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군집방법에 의한 기성복의 카바율에 대한연구

        김성주,최혜주 成均館大學校 韓國産業硏究所 1996 韓國經濟 Vol.23 No.-

        본 논문에서는 군집방법을 이용하여 기성복의 새로운 호칭체계를 제시하고 있으며 여러 호칭체계를 카바율이라는 관점에서 실제 데이터에 대하여 비교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k-평균 군집방법을 비롯하여 7가지 군집방법을 고려하였다. 낙관적 편의를 배제하기 위해 CV방법을 적용하였다. 그 결과 Ward방법의 우수성을 확인 할 수 있었다. We propose new sizing system using clustering methods. Then we compare the effect of various sizing systems in therms of the coverage rate for a real data. Seven clustering methods are considered including k-means clustering. Cross-Validation is used to overcome optimistic biases. It is observed that Ward's method works very well.

      • KCI등재

        식민사학자 오다 쇼고(小田省吾)의 경성제대 교수 활동과 조선사 인식

        최혜주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21 한국민족운동사연구 Vol.- No.108

        Oda Shogo (小田省吾) came to Chosun in 1908 and lived there for 37 years. He was a person that supported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to compile textbooks and found Keijō Imperial University, participated initiatively in organizing Japanese’s Chosun research groups, and contributed to creating the colonial view of history by laying the grounds for colonial education. First, Oda regarded that the mission of Keijō Imperial University should be studying Oriental culture, cultivating colonial officials, and completing the project of harmonizing and unifying the two races. He insisted that the mission should be promoted by ‘Japan’s mind’ as the driving force. He devoted his whole life to etching the ‘Japan’s mind’ into Chosun. Second, the professors of history in Keijō Imperial University took the lead in distorting history in the name of studying Chosun’s culture and history. Oda deemed that investigating and understanding Chosun history should be the most essential thing in ‘harmony and union between Japan and Chosun’. As a professor of Keijō Imperial University, the goal was to insert distorted Chosun history to students and justify Japan’s rule over Chosun. Third, Oda wrote history of Chosun, which came from the necessity to reorganize Chosun history grounded on the colonial view of history to fight against Chosun’s resistance to Japan after the 3.1 Movement. Distorting the history of Dangun in Chosun that is up to 2,000 years ahead of Japan’s history, he negated Dangun. He produced Ilseondongjo-ron saying Amaterasu’s brother, Susanoo, crossed into Chosun and also Tayulseong-ron saying the south of Chosun in the ancient times was Japan’s colony. Fourth, being engaged in Cheongguhakhoe, Oda strived to study the history of party strife by extending the research on the dismantlement of Chosun history, persecution on Catholicism, and Hong Gyeong-rae’s Revolt. He supported Dangpaseong-ron saying the cause of Chosun’s collapse was from not Japan’s invasion but its own party strife. Later, Ilseondongjo-ron stressing intimacy between Chosun and Japan and Tayulseong-ron saying Chosun had been ruled by Japan from the ancient times in the history were established. Oda spread the origin of colonial rule and the theory for justification by doing the teachings at Keijō Imperial University and activities in Cheongguhakhoe. 오다는 1908년 내한이후 37년 동안 조선에 살면서 총독부의 교과서 편찬사업을 주도하고 경성제대 교수로 활동하였다. 또한 일본인의 조선연구 단체 결성에 주도적으로 참여하고 식민교육의 기초를 만들어 식민사관 창출에 기여한 인물이다. 첫째, 오다는 경성제대의 사명을 동양문화를 연구하고 식민관료를 양성하여 양 민족이 융화 결합하는 사업을 완성하는 것에 두었다. 이 사명은 ‘일본정신’을 원동력으로 추진할 것을 주장하였다. 그는 ‘일본정신’을 조선에 부식시키는 데 일생을 바친 인물이다. 둘째, 경성제대 사학과 교수들은 조선 문화와 역사를 연구한다는 미명하에 역사왜곡에 앞장섰다. 오다는 조선의 역사를 연구하고 이해하는 것이 ‘일선 융화의 결합’에 가장 필요한 일이라고 보았다. 경성제대 교수로서 학생들에게 왜곡된 조선사를 주입하여 일본의 조선 지배를 합리화시키는 것이 목적이었다. 셋째, 오다의 조선사 저술은 3.1운동 이후 한국인의 항일운동에 대항하여 식민사관에 입각한 조선사를 재구성할 필요에서 나왔다. 일본의 역사보다 2천년이나 앞서있는 단군조선의 역사를 왜곡하여 단군을 부정하였다. 아마테라스의 동생 스사노오가 조선에 건너갔다는 일선동조론과 상고시대 조선의 남부는 일본의 식민지였다는 타율성론이 만들어졌다. 넷째, 오다는 청구학회 활동을 하면서 조선사적 해제, 천주교 박해와 홍경래 난에 관한 연구를 확대하여 당쟁사 연구에 매진하였다. 조선 멸망의 원인도 일본의 침략에 의한 것이 아니라 당쟁 때문이라는 당파성론을 주장하였다. 그리고 한국과 일본의 근친성을 강조하는 일선동조론과 역사적으로 고대부터 일본의 지배를 받아왔다는 타율성론이 식민사관으로 정립되었다. 오다는 식민지배의 기원과 정당성을 찾는 이론을 경성제대 교수 및 청구학회 활동을 하면서 전파시켜 나간 것이다.

