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Macakurzin C Derivatives as a Novel Pharmacophore for Pan-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Modulator

        Ko Hyejin,An Seungchan,Jang Hongjun,Ahn Sungjin,Park In Guk,Hwang Seok Young,Gong Junpyo,Oh Soyeon,Kwak Soo Yeon,Choi Won Jun,Kim Hyoungsu,Noh Minsoo 한국응용약물학회 2023 Biomolecules & Therapeutics(구 응용약물학회지) Vol.31 No.3

        The natural flavonoid macakurzin C (1) exhibited adiponectin biosynthesis-inducing activity during adipogenesis in human bone marrow mesenchymal stem cells and its molecular mechanism was directly associated with a pan-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PPAR) modulator affecting all three PPAR subtypes α, γ, and δ. In this study, increases in adiponectin biosynthesisinducing activity by macakurzin C derivatives (2–7) were studied. The most potent adiponectin biosynthesis-inducing compound 6, macakurzin C 3,5-dimethylether, was elucidated as a dual PPARα/γ modulator. Compound 6 may exhibit the most potent activity because of the antagonistic relationship between PPARδ and PPARγ. Docking studies revealed that the O-methylation of macakurzin C to generate compound 6 significantly disrupted PPARδ binding. Compound 6 has therapeutic potential in hypoadiponectinemia- related metabolic diseases.

      • KCI등재

        비정규직 보호법의 차별 시정 효과

        고혜진(Ko, Hyejin) 한국사회정책학회 2018 한국사회정책 Vol.25 No.4

        본 연구는 비정규직 보호법의 시행이 비정규직의 노동시장 차별 개선에 기여하였는지 실증적으로 규명한 연구이다. 이때 기존 연구와 달리, 임금뿐 아니라 사회보장 혜택을 포괄하여 비정규직에 대한 차별 시정 효과를 살폈다. 이는 사용자의 고용 관련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노동비용에 사회보장기여금 부담도 상당한 부분을 차지하기 때문이다. 분석에서는 기업을 분석 단위로 하여 기업 규모별 시행 시기의 차이를 반영한 패널토빗모형을 적용하였다. 분석 결과, 비정규직 보호법이 일부 심각한 사회보장 배제를 경험한 집단에서 차별 개선의 효과를 가졌다. 하지만 이는 제한적인 효과로 전반적으로 비정규직 보호법이 임금과 사회보장에서 차별 해소에 기여했다고 보기는 어렵다. 게다가 비정규직 내부에서도 특히 임금과 사회보장 차별에 취약한 집단들이 존재한다. 이와 같은 비정규직에 대한 임금과 사회보장 차별이 이들의 삶의 질과 직결된다는 점을 감안할 때, 이들에 대한 차별 해소를 위한 적극적인 제도 개선 노력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비정규직 보호법의 차별을 정당화하는 이유를 제한하는 것과 함께 차별 금지 영역에 대한 개방적 접근 및 보완적 크레딧 제도의 도입 그리고 비정규직 사용 사유 규제를 적극적으로 검토할 것을 제안한다. This article aim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Korean employment protection legislation that has implemented since 2007 on eliminating discrimination on non-regular worker’s wage and social security. It is used the panel Tobit model reflecting the variation of implementation time according to the size of establishments. Although the employment protection laws for non-regular workers have implemented, the wage gap and discrimination in social security for non-regular workers have continued. Of course, the discrepancies on wage and social security were founded not only between regular and non-regular workers but also within non-regular workers. For reducing the discriminations, this study proposes to restrict the reason for justifying discrimination, and the introduction of a new approach to accessing the discrimination and complimentary credit system. Besides, this study suggests to actively review the strengthening of regulations on the use of non-regular workers.

      • KCI등재

        고령 북한이탈주민 사회보장제도 활용의 제약요인 및 접근성 제고 방향

        고혜진(Hyejin Ko),민기채(Kichae Min),박정순(Jungsun Park),한경훈(Kyounghoon Han),김예슬(Yeseul Kim) 한국사회정책학회 2018 한국사회정책 Vol.25 No.1

