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통일 이전 동서독 취학 전 아동교육 비교 및 통일 이후 통합과정 연구

        송주은(Joo Eun Song) 한국정치사회연구소 2024 한국과 국제사회 Vol.8 No.2

        분단 시기 동독과 서독의 취학 전 아동교육에서 나타난 차이 및 협력의 내용과 의미, 통일 이후 동서독 취학 전 아동교육의 통합과정과 특징, 통일 전후의 독일 사례가 우리에게 주는 시사점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독일의 문헌 및 통계자료를 활용했다. 분단에도 서독에서는 취학 전 아동교육을 부모가 담당하는 전통이 이어졌다. 반면 동독은 국가 주도의 취학 전 아동교육을 통해 체제순응적인 인간형을 만들고자 노력했고 국가 전반적으로는 성과를 거두었다. 다만 서독 교회의 지원으로 유지된 동독 교회에서의 취학 전 아동교육은 기독교에 기초해 사회를 바라보고 동독 체제를 비판하는 토양이 되었다. 교육을 담당했던 성직자, 교육을 받은 아동들이 자라나 동독 변화와 붕괴의 주역이 되었다. 통일 이후 취학 전 아동교육은 자유와 창의를 중시하는 서독식으로 통합이 진행되었다. 다만 여성의 사회진출 증가로 아동교육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자 동독에서와 같이 국가의 역할이 커졌다. 동독과 달리 북한의 경우 취학 전 아동에 대한 인도주의적 지원이 절실하다. 지원은 북한의 변화와 통일을 위해서도 반드시 필요하다. 우리가 독일과 같은 ‘자유민주적 기본질서’로 통일된다면, 북한의 취학 전 아동교육은 우리식으로 바뀌어야 한다. 통일 이후 북한 여성노동력의 활용에 따라 아동교육에 대한 수요도 증가할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북한의 취학 전 아동교육 시설은 국가 전반적 통합계획에 따라 정비・폐쇄・확대가 이루어져야 한다. Despite division, the tradition of parents taking charge of pre-school education continued in West Germany. On the other hand, East Germany tried to create human types that conform to the system through state-led pre-school education, and achieved results for the state as a whole. However, pre-school education in East German churches, maintained with support from West German churches, became the basis for viewing society based on Christianity and criticizing the East German system which ultimately led to change and collapse of East Germany. After unification, pre-school education was integrated into the West German style, which emphasizes freedom and creativity. However, as the demand for pre-school education increased, the role of the state increased, as in East Germany. Unlike East Germany, North Korea desperately needs humanitarian support for pre-school children. Support is also essential for change in North Korea and national unification. After our unification, North Korea’s pre-school education must be changed to our style. As the demand for pre-school education is likely to increase, North Korea's pre-school education facilities must be renovated, closed, and expanded in accordance with the overall national integration plan.

      • KCI등재

        연구논문 : 독일 페그니쯔시 조리전공 학생들의 한식 패스트푸드에 대한 인식과 기호도 조사

        송주은 ( Joo Eun Song ) 한국식생활문화학회 2015 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 Vol.30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and preferences relating to Korean fast food among students of the College of Hotel management in Germany and utilize the analyzed data as baseline data for globalization of Korean food. A total of 74 students with food-related majors were asked to complete a survey after cooking and tasting seven different kinds of Korean dishes themselves. Exactly 97.3% of students reported that even though they never tried Korean food before, that Korean food is uncomplicated and interesting to cook, very healthy with abundant vegetables and rice, and suits their palate. Regarding the seven dishes of Korean food, the students stated that Gimbab (김밥) is most suitable for fast food and sorted Japchebab (잡채밥), Gunmandu (군만두), Bulgogidubbab (불고기덮밥), Makjeok (맥적), Bibibguksu (비빔국수), and Musaengche (무생채), in descending order, regarding globalization of Korean food. Gimbab (김밥) and Gunmandu (군만두) both received the highest scores for being the most preferred Korean food. As students indicated Korean food as a dish they would like to cook again, recommend to friends and familyies, and buy if sold in Germany, this survey suggests that Korean food can be a competitive fast food in Germany.

