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동아시아 성인의 세계시민의식 관련 요인 분석 : 사회자본, 위협인식, 정보매체활용을 중심으로

        정성경(Jeong, Seongkyeong),이유라(Lee, Yura),박환보(Park, Hwanbo) 한국국제이해교육학회 2021 국제이해교육연구 Vol.16 No.3

        본 연구는 한국, 중국, 일본 성인의 세계시민의식 관련 요인 특성을 밝히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비교 분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본 연구는 분석을 위해 세계가치관조사 7차 조사의 한국, 중국, 일본 데이터를 활용하여 사회자본, 위협인식, 정보매체활용이라는 세 가지 차원에서 살펴보았다. 분석방법은 중다회귀분석을 적용하였다. 주요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인의 세계시민의식은 중국, 일본, 한국의 순서대로 높게 나타났으며, 성인의 세계시민의식에 미치는 영향요인은 국가별로 다르게 나타났다. 이는 같은 동아시아 지역이더라도 성인의 세계시민의식 형성에 있어서 맥락 요인이 각기 다르게 작용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둘째, 중국과 일본에서는 이민자, 외국인에 대한 단순한 접촉은 부정적 영향을, 외국인에 대한 신뢰는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중국과 일본 성인의 세계시민의식을 높이기 위해서 이민자를 단순히 이해하는 것을 넘어서 신뢰와 공감을 끌어내는 교육적 기제가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셋째, 한국에서는 소속감의 위계에 따라 세계시민의식에 미치는 영향이 상이하였으며, 한국 성인의 세계시민의식을 향상하기 위해서는 세계 소속감을 교육 활동과 프로그램에 적극 활용할 필요가 있다. 넷째, 한국과 중국에서는 사회안전인식과 고용불안이라는 위협인식이 세계시민의식에 아무런 통계적 유의성을 보이지 않았으며, 일본에서는 사회안전인식이 높을수록 고용불안이 앉을수록 세계시민의식이 높았다. 이는 일본 성인은 이민자 수용의 문제를 국가나 사회적 상황과 구조의 문제로 인식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모든 국가에서 정보매체활용이 통계적 유의성을 보였으며, 이는 세 나라 모두 어떤 정보매체를 활용하느냐에 따라 이민자 태도가 달라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 This paper puts an in-depth study on identifying the characteristics of factors related to global citizenship in adults from South Korea, China, and Japan and analyzing the elements affecting them. For this purpose, data from the 7th World Value Survey which was undertaken in South Korea, China, and Japan were used, and they were examined with three different perspectives of social capital, threat recognition, and information media utilization to get to know the influence of variables from various aspects. Multiple regression was applied for this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the global citizenship of adults was high in the order of China, Japan, and South Korea, and the factors influencing global citizenship depend on the country. This implies that contextual factors are acting differently in the formation of the global citizenship of adults even they are from the same East Asian region. Secondly, simple contact with immigrants and foreigners in China and Japan has negative effects while having a positive effect on trust in foreigners. This suggests that an educational mechanism is required to raise trust and empathy beyond understanding immigrants simply to foster global citizenship among Chinese and Japanese adults. Thirdly, depending on the hierarchy of the sense of belonging, the impact on global citizenship was different in South Korea. Educational activities and programs should be implemented to establish the sense of global citizenship of adults in South Korea. Fourthly, the treat perception of social safety and employment insecurity in South Korea and China did not have statistical significance to global citizenship. While the higher the social safety perception the heavier the employment insecurity, adults in Japan had higher global citizenship awareness. This implies that Japanese adults perceive the problems of immigration as a matter of national or social situation and structure. Finally, the utilization of information media in all countries revealed statistical significance, which means that attitude for immigrants would vary depending on which information medica is used from those three countries.