        본 연구는 고령 북한이탈주민의 사회보장제도 이용 경로와 활용을 저해하는 요인을 탐색적으로 고찰하여 접근성 제고 방안을 모색한다. 고령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면담 자료를 활용한 질적 내용분석 결과, 고령 북한이탈주민의 사회보장제도 접근성은 전반적으로 낮다. 구체적으로 이들의 사회보장제도 활용을 저해하는 주된 이유는 제한된 정보창구로 인한 낮은 인지도, 남한 사회 및 주민에 대한 심리적 거리감이다. 비교적 젊은 연령대의 북한이탈주민들은 활발한 경제활동과 적극적인 네트워크 확장 노력, 그리고 이를 통한 남한 사회로의 빠른 편입으로 다양한 출처에서 정보를 얻는 데 반해, 고령의 북한이탈주민들은 협소한 네트워크로 인해 제도에 대한 정보 확보가 어렵고, 남한 사회 규범 습득이 더디다. 나아가서 심리적 거리감은 남한 노인들이 도처에서 여러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데 반해, 고령 북한이탈주민들은 북한이탈주민들만을 대상으로 하는 특정 기관의 서비스 선호로 이어져 지리적 접근성을 낮추기도 한다. 고령 북한이탈주민의 소득 수준이 낮아, 충분한 사회보장 서비스를 받지 못하는 경우도 많으며, 제도 운용에서의 공정성에 대한 의심과 결부되어 소득보장에의 의존 심화를 야기하기도 한다. 반면에 고령 북한이탈주민의 제도 접근성이 높은 사회보장제도들은 이들과의 충분한 라포가 형성된 집단에 의해 제공된다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문화적 유능감을 갖춘 전문 인력에 의한 고령 북한이탈주민 친화적 제도 운용이 이들의 접근성을 제고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아울러 현행 제도가 충분히 포괄하지 못하는 고령 북한이탈주민의 복합적인 욕구에 충분히 대응하기 위한 다차원적 접근이 필요하며, 제도 운용에서 이들의 입장을 반영하기 위한 기제가 마련되어야 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factors that interrupt the use of social security of elderly North Korean refugees. As a result of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using interview data, it is found that the elderly North Korean defectors have a lower access to the social security system. The main reason for hindering the use of social security system is low awareness due to limited information channels, psychological distance to South Korean society and residents. Moreover, this psychological distance is a factor that reduces the geographical accessibility of elderly North Korean defectors by preferring to use services in specific institutions for North Korean, while South Korean elderly people can use the service elsewhere. In addition, there are many cases in which the elderly in North Korean defectors do not receive sufficient social security due to low income. On the other hand, social security systems with high accessibility of older North Korean refugees are characterized by the fact that they are provided by experts who have formed sufficient rapport with North Korean refugees. Therefore, it seems possible to improve the accessibility of elderly defectors" friendly system by professional workers with cultural competence. In addition, a multidimensional approach is needed to fully cope with the complex desires of elderly North Korean defectors and a mechanism should be set up to reflect their opinion in system operation.

      • KCI등재

        Digital Health Technology Use Among Older Adults: Exploring the Impact of Frailty on Utilization, Purpose, and Satisfaction in Korea

        Lee Hyejin,Choi Jung-Yeon,Kim Sun-wook,Ko Kwang-Pil,Park Yang Sun,Kim Kwang Joon,Shin Jaeyong,Kim Chang Oh,Ko Myung Jin,Kang Seong-Ji,Kim Kwang-il 대한의학회 2024 Journal of Korean medical science Vol.39 No.1

        Background: The importance of digital technology is increasing among older adults. In this study, the digital health technology utilization status, purpose, and satisfaction of older adults were investigated according to frailty. Methods: A face-to-face survey was conducted among adults aged 65 years or older. Frailty was defined using the Korean version of the fatigue, resistance, ambulation, illnesses, and loss of weight scale. Results: A total of 505 participants completed the survey, with 153 (30.3%) identified as pre-frail or frail and 352 (69.7%) as healthy. All respondents used smartphones; 440 (87.1%) were application users, and 290 (57.4%) were healthcare application users. Wearable devices were used by only 36 patients (7.1%). Pre-frail or frail respondents used social media more frequently than healthy respondents (19.4% vs. 7.4%, P < 0.001). Among the respondents, 319 (63.2%) were not able to install or delete the application themselves, and 277 (54.9%) stated that the application was recommended by their children (or partner). Pre-frail and frail respondents used more healthcare applications to obtain health information (P = 0.002) and were less satisfied with wearable devices (P = 0.02). Conclusion: The usage rate of digital devices, including mobile phones among older adults in Korea is high, whereas that of wearable devices is low. There was a notable difference in the services used by pre-frail and frail respondents compared to healthy respondents. Therefore, when developing digital devices for pre-frail and frail older adults, it is crucial to incorporate customized services that meet their unique needs, particularly those services that they frequently use.

