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固有地名의 漢字表記에 관한 研究 - 忠清北道의 地名語를 中心으로 -

        姜秉倫 공주교육대학교 초등연구원 1992 公州敎大論叢 Vol.28 No.-

        이제까지 固有地名에 對應表記된 漢字地名을 중심으로 漢字表記의 類型과 이에 동원된 漢字의 量과 性質,韓國 固有漢字에 대하여 살펴 보았다. 위의 논의에서 얻어낸 결과# 要 約하면 아래 와 같다. 1. 固有地名의 漢字表記는 A + B 형,A + B + C 형,A + B + C + D 형, A + B + C + D + E 형 ,A + B + C + D + E + F 형 으 로 나 눌 수 있 으 나 A + B 형 , A+ B + C형이 代表的인 類型으로 분석대상 地名의 93.4%를 차지하고 있어 漢字表記 된 忠北의 地名은 거의 아 두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고 하겠다. 또 이 5개 유형을 漢字表記 方式에 따라 다시 세분하면 118개로 분류 가능하나,이 중 頻度數 10회 이상을 보이는 表 記方式은 31개에 불과하다. (1) A + B 형은 ‘訓惜 + 訓借’가 대표적인 表記方式으로 전체의 54.%에 해당된 다. 後部要素는 前接要素보다 訓借表記되는 경향이 높고,脱落이나 添加는 좀처럼 일어나 지 않고 있다. (2) A + B + C 형은 ‘音借 + 音借 + 訓借’가 가장 많고, 接頭要素와 前接要素 는 音借表記,後部要素는 訓借表記되는 경향이 높아 대표적인 형태는 ‘音借 + 音借 + 訓 借’라 하겠다. (3) A + B + C 형에서는 脱落이 대폭적으로 늘어나고 있다. A + B + C + D 형은 그 예가 얼마 안되어 一般化된 地名形態라고는 볼 수 없으며,脱落이 적극적으로 일 어나 주로 C 와 D 모두, 또는 C나 D 중 하나를 脱落시켜 결국 A + B,A + B + C형으 로 歸着된다. (4) 固有地名은 固有地名 그대로 表記하는 것이 이상적이지만,漢字表記를 해야 할 경우에는 A + B형 이나,A + B + C형으로 표기하고, A + B형의 경우는 ‘訓借 + 訓 借’,A + B + C형의 경우는 ‘音借 + 音借 + 訓借’의 方式로 표기하는 것이 固有地名의 漢字表記 傅統에도 부합되 아 바람직 하다 하겠다. 2. 固有地名 8,614개의 漢字表記에 사용된 用字는 1,268자로 이 중 첫음절에 969자, 끝음절에 592자가 나타나고 있다. 1,268자를 全國의 行政地名 用字와 비교해 보면 228자의 차이밖에 나지 않는다. 이로 미루어 볼 때 忠北의 小地名의 漢字表記에 사용된 用字가 매 우 다양함을 알 수 있다. (1) 1,268자 중에서 頻度數 1회가 392자,2회가 175자로 전체의 44.7%를 차지하고 있고,반대로 ‘洞’만이 800회 이상의 頻度를 보이고 있으며 100화 이상이 37자,10회 이상 이 344자로 전체의 27.1% 정도에 머물고 있다• 따라서 固有地名의 漢字表記에 사용된 用 字는 많은 수의 低頻度語와 극히 한정된 수의 高頻度語로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2) 30회 이상의 出現頻度를 보이는 118자 중 105자가 教育部 지정 漢字教育用基 礎漢字에 포함되어 있고,이 중 85자가 中學教用 基礎漢字 속에 들어 있어 固有地名의 漢 字表記에 동원된 高頻度 用字는 쉽고 간단하며 初歩的인 漢字임을 알 수 있다. (3) 高頻度 用字 118자를 意味範疇別로 보면 自然環境에 관한 語彙가 30개로 가 장 많고,位置別로 보면 方位 및 性狀에 관한 어휘는 주로 첫음절에서 修飾語로서 작용하 고 있으며, 自然環境이나 處所 및 建物을 뜻하는 어휘는 주로 끝음절에서 被修飾語의 위 치에 나타나고 있다. . (4) 意味 領域別로 보면 自然環境, 數木,花果 • 草,動物,天文 • 時候,數字,身 體,家族 • 人事, 方位, 器物,處所 • 建物,鑛物, 宗教 • 祭禮,姓氏,農業,動作 • 性狀 등 다 양하게 나타나고 있으며, 특히 自然環境에 관한 어휘의 頻度數가 높다. (5) 自然環境에 관한 語彙 중에서 ‘水’系 語彙보다 ‘陸地’系 語彙가 더 많이 나타 나고 있고, 頻度數에서도 100회 이상이 ‘水’系에서는 ‘川 • 水’뿐인데 ‘陸地’系에서는 ‘洞, 山,谷,岩,坪, 峯,峙,峴,石, 城,垡,基’ 등 12개의 語彙가 나타나고 있다. 이처럼 ‘陸地’系 어휘가 높은 頻度數를 나타내는 현상은 忠北地域이 바다와 접해 있지 않은 全國 唯一의 內陸道라는 점에서 원인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6) 機能面에서 보면 樹木,花果 • 草, 動物名, 天文 • 時候, 數字,家族 • 家事, 方位, 器物,鑛物,宗教 • 祭禮,姓氏,農業,動作 • 性狀에 관한 語彙는 첫음절에 주로 등장하여 修 飾語的 機能이 강한 반면 自 然環境과 身體,處所 • 建物에 관한 語窠는 끝음절에 주로 나타 나 被修飾語로 사용되고 있다. (7) 樹木과 花果 • 草에 관한 어휘 충에는 ‘松,柳, 栢,桃, 花, 竹,梅,蓮, 菊, 蘭’ 등 先 人들의 詩歌나 書畫의•소재가 되었던 어휘가 높은 빈도를 보이고 있다. 天文 • 時候에 관한 語窠 중에서도 ‘ 日 24 : 月 108, 天 21 : 地 88’로 ‘月’과 ‘地’가 i세를 보이고 있으며,動作類보다는 性狀類 語彙가 다수 출현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山水間에 묻혀 自然을 완상하던 風流나 東洋的인 隱逸性과 관련 있을 것으로 보여 先人들의 命名 觀의 일단을 짐작할 수 있게 해주고 있다. 3. 固有地名의 漢字表記에 나타난 固有漢字는 國字가 21,國音字가 7, 國義字가 14 자로 國字가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國字 중에는 ‘加隱(간), S(갈), 巨叱(것), 古音 (곰),古邑(곱),九音(금), 老隱(논),f (놀),g(돌), 斗音(둠),末應(망),앞(살), 所乙 (솔),羽音(움),所音(솜)’ 등과 같이 國語의 終聲을 표기하기 위한 노력이 엿보이고 있는 데, 上下結合보다는 左右結合미 더 많고 ‘ V終聲表記는 나타나지 않는다.

