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고교 한문교육에서의 『대동기문』활용방안 연구

        오정호 公州大學校 敎育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9663

        국문초록 고교 漢文敎育에서의 『大東奇聞』활용방안 연구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한문교육전공 오정호 한문교육은 그동안 교육과정의 변화에 따라서 많은 부침을 거듭하여 왔다. 1972년 교육법 시행령이 개정되면서 중ㆍ고등학교에서 한문 교과가 독립교과의 지위를 가지게 되고, 더욱이 각 대학의 한문교육과나 한문학과에서 정규 과정을 이수한 학생들이 교사로 배출되어 중등학교의 한문교육은 양적으로나 질적으로 많은 발전을 가져오게 되었으며, 현행 수학능력시험 이전에 대학입시제도였던 학력고사에 한문 문항이 1984년부터 1992년까지 모두 118 문항이 출제되면서 중흥기를 맞이하였다. 그러나 제 7차 교육과정에서 한문교과는 학생과 학부모로부터 선택을 받아야만 하는 새로운 전기를 맞이하게 되었다. 이러한 기로에서 학생들이 한문교과를 선택하기위해서 현직의 교사들은 다양한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 중의 하나가 쉽고 흥미가 있으면서 교육적 주제가 뚜렷한 자료를 수업의 보조자료로 활용하는 것인데, 본고에서는 『大東奇聞』을 중심으로 한문 수업에 활용할 수 있는 자료를 연구ㆍ수록해 보고자 한다. 『大東奇聞』은 일종의 野談集이다. 220여종의 出典과 근 900여편의 방대한 한문 기록을 가지고 있는 우리 문화의 소중한 자료임에도 불구하고 正史가 아닌 野談, 野史의 기록이라고 하여 그 문화적, 교육적 가치가 低評價되어 왔던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야담, 야사는 그 내용이 흥미롭기도 하거니와 교육적인 내용을 포함하고 있는 것이 상당수 있으며, 어느 글은 사실에 가까운 글도 많이 있다. 또한 풀이가 쉽도록 懸吐가 되어 있고, 내용으로 보아도 단락이 짧으면서도 몇 개의 典故만을 안다면 해석이 용이하며, 더 나아가 선인들의 사상을 탐구해보는 데에도 매우 중요한 자료들을 포함하고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大東奇聞』의 성격을 분석하여 밝히고, 현행 7차 교육과정에 따른 한문교과서의 『大東奇聞』의 활용 사례를 분석하여 학생들의 인성교육 차원에서 한문교과서가 차지하는 역할과 수업 보조 자료의 필요성을 모색하며, 나아가 『大東奇聞』에서 교육적으로 유용한 독해자료와 읽기자료를 주제별로 선정하여 고등학교 한문에서의 활용 방안을 연구해 보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현행 고등학교에 재학 중이면서 7차 교육과정의 적용을 받는 학생들이 어렵고 힘들게 느끼는 한문 교과목에 대하여 『大東奇聞』이라는 한문 典籍을 통하여 한문수업에 대한 흥미를 가지게 하며, 다양하고 많은 한문 문장들을 접하고 익히면서 한문과 학습목표를 달성하는 교육 자료로서 『大東奇聞』을 활용해 보려는 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大東奇聞』원문에서 다음의 세 가지의 주제를 가지고 독해자료와 읽기자료를 가려 뽑아 제공하여 교육적 활용을 시도하였는데, 첫째로, “忠ㆍ孝의 교육”에 관한 것이다. 이 절에서는 예로부터 “百行의 根本”이라는‘孝’의 중요성과 효의 외면적 승화 윤리인 ‘忠’에 대하여 개괄을 하고, 현대적인 충ㆍ효의 실천방안을 모색하여 보았다. 나아가 10개의 독해자료와 3개의 읽기자료를 본문에 수록하여 실제 수업시간에 활용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하였다. 다음으로 滑稽ㆍ詩話ㆍ재능의 교육에 관한 것이다. 이 절에서는 우리 선조들의 재능과 창의성이 집약된 詩話, 골계류의 작품들을 개괄하고 12개의 독해자료와 5개의 읽기자료를 수록하여, 우리 민족의 자긍심과 재치를 느끼게 하였다. 마지막으로는 勉學ㆍ敎訓ㆍ淸白吏의 교육에 관한 것이다. 이 절에서는 우리 선인들의 학문에 대한 열정과 자세를 수록하여 현대를 사는 청소년들에게 교훈이 되게 하였으며, 청백리의 정신을 강조하였다. 11개의 독해자료와 4개의 읽기자료를 수록하여 교육 자료로 제공하였다. 교육 자료의 선정에는 필자의 주관에 따라 선정하였으며, 독해자료와 읽기자료 공통으로 자료선정에서 유의한 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내용의 선정에 있어서는 청소년 교육에 중점을 두어 윤리의식 고취와 인성함양에 도움을 주는 내용들을 선정하였다. 한문교육이 담당하고 있는 중요한 영역이 자라나는 청소년들의 인성교육이며 이는 윤리교육을 비롯하여 모든 교과와 유기적인 관계 하에 이루어지는 가치 있는 교육이어야 한다. 교육은 올바른 인간을 만드는 데 그 목적이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요즘의 청소년들의 인성교육 자리에 컴퓨터가 자리 잡고 있는 것이 현실이기 때문에 교과서 및 수업 보조 자료를 이용한 교육에서 인성 개발에 도움이 되는 자료들이 한문 수업시간 만이라도 다량으로 제공되어져야 할 것이다. 둘째, 학생이 흥미를 가질 수 있는 내용을 선정하였다. 비교적 짧으면서도 주제가 뚜렷하여 학생이 한문 문장을 풀이해 보거나 제공된 읽기자료를 읽어 보아 흥미를 느끼는 내용들로 구성하여 한문은 배우기 어려우면서 내용도 어렵다는 선입견을 拂拭할 만한 자료를 선정하였다. 셋째, 고등학교 교육에 활용할 수 있도록 어려운 내용은 재편집하였다. 