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부모 애착, 낭만 애착, 사랑 유형이 이성교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주은지 호서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2 인간과사회 Vol.31 No.-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dating satisfaction on parental bonding as perceived by college students, on romantic attachment, and on love styles. A total of 235 unmarried college students were sampled and administered a structured questionnaire.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differences in parental bonding were observed in relation to different romantic attachments. Also, differences in romantic attachments among different love styles were found. Second, gender, eros, and agape were the three variables that most explain dating satisfaction. Thus, male college students, those who have high scores on eros and agape love styles had high dating satisfaction scores. The suggestions, implications and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also discussed.

      • HILS 시험 결과 분석을 위한 하이브리드 신경망 개발

        임완택(Wantaik Lim),오민택(Mintack Oh),서영식(Yeongsik Seo) 한국자동차공학회 2021 한국자동차공학회 부문종합 학술대회 Vol.2021 No.6

        As vehicle technology rapidly changes to the form of autonomous driving and mobility and the system is complicated, simulation verification technology that combines virtual vehicle environments has been highlighted. For braking HILS system, simulation verification based on these virtual environments is possible. However, even though the evaluation is performed automatically, the resulting judgment must be verified manually by the test engineer. To solve these problems, we recently used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iques that have been in the spotlight and proposed a novel hybrid deep learning model with the best validation accuracy. We analyzed the learning performance of the proposed model and demonstrated that AI judgment results are consistent by applying it to the actual HILS test results.

      • KCI등재

        대학생의 부모 애착과 낭만 애착: 또래 애착의 매개효과 검증

        주은지 한국청소년학회 2011 청소년학연구 Vol.18 No.8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parent attachment and romantic attachment on peer attachment. A sample of 140 college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the revised version of Inventory of Parent and Peer Attachment(IPPA-R) and Relational Style Questionnaire(RSQ) measurement were use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multiple regression and the Sobel 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lienation from the parents was the variable that affected on the romantic attachment of the students. Thus, students who feel alienated from their parents had lower levels of(or insecure) romantic attachment. Second, peer attachment completely mediates between parent attachment and romantic attachment. In other words, secure parents' attachment enhanced peer attachment which in turn had the mediation effects of securing the level of romantic attachment. The suggestions, implications and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also discussed.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부모 애착이 낭만 애착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 또래 애착이 부모 애착과 낭만 애착의 관계를 매개하는지를 알아보는 데 있다. 연구를 위해 총 140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IPPA-R과 RSQ를 설문조사하였으며 분석을 위해 중다회귀분석과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부모 애착의 세 가지 하위영역 중 소외감만이 대학생의 낭만 애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발견되었다. 즉, 부모에게서 소외감을 느끼는 대학생들은 불안정한 낭만 애착을 형성하게 된다. 또한 또래 애착은 부모 애착과 낭만 애착간의 관계에 있어서 완전매개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부모와 안정된 애착관계를 가지고 있는 대학생은 또래와 안정적인 애착을 형성하는 데 영향을 미치며, 안정적인 또래와의 관계는 안정된 낭만 애착을 향상시키는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시사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도 논의 되었다.

      • KCI등재

        대학생의 성인애착과 대인관계능력의 관계: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의 매개효과

        주은지,최인선 한국콘텐츠학회 202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1 No.10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dult attachment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competence.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college students from nationwide completed the questionnaire and analyzed 326 valid ones.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were performed using SPSS 22.0 and AMOS 23.0.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dult attachment(attachment anxiety and attachment avoidance)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interpersonal relationship competence. Also, attachment avoidance was significantly influenced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 competence than attachment anxiety. Seco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dult attachment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competence, attachment anxiety was fully mediated and attachment avoidance was partially mediated with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Attachment anxiety and attachment avoidance mediated with 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Based on these results, we verified the importance and the possibility of changing th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for increasing the level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competence. Finally, this study may provide an insight in terms of developing education and programs of 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in counseling session. 본 연구의 주목적은 성인애착과 대인관계능력의 관계에서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전국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326명의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기술통계분석, Pearson 상관분석, 그리고 구조방정식 모형을 SPSS 22.0, AMOS 23.0을 활용하여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인애착(애착불안과 애착회피)은 대인관계능력과 부적상관이 나타났으며, 애착회피가 애착불안보다 대인관계능력에 많은 영향을 주었다. 둘째, 성인애착과 대인관계능력의 관계에서 애착불안은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에 완전매개, 애착회피는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에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애착불안과 애착회피는 적응적 정서조절 전략에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성인애착과 대인관계능력관계에서 인지적 관점에서 정서조절 전략의 매개효과를 검증함으로써 대인관계능력 수준을 높이는데 인지의 변화의 중요성과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상담 장면에서 적응적 정서조절 전략을 위한 교육 및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성별과 학년에 따른 청소년의 부모 애착, 또래 애착과 낭만 애착

