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어와 미얀마어의 착용동사 대조 연구 - 끼다, 입다, 신다, 쓰다 -

        ( Su Pyae Sone Win ) 연세대학교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2020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Vol.59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trast the meanings and usages between Korean and Myanmar verbs on wearing. Korean and Myanmar verbs on wearing are not related to each other and in additi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verbs on wearing of these two languages is that Korean verbs on wearing depend on the body parts which are worn and Myanmar verbs on wearing depend on the actions to wear. As result, Myanmar learners who learn Korean are often confused about the verbs on wearing of these two languages and they become difficult to understand Korean verbs on wearing. Therefore, a contrastive study of verbs on wearing which are frequently made mistakes will be required. Based on the contrastive study, this paper elucidates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languages and the usual mistakes made by Myanmar learners in using these verbs. Through this study, this paper will subscribe teaching method of Korean verbs on wearing so as to be properly used these verbs. This paper hopes to help Korean and Myanmar Language learners learn the verbs on wearing and use these verbs in real life appropriately. (Mandalay University of Foreign Languages)

      • KCI등재

        한국어 ‘먹다’와 미얀마어 ‘စားသည္[sa: ti]’의 의미 대조 연구

        쑥삐에손윈(Su Pyae Sone Win),김낭예(Kim Nang-ye) 한글학회 2021 한글 Vol.- No.331

        이 연구는 한국어 ‘먹다’와 미얀마어 ‘စားသည္[sa: ti]’의 의미를 대조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먹다’와 ‘စားသည္[sa: ti]’의 사전적 의미 및 의미 확장 양상을 대조하여 이들의 의미 확장 경로를 살펴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먹다’와 ‘စားသည္[sa: ti]’의 다양한 의미를 대조하여 의미가 서로 일치하는 유형, 부분적으로 일치하는 유형, 불일치하는 유형으로 구분하여 정리한 결과 ‘일치’ 3개, ‘부분 일치’ 2개, ‘불일치’ 20개로 나타났다. ‘먹다’와 ‘စားသည္[sa: ti]’는 ‘음식 따위를 입을 통하여 뱃속으로 들여보내다’의 원형의미에서 공기하는 대상물이 ‘고체’인 경우에만 일대일로 대응되었고, 대상물이 ‘액체’인 경우에는 다른 양상을 보였다. 그리고 행위자가 인간이 아닌 동물인 경우에도 적용하여 쓸 수 있다는 점이 유사하였다. 이외에 논항이 음식이 아니어도 ‘뇌물, 돈’ 등의 금전과 관련된 표현들과 함께 사용되어 ‘받아들이다’의 의미를 가질 때 ‘먹다’와 ‘စားသည္[sa: ti]’의 의미가 서로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한국어 ‘먹다’는 앞의 동사가 나타내는 행위를 낮추거나 얕잡아 보는 뜻을 담아 강조하는 보조동사로 쓰인다는 점에서도 차이가 나타났다. 이러한 본고의 대조 결과는 미얀마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다의어 ‘먹다’ 교육에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contrasts the lexical meanings of “meok-da” in Korean and “sa: ti” in Burmese, meaning extensions, and meaning extension routes. The meanings of “meok-da” and “sa: ti”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whether they fully, partially, or did not match each other semantically. There were three types of matched meanings, two types of partially matched meanings, and 20 types of unmatched meanings. “meok-da” and “sa: ti” have the same basic meaning of “allowing food into the stomach through the mouth” when the food in question is solid, but the meanings differed when the food is liquid. They were also similar in that they could both be used even when a doer was an animal, not a human, and when used in monetary expressions, such as those having to do with bribery, they both mean “to accept.” However, they differed in that the Korean verb “meok-da” is used as an auxiliary particle to emphasize the meaning of lowering or undermining the action expressed by the preceding verb.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to improve polysemous “meok-da” education for Korean language learners in Myanma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