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코나투스’ㆍ‘몸[身]’ㆍ‘살[肉]’ㆍ‘알[卵]’ 에 대한 문화-생태학적 독해

        성회경 새한철학회 2019 哲學論叢 Vol.96 No.2

        This study attempts to interpret the phenomenon of Edmund Husserl's body and Merleau Ponty's flesh as a relationship of '/' rather than a relationship of 'vs'. The research has rea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as '/' because although it acknowledges the difference between them, Merleau Ponty embodies the phenomenological view of hindsight more thoroughly. In particular, this study attempts to approach the continuous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from a cultural ecological perspective. Husserl/Merleau Ponty's relationship forms a continuous matrix from low or moderate ecology to deep or radical ecology. This study checks the symmetrical structure between the Edmund Husserl and Merleau Ponty centering on the body/ flesh as a cultural ecological code. In particular, it will be interested in reconstructing the non-ecological structure of the subject-centered distorted by modern times into a symmetrical one. The phenomenological organism theory based on this symmetry differs from the non-organic ontology of the Gilles Deleuze. Also, it is different from Levinas who read the symmetry between I and the alter ego in an asymmetrical structure. However, it can also be said that the non-organic and non-symmetrical structure of Levinas and Deleuze resulted from the stingy reading of phenomenology as a narrow and human centered organism. This study, on the premise of this view, will read anew the series of matrix from the 'body' of the later genetic phenomenology of Edmund Husserl and the early Merleau Ponty to the 'flesh' of the later Merleau Ponty as the cultural ecological matrix. In particular, this study will identify the cultural ecological link between Edmund Husserl and Merleau Ponty , centering on the stratum-model and chiasm, analogy and chiasm, and problems of touch and vision. 본 연구는 후설의 몸과 메를로 퐁티의 살의 현상학을 ‘vs'의 관계가 아닌 ’/‘의 관계로 연속적으로 해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가 양자의 관계를 ’/‘로 읽은 것은, 그들 사이의 차이성을 인정한다고 하더라도, 메를로 퐁티는 후설의 현상학적 관점을 보다 철저하게 천착해나가기 때문이다. 특히 본 연구는 양자 사이의 연속적 관계를 문화생태학적 관점에서 접근하려고 한다. 후설/메를로 퐁티의 관계는 낮은 혹은 온건한 생태론에서 보다 심층적인 혹은 급진적인 생태론으로의 연속적 매트릭스를 이루고 있다. 본 연구는 문화생태학적 코드로서 몸/살을 중심으로 후설과 메를로 퐁티 사이의 대칭적 구도를 확인한다. 특히 근대에 의해 일그러진 주체중심의 비생태학적 구도를 대칭적 구도로 재구성하는 데 관심을 가질 것이다. 이 대칭성이 근거하고 있는 현상학적 유기체론은 들뢰즈의 비유기체적 존재론과 무늬를 달리한다. 또한 나와 타자 사이의 대칭성을 타자중심의 비대칭적 구조로 읽은 레비나스와도 결을 달리 하고 있다. 하지만 레비나스와 들뢰즈의 비유기체적-비대칭적인 구조는 현상학을 인간중심의 편협한 유기체론으로 인색하게 읽는 데서 비롯된 것이라고도 말할 수 있다.