        주은지 한국청소년학회 2011 청소년학연구 Vol.18 No.4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plore the degrees of parent, peer, and romantic attachments according to gender and age-specific groups in adolescence and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parent attachment and romantic attachment on peer attachment as a mediator. Participants were total of 454(155 middle schooler, 159 high schooler, 140 college students) students who completed questionnaires. Results showed that girls had higher peer attachment scores than boys. As for the age differences on attachment styles, parent attachment and peer attachment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y age-specific groups except for the romantic attachment. Generally, college students had higher scores on parent attachment and peer attachment than other age-specific groups. Finally, parent attachment exerted influence on adolescents' romantic attachment by full mediation of peer attachment. Thus, secure attachment with parent enhanced peer attachment which in turn had the total mediation effects of securing the romantic attachment level. The suggestions, implications and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presented. 본 연구의 주목적은 성별과 학년별로 청소년의 부모 애착, 또래 애착 및 낭만 애착의 차이를 탐구하는 데 있다. 나아가 부모 애착이 낭만 애착에 미치는 영향이 또래 애착에 의해 매개되는지를 알아보았다. 연구를 위해 총 454명(중학생 155명, 고등학생 159명, 대학생 140명)의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여학생은 남학생보다 또래와의 애착 정도가 높았으며, 낭만 애착을 제외한 부모 애착과 또래 애착은 학년별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일반적으로 대학생이 다른 학년의 청소년들보다 부모 애착과 또래 애착의 정도가 모두 높았다. 마지막으로, 부모 애착은 또래 애착을 매개로 청소년의 낭만 애착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또래 애착은 부모 애착과 낭만 애착간의 관계에서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안정된 부모 애착은 또래 애착을 향상시키고, 이렇게 향상된 또래 애착은 안정된 낭만 애착을 향상시키는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시사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도 논의 되었다.

      • KCI등재

        청소년지도사가 지각하는 조직문화와 직무만족의 관계에서 셀프리더십의 매개효과

        주은지,최인선 한국콘텐츠학회 2023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3 No.9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지도사가 지각하는 조직문화와 직무만족의 관계에서 셀프리더십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청소년지도사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한 후 237명을 자료분석에 사용하였다. SPSS 23.0과 AMOS 23.0을 활용하여 변인 간의 관련성을 확인하기 위해 상관분석과 연구가설 검증을 위하여 구조방정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변인 간에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조직문화의 하위변인 중 집단문화와 직무만족 간 가장 높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조직문화와 직무만족 관계에서 셀프리더십이 간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청소년지도사가 근무하고 있는 청소년시설의 조직문화에서 직무에 만족하는 데 있어서 셀프리더십이 중요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청소년지도사의 직무만족은 기관장의 리더십에 의해서가 아니라 청소년지도사 스스로 목표를 정하고, 성취하기 위해 자신의 생각과 행동을 조절하는 능력을 키워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청소년지도사의 셀프리더십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그 의의가 있다.

