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문화대혁명은 어떻게 재현되는가

        성근제(Seong, Geun-je) 한국중어중문학회 2014 中語中文學 Vol.57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prototype and its political meaning based on analysis of consumption method of popular image and representative narrative on the Cultural Revolution_ the prototype exists in general form where the Cultural Revolution is represented. To do this, the study noticed large Gap between existing study performances about true nature of the Cultural Revolution and popular image about the Cultural Revolution. And then, the author intended to analyze a cause to form Gap and its political effect. As a result, the study pointed out that there is very close relationship between formation of such Gap and popular representative narrative on the Cultural Revolution, accordingly, representation and narrative in a new method about the Cultural Revolution, which recently began to be published can affect reform of future Chinese politic to a certain extent.

      • KCI등재

        『민주수업』과 `저층문학`의 새로운 가능성

        성근제 ( Seong Geun-je )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 2017 감성연구 Vol.0 No.15

        曹征路는 최초의 `저층문학(底層文學)` 작품인 「그곳(那兒)」의 작가로 널리 알려져 있다. `저층`이라는 개념에는 확실히 개혁개방 이후 중국 사회의 주요한 고민 가운데 하나가 담겨 있다. 1990년대 중반 대규모 실업 노동자와 농민공의 출현의 출현으로 이른바 사회주의 사회의 주도계급이었던 `무산계급`이 실제로는 사회적 생산 과정과 분배 구조에서 철저하게 소외된 하층 계급이라는 사실이 도시의 일상을 통해 그대로 드러나기 시작했다. 90년대 중국의 도시에 출현한 이 새로운 사회적 존재들은 더 이상 사회주의 국가의 주인, 혹은 사회주의 사회의 주도계급이라는 관념으로 단단히 포장되어 있는 `무산계급`, `노동자(工人)`라는 개념을 통해 표상해내는 것이 불가능해졌다. `저층`이라는 개념은 사회주의 이데올로기에 의해 분식되어 있던 노동자들의 실제 사회적 지위와 현실을 있는 그대로 드러내 보여준다. 흥미로운 지점은 「그곳」 이후로 조정로의 관심과 사고가 오늘날 중국 사회가 안고 있는 핵심적 문제(곤혹)의 역사적 뿌리를 더듬어 나아가는 방향으로 심화되어 가고 있다는 점이다. 문화대혁명 시기 조반의 경험과 기억을 다루고 있는 『민주수업(民主課)』은 바로 이러한 맥락 속에서 나온 작품이다. 『민주수업』의 가치는 우선 장편 소설로서는 유일하게 문화대혁명의 실제적 전개 과정과 조반의 `진상`을 묘사해 낸 작품이라는 데에 있다. 그러나 이 작품이 지니고 있는 더 중요한 가치는 바로 이 작품이 문화대혁명의 역사를 `현재` 중국 사회의 문제 및 과제와 연결시켜 내고 있다는 데에 있다. 이 작품은 문화대혁명에 대한 단순한 회고담이 아니다. 적어도 이 작품 속에서 조반의 문제의식은 여전히 살아있는 중국사회의 현재적인 정치적 과제임이 작중 인물들의 발화를 통해 지속적으로 환기되고 있다. 이 농후한 `현재성`은 『민주수업』이 단순한 과거 역사에 대한 증언이나 기록의 차원을 넘어 새로운 `민중문학`의 가능성을 제시해주고 있는 작품으로 새롭게 조명되어야 할 이유 가운데 하나라 할 수 있다. 『민주수업』은 이제까지 어떤 작품도 그려낸 바 없는 문화대혁명 시기 조반파들의 구체적인 모습을 드러내 보여준다. 때문에 우리는 이 작품을 통해 조반의 내면과 동기, 조반이 진압되는 과정, 나아가 개혁개방 이후 이들이 중국 사회의 거대한 변화 속에서 어떻게 살아왔는지를 어렴풋이나마 이해할 수 있다. 이것은 이 작품을 개혁개방 이후의 주류 서사와 구별시켜 주는 가장 큰 차이점이다. 이 작품이 그려내고 있는 조반자들의 현재적 시각을 통해 우리는 개혁개방 이후 중국 사회를 바라보는 중국 사회 `저층` 인민의 시선과 날카로운 문제의식을 비로소 접할 수 있다. 어쩌면 이 시선과 문제의식이야말로 문화대혁명 시기로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줄곧 억압받고 소외되어 온 중국 사회 `민중`의 시선을 대표하는 것일지도 모른다. 이런 의미에서 본다면 「그곳』 이후 『問蒼茫』에 이르는 일련의 `저층문학` 작품들을 통해 조정로가 개혁개방 이후 중국 사회 `저층` 인민의 투쟁과 그 내면을 집요하게 추적하고 있는 것은 어쩌면 『민주수업』 제시하고 있는 역사관에 대한 구체적인 해설과 주석에 해당하는 것이라고도 할 수 있다. 우리가 『민주수업』과 「그곳」에서 『問蒼茫』에 이르는 일련의 작품들을 겹쳐 읽어낼 수 있다면 오늘날 중국의 `저층문학`이 새로운 민중문학으로 발전해 나가기 위한 돌파구에 대한 중요한 힌트를 얻을 수 있을지도 모른다. Cao Zhenglu (曹征路) is well known as the writer of the “There(那兒)”, which is the first work in underclass literature (底層文學). The concept of `underclass` certainly contains one of the major concerns of Chinese society after the reform and opening. In the mid-1990s, with the emergence of huge numbers of unemployed and rural exodus workers, the fact that the so-called `proletarian class`, which was the leading class in the socialist society, is in fact a lower class completely excluded from social production processes and distribution structures, was