      • KCI등재

        호칭어(呼稱語) '아빠/아버지·엄마/어머니'에 대한 연구(硏究) - 초등학교(初等學校) 교과서의 부(父)·모(母) 호칭어(呼稱語) 정립을 위하여 -

        강병륜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01 어문연구(語文硏究) Vol.29 No.2

        이 論文은 初等學校 敎科書 用語로서 ‘父·母’의 바람직한 呼稱語 정립을 목적으로 집필되었다. 標準語, 同義語의 屬性과 힘겨루기, 言衆의 反應(初·中·高生의 情緖的 意味, 言衆의 使用度 및 選好度), 國民의 바람직한 言語規範 提示 등을 綜合的으로 검토할 때 初等學校 敎科書에서 사용하는 呼稱語로 ‘父‘는 ‘아버지’, ‘母’는 ‘어머니’를 원칙으로 하고 ‘엄마’를 허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한다. 初等學校 敎科書에서 사용할 父·母의 바람직한 呼稱語를 모색해 본 이 硏究는 敎科書 執筆陣, 審議陣, 敎師, 學父母에게 呼稱語 使用과 指導를 위한 資料와 根據를 제시해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종결 표현에 따른 문장 쓰기 지도 전략 설계(I) - 풀이하는 문장과 묻는 문장을 중심으로 -

        강병륜 공주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2007 초등학교교육연구 = Elementary school education research Vol.7 No.2

        이 연구는 초등학생들에게 종결 표현에 따른 최선의 문장 유형을 선택하여 글을 쓸 수 있는 능력을 길러주기 위한 전략 마련의 차원에서 진행되었다. 필자는 Dick과 Carey 의 모델을 종결어미가 문장의 유형을 결정하는 국어의 특성에 맞게 변형한 후, 이를 국 어의 풀이하는 문장과 묻는 문장의 쓰기 지도에 적용하였다. 문장 유형별 지도 전략은 (1) 표현 의도에 따른 문장 유형 인식, (2) 종결어미 선택, (3) 마침표 선택, (4) 종결어미와 마침표를 사용하여 문장 유형 인식, (5) 유형별 문장 작 성, (6) 최선의 문장 유형을 선택하여 글쓰기의 6단계로 설계하였다. 이 글에서 제시된 전략에 따라 학생들이 국어의 풀이하는 문장과 묻는 문장 쓰기를 학습한다면 종결어미에 의한 문장 완성 방법, 마침표에 의한 문장 종결 방법을 배워 풀 이하는 문장과 묻는 문장을 완벽하게 쓸 수 있을 것이며, 표현 의도를 효과적으로 전달 하기 위한 최선의 문장 유형을 선택하여 글을 쓸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ake a good strategy for grade school�ers to make choice of best sentence type depending on mood and thereby build their ability to put something in writing. In this study, the Dick and Carey model was modified to comply with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language in which sentence type depends upon closing ending. Then, the modified model was applied to instructions in the writing of Korean declar�ative sentence and interrogative sentence. The strategy for instruction in each sentence type was designed into the following 6 steps: (1) recognizing sentence types depending on the intention of expression, (2) selecting closing ending, (3) selecting punctuation, (4) rec�ognizing sentence types using closing ending and punctuation, (5) preparing sentences for each type, and (6) selecting best sentence type. Based on the instruction strategy suggested herein, it is expected that learning sentence writing depending on mood will lead to learning how to complete a sentence using closing ending and how to end a sentence using punctuation, so that our students will be able to write declarative and in�terrogative sentences perfectly, and make choices of best sentence type for effective communications of expression intents before writing.

