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후기중세국어 용언 어간의 성조와 기저형 설정

        유필재 서울대학교 어학연구소 2003 語學硏究 Vol.39 No.1

        In this paper, I would like to explore the correlations between segment and accent type in Middle Korean. Based on the correlations, the underlying form of verbs which has imperfect paradigm can be set up. In Middle Korean one syllble verbs fall into 6 classes by accentual pattern. Class L, H, R show only one allomorph whose pitch is low, high, and low-high. Class L! show accentual pattern LLX(‘L' means low pitch, ‘X' is variables) when it is followed by binding vowel ∧/ш. Class R! verbs alternate R('R' means low-high pitch) before consonant and L before vowel. Class H! alternate L and H('H' means high pitch) according to the following endings. The correlations between segment and accent are as follows. If the initial consonant of the verbs were aspirated, glotalized, or consonant cluster, the verb would belong to Class R When the stem final consonant is voiceless, the verb belong to Class L or Class R, but the stem final consonant is h, β(ㅸ), z(△), t/r, the verb belong to Class R! or L!. Other irregular verbs which has segmental structure ‘X m, z, r + ∧/ш-' are all atonic. They are usually two syllable verbs. From these correlations, we can infer underyling form of some verbs which have imperfect paradigm. For example ‘muz-'{piles up} can be set up from the inflectiong form ‘muzш mj∂ LHH’. If underlying form were ‘muzш-', the accentual pattern would be ‘LLH'. This method can be applied to so called t-irregular verbs. Underyling form of {marry} would be ‘∂t/∂r-' not '∂r-' because it has inflecting form '∂r шni LLH'.

      • KCI등재후보

        '말다(勿)' 동사의 음운론과 형태론

        유필재 국어학회 2004 국어학 Vol.0 No.43

        현대국어에서 {勿}을 뜻하는 동사 어간 '말:-'의 명령법 활용형은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하라체의 '마라, 말아라, 말어라', 해체의 '마, 말아, 말어', 그리고 해요체의 '마요, 말아요, 말어요'. 이 중 '마라, 마, 마요'는 현대국어의 형태음운론적 규칙으로는 설명되지 않는다. 이들은 이전 시기의 활용형이 화석형으로 남아서 계승된 '마라'와 이를 기반으로 형성된 활용형들이기 때문이다. 또 '말:-'이 포함된 관용구는 이전 시기 국어의 음운규칙을 흔적으로 가지고 있고 현재 일어나고 있는 개신의 흐름에도 참여하지 않는다. There are some phonological idiosyncracies to be found in the shapes of verb `mal-{don't}' in Modem Korean. In plain style, imperative forms of `mal-' are `mara, ma, majo', which cannot be explained by synchronic rules. `mara' is a relic form of the past and `ma, majo' are derived from `mara'. There are many idiomatic expressions which include In these idiomatic expressions, `mal-' shows conservative forms and is not affected by innovation.

      • KCI등재

        중세국어 평성, 상성 변동 명사와 관련 제약

        유필재 서울대학교 언어교육원 2014 語學硏究 Vol.50 No.3

        The incorporation of the nominative particle -i and copula -i- into a low-pitched syllable of nouns produces a rising tone in the Middle Korean. The volitive -o/u- and adverbative suffix -i also cause the same morphophonemic change. The rising tone is the result of contraction of an even tone and a departing tone. There are two conditions for the rising tone by contraction. First, even tone must be linked to syllabic in the contraction. In addition, if the noun had a departing tone within a word, this morphophonemic change would not occur. However, compound is the exception for the second condition. Compound is same with phrase in terms of tonal changes in the Middle Korean. This condition suggest that only first high-pitched syllable is distinctive in Middle Korean.

      • KCI등재후보

        서울방언과 국어사 연구

        유필재 한국방언학회 2009 방언학 Vol.0 No.10

        In this article, I would like to examine the phonological and grammatical aspects of Seoul Korean from the viewpoint of history of Korean. The distinction between /e/ and /ɛ/ has been lost in Seoul Korean. The diphthong /ɨi/ is a spelling pronunciation. In Korean, the vowel in the ending must agree with the last vowel in the stem. When ‘o’ is the last vowel in the stem, the vowel in the ending should be ‘a’, otherwise it is ‘ə’. In noun, the aspirates and glottalized consonants of stem final positon have merged with the homogarnic lax ones and the dental affricates and fricatives all are changing to the dental fricative ‘s’. ‘t, p, lɨ’ irregular verbs have changed their stem shapes. There is no verb stem which ends ‘ə’ in Seoul Korean. The peculiarities in the morphophonemic behavior of ‘l’ has disappeared. Little is known about the alternation of ending ‘-ɨo, -so’ in Seoul Korean and common Korean. 국어사 자료에 반영된 언어는 해당 시기의 서울방언 혹은 공통어일 것이므로 국어사 연구에서 현대국어 역시 현대서울방언으로 이해된다. 본고에서는 이런 관점에서 현대 서울방언의 음운, 문법적 특징을 검토하였다. 음운적 특징으로는 單母音 ‘e’와 ‘ɛ’가 합류된 점, 이증모음 ‘ㅢ’가 單母音化한 점을 들 수 있다. 모음조화와 관련하여 어간 모음 ‘ㅏ’만이 ‘아’계 어미를 취한다는 큰 틀 아래 ㅂ불규칙용언이 독자적인 하위부류를 이룬다. 체언 어간말 자음체계는 음절말 자음체계와의 차이를 없애는 방향으로 변화하고 있는데 이는 근대국어 시기부터 시작된 것이다. 이전 시기의 ‘ㄷ, ㅂ, 르’ 불규칙용언들은 대부분 어간 형태의 변화를 겪었다. 모음 ‘ㅓ’ 어간은 없어졌다. 또 ‘ㄹ’ 어간은 다른 자음 어간과 같은 활용 패러다임을 가지게 되었다. 하오체 어미 ‘-(으)오, -소’는 현재 공시적 기술이 분명히 되어 있지 않아 통시적 연구에 영향을 주고 있다.

