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치유로서의 문곡 유배시 연구

        안말숙(An, Mal-suk) 경성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4 인문학논총 Vol.36 No.-

        본 논문에서는 조선 숙종조의 文谷 金壽恒(1629~1689)의 유배시를 문학치료적 관점으로 고구하고자 한다. 우리나라에서 본격적 문학치료의 연구사는 타 연구 분야에 비해 비교적 짧은 편이다. 더구나 고전문학 분야에서 문학치료를 방법론으로 한 연구축적물 또한 온축된 결과가 아직은 방대하지 않은 실정이다. 본고의 목적은 김수항이 유배생활 중 지었던 시작품을 대상으로 그의 시세계를 탐색함과 더불어 고전문학 연구에 있어서 문학치료학적 접근의 가능성과 효과를 타진하는 계기를 삼고자 함이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김수항이 귀양이라는 정치적 위난과 고통속에서 작시한 유배시가 어떠한 치유의 과정을 거치는가 하는 것을 논점으로 연구를 전개하고자 했다. 김수항은 정치적 격변 속에서 예기치 않던 유배생활을 하면서 겪은 심리적 외상을 시를 통해 드러내고 있었으며, 고뇌를 시 속에 표출하면서 현실을 수용하며 아픔을 해소하고 있었고, 나아가 달관하고 초월하면서 정서적인 안정을 회복해 나가는 과정을 형상화하고 있었다. 김수항의 유배시를 통해서 시 속에 노정된 유배객의 고충, 수용과 카타르시스, 치유와 정서적 회복 등을 읽을 수 있었다. 또한 유배라는 정치적 좌절과 고통스런 경험을 시로 옮기면서 심리적 외상을 드러내며 갈등을 해소해 나가는 치유의 과정을 통해 작가의 삶의 폭과 깊이가 더해 감을 알 수 있었다. 우리의 고전문학을 이해하고 연구하는 데 있어서 문학치료적 방법론을 보다 심화시켜 나가고 박차를 가하게 될 때 연구의 지평이 더욱 넓어질 수 있다고 생각한다. This study conducted a literature research focused on the exile poetry of Mun-gok Kim Su-hyang(1629-1689), one of the government officials to King Suk-jong of The Joseon Era, as viewpoint of literary therapy. In that era the political situation was under extreme political impasse with party strife between Seo-in and Nam-in caused by twice Ritual Controversy in Joseon. Kim Su-hyang was the person who took on state affairs in this political crisis. He experienced honor and disgrace with alternating periods of exile and freedom eventually suffering misfortune concluded in exile. He learned the truth of Faction Politics. His poetry, written in the time of heavy workload and turbulence, has been recorded at The 28th Collection of Mungok poetry. While considering Mun-gok Kim Su-hyang’s exile poetry as viewpoint of literary therapy, this study attempted to develop the issue of how Mun-gok Kim Su-hyang’s poetry written in exile served as part of his healing process. Through the literature material review, a structured process that exposes the anguish of a writer, the achievement of spiritual healing and sublimating affliction was glaringly obvious in Mun-Gok Kim Su-hyang’s exile poetry Kim Su-hyang, who had a pivotal role in the political world as a center of power, unexpectedly had to go into exile, but that was the motivation to reflect on his life with the material poetry reflecting his spirits, it became the way to treatment relieving psychological trauma as well. A variety of experiences including mental trauma and healing during exile added depth to his literature. Viewed in a basic function of literature, healing the human souls and mentality, exile literature is an especially sought treatment to relieve psychological trauma by expressing in writing, which enables the easing of tension and emotions to complete recovery. Moreover, in Kim Su-hyang’s exile poetry, at the level of the literary therapy, it can be seen that he took the process that leads to the proactive attitude to repair trauma and overcome the anguished exile life rather than the passive attitude when reading books. Among the various ways to study classic literature, researchers are becoming more focused on this viewpoint of literary therapy. Thus the exile poetry of Mun-gok Kim Su-hyang was considered with the same purpose. As the writer of this paper, this study is the touchstone of new methodologies and standards of diversity in the exploration of Korea’ Chinese literature study in Korea.