      • KCI등재

        외식업체 종사원의 긍정심리자본이 직무만족 및조직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 - 중소규모업체 비정규직 종사원을 중심으로-

        송주은(Song, Joo-Eun),채규진(Chae, Gyu-JIn) 한국외식경영학회 2016 외식경영연구 Vol.19 No.6

        본 연구는 중소규모 외식업체에 근무하는 비정규직 종사원들의 긍정심리자본이 직무만족과 조직충성도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기 위한 연구이다. 이를 위하여 중소규모 외식업체에 근무하는 총 255명의 직원을 대상으로 설문지 조사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긍정심리자본 요인으 로는 낙관주의와 자기효능감으로 파악되었다. 둘째, 조직충성도에 영향을 미치는 긍정심리자본요인은 낙관주의와 희망으로 파악되었다. 셋째, 직무만족은 조직충성 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직무만족과 조직충성도에 영향을 미치는 낙관주의는 매우 중요한 긍정심리자본의 요인으로 파악 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loyalty of non -regular workers in small and medium - sized restaurants. For this purpose,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a total of 255 employees working in small and medium sized restaurant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factors affecting job satisfaction were found to be optimism and self – efficacy. Seco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factors influencing organizational loyalty were identified as optimism and hope. Third, job satisfaction has a significant effect on organizational loyalty.

      • KCI등재

        강원도 어촌 음식문화 : 과거, 현재, 미래

        송주은(Joo Eun Song),이정실(Jeong Sill Lee) 한국정치사회연구소 2023 한국과 국제사회 Vol.7 No.3

        강원도 북부 어촌의 특이한 현상은 전쟁으로 인해 발생한 실향민에 의한 새로운 음식문화의 형성이다. 음식으로나마 고향을 맛보고 잊지 않으려고, 고향의 음식을 정착한 현지의 사정에 맞게 만든, “함경도 산, 강원도 북부 작”이라는 음식문화를 형성한 것이다. 함흥냉면, 오징어순대가 대표적 예이다. 지구온난화와 남획에 의해 어획되는 중심 어종이 줄어들거나 달라지고 있다. 어촌사람들은 산출되는 어종과 식재료에 과학기술을 접목해 음식들을 현대화하고 고부가가치의 공산품으로서 식품을 개발하고 있다. 해양심층수를 활용하고 붉은대게, 연어, 양미리의 다양한 조리방법 개발이 이를 보여준다. 교통의 발전, 인터넷과 SNS의 확산은 지역 음식문화의 새로운 형성에 영향을 주었다. 찾는 관광객을 위해 전통음식에 기반하면서도 현대인의 취향에 부응하는 음식들을 개발하고 있다. 닭강정, 명태강정, 대게고로케, 연어고로케 등이 그것이다. 더없이 발전한 현대화의 시기에 옛 음식문화를 돌아보고 앞으로 만들어갈 지역의 음식문화를 생각해 볼 시기이다. 선조들의 음식을 다시 살리고, 여기에 현대의 과학기술을 활용하여 재창조하는 것이 강원도 북부 어촌사람들이 명심해야 할 과제이다. 더불어 남북으로 나누어진 강원도 음식문화를 ‘하나의 새로운 민족음식문화’로 만들기를 소망할 뿐만 아니라 실천을 위해 노력하는 것이 접경지역 어촌사람들이 가져야 할 또 하나의 과제이자 마음가짐이다. A peculiar phenomenon of fishing villages in the northern part of Gangwon-do is the formation of a new food culture by displaced people caused by the war. In order to taste the hometown and not to forget it at least through food, the food culture of “Made in Hamgyeong-do, Produced in the northern part of Gangwon-do” was formed by making the food of the hometown suitable for the local circumstances where they settled. Fishing villagers are modernizing food that has been handed down from ancient times and developing food as a high value-added industrial product by incorporating science and technology, such as utilizing deep sea water. The development of transportation and the spread of the Internet and SNS have influenced the formation of a new local food culture, and they are developing foods that are based on traditional foods but meet the tastes of modern people. Trying to make the food culture of Gangwon-do, which is divided into North and South, into ‘One New National Food Culture’ is the task and mindset that the people of the fishing villages in the border area should have.