      • KCI우수등재

        욕실 기저습도 회복에 따른 예측 모델 기반 드레스룸 결로 방지 제어 시뮬레이션

        주은지,이준혜,여명석 대한설비공학회 2020 설비공학 논문집 Vol.32 No.1

        Recently, interests about IoT technology has been expanded because of the spread of affordable and feasible microprocessors. Still, the decision of control logic depends on expertise. In this study, authors developed a rule-based on/off system using the IoT device to control relative humidity in the bathroom for the purpose of reducing surface condensation occurrence in the dressroom. It was found that control bounds cannot be suggested in deterministic values since base humidity, wherein moisture content of air converge differ because of boundary conditions. Change point analysis was then adapted to judge if moisture content is restored to the baseline wherein the control stopping point can be suggested. The ANN model was also developed with the measured data, formerly used for analysis, to test the control algorithm suggested in this study. 본 연구에서는 사물 인터넷을 통해 드레스룸에서의 결로를 방지하는 욕실 환기 팬 및 개폐 제어의 종료 시점을 제시하였다. 욕실에서 발생한 수증기가 모두 소진되어 기저에 도달한 순간을 제어 종료 기준점으로 결정하였으나, 기저는 매 순간 변동하므로 확정적인 상태 값으로 제시할 수 없음을 실측 데이터 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따라서 변화 시점 분석을 통해 분류된 기저 구간에 대해 통계적 특징을 추출, 기저 판정 기준을 마련하여 드레스룸 결로 방지를 위한 제어에 활용하고자 하였다. 기저 제어 전략의 기대효과를 검토하기 위해 사물인터넷 기술을 활용하여 실제 공동주택 내 드레스룸에 구축한 테스트베드에서 측정한 데이터를 토대로 결로 판정 예측 모델을 개발하여 시뮬레이션하였다. 제어 알고리즘의 결로 방지 성능을 검토하기 위하여 특정 시점의 결로 위험도를 정량적으로 평가하는 척도인 결로 발생 위험도(CRS)라는 개념을 제시하였다. 해당 기준에 따르면 기저 제어의 경우 제어 종료 시점에서 노점온도의 상승을 유발하지 않으므로 결로 방지 성능이 우수하다. 시간이나 확정적인 상태 값 대신 통계적 특성에 기반한 제어 전략은 다양한 기저 상황에 대응하여 드레스룸 표면 결로를 방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다만, 인공신경망 모델의 경우 데이터 기반 접근의 특성상 적용 범위가 대상 공간에 한정되므로 추후 연구에서는 데이터의 수집과 모델의 구축 단계를 표준화하고, 모델의 일반화 성능 확보 방안을 검토하고자 한다.

      • KCI등재

        대학생의 낭만애착 유형과 사랑 유형 분석

        주은지 한국청소년학회 2010 청소년학연구 Vol.17 No.12

        본 연구의 주목적은 대학생의 성별에 따라 낭만애착과 사랑 유형에 차이가 있는가를 살펴보고 관련 변인들(인구통계변인, 부모애착, 낭만애착)이 이들의 사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생 140명(남:52명, 여:88명)에게 부모애착, 낭만애착, 사랑 유형의 질문지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대학생들은 안정형 애착유형으로 가장 많이 분류되었으나 성별에 따른 낭만애착유형은 유의미하지 않았다. 사랑 유형으로는 열정애, 친구애와 헌신애가 전체의 약 69%를 차지하였으며, 남학생이 여학생 보다 더 열정적이고 헌신적인 사랑을 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낭만애착에 따른 사랑 유형을 성별로 살펴본 결과, 두려움형 애착유형의 남학생들이 소유적 사랑을 할 가능성이 가장 높은 집단이었으며, 안정형 애착의 여학생이 열정적 사랑을, 몰두형 애착으로 분류된 여학생들은 소유적 사랑을, 그리고 두려움형의 애착을 보이는 여학생들이 유희적 사랑의 점수가 높았다. 관련 변인들이 대학생 각각의 사랑 유형에 미치는 영향력을 제시하였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시사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도 논의 되었다. The primary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romantic attachment and love styles of college students depending on sex, and to measure what variables affect their loves styl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40 college students(male: 52, female: 88) and they were asked to report on the revised version of Inventory of Parent and Peer Attachment(IPPA-R), Relational Style Questionnaire(RSQ), and Love Attitude Scale. The main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Majority of college students were classified as secure attachment, but gender differences were not significant. 2) Love styles of about 69% of college students were Eros, Ludus, and Agape. As to love style, male students had higher scores on Eros and Agape than female students. 3) Relationship between romantic attachment and love styles by sex were found. 4) Sex, relationship status, and romantic attachment were the variables that explain each of the love styles. The suggestions, implications and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presented.