      • KCI등재

        壺谷流放詩之文學治療功能探究

        안말숙(An, Mal-suk) 동양한문학회 2015 동양한문학연구 Vol.41 No.-

        본 논문에서는 壺谷南龍翼(1628∼1692)의 유배시를 문학치료적 관점으로 고찰하면서 척박한 불모의 땅인 유배지에서 창작한 그의 유배시가 어떠한 과정을 거치면서 정서적 안정과 회복의 단계로 도달하게 되는가 하는 것을 논점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호곡 남용익은 조선 숙종조에 대제학·이조판서 등의 벼슬을 한 문신이다. 호곡은『壺谷集』·『壺谷詩話』·『箕雅』등의 저술을 남겼으며 作詩·評詩·選詩 방면에 두루 업적을 남긴 인물로 문학사에 널리 이름이 알려져 있다. 그는 당쟁이 극심하던 시절 정치적 난국 속에서 결국 유배생활을 하게 되었다.『호곡집』에 수록된 유배시를 보면 그가 유배지에서의 고뇌와 고통, 현실 수용과 초월의 과정을 시로 형상화하면서 심리적 외상을 점차 극복해가며 정서적 안정을 회복하고 있는 면모가 유배시에 용해되어 있음을 파악할 수 있다. 호곡의 유배시에서 문학치유적 표현 양상의 특성을 보면 첫째, 젊은 시절의 使行길과 노년의 流配길에 대한 대비를 통해 유배에서 겪는 내면의 상처를 더욱 효과적으로 표출하였다. 둘째, 자연물에 의지한 감정이입의 방법을 통해서 고충을 더욱 현실감 있게 토로하였다. 셋째, 유배생활을 하면서도 오히려 충신연주지사적 표현을 통해 정신적 안정을 회복하면서 문학적 치유를 도모하고 있었다. 이는 다양한 작시방법을 통한 창작치료의 과정이라 생각하며, 문학치료적 측면에 볼 때 작가 스스로 택한 시 창작이라는 방편이 심리적 외상 치유에 있어서 그 효용가치가 매우 크다는 것을 시사하는 것이라 생각한다. 문학치료학이라는 학문이 한국에 도입되어 본격적 연구가 진행된 것은 그리 역사가 길지 않다. 더구나 고전문학 연구에 원용되어 연구방법론의 하나로 정착되고 학문적 성과를 이루고 있는 것도 타 분야에 비해 아직은 활발하지 않은 실정이므로 보다 심도 있는 연구성과물이 축적되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examines a controversial point that the exile literature of Hogok Namyongik (1628∼1692) acts as literary therapy. Namyongik’s writings from the barren soil of exile show the process of regaining emotional stability and rehabilitation. Hogok Namyongik served as a high level civilian government official and Minster of Interior (DaeJeHak & EeJoPanSeo) in the Joseon Dynasty Sukjong Era. Namyongik left behind writings such as “Hogokjip”,“Hogoksihwa”, and “Gia”. In the history of literature he was known for his work in versification, peacetime and mercy. In the midst of political faction impasse, he lost his public post then started a life of exile. The exile literature included in the “Hogokjip” could be said to embody anguish, suffering, and acceptance of current reality. It chronicles the process of transcendence in a place of exile and the aspect of regaining emotional stability by overcoming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Focusing on Namyongik’s literature as a greater form of healing, he described conflicted reality highlighting mental anguish and psychological trauma; rather than reveal his seriously wounded heart, Namyongik went through the process of healing by making an attempt at mental stability through transcendent thinking. In the former, if expressed distress is considered a passive attempt in the healing process then the latter form of writing can be called proactive healing which is achieved through transcendence and sublimation. Characteristics of literary therapy in Namyongik’s exile literature are revealed as first his wounded heart was effectively expressed in a contrast between his youth as an envoy and his elder years as an exile. Second, through his empathy with natural objects, he realistically expressed his difficulties. Third, even though Namyongik lived in exile, he promoted literary therapy through his continued loyalty, love, and respect to his king. When seen in terms of therapeutic literature, it is considered the process of creative healing by various means of writing poems. Namyongik found that writing poems himself was an effective method of healing psychological trauma. Studying literary therapy in Korea does not have a long history. Moreover, compared to other fields of study, it still hasn’t been fixated as a methodology which quotes articles in classical literature. Therefore, in the future, the field is expected to grow as researchers produce more in-depth results.

