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泰安 馬島 4號船 出水 遺物을 통해 본 朝鮮 初 漕卒의 船上 生活

        문경호(Mun, Gyungho) 국립목포대학교 도서문화연구원 2016 島嶼文化 Vol.0 No.48

        태안 마도 4호선은 15세기 초 태종 시기에 나주 지역의 조세를 싣고 한양으로 향하다가 안흥량이라 불리던 태안 앞바다에서 침몰한 조운선이다. 태안 마도 4호선은 지금까지 출수된 선박 중 최초의 조선시대 선박이라는 점, 그리고 명확한 조운선이라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이 글에서는 15세기 초에 태안 마도 해역에서 침몰한 마도 4호선이 운항하던 시기의 조운상황과 배와 함께 출수된 선상 용품들을 중심으로 당시의 漕卒들이 어떤 생활을 했는지 추정하였다. 그 중 중요한 몇 가지를 정리하여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마도 4호선의 출발지는 처음에 알려진 것처럼 나주 영산창이 아니라 진포 또는 덕성창 일대였을 것으로 보인다. 둘째, 선체와 함께 출수된 수저, 젓가락, 패랭이와 짚신, 참빗과 얼레빗은 조졸들이 사용하던 물품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셋째, 투석칸을 제외한 나머지 공간에 모두 원통목들이 자리 잡고 있어 선체 안에는 조졸들이 쉬거나 숙박할 공간이 없었다. 따라서 조졸들은 항해 기간 내내 배 위의 뜸집에서 숙식을 해결했을 것으로 보인다. 넷째, 투석칸에서는 철제 솥, 숟가락, 젓가락 등의 주방용품이 출수되었는데, 이 중 철제 솥은 약 10인 분 정도의 밥을 지을 수 있는 크기였다. 이를 통해 볼 때 이 배에 승선한 조졸은 약 10명 내외였을 것이라고 생각된다. This article describes scenes of the shipboard lives of ‘Jojol(漕卒, grain carrier sailor)’ based on relics retrieved from the Taean Mado Shipwreck No.4 in 2015. This shipwreck is a grain carrier that sunk around Mado island near Taean while it was sailing from the estuary of Geum River to the Gwangheungchang (warehouse) in Hanyang City carrying grain shipped in Naju District. The Taean Mado Shipwreck No.4 has importance in that it is the first ship from the Joseon Period to be discovered and also the first confirmed grain carrier in history. Many relics, such as a bamboo braid hat presumed to have been worn by the sailors, an iron pot, spade and chopsticks, kitchen ware and a ceramic jar containing salted fish, were found in the shipwreck. These relics form important data as they make it possible to envision the lives of grain carrier sailors during navigation. First, the bamboo braid hat, which seems to have been worn on the head of a sailor, is identical to hats that were used frequently by sailors from the Goryeo Dynasty till the latter half of the Joseon Period. Hats like the bamboo braid hat must have been essential to avoid the sunlight and create some shade out at sea. The iron pot retrieved from the kitchen section in the middle of the hull was about 7.92 liters, which was a proper size for cooking rice for about 10 people, given that many records have shown us that an adult man in the Joseon Period ate about 1.2 liters of rice each meal. It seems that the sailors who boarded the grain carrier ate 0.9 liter of rice each meal and 1.8 liters per day. While many chopsticks were present, no spoons were found except the spoon used as a rice paddle. Without a problem, this can be interpreted as revealing the social and economic level of the grain carrier sailors at that time. It is not clear whether the yellow corvine inside the ceramic jar and the fish like sea-bream were side dishes for the sailors or gifts meant for people in Hanyang City. But it is believed that at least one of them was a side dish for the sailors, given that Goryeo people consumed salted fish frequently as described in Goryeodogyeong(高麗圖經) written by Suh-Geung. Space suitable for sleeping was not found in the hull of the Taean Mado Shipwreck No.4. The vessel was shaped for shipping taxation grain in all compartments excluding the kitchen section in the middle. Therefore, it seems that the sailors sheltered from rain and wind under the installed makeshift pavilion. The job of grain carrier sailor was not popular because the work was hard and dangerous. The route taken to Hanyang City must had been very winding as they struggled against the unexpected sea.

