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국군 장병의 문화적 역량이 군 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양명호 전남대학교 2017 국내박사

        RANK : 1839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군 장병의 문화적 역량이 군 생활 적응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문헌연구와 설문조사법을 실시하였다. 설문 조사는 군 장병 30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문화적 역량의 요인분석에서는 참여 의지, 인지적 유연성 및 개방성, 감정 조절,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 자기 효능감, 문화 공감 수준, 문화적 역량과 군 생활 적응 수준, 인구사회학적 변인에 따른 문화적 역량과 군 생활 적응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 등을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화적 역량 중 인지적 유연성 및 개방성만이 군 생활 적응에 유의미한 긍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장병의 인지적 유연성 및 개방성을 고려한 군 생활 적응 프로그램 개발이 필수적인 과제로 부각되었다. 둘째, 인구사회학적 변인에 따른 문화적 역량 차이는 해외 체류(방문) 경험만이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학력과 입대 후 다문화 교육은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나머지는 부분적으로 지지되었다. 따라서 장병 다문화 교육 시스템을 개선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셋째, 인구사회학적 변인에 따른 군 생활 적응 차이는 계급별, 나이별, 근무 기간별에서만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학력별은 부분적으로 지지되었고, 나머지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넷째, 연구 참여자의 문화적 역량 수준은 중상이었다. 그러나 미군의 문화적 역량 수준보다는 낮게 나타났다. 문화적 역량 수준은 참여 의지가 가장 높고, 다음으로 인지적 유연성 및 개방성, 감정 조절 순이었으며 문화 공감이 가장 낮았다. 따라서 한국군 장병의 문화적 역량 함양이 요구되었다. 이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를 바탕으로 제시된 정책적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장병의 인지적 유연성 및 개방성을 고려한 다양한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 인지적 유연성 및 개방성 사례를 발굴하여 제공해야 한다. 인터넷 매체를 통한 학습 콘텐츠를 개발해야 한다. 지역별 다문화 가족 지원 센터와 프로그램을 공유해야 한다. 다문화 체험 프로그램을 시행해야 한다. 둘째, 장병 다문화 교육 시스템을 개선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장병 다문화 이해 교육이 필요하다. 장병의 문화적 역량 함양을 위한 교육을 실시해야 한다. 셋째, 한국군 장병의 문화적 역량 함양 정책을 수립하여 시행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 사회(국가와 지역사회), 학교(초·중·고·대학), 군(부대)이 연계한 ‘문화역량 강화 네트워크’(가칭)를 구축해야 한다. 다문화 관련 자격증 제도를 개선해야 한다. 다문화 장병 등 소수자 특기 발굴 및 개발을 해야 한다. 이외에도 군의 다문화 환경 개선 방향과 한국군 장병에 적합한 문화적 역량 척도 개발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 예비군 조직에서 거래적 · 변혁적 리더십이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양명호 전남대학교 행정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1839