      • KCI등재

        세대별 성인의 세계시민의식 관련 요인 분석: 사회자본과 위협인식을 중심으로

        정성경(Seongkyeong Jeong),박환보(Hwanbo Park) 한국교육사회학회 2021 교육사회학연구 Vol.31 No.4

        본 연구는 성인의 세계시민의식 영향요인을 사회자본과 위협인식이라는 두 가지 차원에서 살펴보고 세대별로 어떻게 다르게 나타나는지 탐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분석자료로 한국인의 가치관·의식 조사 2019 데이터를 활용하였으며, 영향요인을 확인하기 위해서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년층, 장년층, 노년층의 세계시민의식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평균 차이가 없었으나, 세계시민의식의 영향요인은 세대별로 상이하였다. 둘째, 개인특성요인으로 대도시 거주는 모든 세대의 성인의 세계시민의식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자본 차원에서 외국인 신뢰는 모든 세대의 성인의 세계시민의식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나 나타났다. 셋째, 위협인식은 장년층에서 경제적 양극화 인식이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장년층의 시민참여는 세계시민의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교육수준에서는 통계적 유의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최근 성인 단계에서 시민의식이나 세계시민의식을 개선하거나 향상하기 위해서는 형식교육보다 평생교육체제에서의 비형식 또는 무형식 학습을 통한 개입이 필요하며, 이를 위한 성인 대상 세계시민교육 프로그램을 개발에서 세대별의 특성이 고려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또한 단순한 국제 이해나 다문화 이해를 넘어서서 외국인이나 이민자에 대한 사회적 공감을 기를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에 외국인 신뢰를 형성하는 교육활동과 경험이 설계될 필요가 있다. This paper analyzed the factors influencing adults’ global citizenship by a generation with two perspectives of social capital and threat perception. Data from the Korean Value and Consciousness Survey 2019 were used for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was applied to investigate the influencing factor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average global citizenship of adults by generation but the influencing factors of global citizenship were varied by generation. Second, residing in large cities had a negative effect on global citizenship in all generations regarding personal background features. Besides, the trust in foreigners in all generations played a role as a key influence variable on global citizenship in terms of social capital. Third, the threat perception had a negative effect on the awareness of economic polarization from the elderly. In addition, the citizen participation of the elderly had a positive effect on global citizenship. On the other hand,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at the education level. This implies that informal learning in the lifelong ongoing education would be necessary rather than formal education to foster citizenship or global citizenship in the adult stage. It also suggests that the characteristics of each generation should be considered in designing programs for fostering the global citizenship of adults. Furthermore, educational activities and experiences that could help in the formation of trust in foreigners should be designed in educational programs for fostering social sympathy for foreigners or immigrants beyond simple understanding for international or multicultural traits.

      • KCI등재

        이주배경 청소년의 문해역량 관련 개인 및 학교요인 탐색

        정성경(Seongkyeong Jeong),박환보(Hwanbo Park) 한국비교교육학회 2023 比較敎育硏究 Vol.33 No.1

        [연구목적] 본 연구는 이주배경 청소년의 문해역량 요인을 개인과 학교수준에서 탐색하는 데에 있다. 분석결과를 통해 이주배경 청소년의 문해역량 향상을 위해 학교교육 차원에서 어떠한 교육적 개입이 중요한지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분석을 위해 PISA 2018 참여국 33개 지역의 46,580명의 이주배경 청소년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문해역량과 관련이 있는 이주배경 청소년의 개인수준 및 학교수준 요인을 탐색하기 위해 분석방법으로 3수준 위계적 선형모델을 적용하였다. [연구결과] 본 연구의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학교풍토로서 이민자 태도가 긍정적으로 형성되고 협력적 풍토가 높은 학교에서 이주배경 청소년은 높은 문해역량을 보였다. 학교수준 요인으로는 농촌지역에 위치하며, 학교 ESCS가 낮고, 이주배경 청소년 비율이 높은 학교에 재학하는 이주배경 청소년의 문해역량은 낮은 경향을 보였다. 남학생보다 여학생의 문해역량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경제문화적 배경이 낮은 집단의 문해역량이 낮은 경향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읽기효능감이 높고, 자신에게 교사의 학습지원이 있다고 인식하는 청소년의 문해역량이 높았다. [결론] 이주배경 청소년에게 문해역량을 학습하고 활용하는 행위는 자신을 억압하는 거주 사회의 문화자본을 습득하는 동시에 해방을 위한 투쟁적 도구를 얻는 모순적 행위로 이해할 수 있다. 이에 학교교육은 이주배경 청소년의 문해역량을 증진하기 위한 다양한 지원정책을 펼쳐야 할 책무성을 갖는다. 본 연구는 이주배경 청소년의 문해역량 향상을 위한 정책의 대상과 영역에 있어서 고려해야 할 특성을 밝혀냈다. 이주배경 청소년의 문해역량 향상을 위해 학교 내 비이주배경 청소년들은 이민자에 대한 권리를 긍정적으로 인식하게 하고, 또래들끼리 협력적인 학교 풍토를 조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factors related to the literacy competency of immigrant students. Through the analysis results, this study attempts to identify the acquisition mechanism literacy competencies of immigrant students and discuss specific educational interventions and policy support directions. [Methods]This study analyzed the data from 33 countries participating in OECD PISA 2018 and targeted 46,580 students. Also, the hierarchical linear model has been used as an analysis method to explore factors at both individual and school levels related to the literacy competency of immigrant students. [Results] The primary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As a factor of the school level, adolescents with immigrant backgrounds show higher literacy capabilities in a school that has a positive immigrant attitude and a highly cooperative climate. And the literacy capacity of adolescents with migrant backgrounds tends to be lower in schools located in rural areas, in schools with low school ESCS, and in schools with a high proportion of adolescents from migrant backgrounds. Female students were found to have higher literacy than male students. Groups with low socio-economic and cultural backgrounds tended to have low literacy. The adolescents who have high reading efficacy and consciously have teacher’s learning support have high literacy ability. [Conclusion] The state and schools are responsible for implementing various support policies to improve the literacy skills of immigrant students. In terms of the subject and area of active policies to improve the literacy of immigrant adolescents, the low socioeconomic background of boys and families, the first generation of adolescents, and the low socioeconomic background and rural schools should be considered as school characteristics. To support the literacy competencies of immigrant students, non-immigrant students need to form a positive attitude toward immigrants.

