about designation and contents, editing and printing and bibliographical matters based on established studyings.

      • KCI등재

        「竹溪志」의 編纂과 版本에 관한 書誌的 硏究

        영정 한국서지학회 2005 서지학연구 Vol.31 No.-

        This study is to attempt general analysis about editions of JookGeJi which is known as the first book which is recorded on auditoriums through examination of printers, printing times, forms and characteristics of editions. Especially, reviewed situations of mending and compared contents of JookGeJi which were printed in different times and editions. Also presumed printing times. I'd liked to make systematic study of editions of JookGeJi and indicate errors of established work to help relation field research. 이 연구는 우리나라 최초의 서원지인 竹溪志를 대상으로 편찬자와 간행시기, 체제, 판본별 특징 등을 알아보고 판본에 대한 개괄적인 분석을 시도해 본 것이다. 특히 시기와 판본이 다른 竹溪志의 내용을 비교하고 補刻의 상황도 살펴보았으며, 간본의 시기를 추정하였다. 아울러 판본의 선후 및 계통을 세우고 기존에 알려진 竹溪志판본의 오류를 지적해냄으로서 관련분야 연구에 보탬이 되고자 하였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