        우리나라 국가안보를 담당하고 있는 양대 축(軸)은 현역과 예비군이라는 데 이의가 없을 것이다. 그러나 예비군은 예산과 작전지속지원, 연구면에서 현역에 비해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예산과 작전지속지원 문제는 현실적인 한계가 있을 것이다. 그러나 연구는 관심만 기울인다면 얼마든지 할 수 있고, 연구결과를 정책에 반영함으로써 예비군 정예화에 기여할 수 있으리라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예비군 정예화를 위한 연구지원 일환으로 예비군의 리더십에 대한 연구로서, 예비군 조직에서 거래적·변혁적 리더십이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을 예비군 지휘관과 예비군을 중심으로 고찰하여, 예비군 조직의 효율적인 직무환경 대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자 한다. 이 연구목적 달성을 위하여 문헌적 방법과 실증연구를 위한 설문지법을 병행하였다. 문헌적 방법은 기존 문헌들을 검토함으로써 예비군 조직과 전반적인 리더십 이론, 조직효과성 이론 등을 정리하고, 지금까지의 리더십과 조직효과성간의 선행연구들을 검토하였다. 설문지법은 광주광역시 북구 지역예비군을 대상으로 2013년 10월 22일부터 11월 19일까지 예비군 훈련시 해당 교관(예비군 지휘관)과 예비군 대원의 협조 하에 총 30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였다. 배포된 300부 중 298부가 회수되었으며(회수율: 99.3%), 회수된 설문지 중 불성실하고 결측치 있는 24부를 제외한 274부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유효 응답율: 91.3%).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예비군 지휘관의 리더십과 예비군의 조직효과성이 상호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밝혔다. 둘째, 본 연구는 예비군 지휘관의 거래적·변혁적 리더십이 예비군 대원의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가를 설문지법을 통하여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이론적 고찰과 실증분석을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군 지휘관의 변혁적 리더십은 예비군 대원의 조직몰입에 유의적인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둘째, 예비군 지휘관의 거래적 리더십은 예비군 대원의 조직몰입에 유의적인 영향력이 없었다. 셋째, 예비군 지휘관의 변혁적 리더십은 예비군 대원의 직무만족에 유의적인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넷째, 예비군 지휘관의 거래적 리더십은 예비군 대원의 직무만족에 유의적인 영향력이 없었다. 결론적으로 말하면, 예비군 조직은 현역군 조직과는 약간 다른 형태의 조직으로서 그에 따른 리더십도 다르게 적용하여야 하리라고 판단된다. 현역군 조직 특성인 계층제, 경직성, 집권화, 규범성, 강제성 등의 특징이 강조된 거래적 리더십으로는 예비군 조직의 유효한 조직효과성을 기대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따라서 예비군 조직에서 유효한 조직효과성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변혁적 리더십을 겸비한 지휘관이 요구된다 하겠다. 본 연구는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실증분석을 통해서 지금까지 선행연구가 극히 적은 예비군 조직에서의 리더십 연구를 함으로써 예비군 조직의 효과성 제고를 위한 유효한 리더십의 필요성을 제기한 것이 가장 큰 의의라고 할 수 있겠다. 본 연구에서는 예비군 지휘관의 리더십 유형이 거래적 리더십에서 변혁적 리더십으로 유효하게 잘 연동될 때 비로소 조직효과성을 극대화 할 수 있다는 것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전국적으로 분포되어 있는 모집단의 성격을 다 반영하지 못한 일반화의 한계가 있다는 점과 시차를 두고 일관성을 연구하는 종단적 연구의 필요성을 인정한다. 따라서 향후 연구방향은 타 지역 예비군 조직에도 확대 적용시켜 비교하여 연구할 필요성과 꾸준한 기간 동안 지속적인 연구를 통한 일반화가 이루어지도록 후속 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한다.

      • 중국 근로자의 경영참여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 상사신뢰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양명호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1839