      • KCI등재

        교사의 세계시민교육 실천 관련 요인 분석

        정성경(Jeong, Seongkyeong),기한솔(Ki, Hansol),박환보(Park, Hwanbo) 한국국제이해교육학회 2021 국제이해교육연구 Vol.16 No.2

        본 연구는 세계시민교육 실천가인 교사가 학교에서 세계시민교육을 이행하는 데에 어떤 요인이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고자 하였다. 분석을 위해 PISA 2018 글로벌 역량 조사에서 한국 교사 데이터를 활용하였으며,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교사의 개인적 특성에서 연령, 국어, 사회, 외국어 교과 담당 그리고 유학을 포함한 해외 경험이 있는 경우 세계시민교육 실천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한편, 과학 교과에서는 세계시민교육 실천이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예비교사 및 현직교사의 세계시민교육 연수, 자격과정, 훈련 경험은 세계시민교육 실천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다문화 교수 효능감도 교사의 세계시민교육 실천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그리고 교내 풍토로서 교사 공동체 안에서 세계시민교육의 중요성 담론 형성은 교사의 세계시민교육 실천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이와 같은 분석결과를 통해 얻은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교사의 세계시민교육 실천을 촉진하기 위해서 현직교사 대상 연수 참여를 독려하는 교육적 지원이 필요하며, 동시에 아직 미비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예비교사 연수 체계에 대한 지속적인 확대가 있어야 한다. 담당교과목에 따라 세계시민교육 실천에 어려움이 있으므로, 과학 교과에서의 세계시민교육 실천 가이드와 사례 등 개발이 필요하다. 또한 교사의 세계시민교육 의식의 향상보다 세계시민교육 교수효능감과 교사 공동체에서 세계시민교육의 중요성 담론 형성이 교사의 실천으로 이어지는 데에 더욱 효과적이므로 이러한 요소는 교사 연수와 프로그램에 적극적으로 활용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factors influence teachers’ practice such as teaching global competency and global issues which are part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within school curriculum. For analysis, this study conducted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utilizing PISA 2018 data. The results showed that teacher’s personal characteristics such as age, Literature, Social studies, Modern language subjects, studying abroad, teaching in multicultural environments have a positive impact on implementation of GCED including global competency and issues in lessons. Meanwhile, Science subject had a negative impact on implementation including only global competency in lessons. Also, teacher’s experience such as pre-service and in-service education related in communicating with people from different cultures, teaching about equity and diversity had a positive impact on implementation including global competency and issues in lessons. It showed that sharing opinions about importance of GCED in In teacher community has a great positive impact on implementation including global competency and issues in lessons.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practice of GCED, it is necessary to encourage teachers to participate in education and training for pre-teachers and at the same time, there should be a continuous expansion of the preliminary teacher training system. It is important to develop guidelines or materials for implementing GCED in science subjects. And formation of discourse on the importance of GCED among the teacher communities are more effective. In addition, these affecting factors results figured out need to be used for teacher education and training for settling of GCED in school.