      • KCI등재

        일제강점기 고전의 형성에 대한 일고찰 - 재조일본인과 조선광문회의 고전 간행을 중심으로 -

        최혜주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13 한국문화 Vol.64 No.-

        This paper focuses on the publication businesses run by Choi Namsŏn and Japanese residents in Korea involved in formation of Korean modern classic. Those organisations that looked into Korean classical texts included ‘Chosŏn kosŏ kanhaenghoe’, ‘Chosŏn yŏn’guhoe’ and ‘Chayut’ogusa’. Purposes of these organisations in running publication business differed a bit: ‘Chosŏn kosŏ kanhaenghoe’ to prepare for Korea-Japan annexation, to investigate historical materials and to research Korean history and ethnicity; ‘Chosŏn yŏn’guhoe’ to ensure internal stability of the colony in commemoration of the annexation; and‘Chayut’ogusa’ to study Korean ethnicity, having recognized Korean-Japanese assimilation as an urgent issue after the March First movement. The three organisations published 162 classical books with financial supports from either the Residency-General or the Government-General in order to cooperate in colonial rule. In order to stand up against Japanese-residents’ such businesses and to protect Korean Geist, Choi Namsŏn established ‘Chosŏn Kwangmunhoe’ and published forty-six classical books. He started this business with impetus from Japanese’ fervour for collecting and studying Korean classic, which he experienced through his study-abroad in Japan, and with painfulness for the loss of Korean books. That is, he started the business with a belief that rediscovering Korean tradition and enhancing Korean national identity through the ‘Chosŏn Kwangmunhoe’ business was the only way to recover the national sovereignty.

      • KCI등재

        일제강점기 靑柳綱太郞의 조선사 연구와 ‘內鮮一家’論

        최혜주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06 한국민족운동사연구 Vol.49 No.-

        A Study on Korean History and the Naesunilga Theory (a theory that Japan and Korea are the same nation) of Aoyagi During the Period of Japan’s Imperial RuleChoi, Hea Joo 일제강점기 아오야기(靑柳綱太郞)의 조선사 연구와 ‘內鮮一家’論최혜주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시데하라(幣原坦)의 식민지조선․대만에서의 교육 활동

        최혜주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 2020 동아시아 문화연구 Vol.83 No.-