『大東奇聞』본문에는 주인공의 本貫, 字, 號, 과거 급제 여부 등을 글의 리얼리티를 살리기 위하여 비교적 상세하게 기술해 놓았다. 그러나 한자가 너무 어려워 학생들의 교육에 어려움을 주거나 교육내용의 전개에 지장을 주는 부분은 부분적으로 원문을 생략하여 재편집하였다. 넷째, 아무리 흥미 있는 내용이라 할지라도 교육적이지 않은 내용은 배제하고 삶의 의욕을 고취하는 희망적인 내용과 불의를 극복하는 강한 자신감을 가지는 내용 등을 가려 뽑았다. 다섯째, 어려운 일을 해결해 나가는 선인들의 재치와 천재성이 드러난 글들을 다루어 창의력을 기르는 데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여섯째, 독해 자료는 될 수 있는 한 교육용 기초한자 내의 글을 가려 뽑았으나 교육자료 선정에 어려움이 있어 어쩔 수 없이 포함된 교육용 漢字 이외의 漢字는 밑줄을 그어 표시를 하였다. 일곱째, 본문의 기록을 正史로 오인하여 그릇된 역사인식을 가질 우려가 없는 자료를 선정하였다. 고등학교 한문 교육에서 『大東奇聞』을 이용한 수업은 직접적인 수업교재로 쓸 경우도 있겠지만, 한문 산문의 교수ㆍ학습 모형의 경험수업모형에서 학생들에게 유관 내용을 제시해 줄 때나, 주제 발표 및 토론의 장에서도 읽기 자료나 생각하기 자료로도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사실 야담이나 야사를 교육적으로 활용한다는 발상은 매우 조심스러운 접근을 요하는 부분이다. 그러나 다음의 몇 가지 점에서 『大東奇聞』은 충분한 교육적 가치가 있다고 생각이 된다. 첫째는, 한문으로 원문이 작성되고, 懸吐가 되어 있는 수많은 자료를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둘째는, 『大東奇聞』은 우리나라가 일제의 침략을 받고 있는 어려운 시기에 민족의 자존심을 살리고자 하는 독립운동의 일환으로서 편찬한 책이라는 점이다. 셋째, 흥미 있는 내용을 많이 내포하고 있어 한문 교육이 어렵다는 선입견을 줄여 줄 수 있다는 것이다. 넷째, 학생들의 인성 교육에 도움을 주는 내용이 주제별로 많이 실려 있다는 점이다. 다섯째, 학생들의 원문 해석에 도움을 준다. 여섯째, 당시의 사대부들에 의하여 지어진 글로 설화적인 요소와 사실적인 요소를 동시에 내포하고 있어 문학적인 감성과 역사적인 지식을 동시에 기를 수 있다. 『大東奇聞』은 이처럼 이러한 여러 가지 장점을 지닌 좋은 교육 자료이지만, 고등학교의 한문교육현장에서는 다음 사항을 유의하여야 할 것이다. 우선 본고의 자료는 교과서의 보조 자료이어야 한다는 사실이다. 많은 검증과 교육부의 검정을 거친 현행 교과서를 『大東奇聞』이 대신하기에는 무리가 따를 것이며, 한문의 학습이 단순하게 흥미 위주로 계속적인 진행이 되어서도 안될 것이다. 다음으로는 본고의 자료를 수업시간에 이용할 때에는 시간 배분에 유의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너무 과다하게 보조 자료를 사용한 관계로 主客이 바뀐다면, 올바른 학습 목표를 달성하기에 지장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이다. ABSTRACT A study on how to use "Dai Dong Ki Mun" for the education of traditional chinese Characters in high schools Oh, Jeong Ho Dept. Education of Chinese Characteristic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ongju National University Supervised by Prof. Sin, Yong Ho This study is to figure out how to pick out various kinds of interesting educational training aids from the "Dai Dong Ki Mun", and to have the students get rid of the difficulty in learning traditional chimes characters in high schools applied to their 7th educational course. This study was processed by following two phases. First, the Dai Dong Ki Mun's general outline and its symbolic elements of the story was revealed, furthermore the usage examples of Dai Dong Ki Mun in high school's text book was analyzed. The possibility of educational usage of Dai Dong Ki Mun was tested by following three topics: First, royalty and filial duty education Second, brightness, poetic conversation, and talent education Third, diligence, example lesson and integrity education The analysis of on-going high school's text books shows a lack of human character educational material. We believe, if using the "Dai Dong Ki Mun", it will be very good educational training aids for encouragement of human character in high schools.