      • KCI등재

        함경남도 北靑방언 名詞 악센트 자료

        유필재 한국방언학회 2020 방언학 Vol.0 No.31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troduce Pukcheng(北靑) Korean recordings and to present some examples of nouns concerning pitch accent. The recordings were originally recorded on tape for Ramsey(1978). For the recordings, two principal informants were interviewed. One is a grandmother born in 1894, and the other is a middle-aged man who is a novelist and professor born in 1919. Most of the data from the grandmother are in the form of stories. The paradigms are usually checked directly with the middle-aged man. Some words in the recordings are not dealt with in Ramsey(1978). Among them, only nouns are presented in this paper. The accent is marked with H(igh) in this paper such as ‘kamakwi LLH (crow)’. 본고에서는 Ramsey(1978)에 이용된 함경남도 北靑방언 조사 테이프의 내용을 소개하고 녹음 내용을 검토하여 Ramsey(1978)에서 다루지 못한 명사들의 악센트를 제시하였다. Ramsey(1978)에서는 함경남도 北靑방언을 대상으로 하여 분절음과 관련된 음운현상과 音調 악센트를 역사적인 관점에서 설명하였다. 이 北靑방언 조사를 기록한 녹음 테이프가 현재도 이용할 수 있는 상태로 보존되어 있었다. 이 연구에서는 이 조사 녹음 테이프의 내용을 악센트의 관점에서 정리하여 소개하였다. 실제로는 조사되고 녹음되었지만 Ramsey(1978)에는 실리지 못한 항목 중 명사만을 모아서 해당 명사와 그 악센트를 제시하였다. 명사는 음절수별로 분류하였고 대명사, 수사, 그리고 윷놀이와 관련된 명사는 따로 모아서 제시하였다. 대명사는 조사 결합형에서 音調의 변동이 다양하며 수사, 윷놀이 관련 명사는 독립적으로 계열을 이루기 때문이다.

      • KCI등재

        ≪小學諺解≫의 傍點 표기와 성조

        유필재 진단학회 2020 진단학보 Vol.- No.134

        이 논문에서는 ≪小學諺解≫(1588)의 傍點 표기 양상을 검토하고 이를 통해 16세기말 국어 성조 체계의 一端을 살펴보았다. 다른 16세기 간행 한글문헌처럼 ≪소학언해≫에서도 거성과 상성의 混用이 보인다. 이는 상성의 변화를 보여주는 것으로 생각된다. 어간 성조는 대명사, 1음절 명사, 1음절 용언을 조사하였는데 어간 성조는 15세기와 비교하여 큰 변화가 없었다. 다만 1음절 모음 어간 중 고정적 상성 어간을 가진 것들이 유동적 상성으로 변화된 경우가 있다. 한편 어미 성조에는 몇 가지 변화가 있었다. ‘-오/우-’와 관련된 성조 교체는 거의 없어졌다. ‘-오/우-’ 형태 자체가 소멸 과정에 있었으므로 이에 따른 변화로 생각된다. ‘-으시-’의 ‘으’는 일반적인 매개모음과 교체 양상이 달랐는데 이러한 차이가 일부 없어졌다. ‘-거시-’의 성조도 ‘-거-’와 달랐는데 이러한 ‘-거시-’의 특징도 없어졌다. ‘-ᄂᆞ-’는 관형사형에서는 변화를 보이지만 종결형과 연결형에서는 그렇지 않다. 명사와 관련된 교체 중 평성 명사의 상성 변동은 조사 ‘-이’의 경우만 유지되고 계사 ‘-이-’에서는 없어졌다. 음성규칙인 율동규칙은 이미 거의 소멸되었다. 중세국어 성조 자료로 ≪소학언해≫를 이용할 때에는 이상의 특징을 고려해야 한다. Vernacular exegesis of the “Lesser Learning”(Sohak eonhae 小學諺解) is the one of the last materials that shows the characteristics of the Middle Korean stage. Pitches are recorded in this material just like the other Middle Korean texts. The transcription of pitches in this text is relatively consistent, but some perturbation in the system began to seen. The departing tone and rising tone were confused in this text. There is almost no regularity in the rhythmic rules. Morphophonemic rules about prefinal endings ‘–eusi-(-으시-), -keosi-(-거시-)’, and ‘–o/u-(-오/우-)’ were different from fifteenth century. However, this text reflect fifteenth century tonal distinctions fairly faithfully about noun and verb stem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