        시데하라가 조선과 대만에서 식민교육의 기초를 만든 인물이라는 점에 주목하여 그의 교육 활동을 살펴보았다. 첫째, 시데하라는 조선과 대만의 교육을 서구 식민지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관찰한 뒤 조선과 대만이 서구보다도 식민지 교육이 순조롭게 되는 것에 자부심을 가졌다. 그것은 조선과 대만이 일본과 ‘같은 인종’이므로 인종, 사상, 풍속, 습관에서 차이가 없고 일본인이 식민지 주민들을 다루는 교육법도 무리하지 않아 동화교육의 효과가 있어 서구보다도 유리하다고 보았다. 둘째, 실제 교육에서는 조선과 대만 모두 일본인 위주의 교육을 시행하여 식민지 주민 교육보다 우선하였다는 점이다. 그렇기 때문에 시데하라는 조선에서 학정참여관으로 있을 때 근대적 교육의 학제 개편을 실시하면서 대학 설립이 불필요하다고 보았고, 초등교육과 실업교육을 중시했다. 대만에서는 대학설립을 준비하여 총장이 된 후 대만인보다는 일본인 위주로 식민통치에 필요한 인재를 육성하기 위한 식민지대학을 운영해 나갔다. 이것은 시데하라가 조선과 대만에서 종주국의 지위를 얻은 일본인에게 지도자다운 자질을 요구하면서, 조선인과 대만인에게는 피식민자의 지위에만 머물게 하려는 것을 의미했다. 셋째, 시데하라는 조선과 대만에서 문화 건설과 교육 발전이라는 명목으로 그 실천자가 되어 활동했다. 조선에서는 일본어 보급과 교과서 편찬을 통해 일본문화를 침투시키고 있었고, 대만에서는 대만이 일본문화 선전에 필요한 남양연구와 조사에 적합하다고 보았다. 또한 인문․자연과학 연구에서 막대한 가치를 갖는 지역이라는 인식아래 일본문화의 정수를 남방에 건설한다는 사명에서 활동했다. 넷째, 시데하라의 적지주의라는 것은 조선과 대만의 식민지 사정을 참작하여 식민통치에 활용하자는 것이었다. 조선과 대만의 식민통치에서 일제의 교육정책이 어떠한 공통점과 차이점을 갖는지는 대북제대의 설립을 경성제대의 설립과 비교한다면 적지주의적 교육정책의 모습이 한층 명확하게 드러날 것이다. Observations of the characteristics of educational activities focusing on Shidehara’s theory of assimilation education in colonial Korea and Taiwan show that first, Shidehara, who made relevant observations of Korean and Taiwanese education in relation to Western colonies, was confident that colonial education was being conducted more smoothly in Joseon and Taiwan than in the West. This was because he viewed the effects of assimilation education to be advantageous compared to that of the West as the people of Joseon and Taiwan are ‘the same race’ as the people of Japan, sharing the same ethnicity, thoughts, customs, and habits and as the educational methods of the Japanese in dealing with colonial residents were not forceful. Second, both Joseon and Taiwan conducted Japan-oriented education in their actual educational practices and this was prioritized over colonial resident education. Because of this, when Shidehara worked as an undergraduate adviser in Joseon, he viewed the establishment of universities to be unnecessary as school system reform was being conducted in modern education and he placed importance on elementary education and vocational education. After preparations were made for a university establishment in Taiwan and he became president, a colonial university was operated to cultivate people of talent needed for colonization. This signified that Shidehara demanded that the Japanese who gained suzerain state positions in Joseon and Taiwan possess leadership qualities while having the people of Joseon and Taiwan staying in positions of the colonized. Third, Shidehara acted as an executor in the name of culture construction and educational development in Joseon and Taiwan. He spread Japanese culture in Joseon through Japanese language distribution and textbook compilations and in Taiwan, he viewed Taiwan to be fitting for the research and examination of the South Sea needed for Japanese culture propagation. Also, he carried out the mission of building the essence of Japanese culture in Southern regions under the awareness that they have immense value in humanities and natural sciences research. Fourth, the localism of Shidehara states that the colonial situations of Joseon and Taiwan sh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 and utilized in colonial rule. Comparisons made between the establishment of Taihoku Imperial University and the establishment of Keijo Imperial University to observe common points and differences in the educational policies of the Japanese Empire with regard to the colonization of Joseon and Taiwan will more clearly display the localized educational policies of Shidehara.