      • KCI등재

        1123년 서긍의 고려 항로에 대한 재검토

        문경호(Mun, Gyung-ho) 호서사학회 2016 역사와 담론 Vol.0 No.78

        서긍의 『고려도경』은 당시의 고려 서·남해 항로에 관한 가장 생생한 기록이다. 그러나 당시의 지명 중에는 없어지거나 변한 것이 많고, 항로 또한 전하지 않기 때문에 그의 정확한 행로를 추정하기 어려운 점이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선행 연구 결과를 토대로 서긍 일행이 처음 도착한 고려 영토인 협계산으로부터 마도 안흥정 구간까지에 관한 비정을 시도하였다. 먼저 서긍이 고려에 도착하여 처음으로 목격한 협계산(가거도) 앞에 있었다는 쌍계산은 국흘도, 흑산도를 떠나 오랜 항해 끝에 도달한 월서는 분계 해수욕장 인근 대치마도로 비정하였다. 월서 다음으로 거친 궤섬과 외서는 각각 임자도와 재원도로 비정하였다. 임자도에서 군산도까지의 구간에 경유한 섬은 각각 송이도(보살섬), 안마도(죽도), 위도(고섬섬)로 추정하였다. 충청도 연안의 항로에 해당하는 부용창산은 성주산 일대, 홍주산은 1920년대 발간된 홍주군지를 토대로 근대까지도 뱃사람들의 항표 역할을 했던 홍성의 오서산으로 비정하였다. 그리고 그 후로 경과한 알자섬은 거아도로, 안흥정은 태안의 마도 일대로 보았다. 이 글에서 서긍 일행의 항로를 추정한 가장 구체적인 자료는 고려시대와 조선시대의 조운로이다. 현재로서는 신주와 고려 조운선이 다닌 길이 매우 유사했을 것이라 추정하는 것이 가장 합리적이라고 판단된다. 조운로는 당시 서남해 연안을 오가던 선박들이 가장 안전하게 다닐 수 있었던 항로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서긍 일행은 흑산도를 거쳐 고섬섬(위도) 또는 군산도(선유도) 부근에 이르러서야 고려의 조운로에 들어선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흑산도에서 위도에 이르는 구간을 추정하는 것이 해결해야 할 가장 큰 과제라고 판단된다. The 『Goryeodogyeong』 by Seogeung is the most vivid recording of sea route of the then southwest shore of Goryeo. However it is difficult to presume the exact route as many of the names of the locations have either been missing or changed. In this paper, I attempt to build the route from Hyeopgyesan, the very first territory of Goryeo in which the Seogeung crew had arrived, to Mado and Anheungjeong. First it is inferred that Ssanggye-san that was before Hyeopgyesan (Gageodo) and Weolseo which the Seogeung crew had arrived following a long journey from Heuksando are Gukgeuldo and Daechimado nearby Bungye Beach, respectively. Their next destinations, Goeseom and Oiseo are inferred as Imjado and Jaeweondo. It is inferred that each of the islands the Seogeung crew had described to visited along the way to Gunsando from Imjado were Song’ido (Bosalseom), Anmado (Jukdo) and Uido (Goseomseom). It is inferred that Buyongchang in the Chungcheongdo route is the region of Seongjusan, and, based on 『Hongjugunji』 published in 1920’s, Hongjusan is Oseosan of Hongseong, which functioned as nautical markings for the fishermen. I inferred that Aljaseom is now Geo’ado and Anheungjeong is now the region of Mado in Tae’an. The most significant references that facilitated inference of the route taken by the Seogeung crew are the marine transportation routes during Goryeo and Joseon dynasties. Presently it is inferred that the envoy ships from China’s Song dynasty and freighters in Goryeo took very similar routes but there are some sections where that is unlikely as the sizes of their vessels varied greatly.