      • 人性敎育의 發展 方案에 關한 硏究

        이존구 公州大學校 敎育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9663

        국문초록 人性敎育의 發展 方案에 關한 硏究 公州大學校 敎育大學院 國民倫理敎育專攻 李存九 본 연구과정을 통하여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급 담임교사는 학급원의 모델링은 물론 학생들과 상호작용하면서 바른 인성함양을 위하여 담임교사의 역량을 최대로 발휘해야 한다. 둘째, 인성교육은 인간교육의 기본이며 학교교육의 핵심이어야 하며 학생들의 요구와 필요, 학교 여건 등을 고려하여 실천위주의 인성교육을 자리 매김 해야 하겠다. 셋째, 인성교육은 전 교과, 전 교사의 지도로써 가능하다는 인식의 전환이 요구되며 인성교육의 중추적인 역할은 도덕교육에서 이루어져야 함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넷째, 특별활동은 각각의 영역에 따라 바른 인성함양을 위한 체험학습, 과제학습, 현장학습, 행사, 대회, 발표회, 토론, 조사탐구, 봉사활동 실천적 활동을 통해 다양한 경험과 기회가 제공되어야 한다. 다섯째, 7차 교육과정에서 창의적 재량활동은 지식 편중의 교육을 보완해주는 제도적 장치로 인성관련 교육은 교육적 제도 속에서 가능하다는 점에서 매우 고무적이라고 할 수 있으나 학생들의 관심 부족, 지도자료의 부족, 교사의 전문성 등 지속적인 노력이 요구된다. 연구의 제한점으로는 본 연구가 중학교에 눈높이를 두고 이루어졌으며, 7차 교육과정 적용 초기에 이루어진 연구로 제시된 프로그램의 구체성, 적용방안의 다양성 면에서 보완의 필요성이 제기된다고 본다. 또한 현장교사들의 의견이나 관련기관의 쟁점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한 관계로 편협된 연구로써 학문적 가치를 논하는데 부족함을 인정하며 후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함을 밝힌다. ABSTRACT A Study on Practical Methods of Character Education Lee John-gu Major in Ethics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ong Ju University Supervised by Professor Choi Heung-so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truct a practice-oriented character education program that could be implemented in the current educational condition or discretionary class newly introduced by the 7th national curricula. For that purpose, the concepts of character and character education were redefined, and the history of personality education was reviewed to prove that good character has been the pivotal object of school education since the 1990s. If character education is defined as cultivating moral human beings who are worthy of the name, it's also the very object of moral education. Therefore, the role and accountability of moral instruction were emphasized in this study as the core of personalty education, and the oughtness of reinforced character education was explained in personal, social, national, moral education and legal aspects to be in line with the revised moral education of the 7th national curricula. What problems the current personality education faced at school, home and society and what problem was caused by the older generation were examined, and in which direction it should move forward was explored. To facilitate the development of personality education, which was the main task of the study, proven or applicable personality education programs were presented in a practical manner to find out what implications they had for future character and moral education. But since the example materials and lesson plan included in this study were prepared by this researcher, they should fully be reviewed, modified or supplemented in accordance with student level, school size and local circumstances. The brief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below: First, homeroom teachers should act as a good role model for their students, interact with them and make every possible effort to help them build up character. Second, character education is the basis of human education, and that should be the center of school education. Besides, it should focus on practice, and carefully be mapped out in response to student needs and in consideration of school circumstances. Third, a change of mind-set is called for. It should be kept in mind that it could be successful when every subject and every teacher try to deal with it, and moral education should play a central role for that. Fourth, extracurricular activities should provide diverse kinds of experience and opportunities to help students have good personality. The type of activities that could incite them to do something on their own should be utilized, such as experience learning, task learning, on-the-spot learning, school events, contests, presentation, discussion, inquiry or volunteer services. Fifth, it's very encouraging that the 7th national curricula introduced creative discretionary activities to correct knowledge-centered education, which makes it possible to offer character education. But since students aren't interested in it and there aren't sufficient teaching materials, sustained efforts should be made to remedy the situations and elevate teacher expertise.