      • KCI등재

        캄보디아 도농 간 교육격차 실태 분석 연구

        정성경(Seongkyeong, Jeong),박환보(Hwanbo, Park) 한국비교교육학회 2021 比較敎育硏究 Vol.31 No.1

        [연구목적] 이 연구는 한국의 교육분야 중점협력국가인 캄보디아의 도농 간 중등교육 격차 실태를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향후 도농 간 교육 격차 해소를 위해 필요한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OECD의 PISA-D 자료를 활용해서 캄보디아 도농 간 교육격차 실태를 교육여건, 교육활동, 교육결과의 체제적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도시와 농촌의 교육격차를 실증적으로 확인하기 위해 기술통계와 독립 t검정을 실시하였으며 결과 해석에 관련 논문과 문헌 고찰을 통해 뒷받침하였다. [연구결과] 분석결과에 따르면 캄보디아 중등교육에서 도농 간의 격차는 학교의 주요 교육시설 중 특별시설과, ICT 관련 시설, 교원의 교육수준과 역량개발 참여, 엄격한 수업의 분위기, 자녀-부모와의 대화와 식사 시간, 가사 및 노동 참여, 학업성취도까지 교육의 전 과정에 걸쳐 나타나고 있으며, 도시보다 농촌의 교육여건과 환경이 전반적으로 낮은 수준에 머물고 있다. [결론] 캄보디아 중등학교에서 도시와 농촌 간의 교육격차가 발생하고 있다. 상대적으로 교육적 여건과 기회가 낮은 농촌 지역의 교육여건 개선과 학생의 다양한 교육과정 경험을 지원하기 위한 노력이 시급하다. 한편, 캄보디아의 교육시설과 교육경험의 차이는 결과의 격차로 이어질 개연성이 높으므로 캄보디아 학생 학업성취도와의 인과를 심도있게 다뤄야 할 필요가 있다. [Purpose]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actual state of the secondary education gap between urban and rural areas in Cambodia for cooperation country in Korea s education sector, and to derive necessary implications for solving the education gap between urban and rural areas in the future. [Methods]Using the OECD s PISA-D data, the actual state of education gap between urban and rural in Cambodia was analyzed from the systematic perspective of educational conditions, educational activities, and educational outcomes. Descriptive statistics and independent t-test were conducted to empirically confirm the educational gap between urban and rural areas, and the interpretation of the results was supported through a review of related papers and literature. [Result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analysis, the gap between urban and rural secondary education in Cambodia is related to special facilities among major educational facilities of schools, ICT-related facilities, teachers participation in educational level and competency development, strict class atmosphere, dialogue between children and parents. And mealtimes, participation in housework and labor, and academic achievement are appearing throughout the entire education process, and the educational conditions and environments in rural areas are generally lower than in urban areas. [Conclusion] There is an educational gap between urban and rural areas in Cambodia s secondary schools. Efforts are urgently needed to improve educational conditions in rural areas where educational conditions and opportunities are relatively low and to support students diverse curriculum experiences. On the other hand, the difference between educational facilities and educational experience in Cambodia is highly likely to lead to a gap in results, so it is necessary to deal with Cambodian students academic performance in depth.