      • 『신미통신일록(辛未通信日録)』의 특징과 역사적 가치

        문경호(Mun, Gyungho) 충청남도역사문화연구원 2021 충청학과 충청문화 Vol.31 No.1

        『辛未通信日録』은 1811년에 金履喬가 通信正使로 일본에 다녀와 남긴 기록이다. 본래대로라면 김이교 일행은 에도까지 가서 쇼군을 만나고 돌아와야 했으나, 어려운 국내외 여건을 고려하여 대마도에서 ‘易地通信’이라는 형태로 통신의례를 시행하고 돌아왔다. 신미통신사로 다녀온 인물들이 남긴 자료는 『신미통신일록』을 비롯하여 柳相弼의 『東槎録』, 金善臣의 『清山島遊錄』, 李明五의 「辛未海行錄」, 대마도에서 제작된 「朝鮮人來朝行列記」 등 여러 편이 있다. 각각 서로 다른 특징이 있지만 조선 측 기록들은 대개 개인적인 감회를 담은 일기와 시가 주요 내용을 이루고 있는 반면, 일본에서 제작된 자료들은 회화적인 성격이 강하다. 그 중에서도 『신미통신일록』은 앞서 제작된 통신사 기록과 유사한 면도 있지만 비변사, 호조, 감영, 수영 등의 관청이 서로 주고 받은 공문들을 다수 포함하고 있다는 점에서 독특한 기록이라 할 수 있다. 이 글에서는 한국과 일본에 남아있는 신미통신사와 관련된 자료들의 주요 내용을 살펴보는 한편, 『신미통신일록』이 갖는 역사적 의미에 대해 살펴보았다. 다양한 평가가 가능하겠지만 크게 역지통신의 성립 이해, 육로 이통 과정의 구체적 일정 파악, 선박의 상장 구조에 대한 정보 수록, 통신사 파견에 필요한 재정 확보라는 관점 등에 초점을 맞추어 의미를 제시하였다. 『신미통신일록』은 종전에 소개된 개인적 차원에서 제작된 기록과 국가에서 외교문서를 집성한 『통신사등록』의 중간적 성격을 갖는 자료이다. 따라서 선행 연구에서 규명하지 못한 세부적인 사항들을 파악하는 데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고려 말 漕轉城의 등장과 溏城倉

        문경호(Mun, Gyungho) 호서사학회 2022 역사와 담론 Vol.- No.101

        이 글에서는 1391년(공양왕 3) 아산만 남쪽 해안에 설치된 당성창의 구체적 위치와 입지에 대해 살펴보려 한다. 당성창은 용안성, 영산성과 함께 설치된 시기를 명확히 알 수 있는 대표적인 漕轉城이다. 그 중에서도 당성창은 『고려사』에 수록된 유일한 조전성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그러나 아직 당성의 구체적인 위치나 규모, 역할에 대해서는 잘 알려져 있지 않다. 그러한 현실을 고려하여 이 논문에서는 『고려사』 ‘신창현’에 등장하는 조전성의 구체적인 위치를 추정하고, 溏城倉址에 해당하는 성곽의 특징과 주변경관을 복원함으로써 당시 조전성이 어떤 지리적인 조건을 갖춘 곳에 설치되었는지 살피려 하였다. 지형과 지명, 다른 조전성과의 위치 등을 비교하면 당성창은 현재의 충청남도 아산시 선장면 군덕리의 구릉에 축조되었을 가능성이 가장 크다. 군덕리 일대는 아산만 방조제가 축조되기 전까지 바닷물이 드나들었던 곳이며, 성이 있었던 곳에는 아직까지도 성터라는 지명이 남아있다. 바로 앞까지 바닷물이 들어오고, 왼쪽으로는 도고천이 흘러 내려와 삽교천에 합쳐진다는 점에서 조창이 들어설 수 있는 조건이 잘 갖추어졌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이곳은 몽골 침입기에 아산의 주민들이 피난했다는 선장도와도 인접한 지역이라고 판단된다. 왜구 침입기에 중요한 역할을 했던 당성창은 조선 건국 이후 왜구침입이 줄어들고, 조창이 좀 더 하류인 범근내창으로 이전하면서 기능을 상실한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충남 북부 지역 아산만 일대의 조창은 당성창 → 범근내창 → 아산 공세창으로 이전한 것으로 정리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will look into the specific location and surrounding of Dangseongchang installed at the southern shore of Asan Bay on 1391 (King Gongyang 3). Dangseongchang is a typical Jojeonseong certainly unknown for its era of installing including Ong-anseong and Yeongsanseong as well. Out of them, Dangseongchang is meaningful in the point that it was a unique Jojeonseong recorded in Goryo"s history. But, the specific point, scale and role of Dangseong were not known yet. In consideration of such reality, this article tried to estimate the specific point of Jojeonseong appeared at "Shinchang-hyun" in Goryo History and investigate the geographical conditions of Jojeonseong at that time by restoring the features of the castle and landscape surrounding the site of Dangseongchang. Comparing the terrain, geographical name and the point of Jojeonseong shows that Dangseongchang was highly likely built on the hill at current Gunduk-ri, Seonchang-myeon, Asan City, Chungchangnam-do. Proximities of Gunduk-ri was the point of ebb and tide before building the water break at Asan Bay, and the geographical name of castle site was remained still on the site where the castle had been placed. It can be said that the conditions of the Jojeonchang were well estalished in the point that the sea water surged at near and Dogo River flows to the left to merge to Sapgo River. In addition, the point is believed as same area with Sunchang-do where the residents of Asan evacuated at the invasion of Mongolia. Dangseongchang which played an instrumental role at Japanese invasion seemed to lose its function while Japanese invasion was reduced and Jochang moved to the farther lower stream Beomgeunnaechang. Accordingly, it can be summarized that Jochang at the proximities of Asan Bay in northern Chungnam moved to Dangseongchang → Beomgeunnaechang → Gongsechang, Asan.