      • KCI등재

        容斋李荇流放詩之文學治療功能探究

        安末淑(An, Mal-suk) 동양한문학회 2016 동양한문학연구 Vol.45 No.-

        본 논문은 容齋 李荇(1479∼1534)의 유배시를 문학치료적 관점으로 고찰하고자 한다. 조선 중기 연산·중종조의 문신인 용재 이행은 당대의 대표 적인 관각문인으로 문명이 높다. 일생에 두 번의 유배생활을 했던 이행은 특히 甲子士禍 이후 忠州로 流配되고 뒤이어 咸安으로 移配되었다가 다시 巨濟島로 옮겨져 圍籬安置되면서 겪은 좌절과 고통의 세월을 의연히 극복 하면서 그 소회를 시문에 형상화하였다. 이 유배시기에 남겨둔 기록이 『容 齋集』 중의 『謫居錄』 『南遷錄』 『海島錄』에 수록되어 있다. 이행은 사화와 정쟁이 계속되었던 정치적 격동기에 유배지에서 고충을 겪어야 했으며, 이러한 현실에 대한 갈등과 고뇌를 시에 담아내면서 작시를 통한 문학치료를 도모했던 것이다. 유배객으로서 접하게 되는 충격적인 소회, 정신적 고충, 내면의 상처 등을 시를 통해 드러내면서 내면의 갈등과 고뇌를 해소하고 정신적 안정을 회복하는 과정을 시 속에 형상화하였다. 작가의 이러한 면면들이 시 속에 노정되고 승화되면서 치유의 결과물로 응집 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행의 유배시를 ‘질곡 속의 현실과 내면의 상처’ ‘초월적 사유와 내면의 치유’로 나누어서 고찰한 결과, 문학치료적 표현양상이 현저하였다. 그 특징을 보면 첫째, 전고의 활용을 통해 유배에서 겪는 내면의 상처를 강조하 면서 치유와 안정으로 나아가는 양상을 보였다. 둘째, 유배객인 작가 일신 만의 고통을 토로한 것이 아니라 유배지 주변 백성들의 고충을 대변하는 애민정신의 표출을 통해 심리적 안정을 취하는 남다른 특징을 드러내고 있었다. 셋째, 적객으로서의 시름과 유배생활의 신산고초를 묘사하되, 과도한 감정노출 없이 담담하면서도 안정된 어조로 표현하거나 자연물에 의지한 감정이입의 방법을 통해서 고충을 토로하고 있었다. 넷째, 배소에서의 고통을 술로써 달래며 시에 옮기면서 정신적 안정을 회복하고 문학적 치유를 도모하였다. 유배형은 사형 다음의 중형임에도 불구하고 이행은 처량하고 비참한 유배지에서의 삶 속에서 보다 능동적인 창작치료의 과정을 통해 고통을 드러 내며 카타르시스 작용을 거친 이후 갈등요소를 완화시키면서 정서적 평온을 구가하고 있었다. 한국의 고전문학 연구에 있어서 문학치료학적 방법을 원용하여 시도한 연구물은 타 분야에 비해 비교적 저조한 현황이다. 본 논문 역시 고전문학을 문학치료적 시각으로 연구하는 하나의 시금석에 불과할 뿐이다. 문학치 료적 방법론을 통한 보다 본격적 연구가 온축되며 연구의 지평이 확대되어 가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conducted a literature research focused on the exile poetry of Yongjae Ihaeng((1479∼1534)) as viewpoints of literary therapy that how to reach emotional stability and recovery stages going through how to compose poems. Yongjae Ihaeng, a representative government official and writer during the reign of King Younsangun and Chungchong of Mid-Choson Dynasty, his poetry and articles are well known. Ihaeng Suffered exile twice in my life. Especially, after Gapja massacres of scholars, Ihaeng’s exile was assigned to Chongju first and then he was moved to Haman and moved to Geojedo Island later as Fence resettlement, he overcame bravely all the frustration and years of pain and all the emotions are embodied at his literary works. the recorded documents during the periods of exile are included in the 『Jeokgeorok』, 『Namcheonrok』 and 『Haedorok』 in the manuscripts of 『Yongjaejip』. Ihaeng had to experience solicitude for the massacres of scholars and political strife at the places of exile in the Political upheaval era, He tried to contain conflict and anguish of the reality in his poetry and articles as literary therapy. Inner conflicts and suffering and inner scars and mental hardships is exposed in his poetry as Exiled status and suffering and embodied the process restoring his mental stability and getting rid of these inner conflicts through the poetry. It is shown and sublimated in the poem and be packed together with the result of healing while reflected the writer’s every face. Understanding Exile Literature as a big frame of healing , sometimes highlight Mental anguish and trauma and expressed the reality of the pain and conflict, sometimes reveal critically Internal wounds rather than stopped, Promote mental well-being proceeding to the healing stage with transcendental thinking. If the former are exiled people through writing effusion them relatively passive, to have healing process it is gleaned through sublimation and beyond, the latter a more active called the healing process at the level of the literary therapy, it can be seen that he took the process that leads to the proactive attitude to repair trauma and overcome the anguished exile life rather than the passive attitude. As a result of the review of considering the Ihaeng’ exile literature as ‘internal wounds in the ordeal with reality’ ‘transcendental thinking and inner healing’, Therapeutic literature expression aspects Remarkably revealed. The features are; first, showed and emphasized the face of healing of Inner scars encountered in exile is taken advantages using authentic precedent. The second, he revealed not only to show his own pain but to show the pain of people around the place of exile as the expression of love for the people. Third, as exiled status, even it is described that difficulties, anxiety and hardships of the exiled life, but without exposure to excessive emotion, in a steady tone by disinterested or expression rely on nature. Fourthly, recovered mental stability and literary healing as drown his pain in alcohol and write literary works. It seems that it is one of the ways for process of healing using various ways to write poems, as literature of therapeutic aspects, writing, the chosen means of trauma healing, has utility valuable. Although exile is bleak and miserable following the death penalty, even Ihaeng was in a miserable pitiful in the exile places, showed his pain using proactive creative efforts in the process of treatment, after passing through catharsis, eager to get calm emotional status while to ease the conflicts. Few papers have published which put literary therapeutic methodology to the research of classical