plainly revealed in urban everyday life. These new social beings that emerged in the cities of China in the 1990s could no longer be represented by the concept of `proletarian class` or `workers`. This concept was defined by the notion that they are the masters of the socialist state or the leading class in the socialist society. The concept of `underclass` plainly reveals the actual social status and reality of the workers, which has been window-dressed by the socialist ideology. An interesting point is that since publishing “There”, the interest and thinking of Cao Zhenglu focused into the direction to trace the historical roots of the core problem (embarrassment) held by Chinese society today. The book A Lesson on Democracy, which deals with the experiences and memories of the insurrection during the period of the Cultural Revolution, is a work that stemmed from this context. The value and impact of A Lesson on Democracy is first in the fact that it is the only feature-length novel that depicts the actual developmental process of the Cultural Revolution and the `truth` of the insurrection. The more important value of this work, however, is secondly that it links the history of the Cultural Revolution with the problems and tasks of the `present` Chinese society. Thus, this work is not only a simple reminiscence of the Cultural Revolution. The fact that the critical mind of insurrection is a still necessary current political task of Chinese society is constantly present through the utterances of the characters in this work. This rich `currentness` is one of the reasons why A Lesson on Democracy should be newly illuminated as a work that suggests the possibility of new `People`s Literature` beyond the level of a simple testimony or the records of the past. A Lesson on Democracy reveals and shows a concrete picture of the insurrectionists during the Cultural Revolution, which has never been drawn in such a way by any work so far. Therefore, we can understand, though dimly, the inner side and motive of the insurrection, the process with which the insurrection was suppressed, and how the insurrectionists have lived in the great changes of Chinese society since the reform and opening. This is the biggest difference that distinguishes this work from mainstream narratives published after the reform and opening. Only through the current perspectives of the insurrectionists presented in this work, we can face the view and sharp critical mind of the `underclass` people of China society to really see the Chinese society after the reform and opening. Perhaps this view and critical mind represents the view of the `people` of Chinese society, who have been continuously oppressed and alienated from the time of the Cultural Revolution until to the present. When seen in this sense, the persistent trace of the struggles of the `underclass` people of the Chinese society and the inner side of these struggles visualized by Cao Zhenglu through a series of `underclass literature` works ranging from “There” to WenCangMang(問蒼茫) perhaps corresponds to concrete commentaries and comments about the historical view presented in A Lesson on Democracy. If we read through the series of works ranging from A Lesson on Democracy and “There” to WenCangMang, one after the other, we may be able to get an important hint of the breakthrough for the `lower class literature` of China today to develop into `new people`s literature`.