      • 지적 가뭄극복 사례 분석을 통한 정책 제언

        문경호(Kyong Ho Mun),김병기(Byung Ki Kim),정연석(Youn Suk Jung),천근호(Geun Ho Cheon) 한남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9 사회과학연구 Vol.23 No.2

        본 연구는 기후변화로 심각해져가는 국지적 가뭄 극복을 위한 정책적 제안을 위한 탐구적 논의를 제시한다. 가뭄은 장기적으로 광범위하게 발생하는 영향력을 갖고 있어 그 피해를 가늠하기 어렵다. 역사적으로 한 국가나 문명이 사라지게 된 원인이 될 정도로 큰 파급력도 보유하고 있다. 다목적댐, 농업저수지, 광역상수도 수자원 인프라를 통한 치수・이수 역량을 바탕으로 과거와는 다르게 가뭄 피해에 대한 체감도 줄어들었으나, 매년 지역적으로 가뭄의 피해를 알리는 뉴스가 많이 나오고 있다. 2000년대 이후, 가뭄은 특정 지역에 상습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이는 공간적 범위를 정하여 사전적 정책 대응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2015년 충남 서부권 8개 시·군에 발생한 가뭄 피해와 원인, 정부 대응 정책과 시민사회의 참여내용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상습적으로 발생하는 국지적 가뭄피해 지역에 대하여 건전한 물순환과 통합물관리 관점의 선택 가능한 다양한 정책적 옵션을 제공하고자 한다. This study is an exploratory discussion for suggesting directions for droughts to cope with climate changes in the tim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ole of governmental policies and the problems faced by the specific regions where chronic drought persists. This study suggests a new policy direction by analyzing cases of overcoming drought in the western region of Chungnam province in 2015. The policy analysis is conducted from the standpoint of sustainability and sound water circulation and concludes that such policies as ‘water reuse’, ‘seawater desalination’, and SWM (Smart Water Management) are effective in terms of the principles of sustainable development.

      • KCI등재

        역사과 민주시민 교육의 성과와 과제 - 2007개정 교육과정 이후 ‘한국사’ 영역을 중심으로

        문경호(Mun, Gyung-ho)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21 교과교육학연구 Vol.25 No.5

        이 글에서는 최근 역사교육계에서 강조되는 민주시민 교육의 본질적인 문제에 접근하기 위해 2007개정 교육과정 이후 중고등학교 한국사 영역에서 민주주의 관련 내용이 어떻게 변화되어 왔으며, 앞으로 해결해야 할 과제가 무엇인지 살피려 하였다. 민주시민 양성은 학교 교육을 통해 이루어야 하는 교육의 본질적인 목표이다. 그런 의미에서 역사교육에서의 민주시민 교육은 민주화 운동에 대한 지식 습득과 함께 민주시민으로 성장하기 위한 가치와 태도를 함양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민주주의와 관련된 현대사 교육을 강화시키는 데에 중점을 두기보다 역사적 사실을 학습하는 과정에서 민주주의적 가치가 존중되고, 내면화되는 경험을 하도록 해야 한다. 또한, 학생들이 역사 속에서 여러 시기의 다양한 사람들을 만나며, 인문학적 상상력과 통찰력을 키울 수 있도록 내용이 조직되어야 한다. This article looked into the changes in Korean history subject in middle and high schools since the curriculum revision on 2007, and future tasks needed to be addressed to better understand the essential issues of democratic citizens education that has been particularly emphasized in recent history education. Cultivating democratic citizens is an essential goal to achieve with school education. In this respect, the democratic citizens education in history subject should be designed to obtain the virtue and knowledge to grow as democratic citizen based on the historic knowledge in multiple eras, as well as acquiring the knowledge on the democratic movement. It should be focused on putting value on respecting the democratic virtue and internalizing the experience in the course of studying the historic facts rather than concentrating on strengthening the contemporary history of democracy. In addition, the contents should be organized for the students to grow the liberal artistic imagination and insights, learning about various events and people in history.