      • KCI등재

        아시아 체제전환국의 사회보장체계 변화: 동남아 4개국과 유럽 체제전환국의 차이를 중심으로

        고혜진(Hyejin Ko),민기채(Kichae Min)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2021 아시아리뷰 Vol.11 No.3

        이 연구는 유럽 체제전환국과의 비교를 통해 체제전환 이후 아시아 체제전환국의 사회보장체계의 특징을 포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아시아 체제전환국들은 유럽 체제전환국들과 달리, 정체된 경제 성장을 타개하기 위한 목적에서 경제 부문의 제한적인 개방을 통해, 점진적인 체제전환을 시도하고 있다. 달리 말해, 노멘클라투라의 청산 부재로 그들이 정치-경제-복지 부문에서 독점적 지위를 유지함에 따라, 지배계층에 우호적인 사회주의 시기 사회보장체계의 특징이 지속되고 있다. 사회보장의 포괄범위 확대 및 급여수준 인상 노력은 계속되어 왔으나, 경제성장의 과실이 지배계층에 귀속되어 국가 재정이 빈약하여, 일반 국민을 대상으로 한 사회보장수준은 충분하지 않다. 지배계층의 독점적 지위가 약화되지 않는 한 유럽 체제전환국에 비해 동남아 4개국의 일반 국민을 위한 사회보장체계의 발전은 더디며, 앞으로도 사회보장체계가 강화될 것이라고 낙관하기는 어려워 보인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social security systems in four Southeast Asian post-socialist countries after the transition. Unlike European post-socialist countries, Asian countries have been pursuing a gradual change limited to the economic sector. Those countries have tried to expand the social security coverage and to increase the benefit level, but public social security spending remains negligible. Because political elites in the socialist era have maintained their political power, the social security system favorable to the ruling class has persisted. Moreover, political elites have enjoyed the fruits of economic growth exclusively and have not to pay much in taxes, and thus, public finances are insufficient. Unless the vested interest of the ruling class is weakened, the development of the social security system for the general public in Southeast Asian countries is slower than in Europe in transition.

      • KCI등재

        인문치료 기반 학업상담에서 내담자의 자기수용 사례 연구

        고혜진 ( Hyejin Ko ) 인문사회 21 2023 인문사회 21 Vol.14 No.1

        연구 목적: 이 연구는 인문치료 기반 학업상담에서 내담자의 자기수용 과정에서 나타난 변화를 고찰하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 방법: 시와 미술 등을 활용한 인문치료 이론과 학업상담을 융합하여 19회기에 걸쳐 진행된 상담 내용을 고찰함으로써 내담자의 자기수용 과정과 그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내용: 내담자 A는 대학에서 학습부진을 겪고 있고, 회피 성향이 높아 인간관계 및 학업에서도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인문치료 기반 학업상담 결과 A가 자기탐색 및 자기이해를 통해 자기수용에 이르는 과정에서 자신의 단점을 수용하고, 이를 개선하려는 모습이 관찰되었다. 결론 및 제언: 인문치료 기반 학업상담 프로그램은 A의 자기탐색을 위한 활동에 대한 거부감을 줄여 주었고, A의 자기탐색 및 자기이해를 통한 자기수용은 A의 학습 습관에 유의미한 변화를 이끌어내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hanges in the self-acceptance process of clients in humanities therapy-based learning counseling. We tried to find out the client's self-acceptance process and its effectiveness by examining the contents of counseling conducted over 19 sessions by combining humanities therapy theory using poetry and art and learning counseling. Client A was suffering from poor learning in college and had high avoidance tendency, which led to difficulties in human relations and academic studies. As a result of learning counseling based on humanities therapy, it was observed that A accepted his shortcomings and tried to improve them in the process of reaching self-acceptance through self-exploration and self-understanding. The humanities therapy-based learning counseling program reduced A’s resistance to activities for self-exploration, and A’s self-acceptance through self-exploration and self-understanding led to significant changes in A’s study habits.