      • KCI등재

        코나투스’ㆍ‘몸[身]’ㆍ‘살[肉]’ㆍ‘알[卵]’ 에 대한 문화-생태학적 독해― 들뢰즈의 ‘알’을 중심으로 ―

        성회경 새한철학회 2021 哲學論叢 Vol.104 No.2

        This study discusses G. Deleuze's cultural ecology focusing on his egg-metaphor. It focuses on how his cultural ecology of egg overcomes the phenomenological interculturalism. The ecology of the difference in Deleuze is incompatible with the ecology of similarities in phenomenology. However, there seems to be a slight honeymoon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to define Deleuze as the counterpoint of phenomenology. Of course, parts that can not be encountered with phenomenology are found throughout Deleuze's. Above all, Deleuze's criticism is that phenomenology, like modern consciousness philosophy, is locked in transcendental consciousness. Deleuze's intrinsic philosophy of breaking away from transcendental existence and extending it to the horizon of pure intrinsicity has a fundamental difference from the phenomenological intrinsic philosophy. The interculturalism of phenomenology presupposes other cultures as a similarity of my culture, and expounds the mutual cultural structure between the two. However, The model of organic-centered Deleuze's idea, which defines others as my analogies, is in line with the theory of human-centered or self-centered cultural composition. The ecology of Deleuze's eggs emphasizes the fundamental life and capacity of the pre-organisms. He emphasize wrinkles and singularity that can not be reduced to organic order. He expose singularity that can not be returned to transcendental principles and emphasize the singularity and individuality of each culture as the basis of cultural ecology. 본 연구는 들뢰즈의 알-메타포를 중심으로 그의 문화생태학을 논의한다. 그의 알의 문화생태학이 현상학적 상호문화주의를 어떻게 극복하는가에 초점을 맞춘다. 들뢰즈의 차이의 생태학은 현상학의 유사성의 생태학과 양립할 수 없다. 그러나 들뢰즈를 현상학의 대척점에 서 있는 것으로 규정하기에는 양자 사이에 미미한 밀월관계가 있어 보인다. 물론 현상학과 조우할 수 없는 부분들이 들뢰즈의 사유 곳곳에서 발견된다. 무엇보다도 현상학 역시 근대 의식철학과 마찬가지로 초월적 의식에 갇혀 있다는 것이 들뢰즈의 비판이다. 초월적 존재로부터 결별하고 그것을 순수한 내재성의 지평으로 확장해 가는 들뢰즈의 내재철학은 현상학적 내재철학과는 근본적인 차이점을 가진다. 현상학의 상호문화주의는 타문화를 나의 문화의 유사체로 전제하고, 양자 사이의 상호문화적 구조를 해명한다. 그러나 들뢰즈는 타자를 나의 유사체로 규정하는 유기체중심의 사유모델은 인간 중심 혹은 자아중심의 문화구성론과 궤를 같이 한다고 비판한다. 들뢰즈의 알의 생태학은 유기체 이전의 근원적인 생명과 역량을 강조한다. 그는 유기체적 질서로 환원될 수 없는 주름(wriankle)과 특이성(singularity)을 강조한다. 초월적 원리로 환원될 수 없는 특이성들을 드러내고 각 문화의 특이성과 개체성을 문화생태학의 토대로 강조한다.

      • KCI등재

        안토니오 다마지오의 스피노자 해석 - ‘신체화된 마음’을 중심으로 -

        성회경 새한철학회 2022 哲學論叢 Vol.108 No.2

        The brain scientist Antonio Damasio (born 1944) reconstructs the Spinoza's body theory into a ‘embodied mind' and makes neurobiological interpretations. His representative book, which deals with the brain's cognitive process based on Spinoza's body theory, is Looking For Spinoza: Joy, Sorrow And The Feeling Brain (2003) (translated into Korean(2007). This study critically reviews whether the theory of "embodied mind" presented in Damasio's book understands Spinoza correctly. From the researcher's point of view, Damasio's interpretation of Spinoza does not seem to be a serious problem overall. However, strategic methods are still controversial. This study will examine how Damasio understands Spinoza as a whole and evaluate his strategic ambiguity. 뇌과학자 안토니오 다마지오(Antonio Damasio, 1944 ~)는 스피노자의 신체론을 ‘신체화된 마음’으로 재구성하여 신경생물학적 해석을 한다. 뇌의 인지과정을 스피노자의 신체론에 근거하여 다루고 있는 그의 대표적인 책이 Looking For Spinoza: Joy, Sorrow And The Feeling Brain(2003)(『스피노자의 뇌』(2007)이다. 본 연구는 다마지오의 책 『스피노자의 뇌』에서 제시된 ‘신체화된 마음(embodied mind)’이론이 과연 스피노자를 올바르게 이해하는지를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연구자가 보기에, 다마지오의 스피노자 이해는 전체적으로는 크게 문제가 없어 보인다. 그러나 그의 전략적 방법에는 여전히 논란의 여지가 있다. 본 연구는 다마지오가 스피노자를 전체적으로 어떻게 이해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 그의 전략적 모호성에 관해 평가할 것이다.