      • KCI등재

        고려 강도(江都)시기 강화도의 주요 포구와 물자 유통

        문경호(Mun, Gyung-ho) 역사문화학회 2021 지방사와 지방문화 Vol.24 No.2

        강화는 몽골과 고려가 전쟁을 벌였던 시기에 고려의 수도로서 중요한 역할을 했던 섬이다. 고려 정부는 천도를 추진하면서 강화에 궁궐과 관청을 짓고, 제포-와포, 이포-초포 구간을 간척하여 둔전을 확보하였다. 이후에도 강도의 간척 사업은 지속적으로 추진되었다. 이에 따라 갯벌이었던 지역이 농지로 변하고, 여러 지역에 포구가 등장하였다. 당시 사람들이 주로 이용했던 포구로는 梯浦와 甲串津이 있었다. 갑곶진의 위치에 대해서는 이미 잘 알려져 있으나 제포의 위치는 명확치 않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제포의 위치를 간척사업과 함께 살핌으로써 현재보다 약간 더 북쪽인 삼간리 일대에 있었을 것으로 파악하였다. 또한, 사료와 발굴자료를 토대로 제포와 함께 간척지로 등장하는 瓦浦, 狸浦, 草浦, 그리고 삼별초가 진도로 떠날 때 경유한 仇浦 등의 위치를 비정하였다. 몽골의 침입을 피해 강도로 천도한 후에도 왕실을 비롯한 지배층은 개경에 있을 때와 다름 없이 풍족한 생활을 하였다. 송의 물품은 물론이고, 제주도의 말과 귤, 남부 지역에서 올라오는 각종 곡식과 식재료들을 풍족하게 공급받고 있었다. 이러한 화려한 생활이 가능했던 것은 고려가 끝까지 몽골에게 조운로를 빼앗기지 않았기 때문이다. 최근 마도 해협에서 출수된 태안 마도3호선은 강도의 정부가 지방으로부터 어떤 물자들을 공급받았는지 잘 보여준다. 한편, 강도 시기 제주도는 남송과 일본의 물품을 교역하는 장소였을 뿐만 아니라, 말과 감귤 등을 강도 정부에 제공하는 역할을 맡고 있었다. 제주에서 올라온 감굴과 공마는 왕실에서 공신과 권신들에게 상으로 하사되는 중요한 품목이었다. 훗날 몽골이 제주를 탐라총관부로 삼아 목마장을 설치한 것도 이미 전례가 있었던 셈이다. 강화도의 개간전 지형과 포구에 관한 연구는 이제 본격적인 단계에 들어섰다고 판단된다. 지리학, 고고학, 역사학의 협조 하에 지금까지의 발굴 결과를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그것을 토대로 고려시대 강도의 구체적인 경관을 그려낸다면 강도 시기 강화의 모습을 좀 더 구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Gwanghwa-do was an island which had played an instrument role as a capital city of Goryeo during the warfare between Mongolia and Goryeo. The government of Goryeo built the palace and administrative buildings at Gwanghwa-do while moving the capital city and acquired the fields for producing military rice be reclaiming the areas between Jaepo-Wapo and Epo-Chopo. The reclaiming projects were continued at Gwanghwa-do. Accordingly, the areas of mud flats had been transformed to agrarian lands and the ports were appeared in many points. The people at that time used the Jaepo and Gapgopjin for their ports. The location of Gapgopjin was well known, but the point of Jaepo was not sure. Accordingly, this article identified that it was likely to locate at the proximities of further north, Samganri than estimated now by looking into the point of Jaepo and reclaiming projects. In addition, based on the historic records and excavated records, this study compared and defined the positions of Wapo, Epo and Chopo which were appeared as reclaimed lands together with Jaepo and Gupo where Sambyeolcho visited at the departure to Jin-do. The ruling class of Gwanghwa enjoyed rich living as same as when they lived at Gaegyeong during the warfare with Mongolia for 39 years. They had supplies of horses and mandarin orange from Jeju and plentiful crops and food materials from southern parts of the country and goods from Song"s territory as well. Holding the tax carrying route to the end by Goryeo against Mongolia made such luxurious living as available. The Mado ship #3 discovered recently at the proximity of Taean (District) display which supplies were supported from local districts to the government in Ganghwa-do. Jeju-do at the era of Ganghwa-do was a place for trading the goods between Southern Song and Japan and supplying the horses and mandarin orange to Ganghwa-do government. Later, the installation of horse farming sites at Jeju-do by Mongolia had the precedent cases. It is considered that the studies on the terrain and ports before reclaiming Ganghwa-do entered in the active step. The biggest tasks are to analyze the discovered records till today generally and depict the specific landscape of Gwanghwa-do in Goryeo Dynasty in combination of the geography, archaeology and history.