      • 初等學校 進路敎育 運動 實態 分析 및 改善方案 硏究

        이재수 公州大學校 敎育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는 초등학교 진로교육 운영 실태 분석에 따라 개선방향을 다각적인 측면에서 분석·진단해 보려는 의도에서 시도 되었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목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교사들의 진로교육에 따른 인식 및 진로교육시 진로정보 자료의 활용 실태를 파악한다. 둘째, 학생들 자신의 진로 인식 및 교사·학부모와 연계성 있는 진로지도에 대한 인식 실태를 파악한다. 셋째, 학부모들의 자녀 희망 진로와 진로 결정시 선택 기준 등에 따른 진로에 대한 인식 실태를 밝힌다. 본 연구는 교사, 학생, 학부모의 진로교육에 대한 의견을 듣기위해 사용된 검서 도구는 대관지식정보컨설팅에서 제작한 검사지를 연구자가 지도교수의 자문을 받아 실정에 맞도록 수정 보완하여 작성한 설문지이다. 본 연구의 조사 대상은 서울특별시 지역의 교사, 학생, 학부모를 무선 표집하였으며 교사는 10개학교에 400명에 배부하여 376부(94.0%)를 회수하였고 불성실한 질문지 30부를 제외하여 346부(86.5%)를 처리하였고, 학생은 6개 학교 700명에게 배부하여 673부(96.1%) 회수하여 불성실한 질문지 45부를 제외한 628부(89.7%)를 처리하였으며, 학부모는 7개 학교 720명에게 배부하여 657부(91.3%) 회수하여 불성실한 질문지 46부를 제외한 611부(84.9%)를 처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패키지를 이용하여 모두 전산처리 하였으며 자료 분석에 사용된 통계방법은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이었다. 1. 교사의 진로의식 분석 선생님께서는 진로교육을 초등학교 때부터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하며, 학생들의 경우 상담하러 오는 문제 중 가장 빈도가 높은 것은 교우 및 이성문제라고 응답했다. 학생들의 진로를 선택할 때 적성과 소질을 먼저 고려하여 지도해야겠고, 진로상담의 저해요인으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전문지식 및 상담기법 부족, 수업 및 업무량 과다인 것으로 나타났다. 초등학교 진로교육을 위해서 선생님께서 가장 필요하다고 생각하시는 것은 전담교사이고, 학생들의 진로결정을 할 때 학생의 적성을 가장 중요시 생각하며, 학생들이 진로를 결정할 때 학생과 학부모의 의견이 다르면 학생과 학부모가 상의하여 결정하게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선생님께서는 학생들의 진로지도를 위하여 가지고 계신 자료는 1점~5점 미만이고, 진로지도시 가장 애로사항은 특수분야에 대한 정보가 부족한 것이며, 진로지도에 대한 연수(또는 강의)를 받으신 때는 일반연수에서였다. 선생님께서는 학생들의 진로지도에 참고하려고 특정 분야의 직업인들을 방문하여 대화를 나누고 계시지는 않고, 직업세계에 대하여 학급에서 3개월에 1회 정도 지지하며, 직업의 세계에 대한 자료 수집을 주로 인터넷을 통하여 수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들의 적성, 흥미, 성격검사의 실시 결과에 대해 표준화 검사를 아직 실시하지 않았고, 선생님께서 근무하시는 학교에서 진로교육을 관련 교과 시간이나 상담요청 학생에게 지도하며, 현행 교육과정에 있어서 진로정보자료가 활용되고 있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진로 상담시 선생님께서는 진로정보에 대한 부족을 느꼈고, 학교에 비치되어 있는 진로정보자료는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선생님께서는 학교에 비치되어 있는 진로정보 자료를 충분히 활용하고 있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그 이유는 자료는 있지만 쓸만한 자료가 없기 때문이었다. 학생은 자신의 진로를 생각해 본 적이 있고, 가장 희망하는 직업은 과학자, 의사, 약사, 판사, 검사, 교수 또는 교사, 국회의원, 전문직(컴퓨터 프로그래머, 벤처회사 설립 등)이며, 위와 같은 직업을 희망하는 이유는 나의 능력과 적성에 맞을 것 같아서라고 응답했다. 적성검사나 흥미검사를 통해서 자신의 적성을 조금 알고 있고, 진로에 관한 고민이 생겼을 때 부모님과 상담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라고 생각하며, 학교에서 선생님과 ‘직업 및 진로상담’에 대하여 상담해 본 경험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선생님과의 상담은 주로 수업시간 중에 실시하고 있고, 상담이 주로 이루어진 장소는 교실이며, 선생님의 상담내용에 대해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에서 진로나 직업에 관한 교육을 조금 받고 있고, 학생이 원하는 진로와 부모님이 원하는 직업에 대해 어느 정도 일치하며, 앞으로 ‘진로 및 직업선택’을 할 때 부모·가족과 상담을 하겠다고 응답하였다. 학생이 다니는 학교에서의 진로지도에 대해 잘 모르겠고, 선생님과 가장 상담하고 싶은 문제는 성격문제와 학업문제이며, 담임선생님과의 상담활동이 자신에게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녀의 진로선택에 있어서 대학진학이나 취업 중 대학 진학을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자녀의 대학 진학이나 취업 중 결정할 때 자녀의 소질과 능력을 반영할 것이며, 자녀의 진로문제에 대한 대화를 가끔 이야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녀의 진로를 결정할 때에 자녀와 협의하겠으며, 자녀의 적성이나 흥미 등 특성에 대해 조금 알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녀의 직업을 선정할 때 기준은 안정성 있는 직업이어야 하고, 미래의 유망한 직종에 대해 어느 정도 알고 있으며, 자녀의 진로지도는 중학교 때부터 하는 것이 좋다고 응답했다. 자녀의 진로문제에 관한 정보는 주로 신문·잡지·방송에서 접하고, 자녀에게 진로에 관한 고민이 생겼을 때 담임선생님과 상담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라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초등학교 진로교육 개선을 위한 진로 상담 활동에 대하여 그 운영 실태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이 결론을 내릴 수가 있다. 첫째, 학생, 교사, 학부모 모두의 학생들의 진로교육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이 필요하다. 학생들의 진로에 대한 관심은 어느 정도 있으나, 그 관심 이상으로 진로 교육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지 않아 학생들의 특기, 능력, 적성 등을 고려하여 지도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둘째, 진로상담의 저해요인으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것은 상담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과 상담 기법의 부족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시간 부족과 업무량과다, 상담실의 시설부족 및 학생수의 과다, 동료 교사의 이해 부족 등으로 나타났다. 그래서 진로교육을 위해 가장 필요한 것은 상담에 관한 전담교사이고, 정책적인 배려와 지도자료의 확보도 필요하며, 연수교육도 필요하다고 나타났다. 그리고 활발한 상담활동을 위해서 가장 중요한 것은 수업시간의 경감을 꼽고 있다. 셋째, 학생에 대해서는 상당수의 학생들이 선생님과 직업 및 진로에 대하여 상담해 본 경험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진로 및 직업에 대한 상담을 한다면 부모·가족에게 하고 싶다는 학생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는 친구, 담임선생님, 상담교사로 나타나 학생들의 진로교육에 있어 교사들의 관심이 무엇보다도 중요하겠다. 넷째, 대부분은 장래 및 직업과 관련된 교육이 필요하다고 생각하고 있지만 필요하지 않다고 생각하는 학생도 꽤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그러한 교육활동의 필요성을 인식시켜야 하겠다. 