      • KCI등재

        연구논문 : 비빔밥에 대한 독일 바이로이드지역 학생들의 인식 및 기호도 조사 연구

        송주은 ( Joo Eun Song ) 한국식생활문화학회 2014 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 Vol.29 No.4

        In 2013, for the 130th anniversary of the establishment of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Korea and Germany as well as the 50th anniversary of the dispatch of Korean workers to Germany, a survey on the recognition and preferences related to Bibimbab was carried out among students in Bayreuther, Germany majoring in hotel management who had not tried Korean food before. As part of the globalization of Korean food, 10 different foods that Germans might like were prepared, and the survey took place after food tasting. In the results, 44% of students noted that their first impression of Bibimbab was good, and impression was more favorable after tasting than before. The preference for nine foods other than Bibimbab was in order of Kimchi, Bulgogi, Mandu, Modum-jeon, Samgyetang, Gimbab, Japchae, Tteokbokki, and Sangchu-muchim. Students liked Bibimbab due to its healthiness, and most students showed interest in Korean food after tasting Bibimbab. To improve Bibimbab, most students answered diversifying sauces.

      • KCI등재

        사상체질 유형별 적응식품 섭취도와 건강 자각도와의 관계 연구

        복혜자,송주은,Bok Hye-Ja,Song Joo-Eun 동아시아식생활학회 2006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Vol.16 No.1

        This study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take of food conformable to each Sasang constitution and the recognition of irregular symptoms of health condition. The study subjects were 362 university students nationwide, classified by heir Sasang constitution. In terms of the intakes of conformable food and the symptom recognition, the number of multiple subjective symptoms tended to rise as the Soeum type digested the conformable food. As for the kinds of food, the Soyang type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intake of cucumber namul and the symptoms of eyes and skin, but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intake of Chongak Kimchi and the symptoms of the digestive system The Soeum type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multiple subjective symptoms and the intake of Gatkimchi, fernbrake namul, naeng-i soup, naeng-i namul, Korean leek Kimchi, crown daisy namul, and curled mallow soup,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symptom recognition of the respiratory system and the intake of fried flatfish, and chicken gomtang but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symptom recognition of the eye and skin and the intake of boiled eel. The Taeum type presented the a sigm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multiple subjective symptoms and the intake of spaghetti,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symptoms of the respiratory system and the intake of tuna salad,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symptoms of the eye and skin and the intake of mafa tofu, spaghetti, and tuna salad,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symptoms of the mouth and anus and the intake of codfish jiri, and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symptoms of the respiratory system and the intake of tuna salad.

      • KCI등재

        저소득층 유아들의 숲유치원 경험의 의미 탐색

        김은주 ( Eun Ju Kim ),안세정 ( Se Jung An ),송주은 ( Joo Eun Song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2 유아교육연구 Vol.32 No.4