      • KCI등재

        여말 선초 조운제도의 연속과 변화

        문경호(Mun, Gyung-Ho) 역사문화학회 2014 지방사와 지방문화 Vol.17 No.1

        이 논문에서는 고려 후기에 조운제도가 동요되는 시기부터 조선 건국 후 조운제도의 체제가 일단락되는 성종 때까지 조운제도가 어떠한 변화 양상을 보이는지 조명하고자 하였다. 조선 초의 조운제도는 고려 말의 조운제도를 그대로 계승한 면이 있지만 몇 가지가 보완되면서 서로 다른 면을 보이기도 하였다. 먼저 고려 말에 군현별로 납부하던 방식은 조선 건국 이후에도 이어져 16개 포창에서 조세를 운송하다가 성종 대에 이르러 9개 조창을 거점으로 조운하는 방식으로 변화하였다. 조창은 대개 고려시대 12조창 또는 고려 말 조전성이 있던 곳에 설치되었으나 해안선이 변화함에 따라 일부 지역은 더 하류로 내려가거나 인근 지역으로 옮겨졌다. 조세 운송의 면에서는 판관의 지휘 아래 조창의 주민들이 조세의 운송을 책임지던 방식이 왜구의 침입으로 무너지고 군현별로 납부하는 방식으로 변화하였다. 고려 말에는 왜구의 약탈을 피하기 위해 군사를 붙여 조운선을 호송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상황은 조선 건국 초까지 이어졌다가 조창제의 시행과 함께 해운?수운 판관을 파견하여 조운을 지휘?감독하는 시스템으로 바뀌었다. 조운선의 경우에도 처음에는 고려 말 군현별 조운 시기에 사용된 것과 유사한 크기의 조운선이 주류를 이루었으나 세조대를 거치며 500석 이상을 적재할 수 있는 대형 조운선이 제작되기에 이르렀다. 궁극적으로 조선이 추구한 조운제도는 고려 성종~문종 대에 완성된 고려식 조운제도였다. 따라서 조선시대 조운제도의 정비 과정과 특징을 파악하는 데에 있어 고려 말~조선 초의 조운방식 변화에 관한 연구는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The Tax Shipping System of Goryeo had been gradually changed and collapsed in the course of the invasion of the Mongol, the rebellion of Sambyeolcho and the invasion of the Japanese pirates. In particular, when there was rampant invasion of the Japanese pirates during the reign of King Gongmin, the marine transportation of the taxation goods was prohibited. During the reign of King Woowang, an extreme measurement to dispose the marine transportation was taken. The revival of the marine transportation took place after the troop withdrawal of Wihwadon. Yi Seong Gye who took the power after the troop withdrawal of Wihwadon resumed the marine transportation in order to secure the national finance, and protected the marine transportation ships from the plundering of the Japanese pirates by the military escort. It was that time when Joseon castle was built along the coast and Sugunmanho was installed. Together, Sucham was installed at the inland water transport route. The revived marine transportation system thanks to various measurements was inherited as it was when Joseon was founded. The method of delivery of taxation goods by installing Pochang at the inland water transport and marine transport hub had been developed similar to the ‘marine transportation system of Goryeo’ based on 9 places of Jochang and the state owned ships along with the solidification of the national system and the centralization of the government. With those situations in mind, this study examined the changes of the marine transportation system from the diminishing period at the late Goryeo period to the reign of King Seongjong at a time when the marine transportation system was complete after the establishment of Joseon. The marine transportation system of early Joseon seems to inherit that of late Goryeo, but it also had different shapes by complementing some matters. As for the marine transportation ships, similar size ships which were used at the marine transportation by Gun and Hyeon level at the late Goryeo period, but, large ships that accommodated more than 500 Seoks were manufactured after the reign of King Sejo. It is very important to study the marine transportation system at late Goryeo in order to figure out the reorganizing proves and features of the marine transportation system in Joseon. This study might contribute to the understanding of the continuity and change of the marine transportation system in the late Goryeo and early Joseon era.

