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Gothic Translatio Studii: Menippea in Walpole`s The Castle of Otranto

        ( H Christian Blood ) 한국영어영문학회 2015 영어 영문학 Vol.61 No.1

        There are two immediate implications for Horace Walpole’s The Castle of Otranto (1764): first, a revised sense of the category of Gothic; and second, a revised sense of Menippean satire in eighteenth-century England. The Castle of Otranto is not a Gothic novel as we understand that category to be constituted, precisely because the Gothic coalesced as a category after, and only because of, Otranto’s initial publication. So rather than being the beginning of the Gothic tradition, Otranto is the culmination of another Menippean satire. Building on the work of M.M. Bakhtin’s Problems of Dostoevsky’s Poetics and Rosemary Jackson’s Fantasy: The Literature of Subversion, I argue that The Castle of Otranto is menippean not because of what it cites, but rather because of the way in which it cites. Most approaches to Gothic literature concern themselves with the problems of subjectivity, with the ways in which the subject and its psyche are fissured. A menippean reading of The Castle of Otranto likewise privileges fissures, but it looks for them in the gaps between generic systems. As a mode that infects literature from numerous different genres, menippea allows us to get away from questions of where texts belong, and allows us to ask questions of where a text has been and where it is going. An examination of Otranto’s Greco-Roman origins paradoxically reveals an increasingly determined relationship with tradition and also the text’s significantly liberated stance from tradition.

      • KCI등재

        Eros and Orthography in Bleak House: Aristotelian, Reader-Response, and Narratological Approaches to Jo

        ( H Christian Blood ) 한국비교문학회 2014 比較文學 Vol.0 No.62

        Following its author`s explicit wishes, Dickens`s Bleak House is often read as a protest literature. As ideologically satisfying as propaganda is, this paper begins from an inherent paradox at the heart Dickens`s realism: that in order to make a moral point about the sad state of humanity, the text deploys stock characters. However, as stock characters by definition are not fully realized humans, the political points they make cannot serve a larger moral agenda. This paper, then, seeks to recuperate Bleak House`s most endearing stock character, Jo, by offering a re-evaluation of him through narratology, the scientific study of narrative and reader-response criticism, an approach that authorizes the reader`s role in reacting to a text. This paper offers a new model for the study of narrative, Aristotle`s metaphysics as outlined in two treatises, Metaphysics and On the Soul, models that are essentially and necessarily humane. Ultimately, “Eros and Orthography” offers a metaphysics of Victorian realist literature that recuperates Jo and the text`s social agenda.

      • KCI등재

        "Arms and a Man" 부터 "Books and a Balance"까지: 미국 St.John`s College에서의 고전의 수용으로서의 고전적 전통

        크리스천블러드 ( H. Christian Blood ) 한국비교문학회 2015 比較文學 Vol.0 No.66

        이 논문은 가장 성공적이며, 거의 논란의 여지가 없이, 가장 “극단적”인 Great Books 커리큘럼인 St.John`s College (미국)의 The New Program의 유래, 목표 그리고 이데올로기를 탐구한다. 필자는 이 프로그램 (The Program)의 독특한 모토인 Facio liberos ex liberis libris libraque, “By means of books and a balance, I make free citizens from children” -뿐 아니라 지난 75년 간의 기록물, 공식적 대학 출판물, 커리큘럼 데이터 그리고 그 프로그램의 조수들과 비방하는 사람들의 글들을 조사하고 검토하며 St..John`s와 Classics를 근본적으로 비슷하며 서로 동조적인 “친지관계”로 보는 대중적인 시각과는 다르게, St. John`s의 New Program, 특히 Great Books 프로그램은, 전반적으로, 고전고대의 학문의 변증법적인 부정이라고 주장한다. 더 나아가, St.John`s의 The Program은 그것이 주장하는 보편성과 역사로부터의 객관성과는 직접적으로 반대되는 고도로 우발적이고 역사적으로 특정한 노력이다. This paper investigates the origins, aims, and ideology of the most successful and, arguably, most “extreme” Great Books curriculum, The New Program at St. John`s College (USA). Through an examination of The Program`s distinctive motto Facio liberos ex liberis libris libraque, “By means of books and a balance, I make free citizens from children”-as well as archival materials, official college publications, curricular data from the past 75 years, and writings by its acolytes and detractors-I argue that although popular imagination usually conceives of St. John`s and Classics as kith and kin, fundamentally similar to and sympathetic with one another, the St. John`s New Program, specifically, and Great Books programs, in general, turn out to be the dialectical negation of the science of classical antiquity. Moreover, The Program at St. John`s turns out to be a highly contingent, historically specific endeavor, in direct contradiction of its claims to universality and historical detachment.