      • KCI등재후보
      • KCI등재

        1920년대의 『朝鮮公論』 사설에 나타난 조선통치론과 내선융화론

        최혜주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17 한국민족운동사연구 Vol.0 No.92

        『Chosun Gongron』 was monthly general magazine lasting the longest with total 380 issues from April, 1913 when Makiyama Gojo (牧山耕藏) began the first issue up to November, 1944. This magazine included discourses from Japanese intellects in the areas of politics, journalism, education, law, and also economy. They formed political power that constantly exerted influence on Japan’s policy of ruling Chosun then. The magazine’s editorials in the 1910’s criticized forceful ruling and discussed the matter of abolishing the rule of military officers as governors. They insisted that to govern Chosun properly, Chosun people’s assimilation would be crucial, and their mental assimilation would be essential through Japanese’s immigration, research on Chosun people’s thinking system, marriage between Japanese and Chosun people, Chosun people’s renaming, and also distribution of Japanese. The 1920’s was the period that the Japanese Empire that had faced the 3ㆍ1 Independence Movement altered their strategies of assimilation policy in the 1910’s into cultural ruling. While maintaining assimilation policy, they enforced it gradually as well and reduced discriminative treatment. In fact, in the 1920’s, instead of the term, ‘assimilation’, they used the word of ‘conciliation’. This study aims to examine how they recognized the colony, Chosun, in the 1920’s with the editorials of 『Chosun Gongron』 and look into what opinions Japanese intellects presented about the matters of Chosun through their theory of ruling Chosun and Japan-Chosun conciliation. Comparing the editorials of the 1910’s and 1920’s, this author has found that they kept criticizing and advocating forceful ruling, there were controversies about reducing arms, and they genuinely discussed the matter of ‘Japan-Chosun conciliation’. The biggest problem of Derauchi’s forceful ruling was the system of military police. Along with disputes about the issue of reducing arms as one of the measures to cope with the 3ㆍ1 Independence Movement, they presented various opinions around the matter of abolishing the system of military police. They insisted on the necessity of civil servants as governors and also supported the necessity of the age-limit system for governors. Meanwhile, it was also a controversy to provide Chosun people with their legitimate government. Kim Sim-seok or Inoue insisted on the necessity of their legitimate government whereas Miyajaki said it was just the ideal theory and Jungchuwon was needed to be reformed. Ishimori, too, said they should go with ‘Joguk Yeonjangjuui’ from ‘Naeji Yeonjangjuui’. It means that to conciliate Chosun people through ‘Japan-Chosun conciliation’, first, it would be needed to lead Chosun’s youths ideologically and focus more on studying Chosun people’s racial characteristics. To put it concretely, it would be necessary to provide Chosun people with education for history, language, cultivation, and engineering, found youth organizations, and cultivate Chosun’s figures. It would be also needed to encourage Japanese’s immigration through ‘Japan-Chosun conciliation’ and attain economic assimilation and lay the grounds for ruling. In addition to that, it would be needed to cultivate superior figures from Chosun people and distribute elementary education in order to accomplish ‘Japan-Chosun conciliation’ indeed. It would be also necessary to get rid of discrimination on Chosun people and urge Japanese residing in Chosun to change and wake up 『朝鮮公論』은 마키야마 고조(牧山耕藏)가 1913년 4월 창간한 이래 1944년 11월까지 총 380호를 발행한 최장수 월간 종합잡지다. 이 잡지에는 일본의 정관계, 언론계, 교육계, 법조계, 경제계 등 지식인들의 담론이 담겨있다. 이들은 조선통치정책에 일정하게 영향을 미쳤던 정치세력들이었다. 이 잡지의 1910년대 사설에서는 무단통치를 비판하고 무관총독 폐지문제를 거론하였다. 조선 통치를 위해서는 조선인 동화가 중요하며 그것은 일본인 이주와 조선인 사상연구, 내선인 결혼, 조선인 改名, 일본어 보급 등을 통해 정신적 동화가 필요하다는 주장이었다. 1920년대는 3ㆍ1운동을 겪은 일제가 1910년대 동화정책의 전략을 문화통치로 바꾼 시기이다. 동화정책을 유지하면서도 이를 점진적으로 실행하고 차별대우를 완화하려는 것이었다. 그리하여 1920년대에 들어 ‘동화’라는 말 대신에 ‘융화’라는 말이 채용되었다. 이 논문에서는『조선공론』의 사설에서 1920년대의 식민지 조선을 어떻게 인식했으며 일본의 지식인들이 조선 문제에 대해 어떠한 주장을 펼쳤는지 조선통치론과 내선융화론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1910년대의 논조와 비교해 보면 무단통치에 대한 비판과 옹호가 계속되고 있으며 군비축소 여부에 대한 논란이 이어지고 ‘내선융화’ 문제가 본격적으로 거론되었다. 데라우치 무단통치의 가장 큰 문제는 헌병제도였다. 3ㆍ1운동에 대한 대응책의 하나로 제기된 군비축소 문제에 대한 논란과 함께 헌병제도 폐지를 둘러싸고 다양한 논의가 나왔다. 문관 총독이 필요한 시대가 되었다는 견해와 총독 정년제가 필요하다는 주장도 제기되었다. 한편 조선인에게 참정권을 부여하는 문제가 논란이 되었다. 金心石, 이노우에 등은 참정권을 부여해야 한다고 말했지만 미야자키는 그것은 이상론에 불과하며 중추원 개선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이시모리도 내지연장주의에서 ‘조국연장주의’로 나갈 것을 주장하였다. ‘내선융화’를 내걸고 조선인을 회유하기 위해서는 우선 조선 청년을 사상적으로 선도하고 조선인의 민족성을 연구하는데 중점을 두어야 한다는 주장이다. 구체적인 방안으로는 조선인의 역사ㆍ국어ㆍ수신 교육과 공학 교육, 청년단 설립과 조선인물 양성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내선융화’의 방법으로 일본인 이주를 장려하여 경제동화를 달성하고 통치기반을 조성해야 한다. 그리고 조선인 가운데 우량인물을 양성하고 초등교육을 보급하여 ‘내선융화’의 실적을 올릴 것을 강조한다. 조선민족에 대한 차별을 철폐하고 재조선 일본인의 개조와 각성을 촉구하였다