      • KCI등재

        『高麗圖經』을 통해 본 群山島와 群山亭

        문경호(Mun, Gyung-Ho) 역사문화학회 2015 지방사와 지방문화 Vol.18 No.2

        『高麗圖經』에 따르면 군산정은 서긍 일행이 처음으로 고려 땅에 상륙하여 사신으로서의 정식대우를 받은 곳이다. 이 글에서는 고려도경에 기록된 군산도 인근의 바닷길과 군산도에 자리잡고 있었다는 군산정, 오룡묘, 자복사, 숭산행궁, 관아 등의 위치를 비정하고, 군산정에서 행해진 영접과정과 군산정의 구조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 글에서는 서긍 일행이 무녀도와 선유도 사이 뱃골이 있는 지역으로 입항한 후 고려에서 준비한 작은 배를 타고 군산정으로 이동하여 영접의식을 받은 것으로 추정하였다. 또한, 군산도를 떠난 사신 일행이 거쳤던 횡서라는 섬은 방축도로 추정하였다. 군산도의 주요 시설인 군산정의 위치에 대해서는 망주봉 아래 남쪽의 유물 산포지로 비정하였으며, 관아 시설 역시 군산정과 함께 있었던 것으로 보았다. 그리고 오룡묘와 자복사는 군산정의 동쪽 산기슭에, 숭산행궁은 오룡묘 건너편의 독립된 작은 산 기슭의 유물 산포지에 있었을 것으로 추정하였다. 이들의 위치가 고려도경에 기록된 것과 달리 군산정의 서쪽이 아니라 동쪽에 자리잡은 이유에 대해서는 서긍이 방향을 잘못 파악한 것으로 이해하였다. 이러한 주장의 근거로는 서긍이 군산정 북쪽에 있었던 횡서(방축도)를 남쪽에 있다고 기록한 것을 들었다. 군산정의 구조와 관련해서는 고려도경에 나타난 환영과정을 토대로 뜰 위에 계단이 있고, 계단이 끝나는 높은 곳에 사방이 트인 형태의 군산정이 있었던 것으로 추정하였다. Gunsanjeong (Gunsanjeong Pavilion) was the first destination in Korea of the Chinese delegation led by Xu Jing. Officials of the Goryeo Kingdom greeted the delegation in a formal reception for foreign envoys at the pavilion. This article intends to identify, based on Goryeodogyeong (Illustrated Travelogue on Goryeo Kingdom), the sea route leading to Gunsando Island, as well as the locations of Gunsanjeong, Oryong Cemetery (五龍廟), Jaboksa Temple(資福寺), Sungsan Temporary Palace (崧山行宮), and the local government office at that time, all of which are known to have been on Gunsando Island. It also aims to shed light on the reception ceremony held at Gunsanjeong and the structure of the pavilion. The delegates led by Xu Jing are presumed to have reached Gunsando Island’s port through a sea route between Munyeodo and Seonyudo islands. After reaching the port, they would have moved to Gunsanjeong on a small ship prepared by the Goryeo people before being welcomed in the reception ceremony. The island named Hoengseo, which the Chinese envoys stopped at after leaving Gunsando Island, is presumed to be the Bangchukdo Island of today. This article assumes that Gunsanjeong, one of the key facilities on Gunsando Island, was located at the southern foot of Mangjubong Peak where relics have been scattered, and that the local government office was next to the pavilion. Oryong Cemetery and Jaboksa Temple are presumed to have been at the foot of a mountain to the east of the pavilion, and the Sungsan Temporary Palace at a relic site at the foot of a small mountain across from Oryong Cemetery. The fact that these facilities were incorrectly described in Goryeodogyeong as being in the east of Gunsanjeong, instead of west of the pavilion, is attributed to Xu Jing’s mistake about the actual locations of the facilities. As a proof of that error, this article cites Xu Jing’s description of Hoengseo (Bangchukdo island) as located to the south of Gunsando Island, contrary to its actual location to the north of the island. Judging by the descriptions of the reception ceremony in Goryeodogyeong, Gunsanjeong is presumed to have been on a mounted platform reached by a staircase in the middle of an open field.