      • KCI등재

        ‘코나투스’ㆍ‘몸[身]’ㆍ‘살[肉]’ㆍ‘알[卵]’ 에 대한 문화-생태학적 독해 - 스피노자의 ‘코나투스’를 중심으로 -

        성회경 대동철학회 2018 大同哲學 Vol.85 No.-

        스피노자는 이름이 세 개다. 포르투갈 유대인 부모가 지어준 벤투(Bento), 유대인 공동체에 살면서 친구들이 불렀던 바루흐(Baruch) 그리고 24세 유대 교회에서 추방당한 후 스스로 붙인 이름 베네딕투스(Benedictus)이다. 그는 이 세 개의 이름에 걸맞게 다양한 정체성을 띠고 살다가 짧은 생을 마감한다. 그는 소수자 유대인으로서 다양한 정체성을 띠고 살았다. 소수자 중의 소수자의 생을 살았다. 소수자로서의 그의 삶이 그의 『에티카』 행간 행간에 녹아 있다. 본 글은 『에티카』에 함의되어 있는 그의 삶과 생각들을 문화생태학적으로 독해한다. 물론 스피노자는 문화 자체에 대해 구체적 언급을 하지 않는다. 하지만 『에티카』에 당대 정치-문화적 패권주의에 대한 비판적 성찰이 함의되어 있다. 특히 필자는 스피노자의 ‘코나투스’ 개념을 중심으로 문화생태학적 독해를 시도한다. 본 글이 문화생태학적 접근을 시도하는 이유는 근대인이면서도 탈근대적 사유를 깊이 한 스피노자의 모습을 들여 다 보기 위해서이다. 그는 데카르트에 의해 가속화된 이분법적 경계짓기의 야만스러움을 ‘신즉자연’(deus siva natrura)의 일원론으로 고발한다. 스피노자는 그 시대의 문화패권주의의 철학적 기반이 된 이원론적 사유모델을 생태학적 패러다임으로 전환하여 사유한다. 필자는 타문화에 대한 정서적 편견들로부터 자유로워지는 길을 안내하는 스피노자를 문화생태학적 지점에서 새롭게 만나기를 기대한다 Spinoza has three names. Bento built by Portuguese Jewish parents, Baruch called by friends of Jewish community, and Benetictus named himself after being expelled from a 24-year-old Jewish church. Although he lived a short life, he was as diverse as the three names. He lived with various identities as a minority Jew. He lived as minority among the minorities. His life as a minority is intermingled with his Ethica line. This article is a cultural-ecological reading of his life and ideas in Ethica. Of course, Spinoza does not comment specifically on culture itself. However, there is a critical reflection on the political and cultural hegemony of the time in Ethica. In particular, I try to read cultural ecology based on Spinoza's concept of Conatus. The reason why this article attempts a cultural ecology approach is to take a deep look at Spinoza, who is both modern and post-modern. He accuses the barbarity of dichotomy accelerated by Descartes with monism of 'deus siva natrura'. Spinoza considers the dualistic model, which became the philosophical foundation of cultural hegemony of the time, by converting it into an ecological paradigm. I look forward to meeting Spinoza from the cultural ecology perspective, who guide the path of freedom from emotional prejudice against other cultures.