      • KCI등재

        金寿恒的 诗文学 研究

        安末淑(An Mal-suk)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2006 동양한문학연구 Vol.22 No.-

          본 연구는 文谷 金壽恒(1629~1689)의 生涯와 詩世界의 實質 및 詩의 特性에 대해 고찰한 것이다.   文谷 金壽恒은 朝鮮 仁祖ㆍ孝宗ㆍ顯宗ㆍ肅宗 시대에 생존했던 인물로 當代를 대표하는 經世濟民의 顯官이자 文人이었다. 그는 두 차례에 걸친 禮訟 문제로 南人과 西人이 첨예한 대립을 보이며 朋黨政治의 末弊적 현상이 顯著하던 시기에 政丞을 맡아 政治的 浮沈을 함께 경험하였던 인물이다. 또한 그는 斥和派의 巨頭 淸陰 金尙憲의 손자이자 昌集ㆍ昌協ㆍ昌翕ㆍ昌業ㆍ昌楫ㆍ昌立 형제의 부친으로서 문명 높은 累代 名門巨族의 일원으로 널리 인정받고 있다.   정치적 변혁과 바쁜 激務의 와중 속에서 남겨놓은 詩文이 그의 文集인《文谷集》에 전하고 있다. 《文谷集》은 叢28卷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詩는 卷1부터 卷7까지 叢1,030首가 수록되어 있다.   文谷 金壽恒의 詩는 일상생활에서 겪은 감회를 자연과 교감하면서 형상화 한 詩들과 관직에 임한 儒者로서 갖는 다짐 및 그 애환과 고충을 완화시켜 나가는 내용을 담은 詩들로 대별해볼 수 있다. 그의 시를 ‘生活의 閑情ㆍ景物의 觀照ㆍ官吏의 本分’ 등의 항목으로 나누어 분석해본 결과 다음과 같은 작시상의 특성을 찾을 수 있었다.   첫째, 金壽恒은 詩에서 自然을 描寫하되 淡淡한 筆致로 寫景에 任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華麗한 色彩感이나 纖細한 묘사에 輜重하기보다 는 오히려 淡淡하고 平凡한 어조로서 ‘先景後情’ ‘移情入景 景從情出’등의 詩作 方式을 빌어 자연을 시 속에 옮겨두고 있었다.   〈江村漫興〉에서는 강촌에서 맞은 한가로운 여유를 對偶의 妙를 잘 활용하여 水村의 겨울을 現場感 있게 묘사하고 있다. 특히 얼음 밑으로 쏟아져 내리는 물소리의 壯快함을 표현하여 시에 生氣를 불어넣고 있으며, 寫景 이후에 內面 情緖로 옮겨오는 先景後情의 방식을 취하여 겨울날의 고즈넉한 情趣를 느끼게 한다. 또한 〈五月卽事〉에서의 표현을 보면, 비 내리다 그친 오후의 정경에 작가의 생활면모가 녹아들도록 作詩하였다. 景物과 情意와 잘 어우러지도록 以景入情의 방식을 사용하여 描畵的 분위기를 創出하고 있다.   金壽恒은 이러한 시를 통해 平淡한 표현만으로 생활의 숨결을 含蓄하고 人生의 哲理를 설명하고 있으며, 말은 간결하나 뜻이 풍부하여 반복해서 음미할수록 끝없는 여운을 느끼게 하는 시문학적 특성을 보이고 있다.   둘째, 歷史的 사실이나 前代에 있었던 語句들의 활용을 통해 詩思를 이끌어가며 論理를 補完해 나가는 作詩法을 사용하였다.   〈乙未十月二十七日…〉에서 杜甫와 王勃의 故事를 빌려와서 兄弟間에 함께 한 나들이의 興趣가 倍加됨을 보이고 있다. 杜甫의 〈登?州城樓〉와 王勃의 〈?王閣序〉을 引用해 표현함으로써 勝景을 감상하면서 부모님의 정을 그리워하고 형제간의 情誼를 더욱 깊게 느껴지도록 하고 있다. 또한 〈詠盆梅〉에서도 典故를 활용해서 作詩하였다. 〈莊子〉 逍遙遊篇과 隋나라 趙師雄의 廣東省 羅浮山 梅花村에서의 故事를 引用하고 있다. 특히 이 시에서는 首尾相關하게 典故를 活用하고 있으며, 托物寓意를 적절히 펼치고 있다. 매화의 姿態를 形象化함에 있어 故事를 이끌어와 詩意를 더욱더 深化시키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遼陽客夜書懷〉에서는 荊軻의 故事, 〈初配原城 改竄朗州 自楊山轉就南路 次經曲阿韻〉에서는 屈原과 賈誼의 故事 등을 다루고 있다. 