      • KCI등재

        루야오의 `도농 교차지대`와 은폐된 서사

        성근제 ( Seong Geun-je ) 서울시립대학교 도시인문학연구소 2017 도시인문학연구 Vol.9 No.1

        루야오(路遙)는 1980년대 중국에서 가장 많이 팔리고 가장 널리 읽혔던 작품을 창작한 현실주의 작가이다. 때문에 그는 분명히 1980년대 중국문학계를 대표하는 작가 가운데 하나이다. 그러나 놀랍게도 루야오는 1980년에 관한 중국의 문학사 서술 속에서 철저히 `변방화`되어 있다. 이 흥미로운 현상은 개혁개방 이후 중국의 문학계와 학술계의 관점이 루야오가 그의 작품을 통해 제출하고자 했던 문제의식이나 루야오의 작품에 폭넓게 공감했던 독자 대중들의 관점 사이에 모종의 불일치가 존재함을 강력하게 암시해 준다. 이 글은 이 불일치가 개혁개방 이후 중국의 이른바 신시기 담론 내부에 존재하는 중대한 모순과 균열을 드러내기 위한 중요한 실마리가 될 수 있다는 문제의식 위에서 작성되었다. 이 문제의식으로부터 출발하여 이 글은 루야오의 성공작인 「인생(人生)」과 이 작품의 창작을 전후하여 루야오가 제출한 `교차지대`라는 개념을 주요한 고찰 대상으로 설정하고 있다. 소설 「인생」과 `교차지대`라는 개념은 중국 사회가 문화대혁명을 거쳐 개혁개방 시기로 나아가던 격동기에 교육을 받은 농촌의 청년 지식인들이 직면했던 현실과 그 현실 속에서 그들이 느꼈던 고뇌의 사회적·역사적 의의를 단적으로 드러내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이 문제의식은 개혁개방 시기의 주류 담론들에 의해 배제되고 은폐되었다. 이 배제되고 은폐된 문제의식과 이야기들의 역사적 의의를 적절하게 복원하고 재조명할 수 있다면 우리는 개혁개방 시기 중국 사회 구조 내부의 모순과 그 모순의 역사적 맥락을 좀 더 풍부하게 이해하고, 나아가 개혁개방 시기 주류 담론의 강력한 영향 하에서 작성된 1980년대 중국문학사를 보완하기 위한 유용한 참조체계들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Lu Yao (路遙) is a realist who created best selling and best read works in 1980`s in China. Therefore, he is definitely one of the authors representing the literary world in China in 1980`s. However, to our surprise, Lu Yao just existed on the periphery of descriptions about Chinese literary history of 1980. Such an interesting phenomenon strongly implies existence of a certain inconsistency between the viewpoint of the literary world and the academia in China since the Reform and Opening and the viewpoint of readers who widely empathized with Lu Yao`s critical mind suggested through his works and with his works. This writing was prepared on the critical mind that the inconsistency can be an important clue to reveal substantial contradictions and cracks exiting inside so-called New-era discourse in China since the Reform and Opening. Beginning with the critical mind, this work establishes the concept of `The Urban-Rural Cross areas` raised by Lu Yao and 「RenSheng」 in which he first made his mark as an object of consideration. Novel 「RenSheng」 and concept of the `The Urban-Rural Cross areas` simply showed reality faced by young rural intellectuals(Huixiang Zhiqing) who got education in turbulent period when Chinese society went to the Reform and Opening and social·historical meaning of agony felt by them in the reality. However, the critical mind was excluded and concealed by major discourses in the Reform and Opening period. If we can properly restore the excluded and concealed critical mind and historical meaning of the stories and also can shed new light thereon, we may obtain useful reference system to more abundantly understand contradictions inside the Chinese internal structure in the Reform and Opening period and then, to supplement the Chinese literary history of 1980`s prepared by a strong influence of major discourses in the Reform and Opening period.

      • KCI등재
      • KCI등재

        중국은 어디로 가는가?

        성근제(Seong, Geun Je) 역사비평사 2011 역사비평 Vol.- No.97

        Before and after the U.S financial crisis in the 2008, and with the international society"s doubts and skepticism are increasing about the U.S and the neo-liberalism"s control, many discussions are starting again about the influence and status of China in the future international order. "China Model," which has been China"s main agenda during last few years, cannot be seen separately when considering the international circumstances. This writing aims to understand in details how China managed the experience of socialism revolution and 30 years of Reform&Opennin by checking the developmental context of China model discussion, and what China"s path will be in the future and the outlook is being projected. To do so, this writing reviewed Joshua Cooper Ramo"s "Beijing Consensus," Yao Yang(姚洋)"s "Disinterested Government Theory," Wen Tiejun(溫鐵軍)"s "Chinese Experience Theory," He Xuefeng(?雪峰)"s "Dual Urban-Rural Structure Theory(都農二元構造論)" and other writings, looked at the Chinese political-economic reorientation and resetting related discussions centered around the "Chongqing Model(重慶模式)" that has been focused as China"s new growth model, and checked the impact it will have on the international society, including us, when that reorientation is realiz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