      • KCI등재

        복지국가의 재정적 지속가능성 결정요인

        고혜진 ( Ko Hyejin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2016 사회복지연구 Vol.47 No.4

        본 연구는 조세구조에 주목하여, 재정적으로 지속가능한 복지국가의 제도적 특성을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분석에서는 복지국가의 재정적 지속가능성이 복지지출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물론 장기적으로 복지지출에 영향을 받을 수도 있으므로, 복지국가의 재정적 지속가능성과 복지지출 수준을 각각의 종속변수로 하는 동시방정식 모형(3단계 최소제곱법 활용)을 추정한다. 분석 결과, 대체로 조세부담 수준을 높이는 것은 복지국가의 재정적 지속 가능성에 정적 영향을 미친다. 반면에, 능력자 부담 원칙과 관련해, 과세원 간의 격차가 확대되는 것은 복지국가의 재정적 지속가능성을 저해한다. 수익자 부담 원칙 차원에서 사회보장기여금과 민간기여의 확충은 복지국가의 재정적 지속가능성 제고에 긍정적으로 기여하는 바 사회보장재원을 다원화하는 것이 장기적으로 복지국가의 재정적 지속가능성 확보에 긍정적인 영향을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comparing fiscal sustainability of 17 welfare states. Borrowed the concept of fiscal space to Ostry et al(2010) and Ghosh et al(2011), this study measures the fiscal sustainability in welfare states. Using data collected from 20 OECD countries from 1986 to 2013, this study attempts to evaluate the financial sustainability of each country. As a result, it is necessary that the appropriate level of tax burden is secured. Tax revenue is the funded basis for maintaining the welfare state, so increasing tax compliance to offset the negative impact of increasing welfare spending will promote social cohesion. In therms of tax structure, in accordance with the ability to pay principle, it is important to raise the equity between the source of taxation. Reducing the gap between labor and capital tax is required to achieve horizontal equity, It is also useful to utilize the financial base of the welfare state by broadening the tax base though a consumption tax. Improving the vertical equity can also make a positive contribution to the fiscal sustainability of the welfare state,

      • KCI등재

        고용중심 복지국가의 고용과 재정 성과

        고혜진(Hyejin Ko),조효진(Hyojin Cho) 한국사회정책학회 2018 한국사회정책 Vol.25 No.2

        본 연구는 고용중심 복지국가의 재정 성과를 확인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본 연구가 주목하는 것은 고용중심 복지국가가 창출한 고용이 무엇이냐이다. 양질의 일자리가 창출되지 않으면 고용중심 복지국가로의 전환이 기대했던 실업과 빈곤 감소, 나아가서 재정건전성 회복을 담보할 수 없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고용중심 복지국가로의 전환 맥락에서, 국가의 복지 노력을 통해 창출된 고용의 질을 파악하고 그것이 궁극적으로 국가 재정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가를 실증적으로 파악하고자 한다. 분석은 복지국가가 창출한 고용과 재정성과 간의 시간적 선후관계를 반영하여 Baron과 Kenny(1986)의 3단계 매개효과 검증을 적용한다. 분석결과, 고용중심 복지국가의 공공 복지 노력이 적어도 통계적인 차원에서는 기대만큼의 효과를 가지는 유효한 개혁은 아니었던 것으로 보인다. 오히려 저임금, 비자발적 시간제 고용과 같은 질 낮은 일자리 확대에 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이는 나아가서 고용중심 복지국가로의 전환으로 기대했던 재정 위기 해소에도 기여하지 못하는 장벽이 된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복지국가의 재정건전성을 확보하는 전략으로 단순히 고용의 총량을 늘리는 것은 실효성을 가지기 어려우며, 충분하고 질 좋은 일자리의 창출을 위한 노력이 수반되어야 하겠다. This study explores the effectiveness of employment-oriented welfare state by analyzing the mediating role of employment rat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ublic welfare effort and fiscal soundness. Notably, this study considers the quality of employment into the analysis: part-time work, involuntary part-time work and low-wage work in analysis. The data sample consists of 18 OECD countries which initiated employment-oriented welfare strategy after the crisis of welfare state. An analysis was conduct based on Baron & Kenny(1986)’s method and panel two-stage model to handle the endogeneity problem. The results show that while the high level of public welfare effort negatively affects the fiscal soundness if it contributes to boosting employment rates, it has positive effects on the fiscal soundness. However, when the incidence of involuntary part-time employment and low-wage employment is high, the mediating impact of employment rate on the fiscal soundness disappears. This study argues that unless the quality of employment is taken into consideration, the positive effect of employment-oriented welfare state strategy to improve the fiscal soundness is not fully guarante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