        중국 경제의 급속한 발전과 함께 빈부격차 심화, 집값 등 부동산 가격 급등, 물가상승 등으로 인해, 중국 근로자들의 임금 인상이나 복지후생 같은 물질적·경제적 욕구에 대한 불만이 급증하고 있다. 또한 이들 욕구가 채워지고 일정기간이 지난 후에는 성취감, 인정, 책임감, 승진, 성장기회, 직무에 대한 의견 표출 등 비물질적, 정신적 욕구를 달성하기 위해 기업 경영에 대한 참여욕구가 제기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중국 근로자의 경영참여가 직무만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상사에 대한 신뢰는 근로자의 경영참여와 직무만족 간에 조절역할을 하는지를 구명하는 것이다. 선행연구와 중국의 실제적인 노동체제의 현황에 기초하여 근로자 경영참여의 방식은 주로 제안제도 참여와 노사협의제도 참여로 구성하였다. 이론적 배경 부분은 근로자의 제안제도 참여, 노사협의제도 참여, 상사신뢰, 직무만족에 대해 자세히 언급하였다. 그리고 논의된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연구모형과 가설을 설정하였다.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는 바, 조사지역은 중국 동부 연해지역의 칭다오(青岛)와 르자오(日照)시의 중국기업 근로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응답자는 주로 국가기업, 민간기업, 당정기관, 학교 등의 작업장에서 근무하는 근로자들이었다. 회수된 설문지를 바탕으로 제안제도 참여와 노사협의제도 참여가 중국 근로자의 직무만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마지막으로 상사신뢰의 조절효과를 분석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첫째, 제안제도에 대한 참여가 높을수록 직무만족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노사협의제도에 대한 참여가 높을수록 직무만족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제안제도 참여와 직무만족 간의 관계에서 상사신뢰의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상사신뢰는 조절작용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노사협의제도 참여와 직무만족 간의 관계에서 상사신뢰의 조절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중국 근로자들의 직무만족도 제고를 통한 중국 기업의 생산성과 경쟁력 향상을 위해서는 상하간의 의사소통채널인 제안제도와 노사협의제도 같은 경영참여제도를 적극 활용할 필요가 있으며, 중간관리자들의 인간존중에 바탕을 둔 동기부여와 신뢰구축이 직무만족도를 촉진시키는 요소가 됨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 부분에서는 본 연구의 한계점과 조사방법상의 문제점에 대해 지적하고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In recent years, Chinese economy has been making a remarkable and the fastest growth in the world. At the same time, the material and mental desires of people are spurting out. So the participation needs of Chinese workers in the workplace are increasing for their welfare and it is necessary for company’s competitive advantag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effect of Chinese worker’s participation on the job satisfaction focused on the moderating effect of leader’s trust. In this study, worker’s participation refers to suggestion system and labor-management committee system on the shop level. I have examined the theoretical backgrounds and then made the empirical study. Based on the suggestions from the literature review, the research model was formulated. The empirical study was made by questionnaire survey. It was conducted in the enterprises, business units, and government institutions etc. which are located on the eastern coastal area in China. The numbers of respondents were 236 cases and used 230 cases for the analysis. The analysis methods were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by SPSS 18.0. The results of statistical analysis revealed as follows. First, the suggestion system has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job satisfaction. It’s implicated that the more participation is taken part in suggestion system of Chinese workers, the more job satisfaction is possible. Second, the labor-management committee system has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job satisfaction. It’s implicated that the more participation is taken part in labor-management committee system of Chinese workers, the more job satisfaction is possible. Third, leader’s trust has a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suggestion system and job satisfaction. Fourth, leader’s trust also has a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labor-management committee system and job satisfaction. In conclusion, for enhancing the productivity and competitive advantage of Chinese enterprises through job satisfaction of Chinese workers, it is necessary for managers to more active utilizing the communication channels such as suggestion system and labor-management committee system. And also it needs to encourage motivation and trust building of human oriented middle-management for a positive participation of Chinese workers.

      • 大田廣域市 東區 活性化 方案에 관한 實證的 硏究 : 住民欲求를 중심으로(with housing environment as the center)