이러한 典故의 活用은 新意를 나타내기 어렵다고 단정하기보다 오히려 金壽恒 詩世界의 獨自性을 構築했다고 볼 수 있으며 아울러 詩意를 더욱 심화시키고 있다고 생각한다.   셋째, 金壽恒의 詩世界에서 顯著하게 드러나는 또 하나의 특성은 館閣風의 典型을 찾을 수 있다는 것이다. 館閣 文臣들이 使行의 任務를 띠고 조정을 떠날 때나 歸養ㆍ左遷 등의 불우한 상황에서 쓴 시들에는 文臣으로서 기본적 자세를 유지하기 위해 노력한 내용을 담고 있는 것이 많은데 金壽恒의 詩에서 이와 같은 구절은 散見된다.   冬至使의 書狀官으로 燕行길에 올라 쓴 〈?州途中〉에서 使行의 임무를 맡은 관리로서 戀君의 심정과 자식으로 객지에서 부모를 그리는 孝心을 표출하면서 독자로 하여금 客愁를 더욱 共感하게 하였다. 또한, 〈人日〉에서는 他國에서 過歲를 맞이한 異邦人의 孤獨感과 임금계신 九重 宮闕을 생각하는 儒臣의 심정이 如實히 드러나고 있다. 결국 어떤 상황에서든 忠君의 자세로 돌아가는 것이야말로 관리들이 갖는 가장 기본적 자세였던 것이다. 그리고 〈次崔內翰錫鼎見寄韻〉에서는 國政에 대한 염려로 일관된 마음을 표출하고 있다. 당시 혼란했던 정국의 一面과 정치적 風霜을 이미 겪은 작자의 모습을 언급하였으며, 나라를 위해 충성   Mun-Gok Kim Su-hang(1629~1689) is one of the most famous scholars and officials in the middle period of Choseon, who experienced political rise and fall through the faction politics. Kim Su-hang, who was born in a renowned family, was taught by Cheong-Eum Kim Sang-heon, his grandfather, and was acknowledged as one of the greatest scholars from his young days. He became a prime minister in the political crisis. In this thesis, I classified Kim Su-hang"s poetry into several categories, such as poems of sightseeing tour, mission and exile and studied on the characteristics of his poetry.   Kim Su-hang wrote poems with a serene and graceful style without brilliant rhetorical techniques and excessive emotional exposure. His poetry give readers the impression that they watch paintings in Indian ink.   He had a profound knowledge of classics, because he was a scholarofficial who once held a post of Dae-je-hak. With his broad and deep knowledge on classics, he often cited phrases from classics on his poems. From his poetry, we can find his faith in keeping the basic attitudes as a civil minister. It makes him a typical literary man of Kwan-Gak, which means a literary man who held a post of Dae-je-hak.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