      • KCI등재
      • 시간 표현에 따른 문장 쓰기 지도 전략 설계

        강병륜 공주교육대학교 초등연구원 2008 公州敎大論叢 Vol.45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ake a good strategy for grade schoolers to make choice of best sentence type depending on tense expression and thereby build their ability to put something in writing. In this study, The strategy for instruction in each tense expression type was designed to comply with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language in which tense depends upon time adverbial and tense prefittnal ending. Then, the strategy was applied to instructions in the writing sentence of past tense, sentence of present tense, sentence of future tense. The strategy for instruction in each tense expression type was designed into the following 6 steps: (1) recognizing tense type, (2) selecting time adverbial, (3) selecting tense prefinal ending, (4) recognizing tense expression types using time adverbial and tense prefinal ending, (5) writing sentences for each tense expression type, and (6) selecting best tense expression type. 이 연구는 초등학생에게 시간 표현에 따른 최선의 문장을 선택하여 글을 쓸 수 있는 능력을 길러주기 위한 지도 전략 마련의 차원에서 진행되었다. 필자는 시간을 표현하는 말과 시간 표현을 위한 어미가 호응을 이루면서 시간 표현을 결정하는 국어의 특성에 맞게 지도 전략을 설계한 후, 이를 국어의 과거를 표현하는 문장, 현재를 표현하는 문장, 미래를 표현하는 문장의 쓰기 지도에 적용하였다. 시간 표현을 위한 문장 유형별 지도 전략은 (1)시간을 표현하는 문장 유형 인식, (2)시간을 표현하는 말 선택, (3)시간 표현을 위한 어미 선택, (4)시간을 표현하는 말과 어미를 사용하여 시간을 표현하는 문장 인식, (5)시간을 표현하는 문장 작성, (6)시간을 표현하는 최선의 문장을 선택하여 글쓰기의 6단계로 설계하였다.

      • 忠淸南道의 言語地理(II) - 農業 語彙를 중심으로 -

        姜秉倫 공주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2006 초등학교교육연구 = Elementary school education research Vol.6 No.1

        In this study, Chungnam province's dialect type distribution in terms of ag�ricultural vocabularies was prepared in total 19 pieces of linguistic atlas. Then this study examined lexical variations in Chungnam province in comparison with neighboring Gyeonggi, Chungbuk and Jeonbuk province respectively.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outlined as follows: In terms of agricultural vocabularies, Chungnam dialect shows a compli�cated mixture of nationwide all directional dialects, rather than certain in�dependent linguistic distribution. In more details, it shows the following two dialect aspects: One refers to an isoglosses that divides Chungnam into eastern and western part under the influence of eastern dialect, while the other refers to another isoglosses that divides Chungnam into northern and southern part under the influence of northern and southern dialect. However, the former isoglosses is lopsided eastward in Chungnam because of slight westward advance of eastern dialect, and in view of dialect type distribution, it is noted that east-west distinguishing dialect vocabularies are comparable in number to north-south ones. Geumsan-gun dialect deserves special attentions in the linguistic geography of Chungnam province. Geumsan dialect is notable in that it shows an in�dependent dialect type contrary to dialect in other districts of Chungnam province. It is also estimated that Geumsan dialect is possibly under influ�ence of Jeonbuk or Chungbuk dialect rather than Chungnam dialect. 이 硏究에서 筆者는 農業 語彙를 대상으로 忠淸南道 方言의 分布를 19매의 言語地圖 로 작성한 다음 語彙論的 變異를 고찰하였다. 農業 語彙를 대상으로 볼 때 忠淸南道 方言은 우리 나라의 東部方言과 西部方言, 南 部方言과 北部方言아 혼재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즉 東部方言의 세력이 忠淸南道에 까지 뻗쳐 忠淸南道를 東西로 나누는 等語線과 北部方言 세력과 南部方言 세력이 忠淸 南道에서 만나 忠淸南道를 南北으로 나누는 等語線의 두 양상이 나타나고 있다. 그러 나 東部方言의 西進 정도는 미미하여 忠淸南道를 東西로 나누는 等語線은 동쪽으로 치 우쳐 있다. 方言形의 분포로 볼 때 忠淸南道를 東西로 나누는 語彙와 南北으로 나누는 語棄의 수는 비슷하다. 忠淸南道 言語地理에서 특이한 존재는 금산군 방언이다. 금산 방언은 忠淸南道의 다른 지역 方言과 달리 독자적인 方言形을 보이고 있어 주목된다. 금산군 방언은 忠淸南道 方 言의 영향보다는 全羅北道나 忠淸北道 方言의 영향 아래 놓여 있는 것으로 보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