      • KCI등재

        개발도상국의 학교에서 노동시장으로의 이행실태 및 이행결과 관련 요인 탐색 연구

        정성경(Seongkyeong, Jeong),박환보(Hwanbo, Park) 한국비교교육학회 2020 比較敎育硏究 Vol.30 No.1

        [연구목적] 본 연구는 개발도상국의 학교에서 노동시장으로의 이행실태를 파악하고, 개발도상국 청년의 학교에서 노동시장으로의 이행결과와 관련된 요인을 탐색하고, 영향력을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국제노동기구의 학교에서 노동시장 조사(ILO-SWTS)를 활용하여 한국 중점협력국인 네팔, 방글라데시, 베트남, 캄보디아, 우간다, 탄자니아를 분석대상 국가로 선정하였고, 분석방법은 기술통계, 랜덤포레스트,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개도국의 청년들은 짧은 시간 안에 노동시장에 배치되며, 외부요인으로 인해 학업을 지속하지 못하고, 원치 않는 시기에 노동시장으로 유입되고 있다. 일과학습을 병행하는 학생의 높은 비율이 캄보디아와 우간다에서 특히 두드러졌다. 개도국 청년 근로자는 현재 본인의 직무와 교육수준이 불일치한다고 인식하며, 네팔, 방글라데시, 캄보디아, 우간다, 탄자니아에서 교육미달 응답비율이 높았다. 직업지위 중요변수로 성별, 거주지, 본인의 최종학력, 부모의 직업지위·최종학력, 가업 참여, 사회적 연결망이 중요 변수로 탐색되었고, 다중회귀분석 결과, 개도국 청년 직업지위에 본인의 최종학력. 부모의 직업지위가 양적 영향을, 가업 참여는 부적인 영향을 미쳤다. [결론] 개도국 청년의 노동시장 이행의 양상은 졸업 이후 노동시장 이행이라는 단선형 과정으로 이해하기보다는 경제적 여건 혹은 일을 하기 위해 학업 중도포기 상황을 충분히 고려해야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학력은 개도국에서 사회경제적으로 성공하기 위한 결정적 요인으로 작용한다. 또한 개도국 청년은 보다 사회경제적으로 더 높은 위치를 획득하기 위해서 부모의 가업을 물려받지 않아야 한다는 특수한 상황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Purpose] This study identified the status of school to work transition in developing countries and found out, compared factors related to the outcome. [Methods] In this study Nepal, Bangladesh, Vietnam, Cambodia, Uganda and Tanzania South Korea’s core partner countries in education were selected, using ILO-SWTS. As an analysis method, technical statistics, Randomfores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Results] The main results of the analysis on the school to work transition in developing countries are that young worker(15-29) in developing countries were deployed to the labor market in a short period of time, failing to sustain their school studies due to external factors and flowing into the labor market at an unwanted time. Students are engaged both working and studying especially high in Cambodia and Uganda. Young workers in Nepal, Bangladesh, Cambodia, Uganda and Tanzania recognized that their current job and education levels were inconsistent. Despite the high awareness of job-education discrepancies among young workers, We found that institutional support for internships or retraining for them was insufficient. In the analysis of Randomforest, 1) gender, 2) residence, 3) own education, 4) parental occupation and education, participation in family establishment, and social networks were important variables for ISEI in developing countries.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the variables was verified by multi-regression analysis model as a materiality variable, and on the ISEI of young worker in all the developing countries, education, parents’ ISEI had quantitative impact but gender. Also, participation in the family establishment was advantageous for ISEI. [Conclusion] The pattern of young people in developing countries’ labor market transition should be fully considered for economic conditions or academic cessation to work rather than understood as a general process of labor market transition after graduation. Nevertheless, education serves as a crucial factor for succes. Young people should not inherit their parents’ family business in order to gain a higher socioeconomic position.

      • KCI등재

        화학물질 운반차량 누출사고 처리절차에 관한 연구

        Sungbum Kim,Sangjae Lee,Seongkyeong Jeong,Myunghee Lim,Youngil Song,Euisan Ahn,Hoyong Jeong,Najin Kim,Hyunjoo Lee,Sungwoon Choi 한국재난정보학회 2017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Vol.13 No.1

        지난 3년(‘13∼’15)간 화학물질사고는 301건이 발생하였으며, 연평균 약 100건이 집계됐다. 이와 같은 화학사고는 인명과 환경에 많은 피해를 가져왔다. ‘13년∼’15년에 발생한 운반차량 화학사고는 연평균 21건으로 전체 화학사고의 약 21%를 차지한다. 화학물질 운반차량의 사고는 지역에 관계없이 도로상에서 발생하고 있기 때문에, 관계기관의 대응 및 사후처리 등 체계적인 현장조사가 필요하다. 또한 화학물질 운반업자 및 화물주 등의 협조가 절대적으로 필요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화학물질 운반차량의 사고발생에 대한 현장조사 및 처리 절차를 조사·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운반차량의 화학사고에 대한 원인을 분석하고 현장조사와 처리절차를 체계적으로 마련하는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판단된다. 301 cases of chemical accidents occurred during the recent three years('13~15) recording about 100cases on average in Korea.. Chemical accidents has brought casualties and negative impact on the environment. The chemical accident by transporting vehicles during recent 3 years records 21 on average & takes about 21% of the whole chemical accident. Systematic investigation on chemical accident was needed by corresponding authorities since the transport accident has occurred on the road, all over the nation. For the systematic investigation on the accident scene by the corresponding authorities, the cooperation of transport companies and transport contractor is highly necessary. The investigation of such accident scene was examined and analyzed in this study. Through this study, the results can be basis to analyzed the cause of chemical accident by transporting vehicles and to prepare procedures for on-site investigation and handling systematical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