학교에서의 바람직한 진로지도에 대한 학생들의 의견은 적성과 능력에 맞는 지도가 우선되어야 한다고 하였고, 학생들이 상담실 이용에 관심을 가지게 하기 위해서는 철저한 비밀유지, 상담실 분위기 조성, 상담 후 문제 해결 방안 제시, 과중한 학습부담 줄이기, 전문 상담 선생님, 전용상담실 등이 절실히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진로지도에 대한 애로사항에 대해 많은 선생님들이 특수분야에 대한 정보가 부족하다라고 응답하였고, 특정 분야의 직업인들을 방문하여 대화한 경험을 살펴보면 많은 선생님들이 대화를 나눈 경험이 없는 것으로 나타나 선생님들의 진로교육의 대한 지식이 요구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진로교육 프로그램 일반화 자료를 각 학교별로 제공받아 교사들이 충분히 숙지한 후 학생들에게 자기를 탐색하고 자기 특성에 맞는 진로를 발견할 수 있도록 진로 시간을 운영하면 좋겠다. 둘째, 진로 체험이나 견학 학습을 통해 더욱 더 짜임새 있는 내실화를 통하여 학생들이 일과 직업 세계에 대해 이해할 수 있도록 실업교육이 되었으면 좋겠다. 셋째, 현재 교사들이 학생들의 진로상담에 보다 많은 관심을 기울여야하며 체계적인 교육을 시행해야 하겠으며, 특히 진로상담 자격증을 갖고 있지 않은 젊은 층의 교사들을 중심으로 더욱더 적극적으로 실천할 수 있도록 현장교육을 실시하여야 하겠다. 넷째, 학생들의 특별 활동을 장려해야 한다. 특별 활동은 교과와 상호보완적 관련 속에서 학생의 심신을 조화롭게 발달시키기 위하여 실시하는 교과 이외의 활동이다. 특별 활동의 교육과정은 자치 활동, 적응 활동, 계발 활동, 봉사 활동, 행사 활동 등이 있다. 각 영역별 구체적 활동 내용은 지역의 특성과 학교의 실정에 알맞게 선정되어야 한다. 특히 적응 활동 영역에서 진로 활동을 내용으로 하는 특별 활동 프로그램을 운영이 절실히 필요하다. 다섯째, 진로교육을 위한 자료에 대한 것으로 현재 자료 구비 현황을 보면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상담에 대한 교사의 관심을 높이도록 하고 정부와 관련기관의 적극적인 참여와 지원으로 진로교육에 필요한 자료 확충에 힘써야 하겠다. 여섯째, 선생님들의 진로지도에 대한 연수나 강의를 받은 시기를 보면 대부분의 선생님들은 일반연수에서 받았다.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진로교육의 방법을 지속적으로 개선하고, 진로교육 담당자의 자질을 함양하기 위하여 교육부 지정 진로교육 시범학교를 지정·운영하여 진로교육 담당자에 대한 연수를 연차적으로 확대 실시해야 한다. 일곱째, 직업 및 진로에 대해서 상담한 경험이 없는 학생들이 대부분인데 이러한 점을 해결하기 위해 될 수 있으면 학생들이 원하는 방법으로 수업시간외에 주기적인 상담시간을 마련하여 학생들이 상담에 대한 거부감을 줄이고 많이 활용할 수 있도록 해야겠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iagnose and analyze the realties of the management of the course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and its improvements in a diversified aspect. The specific goals may be summed up as follows. 1. to check how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recognize the course education and the counselling information and materials they use during the work. 2. to check how students recognize their future course and whether they know the importance of consulting teachers and parents with their future matters or not. 3. to check what the parents want their children to be in the future and the specific standards they have when selecting their children's future. The main contents of this study are : 1)According to the teachers' real consciousness on this matter, the course education must be started from the beginning of the primary education. The usual problems from the students are apt to be peer relationship or matters with the opposite sex. The aptitude and ability of children must be the top priority of course education. The obstacles to course education are lack of technical knowledge,counselling methods, and proper materials. Particularly counselling materials don't be used much under the current grand curriculum. 2)Students have experiences to think about their future job. The most favorite job is the professional ones based on their aptitude and ability. The knowledge of their aptitude and interest is usually notified by the measurement test. When they have problems in their future course, they are likely to consult their parents about the matters. They say they have just few chances of consulting teachers in school about their future job and their aptitude. They prefer to discuss their future career and course with parents and family members from now on and they want to talk over the matters related to their character and academic records with teachers. 3) Parents prefer college entrance to getting job. Both must reflect their children's aptitude and ability. They get chances of talking with their children about their future course in a sporadic way. They want to have a conversation with their children about the selection of their children's future career. Of course, it must be based on children's aptitude and ability. They want their children to get promising job in the future when they start out their career. They think it is effective to discuss children's problems with teachers. The improvements of all these problems above are : 1) Students, teachers and parents have a continuous interest in students' future career and course. We cannot put off an effective course education founded on students' specialty, aptitude and ability anymore. 2) We need teachers to deal exclusively with students' future career and course and we can't overemphasize the importance of securing the appropriate policy, counselling information and materials and enough technical training courses. Most of all, the reduction of class times is required to activate course education. 3) Teachers have to build up their character and fundamental ability and keep an enduring interest in course education. 4) Space exclusively used for counselling must be installed. To keep attracting students into that area, teachers must make their great efforts to observe students' secrecy, create a proper atmosphere for counselling and present good solutions for their problems. 5) We need training programs for course education and counselling first of all.