      • 벼 自動化 育苗에서 播種期와 育苗期間이 苗素質에 미치는 영향

        成會慶,皮宰承,孫再根 경북대학교 농업과학기술연구소 2000 慶北大農學誌 Vol.18 No.-

        Seedling characteristics of rice sowed at different sowing date in an automatic facility were studied at different days after sowing(DAS). The objective was to determine the optimum sowing date and age of rice seedlings at three locations in the Kyongbuk Province of Korea viz, Andong, Euisung and Kyongsan. Height and shoot dry weight of rice seedling increased from 10 to 20 DAS and with a delay in sowing time from April to June. In these intervals shoot dry weight-height ratio decreased. For rice seeded in the last ten days of April, optimum seedling characteristics were attained between 15 to 20 DAS at Andong and Euisung and 15 DAS at Kyongsan. At the three locations, 10-day-seedlings exhibited superior characteristics to 15- and 20-day-seedlings for rice seeded in May and June. Rice seedlings of different ages were transplanted at a paddy field to determine the effect of seedling age on yield potential. The mean yield of 10-day-seedlings was 5% higher than that of 35-day-seedlings raised by the conventional method. The yield of 20-day-seedlings was 9% lower than that of 35-day-seedlings. Varietal differences in seedling characteristics of 13 rice cultivars were evaluated for the seedlings seeded in the automatic facility on June. Ten-day old seedlings ranged in height from 13.3 to 17.5 cm and shoot dry weight from 7.7 to 9.4 mg. Two cultivars, Daesanbyeo and Hwayeongbyeo, exhibited superior seedling traits compared to the remaining 11 cultivars and were ,therefore, better adapted to the automatic seedling-raising facility.

      • 스피노자와 불교의 대화

        성회경(Sung Hoe-Kyung) 경북대학교 인문학술원 2009 동서사상 Vol.7 No.-

        본 연구는 스피노자의 주저인 『에티카』를 불교적 관점에서 해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는 스피노자 사상 체계의 한 부분인 ‘다양 속의 통일’을 동양사상의 패러다임으로 이해하려고 시도한다. 특히 라이프니츠에 의해 잘못 해석된 스피노자의 철학적 다이나미즘(dynamism)을 불교적 관점에서 재해석한다. 이 연구는 『에티카』에 관한 서양철학 중심의 기존의 연구 결과물들을 존중하면서, 불교적 관점에서 이해하는 방식으로 쓰여진 것이다. 본 연구는 스피노자의 『에티카』에 함의되어 있는 불교적 메시지를 필자 나름대로 이해하는 방식으로 쓰여졌다. 물론 이러한 독서 방식이 다소 성급하고 설득력이 없는 것으로 여겨질 수도 있지만 그 비판은 기꺼이 수용한다. 본 연구의 독해방식은 스피노자의 『에티카』에 남아 있는 불교적 흔적을 발견하는 데 초점을 맞춘다. 필자는 스피노자가 왜 불교적 관점에서 접근되어야 하는지에 대해 자신있게 대답하는 데는 망설이지 않을 수 없다. 하지만 필자는 한 마디 덧붙이고 싶다. 무엇보다도 나는 스피노자를 불교적 관점에서 가능한 한 충실하게 읽으려고 노력했다. This essay aims to interpret one of Spinoza's major writings, Ethica from the perspective of Buddhism. This essay makes an attempt to reinterpret ‘unity in variety’, a part of B. Spinoza's system of concept with the paradigm of oriental thought. Especially B. Spinoza's philosophical dynamic which was misinterpreted by G. W. von Leibniz, is reinterpreted from the perspective of Buddhism. This essay tries to read Ethica, respecting the findings of the existing researches on Ethica which have been undertaken from western philosophy-centered perspectives, adding the perspective of Buddhism. This essay is written in a way of understanding the Buddhistic message implied in B. Spinoza's Ethica on my own. Of course this way of reading can be thought to be rather rash and somewhat unreasonable. a criticism I am willing to accept. This way of reading is focused on finding the buddhistic traces left in B. Spinoza's Ethica. I cannot help hesitating to answer the question of why B. Spinoza should be read in a buddhistic approach with confidence. But I would like to import a final word: above all, I have tried to read B. Spinoza from the perspective of Buddhism as faithfully as possible.

      • KCI등재

        스피노자와 퇴계의 ‘능동성’-논고

        성회경(Sung Hoe Kyung) 대한철학회 2016 哲學硏究 Vol.137 No.-

        필자는 스피노자와 퇴계의 사유체계의 유사성을 넘어 리와 이성의 능동성에 방점을 두어 독창적인 탈주자학적, 그리고 탈근대적 행보를 걸어 온 퇴계와 스피노자의 철학을 논의하고자 한다. 자연과 인간의 조화를 꾀한다는 공통성에서 스피노자와 퇴계를 형식적으로 평형대 위에 양자를 올려놓는 데에 대해서는 이의를 달 여지가 없다. 필자는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하여 스피노자와 퇴계를 능동과 수동의 테제 위에 올려놓고 그 공통성을 추론하고자 한다. This research examines the philosophy of Toegye and Spinoza in the post- neo-Confucian and post-modern perspective in emphasizing the activity of Ri(理) and reason beyond the similarities of system in their thought. There is no disagreement in viewing Toegye and Spinoza as balanced opposites in their attempts to harmonize man and nature. In this discussion, I will infer the similarities of Toegye and Spinoza in terms of an ‘activity-passivity’ thesis.