      • KCI등재

        대한민국임시정부 상해시기 헌정활동(1919-1932) - 중국 당국과의 관계를 겸하여 논함 -

        최혜주 한중법학회 2024 中國法硏究 Vol.54 No.-

        대한민국임시정부는 1919년 4월 11일 수립이후로 크게 세 시기로 분류하는 데 그중에서 상해시기는 임시정부 역사에서 가장 중요한 시기로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대한민국임시정부가 상해시기 민족독립과 해방을 목표로 한 역사과 정뿐만 아니라 헌법제정 및 정부형태 변화와 당시 중국과의 관계분석으로 구 성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관계성을 확인할 수 있다. 먼저 임시정부 수립 시기 손중산이 이끌던 호법정부의 지지를 받았는데 그것은 외교적 승인, 군사 인재의 배양 및 경제적 지원의 측면에서 나타난다. 다음으로 임시정부 상해시 기 정당구도와 정치리더십의 변화로 당시 헌법에 영향을 주었고, 헌법텍스트의 비교로부터 중국측 헌법문서의 영향도 일정하게 받은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The article expounds the process of constitutional amendment and government reorganization and the relationship with Chinese authorities in order to realize the goal of national independence and restoration. Since its establishment on April 11, 1919, the Provisional Government has gone through three periods, including an important period in the history of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at Shanghai University. This paper analyzes the constitutional legislative activities carried out by the Provisional Government in Shanghai and the relationship with the Chinese authorities. The following conclusions can be drawn: First, the independence movement led by the provisional government in Shanghai was strongly supported by the law-defending government led by Sun and the later national government. Mainly reflected in diplomatic activities, military personal and economic life assistance. Second, the constitutional amendment of the Provisional Government in Shanghai was mainly based on the change of the government leadership system. Moreover, the text of the Constitution was largely influenced by the Chinese constitutional documents at the time. Moreover, the administrative concept of the provisional government and the democratic practice of party politics are also related to Chin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