      • 교육경력과 국어전공 여부에 따른 초등교사의 국어과 듣기·말하기 평가에 대한 인식과 수행

        김용선 공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9663

        이 논문은 교육경력과 국어전공 여부에 따른 초등학교 국어교육의 듣기․말하기 평가에 대한 교사들의 수행과 인식에 관한 연구이다. 연구자는 지금까지의 교육경험을 통해 학교 현장에서 듣기․말하기 평가가 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고 판단하였고 그 실태와 이유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우선 듣기․말하기 평가와 관련된 교육과정의 요구와 기존 연구자들의 논의를 알아보았다. 그리고 이러한 요구를 듣기․말하기 평가 현장과 비교해 볼 때 둘 사이에는 상당한 괴리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 알아보기 위해 실제 수업장면을 분석하고 수업한 교사와의 면담을 통해 교사의 듣기․말하기 평가의 수행과 인식에 대해 조사하였다. 교사들은 듣기․말하기 수업에서 평가에 대해 그리 많은 고민을 하고 있지 않았고, 평가 장면에서도 교육과정에서 요구하는 수준의 평가를 수행하고 있지 못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그 원인으로는 듣기․말하기 평가와 관련된 현장에서의 연수 부족, 국어교육에 대한 교사의 관심 부족 등이 있었다. 설문을 통하여 듣기․말하기 평가의 수행에 교사의 경력과 국어교육전공여부가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알아보았다. 설문 결과, 경력이 많은 초등학교 교사들이 그렇지 않은 교사들에 비해 교육과정의 듣기․말하기 평가 의도와 방법을 잘 알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비해 국어를 전공한 교사와 그렇지 않은 교사의 차이는 뚜렷하지 않았다. 또한 경력이나 국어교육전공여부에 상관없이 현장에서 많은 교사들이 듣기․말하기 평가가 정량화하기 어렵다는 이유로 잘 이루어지지 않는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초등학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듣기․말하기 평가의 질이 대학 또는 대학원에서의 국어교육의 전공여부에 따라 차이나지 않고 현장에서의 연수나 교사 스스로의 노력이 얼마나 있느냐에 따라 달라짐을 알 수 있었다. 이런 결과는 국어교육을 전공한 교사를 비롯한 국어교육과 관련된 교육자들의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왜냐하면 많은 사람들이 국어를 전공한 교사가 그렇지 않은 교사보다 듣기․말하기 평가를 더 잘 이해하고 수행하기를 기대하기 때문이다. 또한 질 높은 듣기․말하기 평가를 위해 교사들이 교육과정에서 요구하는 듣기․말하기 평가를 잘 수행하기 위한 현장 친화적인 교육환경이 마련되어야 하겠다.