      • KCI등재

        고려시대의 조운제도와 조창

        문경호(Mun Gyung-Ho) 역사문화학회 2011 지방사와 지방문화 Vol.14 No.1

        고려로부터 시작된 조운제도는 1894년 조세가 금납화 될 때까지 국가 경제의 근간이 되는 관영 물류 시스템이었다. 고려의 조운제도는 크게 60여개의 포구를 중심으로 운송하던 시기, 12개(또는 13개)의 조창을 중심으로 운송하던 시기, 왜구의 침입으로 조창의 근간이 무너지면서 군현별로 납부하던 시기로 구분할 수 있다. 이 글에서는 조창제 이전에 조운을 담당했던 60개의 포구를 ‘浦倉’이라는 용어로 서술하였으며, 포창의 위치에 대하여 연구한 기존 논문들의 성과를 정리하는 한편, 그 타당성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또한, 조운제도에 관한 최근의 연구 성과를 토대로 12개의 조창이 설립되었다는 『高麗史』의 ‘國初’가 구체적으로 어느 시기인지 밝혀보고자 하였다. 지금까지의 연구에 의하면 고려의 12조창이 설치된 시기를 보는 관점은 성종, 현종, 정종 시기 등으로 다양하였다. 그러나 성종 11년 수경가 제정 기사에 60개 포구와 함께 기록된 9개의 조창은 고려의 조운제도가 12조창 중심으로 운영되기 이전부터 존재하고 있었을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조창의 설치 시기는 현종, 정종 시기보다 훨씬 이전 시기로 소급될 수 있다. 조창의 설치 시기가 현종 이전 시기로 소급된다면 조창을 중심으로 하는 조운제도의 성립시기 또한 상향되어야 할 것이다. The Shipping System of Grain Paid as a Tax started in Goryeo period had been a government operated logistics system which was the foundation of national economy and this system existed until it was abolished by the commutation of tax to paying tax with money in 1894. The Shipping System of Grain Paid as a Tax can be largely classified three by period: period centered on coast estuary each region, period centered on 12 Warehouses for Grain as a Tax(13 since King Munjong), period when tax was paid from each county as the foundation of Jochang fell down by the invasion of the Japanese pirates. This study named Pochang(浦倉) for the mode where tax transportation was performed centered on coast estuary before Jochang system. And based on recent studies on the Shipping System of Grain Paid as a Tax, this study tried to find out when ‘the early Goryeo’ described in Goryeosa(高麗史) is specifically - Goryeosa says, in that time, 12 Warehouses for Grain as a Tax were established. According to existing studies, it has been understood that the early tax transportation in Goryeo had been operated based on 60 ports and changed to 12 Jochang system through the reigns of Hyunjong or Jeongjong. But a record related to the shipping charges(輸京價) regulated in the 11th year of Seongjong shows 9 Jochangs along with 60 ports. This record suggests that 9 Jochangs existed before 12 Jochang system. Therefore, it would be difficult to say that Jochang system suddenly appeared in a particular time. And it is assumed that even after implementing Jochang system, some ports existed under Pochang system played the part related to tax transportation. When synthesizing these facts, it is known that Korean Shipping System of Grain Paid as a Tax had been changed in this order: 60 Pochang system(early Goryeo) → 12 Jochang system(King Seongjong~Hyunjong in Goryeo) → 13 Jochang system(Munjong in Goryeo) → tax transportation each county(since middle and later period of the 13th century) → 11 Pochang system in early Chosun(『Sejongsilrokjiriji世宗實錄地理志』) → 9 Jochang system(『Gyeonggukdaejeon 經國大典』) → coexistence of Jochang and Haechang system each county(『Sokdaejeon續大典』).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