        楊明浩 대전대학교 2002 국내석사

        RANK : 1839

        본 연구는 대전광역시의 개발과 더불어 동구의 활성화 방안을 찾고자 하며, 그 중에서 주거환경을 중심으로 대전시민을 대상으로 어떠한 방향으로 나가야 하는가를 모색하는 데에 그 연구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논문에서는 우선 도시개발의 이론적 측면과 선진국 및 신도시 개발과정에 대한 기존의 문헌 연구가 이루어졌다. 다음으로 현재 대전광역시에 연고를 두고 있는 시민 약 2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가 이루어졌으며, 수집된 자료는 SAS package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논문의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동구비전'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면, 남자(87.3%), 여자(96.8%)를 불문하고 '모른다'는 응답이 많이 나왔다. 그리고 연령층에서도 '모른다'는 대답이 지배적이었으나 41세-50세(16.5%)에서와, 거주형태에서 자택(13.6%)부분이 다른 대상집단보다는 '알고있다'는 응답이 비교적 많이 나왔다. 또한 타구에 사는 시민보다는 역시 동구에 거주하는 시민이 '동구비전'에 대하여 비교적 많이 알고 있었다. '동구가 타구에 비해 만족스러운 부분이 있는가'를 묻는 문항에는 '없다'(39.8%)가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 '자연환경'(27.6%)이라는 응답이 많이 나왔는데, 이는 동구가 대전광역시에서 지리적으로 차지하는 위치 상 주변에 산이 많이 때문에 이 영향을 받은 것으로 판단된다. 대전광역시 구중에서 가장 낙후된 구로는 '동구'(79.1%)가 절대적으로 높은 비율로 조사되었으며, 발전된 구로는 '서구'(41.8%), '유성구'(38.3%)가 타구에 비하여 비교적 높은 비율로 나타났다. 대전시민들은 동구가 '발전한다'(48.0%)라고 생각하고 있으며, 이러한 실증적 연구 결과에 기초하여 동구의 주거환경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동구의 도시성격은 문화도시, 교통도시, 환경도시를 중심으로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이는 동구가 타구에 비하여 좋은 조건을 갖고 있는 것을 최대한 활용하는 것이라 판단된다. 둘째, 동구에 알맞은 주택단지로는 타구보다는 비교적 서민이 많음을 고려하여, 서민아파트가 최우선으로 보이며, 타구 주민의 이주를 유도하기 위하여 중형아파트 또한 필요로 할 것이다. 셋째, 이러한 개발을 위해서는 도로개선이 가장 시급하며, 동구에 밀집되어 있는 학교간에는 대학촌 구성 등과 같은 연계가 필요하며, 문화도시를 위한 종합쇼핑몰(백화점, 멀티플렉스, 대형할인점)과 앞으로 중요시 여겨질 환경 친화적인 도시를 위해서는 동구가 가지고 있는 환경을 살려서 공원 등을 많이 조성하는 것도 바람직하다고 판단된다. This study will find activation device of Eastern area with development of Daejeon metropolis a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ok for the best direction with housing environment as the center for the Daejeon citizen. In this thesis to achieve this purpose, first of all, existing literature about the theoretical side of Urban development and the development process of a new urban area as well as an advanced country was examined. And then the survey was completed by about 200 citizens who have a connection with Daejeon now, and the collected data was analysed by SAS package. The summary of the analysis of the results of this data is as follows: First , we could find recognition about a vision for the Eastern area as we asked that. Most men(87.3%) and women(96.8%) responded that they didn't know about that. But people aged 41~50(16.5%) and people who lived in their own house(13.6%) responded that they knew a little more than other target groups, and there were a lot of people who knew that in the Eastern area than in other areas. As well many people responded that they would rather not know(84.5%) than know(15.5%) about the Parliament of Eastern area with the vision of the Eastern area. In the question about whether there was something special in the Eastern area which they were more satisfied with than in other areas, most people said "No(39.8%)" and then "Natural environment(27.6%)" so they seemed to be influenced by the fact that there were a lot of mountains near the Eastern area. The Eastern area was the less developed area of Daejeon metropolis according to a high percentage(79.1%) and not only Western area(41.8%) but Usung area(38.3%) were considered as developed areas compared with other areas. Citizens of Daejeon thought that the Eastern area is going to develop(48.6%) if it was based on authentic study. I could suggested activation device of resident environment in the Eastern area like this: At first, Urban character of Eastern area will have to develop with culture, traffic, environment urban as the center. It is judged that the Eastern area has a better condition than other areas and makes the most of that . Secondly, there are a lot of the common people in the Eastern area so the common apartments seem to be the best and medium size apartments will be necessary in order to induce migration of residents of other areas. Lastly, for the development of these, the improving of the road is the most urgent and it is necessary to be connected between the schools crowded in the Eastern area like formation of a University Village. Also an environmental shopping mall for cultural purposes(department, multiplex, large size discount store) is needed. Furthermore it is judged desirable to make a lot of parks by using the environment of the Eastern area for a natural friendly urban a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