      • 제7차 교육과정에 의한 고등학교 음악 교과서 창작영역 분석 연구

        김현주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9663

        국문초록 제 7 차 교육과정에 의한 고등학교 음악 교과서 창작영역 분석 연구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김현주 제7차 고등학교 음악과 8종의 교과서 중 창작영역에 관한 내용을 교육과정 창작영역의 내용과 비교 분석 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8종 교과서 수록 내용을 분석한 결과 그 백분율은 가창 34.13%, 감상 25%, 이해 20.13%, 기악 8.38%, 창작 8.25% 순이었는데 이는 가창, 감상, 이해 부분의 내용과 기악, 창작 내용의 비율이 상당한 차이를 보이고 있고, 각 영역의 균등한 교수-학습 구성에 적합하지 않은 비율이라 하겠다. 둘째, 교육과정의 내용체계에 제시된 학습요소인 즉흥적으로 표현하기, 여러 유형으로 변주하기, 형식에 맞춰 가락 짓기, 음색을 선택하여 표현하기, 지은 곡을 듣고 평하기의 내용이 각각 교과서마다 대체로 고르게 수용되었다고 볼 수 있으나 그렇지 않은 교과서가 있었고, 특히 음색을 선택하여 표현하기는 세광출판사와 현대출판사를 제외한 6개의 교과서에는 수록되지 않았다. 그리고 각 교과서마다 ‘여러 유형으로 변주하기’는 전통음악 변형장단 만들기의 내용이 주를 이루었으며, ‘즉흥적으로 표현하기’는 ‘메기는 소리를 즉흥적으로 표현하기’의 내용이 주를 이루어서 이 두 영역은 다양한 학습 방법이 제시되지 않았다고 할 수 있다. 셋째, 교육과정의 내용체계에 제시된 학습요소 이외의 내용들이 수록되었는데 특히 ‘편곡하기’의 내용이 전체적으로 고르게 수록되어 있고, 이는 창작영역 학습의 접근 방법으로 좋은 효과를 가졌기 때문이라고 하겠다. 넷째, 창작영역의 활동이 다른 영역의 통합적 활동으로 제시되어 있는 경우가 많았고 이는 구 교육과정 교과서와 다른 점이었다. 특히 두산 판에는 ‘통합 학습’과 ‘영역별 학습’의 두 항목으로 나누어 편집되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살펴본 제7차 고등학교 음악과 8종 교과서는 교육과정의 개정 방향과 내용 및 특징을 대체로 반영하고 있는 교과서로 평가되나 일부 교과서들은 몇 개의 학습요소들이 제외되었는가 하면, 수록 내용도 타 영역보다 미흡함이 있어 현직교사로 하여금 보완하고 재구성하여 교수-학습 안을 구성하는 후속 조처가 요구된다. ABSTRACT A study on The Analysis of Composition of Music Presented in High School Textbooks in the 7th Edition of the Educational Curriculum Dept.of Music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ong-ju University Kim, Hyoun-ju The analysis of the contents in the field of the composition of Music presented in 8 High School Textbooks and comparison with those of the 7th Edition of the Educational Curriculum make us reach this conclusion: First, the percentage of the contents in 8 High School textbooks are 'singing songs 43.1%, appreciation 25%, comprehension 20.13%, instrumental music 8.38% and composition 8.25%. This shows a considerable difference in the field of singing, appreciation and comprehension, and that of instrumental music and composition. And this also shows an inadequate percentage in the sense of synthetic music education. Second, 'extempore expression', 'change of rhythm in various style', 'making melody according to regular rules', 'selecting tone to express', 'listening music composition and valuation', which are presented in the 7th Edition of the Educational Curriculum, are evenly accepted in most textbooks, but not all. In particular, the field of 'selecting tone to express' is not presented in 6 textbooks except two publishing companies, Sekwang and Hyundai. And in all textbooks, 'change rhythm in various style' is mainly filled with the contents of 'change Korean traditional rhythm'. And 'extempore expression' is mainly filled with extempore expression of lead song, and these two fields don't present various ways of learning. Third, an arrangement, the content which is not included in the 7th Edition is presented in most textbooks, which is helpful to study the field of composition. Fourth, in many cases, composition is presented as a synthetic music activity, and this is different from former Edition of Educational Curriculums. In particular, 'Dusan's textbooks divide the content into synthetic study and spherical study. The study of 8 High School textbooks in the 7th Edition of Educational Curriculum shows that most textbooks reflect the right path of reform and characteristic of the 7th Edition, but a few don't reflect all the studying points, and the contents of some textbooks are not satisfactory. So it is recommended for the teachers to rearrange the contents of the textbooks to complement the insufficient parts.