      • KCI등재

        대학생의 우연대처기술과 그릿이 진로장벽에 미치는 영향: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

        주은지,최인선 인문사회 21 2019 인문사회 21 Vol.10 No.6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diation effect of resilience in planned happenstance skills and grit on career barrier of university students. The sample of this study was 290 university students and the analysis was made with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planned happenstance skills, grit and resilience were found but negative correlation were found between career barrier and planned happenstance, grit and resilience. Lastly, resilience partly mediated the effects of planned happenstance and career barrier but fully mediated the effects of grit and career barrier. As a result, this study suggest a various education program to strengthen the grit and resilience of university students and career counseling that consist of improving planned happenstance skills. Finally, suggestions were made in terms of investigate the difference between socioeconomic variables and planned happenstance, grit, career barrier and resilience and to investigate on community college students for the future research. For future research, it will be meaning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between gender, grade, and major and also compare the sample between university student and college student with four variables. 본 연구는 대학생의 우연대처기술과 그릿이 진로장벽에 미치는 영향에서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4년제 대학생 290명을 대상으로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변인 간의 상관관계에서 우연대처기술, 그릿과 회복탄력성 간에는 모두 정(+)적 상관관계를 그리고 진로장벽과 우연대처기술, 그릿과 회복탄력성은 모두 부(-)적 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 우연대처기술과 진로장벽에서는 부분매개를 그리고 그릿과 진로장벽에서는 완전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대학에서 학생들의 그릿과 회복탄력성의 강화를 위한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 등 관련 교육의 시스템 도입의 필요성과 진로상담에서 우연대처기술을 포함하는 것을 제안하였다. 후속 연구를 위해서 인구통계학적 변인들 성별, 학년, 전공에 따른 차이와 4년제 대학생과 전문대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비교 분석하여 변인들 간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는 것도 의미가 있다.

      • Romantic Attachment of American and Korean Adolescents

        주은지 호서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09 인간과사회 Vol.28 No.-

        본 연구의 주목적은 미국과 한국 청소년의 낭만 애착유형(안정형, 거부형, 몰두형, 두려움형)을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 두 연구대상들의 낭만 애착에 어떤 차이가 있을 것인가? 편의표집에 의해 109명의 미국 청소년, 117명의 한국 청소년들은 24개 다중문항 낭만 애착 측정도구(Bartholomew & Horowitz, 1991) 에 응답하였다. 주요 결과들은 다음과 같다. (1) 미국 청소년들의 낭만 애착유형은 거의 비슷하게 분포되었고(안정형 25.2%, 거부형 26.2%,몰두형 28.0%,두려움형 20.6%), 가장 많은 한국 청소년들이 안정형(36.6%) 낭만 애착,다음으로 거부형(24.8%), 두려움형(21.1%),그리고 몰두형 (17.5%) 순으로 분포되었다. (2) 두 나라의 청소년들 사이에 네 가지 낭만 애착유형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었다. (3) 나이는 미국 청소년과 한국 청소년의 거부형 낭만 애착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끝으로 연구결과의 의의,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 그리고 이러한 결과들이 교육관계자와 상담 및 심리치료에 주는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romantic attachment styles of American and Korean adolescents. Do Korean adolescents differ from American adolescents in their romantic attachment? A convenient sample of 109 American adolescents from two middle and high schools in Ohio State of the United States and 117 Korean adolescents from two middle and two high schools in Chungnam areas of South Korea were asked to report on the 24 multi-item romantic attachment measurement (Bartholomew & Horowitz, 1991). Results showed that four romantic attachment styles(secure, dismissing, preoccupied, fearful) for American adolescents were almost equally distributed. More than a third(36.6%) of Korean adolescents were classified as secure, followed by dismissing (24.8%), fearful(21.1%) and preoccupied(17.5%).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for all four romantic attachment styles between American and Korean adolescents. Also, age produced significance on only one attachment style(dismissing) between two groups. Implications and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presen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