      • KCI등재

        스피노자의 ‘깨달음’의 윤리학

        성회경(Sung Hoe-Kyung) 새한철학회 2018 哲學論叢 Vol.92 No.2

        스피노자는 『에티카』를 마무리하면서 “이것으로써 나는 정서에 관한 정신의 능력과 정신의 자유에 대해서 제시하려고 했던 모든 것을 종결지었다.”(5부 정리 42 주석)고 말한다. 이처럼 그의 목표는 정신이 압도적인 정서에 대해 어떻게 능력을 발휘하고 그것을 통해 자유를 얻을 수 있는지를 역량(potentia)의 윤리학의 관점에서 서술하고 있다. 이 역량의 윤리학은 정신이 정서에 어떻게 작용을 덜 받고 반대로 작용을 할 수 있는지에 대해 서술하는 것이다. 스피노자는 정서의 압도적인 힘에 의해 정신이 작용을 덜 받고 나아가서는 정서의 예속으로부터 전적으로 자유로울 수 있을 때까지 정신의 역량을 기르는 철저한 수행(radical practice)의 과정을 어떠한 우연도 개입할 수 없도록 기하학적 논증의 절차를 통해 명백하게 제시하고 있다. 스피노자의 3종인식설을 수행론의 관점에서 읽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진정한 깨달음을 성취하기 위한 근본적인 수행의 절차를 논증적 질서로 구성한 스피노자의 3종 인식설은 인식의 단계적 절차가 아니라 진정한 자유와 지복을 향한 깨달음의 메타포일 뿐이다. 그에게 있어 인식은 바로 본성에 대한 깨달음이다. 본 연구는 스피노자를 ‘근본적 수행자’로서 읽기 위해 불교 수행의 돈점 논의를 연구하고자 한다. Completing his Ethica, Spinoza said that “I finished everything I wished to explain concerning the power of the mind over the emotions and concerning its freedom.” He try to how mind display his ability to the overwhelming emotions and to get freedom from it in terms of ethic of potentia. The ethics of potentia describe how the mind has less or more effected by emotions. By the geometrical process of demonstrations, Spinoza clearly proposed the radical practices to increasing the potentia of mind by the time the mind has less effected by the overwhelming emotions and will free from the bondage of emotions totally. This is the reason to read the knowledge of three order in terms of practice theory. The knowledge of three of order of Spinoza that constitutes the process of the radical practices to achieve the true enlightenment is not the stepwise procedure but only the metaphor for the true freedom and beatitude. For him, the knowledge is just to realize the nature. This essay research the sudden-gradual enlightenment〔頓漸〕of Buddhist practices to read Spinoza as an ’radical ascetic’.