        본 연구는 최근 유아교육 분야에서 주목받고 있는 숲유치원을 저소득층 유아들에게 경험하게 함으로써 숲유치원 경험이 저소득층 유아들에게 어떤 교육적 의미가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저소득층 유아들은 빈곤으로 인한 각종 환경적 결손에 노출되어 있어 발달에 있어서도 취약점을 보인다는 기존의 연구결과들을 토대로, 다양한 교육적 경험을 할 수 있는 기회의 제공이 절실함을 알 수 있다. 이를 반영하여 2011년 3월 30일부터 12월 28일까지 매주 1회 숲유치원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있는 A유치원을 참여관찰하고, 원장, 교사, 숲해설가를 대상으로 면담을 실시하여 숲유치원 경험이 저소득층 유아들에게 주는 의미를 밝히고자 하였다. 이러한 저소득층 유아들의 숲유치원 경험은 첫째, 두려움을 극복하고 자신감 있는 유아로 성장하게 하고, 둘째, 공격적인 모습에서 긍정적인 친구관계를 맺는 유아로 성장시키고, 셋째, 생명사랑 경험을 통해 책임감 강한 유아로 성장시키고, 넷째, 풍부한 자연환경 속에서 여유와 나눔을 실천하는 유아로 변화시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숲유치원 경험이 사회·정서적인 결손을 갖고 있는 저소득층 유아들에게 의미가 있음을 알게 해 주는 것으로, 앞으로 저소득층 유아를 위한 숲유치원 경험을 확대·지원하여 빈곤으로 인한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는 데 이바지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Though still a rarity throughout the world, forest kindergartens, that is kindergartens conducted in nature without ceilings or walls, are gaining more and more interest as a means to counteract the debilitating mental and physical effects of urban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especially for the poor. This study explores the meaning of a forest kindergarten experience for children from low-income families in South Korea. Research methodology includes participatory observations at a kindergarten implementing a forest kindergarten program once per week from March 30th to December 28th, 2011 and interviews with the director, teachers, and the forest narrator. All the children in this forest kindergarten are from low-income families. Analyses of the data obtained are the following. First, Forest Kindergarten experiences were found to help children overcome fear and thus, grow with confidence. Second, those children who exhibited tendencies to be aggressive, were able to develop positive relationships with peers. Third, the experience of loving life fostered a growing sense of responsibility in the children. Fourth, the children adapted to practicing tolerance of others and to sharing within the ample natural environment. In conclusion, this study finds that forest kindergarten experiences can serve as intervention and prevention measures for countering some of the debilitating effects of poverty on the social and emotional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 Thus, forest kindergartens should be encouraged and supported. As well, their principles and practices should be extended and supported well beyond the kindergarten years.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가 인식한 조부모양육에 관한 이미지 연구

        김은주(Kim Eun-Ju),강현미(Kang Hyun Mi),송주은(Song Joo Eun) 한국육아지원학회 2014 육아지원연구 Vol.9 No.2

        본 연구는 조부모양육에 대한 예비유아교사들의 이미지를 심층적으로 알아봄으로써 다양한 가족형 태가 증가하고 있는 현대사회에서 조부모양육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의 올바른 인식 및 개념 정립을 위 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Q-방법론에 따라 예비유아교사가 인식하고 있 는 조부모양육에 대한 이미지 유형과 유형별 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부산광역시에 소재한 2-3년제 대학의 유아교육과에 재학 중인 예비유아교사 37명을 대상으로 조부모양육에 대한 이미지를 9단계로 Q?분류하도록 하였으며 분류된 자료는 Window용 PASW 18.0을 이용하여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조부모양육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의 이미지는 4개의 유형으로 분석되었으며, 제1유형은 “바쁜 부모를 지원하는 오래된 지혜형”, 제2유형은 “부모를 대신할 수 없지만 안 할 수 없는 숙명형”, 제3유형 은 “구세대와 신세대를 잇는 문화전달형 ”, 제4유형은 “부모의 빈자리를 채우기 위한 기준 없는 무한사 랑형”으로 명명하여 제시하였다. As family structures are becoming more diverse in the contemporary society, child-rearing by grandparents is emerging as an alternate form of parenting. In this context, this study aims to provide preliminary date for promoting bias-free perceptions towards child-rearing by grandparents. The study consisted of 37 under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Q methodology was utilized in order to identify participants perceptions of the types of child-rearing by grandparents and characteristics associated with each perceived type. Participants Q-categorized their perceived image of child-rearing by grandparents into nine phases. A factor analysis was performed by using PASW 18.0. Results showed that the perceived images of child-rearing by grandparents were divided into the following four types. Type 1 “Wise grandparents in-support of busy parents”, Type 2 “Fate that could not replace parents”, Type 3 “The older generation and the new generation that connects cultural carriers” and Type 4 “ infinite love in absence of standards for parents to fill vacanc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