      • KCI등재

        아리스토텔레스의 『시학』, 투키디데스의 『펠로폰네소스 전쟁사』, 그리고 플라톤의 『향연』에서 알키비아데스는 “무엇을 하고 어떤 고통을 받았는가”

        그리스천블러드 ( H. Christian Blood ) 한국비교문학회 2014 比較文學 Vol.0 No.64

        이 논문은 두 개의 고전 그리스의 철학작품, 플라톤의 『향연』과 아리스토텔레스의 『시학』이 철학적 토론에서 알키비아데스-투키디데스의 『펠로폰네스 전쟁사』라는 세 번째 그리스 고전문학으로 인해 제일 잘 알려진-라는 역사적 인물을 모범적 전형으로 사용한 방식을 연구한다. 비록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의 작품들의 독자 대부분은 그들의 선택을 중립적으로 보지만 (충분히 다른 역사적 인물을 사용할 수도 있었다), 필자는 알키비아데스를 선택한 것을 캐릭터라이제이션의 순간, 더 나아가 역사와 철학의 구분에 도전하는 선택으로 봐야 한다고 생각한다. 플라톤의 허구적 작품에서는 역사의 한계와 철학의 실패들에 대해 논평하기 위해 역사적 사실들(엘키비아데스와 소크라테스라는 역사적 인물과의 실제 관련성, 스파르타와의 내전 중 그의 악명 높았던 아테네에서의 정치적 문제 등)이 더 극적으로 각색되어 있다. This paper examines the way that two classical Greek philosophical texts, Plato’s Symposium and Aristotle’s Poetics, utilize the historical figure of Alcibiades-known best from a third Greek classic, Thucydides’ History of the Peloponnesian War-as an exemplar in discussions of philosophy. Although most readers of Plato and Aristotle regard the choice as neutral (it could just as easily have been anyone else), I argue that selecting this figure should be seen as a moment of characterization, and moreover, one that challenges the generic distinctions between history and philosophy. Historical facts (Alcibiades’ real-life involvement with the historical figure of Socrates, his notorious political problems in Athens during the civil war with Sparta, etc.) are dramatized in Plato’s work of fiction in order to comment on the limits of history and the failures of philosophy.

      • KCI등재

        “그녀의 품에 뉘여져있는 꾸러미”: 매튜 루이스의 수도가, 바흐친 그리고 메니피언 고딕소설의 가능성

        세바스챤블러드 ( H. Christian Blood ) 한국서양고대역사문화학회 ( 구 한국서양고대사학회 ) 2014 서양고대사연구 Vol.39 No.-

        이 논문은, (앵글로적, 또 보기에는 현대적인 고딕소설이 탄생된 시기인) 18세기에서의 고대 그리스와 로마 문학의 지속성을 연구한 것으로서, 매튜 루이스의 1796년 작인 고딕 소설 『수도사』에 나오는 아폴레이우스의 『황금당나귀』, 페트로니우스의 『사티리콘』, 세네카의 『신성한 클라우디우스 바보만들기』에 대한 명백한 혹은 거의 명백하지만 발견되지 않았던 암시를 밝혀낸다. 특히, 필자는 덜 알려진 로렌조의 하인,테오도르의 서브플롯의 역할을 재검토하는데,이 서브플롯에서 테오도르는 글을 쓰고, 이야기를 해주고, 또 성 클레어의 수도원으로 잠입한다. 수도원으로의 잠입은 수도원의 파괴를 시작하고 또 『수도사』의 현실주의적 네러티브를 해결한다는 두 가지 점에서 결정적이다. 앞선 고전작들보다 더 어둡고 폭력적인 이 작품은, 고전 전통을 변신시키고 무시무시함과 두려움의 장소로 전복시킨다. 따라서, 필자는 이 논문에서 두 가지 지배적인 가정을 재숙고한다. 첫 번째 가정은, 고딕 소설은 계몽운동의 실패에 대한 반응이라는 것이며, 두 번째 가정은, 고딕 소설은 1736년 호레이스 월폴에 의해 발명되었다는 것이다. 『수도사』는 지속된 고전 전통의 후계자로서 명백하게 자기 자신을 꼽는다. 처음부터 시작하여 스캔들적인 플롯을 묘사하고 관습에 어긋나는 평론을 증가시키기 보다는, 매튜 루이스는 고딕 문학의 필수적 특징이 된 기괴하고 비논변적인 요소들을 위해 고전 문학 역사를 발굴해 냈다. A study of the endurance of ancient Greek and Roman fiction in the eighteenth century (an era when the apparently Anglo, seemingly modern Gothic novel came into being), this article unearths undetected yet explicit or nearly explicit allusions to Apuleius’ Golden Ass, Petronius’ Satyricon, Seneca’s Apocolocyntosis, and Virgil’s Aeneid in The Monk, Matthew Lewis’s 1796 Gothic novel par exellence. In particular, I re-examine the role of a lesser-known subplot character, that of Lorenzo’s manservant, Theodore, in which the youth variously writes, tells stories, and then infiltrates the Abbey of St. Claire―a mission that is shown to be decisive, as it both sets into motion the destruction of the abbey, and resolves The Monk’s realist narrative. Darker and more dangerous and violent than its classical antecedents, The Monk transmogrifies the classical tradition, subverting it into a thing of terror and dread. Thus, here I seek to trouble two dominant assumptions―first, that Gothic fiction is a response to the failures of the Enlightenment, and second, that it was invented in 1763 by Horace Walpole. Rather than starting from scratch to depict scandalous plots and mount transgressive critiques, Matthew Lewis mined classical literary history for the very outre and counter-discursive elements that became essential hallmarks of Gothic writ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