      • KCI등재

        스피노자 『에티카』「5부」에 대한 불교-수행론적 독해

        성회경(Sung Hoe-Kyung) 새한철학회 2015 哲學論叢 Vol.80 No.2

        본 연구는 스피노자 주석가들에 의해 『에티카』5부의 축으로 해석되는 「정리21」을 중심으로 정리1?20까지의 2종지에 이르는 단계와 정리21?40까지 3종지에 이르는 단계 ‘사이’ 를 어떻게 읽을 것인가에 초점을 맞춘다. 물론 이 두 단계 ‘사이’를 읽는 데는 많은 논의가 있을 수 있다. 이 두 단계인 2종지와 3종지 ‘사이’에 내재하는 논리적 틈과 인식론적 간극을 어떻게 조정하고 소통시키는가에 대한 논의들이 많다. 특히 본 연구는 이 문제에 대해 불교-수행론적 관점에서 접근하고자 한다. 먼저 불교 수행론적 독서의 필요성을 설명하고, 『에티카』 5부 정리 21을 축으로 그 ‘이전’과 그 ‘이후’의 의미를 스피노자 철학의 관점에서 밝힌다. 그리고 ‘이전’과 ‘이후’ "사이"의 의미를 불교-수행론적 관점에서 조명한다. 구체적으로 해오와 증오의 관점에서 그리고 생멸과 진여의 관점에서 마지막으로 선과 교의 관점에서 다룬다. 이러한 작업을 통해 스피노자 『에티카』에 함의되어 있는 불교-수행론적 에토스를 밝히고, 스피노자를 스피노자답게 읽을 수 있는 가능성을 점검하고자 한다. This research aims to how read "between" the before / after proposition 21 in Ethica ⅴof Spinoza which was interpreted as axis of Ethica ⅴ by commentators of Spinoza. Of course, there are many disputes in reading the "between" of two stage. There are many disputes how conciliate and communicate the logical and epistemological gap between the two stage, namely the knowledge of the second kind and the third kind. Especially, this research want to approach to this problem by the buddhist-performative perspectives. First, I explaining the necessity of the buddhist-performative reading, and elucidating the before/after proposition 21 in Ethica ⅴ in terms of the philosophy of Spinoza. I elucidating the meaning of "between" of "before" and "after" buddhist-performative perspectives. The concrete elucidating progressed as follows; understanding-enlightenment (解悟-證悟) and true suchness-false phenomena(眞如-生滅), and Seon-doctrine(禪-敎). Through this research, I try to elucidate the buddhist-performative ethos implicated in Ethica and test the possibility of reading the secret of Spinoza.

      • KCI등재

        스피노자 인식론의 유식·불가적 이해 : 《에티카》를 중심으로

        성회경(Sung Hoe-Kyung) 새한철학회 2008 哲學論叢 Vol.4 No.54

        본 연구는 스피노자 《에티카》에서 전개되는 인식론이 가지는 유식·불가적 함의를 분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스피노자에 관한 통상적 해석이 넘어 서지 못하는 체계적 애매성이나 의미상의 혼란스러움을 유식·불가적 관점에서 읽음으로써 극복하려는 의도와 함께 구성되었다. 특히 《에티카》에서 전개되는 인식론이 함의하고 있는 수행론적 성격에 초점을 맞추어 인식단계설에 녹아있는 유식·불가적 함의를 이해하는 것을 중요하게 다룬다. 먼저 그의 '기하학적 방법'이 함의하고 있는 불가 수행적 의미를 읽어내고, 스피노자의 '신'을 '여래장'으로 읽어낼 것이다. 그리고 스피노자의 3단계 인식설을 단순한 인식론적 차원에서 읽기보다 이를 넘어 깨달음을 향한 수행론으로 해석한다. 스피노자의 1종지(표상지)를 변계소집성으로, 2종지(이성지)를 의타기성으로, 그리고 3종지(직관지)를 원성실성으로 유추 할 수 있는 것도 이러한 해석에 의해서이다. 특히 스피노자의 인식단계에서 2종지의 위치가 중요하다. 1종지로부터 자유로워질 수 있는 인식단계이면서도 동시에 3종지에로 상승할 존재론적 토대란 점에서 깨달음의 기체 역할을 한다. 2종지가 기체 역할을 한다는 의미는 3종지에로 상승할 동기가 되면서도 동시에 1종지로부터 자유로워져야 할 단계가 된다는 의미이다. 스피노자가 '기하학적 방법'을 인용한 것은 자신의 철학을 체계적으로 구축하는 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 아니라, 인간의 논증적 사유의 이면에 드리워져 있는 존재론적 근거인 '신'에 대한 인식인 3종지(반야지)에로 이르는 길을 안내하는 데 본래적인 목적이 있다. 그의 안내를 따라 사유의 숲속으로 들어설 때, 《에티카》 저편에서 들려오는 신의 목소리를 들을 수 있을 것이다. 현실의 번뇌에서 스피노자의 《에티카》가 들려주는 열반의 메시지를 들을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