      • 학교 및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 출제된 생물Ⅰ문항 비교분석

        유재석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에서는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학교 정기고사와 국가 수준의 학업성취도 평가와 대학수학능력 시험의 평가문항을 지식 영역과 탐구 영역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이에 대한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수학능력 시험과 학교 정기고사에서 모두 내용 영역별 출제 비율이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단원의 출제 내용이 특정 중단원에 편중되어 있다는 것이 문제점으로 나타났다. 교과서 및 교육과정에서 제시되고 있는 내용이라면 교육과정의 한 부분인 평가에서 다루어져야 하므로 단원별 배분 문제는 출제시 충분한 고려가 필요하며, 고른 영역을 출제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사료된다. 둘째, 내용 영역에 있어서 전체적인 출제의 경향과 단원별 출제 요소를 보면, 대학수학능력 시험의 출제 방향에 학교 정기고사가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수학능력 시험은 학교 교육과정에 대한 학업성취 수준을 측정하는데 근본 목적을 두고 있으며, 교육과정을 충실히 반영하고 있어야 한다. 따라서 교사들은 대학수학능력 시험을 위한 출제를 지양하고 교육과정에 바탕을 둔 출제를 지향하여야 할 것이다. 셋째, 행동 영역에 있어서 학교 정기고사에의 출제 경향은 과학 지식 영역에 치중되어 있다. 현대의 과학교육은 탐구 학습을 강조하고 있으며, 학생들의 탐구 능력 신장을 가져오기 위해서 탐구 영역에 대한 출제 비율을 높여야 할 것이다. 또한 과학 지식 영역에서도 기억 영역보다 이해 및 적용 영역의 출제 비율을 늘이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사료된다. 넷째, 대학수학능력 시험에서는 과학 탐구 영역의 출제 비율이 높았다. 하지만 과학 탐구 영역 중 자료해석 영역에만 편중되어 있다는 문제점이 나타났다. 학교 교육과정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점을 생각하고, 올바른 탐구 능력의 신장을 가져오기 위해서, 평가는 모든 행동 영역을 반영하고 있어야 할 것이며, 이를 위해 더욱 고른 영역의 출제가 필요하다. 본 연구의 결과 나타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일선 교사들의 인식의 변화와 더불어 올바른 평가를 위한 부단한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또한 교육과정 및 교육의 변화를 현장에서 충실히 소화할 수 있도록 현장 교사들을 위한 지속적인 연수와 탐구 영역 평가를 위한 도구를 개발하고, 이를 활용하기 위한 지침서와 안내를 위한 지역교육청과 국가 수준에서의 노력도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regular high school exams,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and the exam questions of SAT(Scholastic Aptitude Test). Here are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 there are different percentage of exam questions about all the contents in both SAT and regular high school exams. In addition, there is another problem that the exam questions of big-size units are concentrated on specific middle-size units. It is desirable to set exam questions under careful consideration of the unit distribution about exam questions. Because the contents which are presented in textbooks and the curriculum should be dealt in the exam questions of the assessment, a part of the curriculum. Second, comparing the trend of exam questions in the content domain with question elements of each unit, regular high school exams are affected by the trend of SAT. The purpose of SAT is based on measuring a standard of educational achievement of school curriculum. In that reason, SAT should faithfully reflect the curriculum. Therefore, teachers must aim for the exam questions based on the curriculum and the exam questions only for SAT should be rejected. Third, in the behavior domain, the trend of school exams are concentrated on science knowledge domain. Current science education emphasis on inquiry learning. To develop students' abilities of inquiry the percentage of exam questions in inquiry domain should be increased. And it is desirable to increase the percentage of comprehension and application in the science knowledge domain. Fourth, the percentage of science inquiry domain is high in SAT. But there are still problems that questions from the domain of science inquiry are focused too much on the data construction domain. In order to develop students' abilities of inquiry assessment should be reflect all the domains and it needs to make questions from all around the domains. To improve the problems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schoolteachers have to make better efforts for the proper exams while they should change their point of views about the assessment. Furthermore, all schoolteachers must attend the training courses persistently to adapt themselves to the current curriculum and the educational situations. They also have to develop the frame of inquiry domain assessment. And all the effort which includes making guidebooks and supporting should be accomplished to use the frame at the level of the local educational office and the government.

      • 다문화사회의 시민성 육성을 위한 초등학교 3학년 사회과 생활문화사 교육과정 재구성 방안 : 의식주 생활 영역을 중심으로

        정용진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9663

        A study on the 3rdgrade Elementary Social Studies and Living Culture Curriculum to Foster Multi-Cultural Citizenship Focus on Basic Living Elements (Clothes, Food, Housing) Jeong, Young Jin Gong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This paper aims to study the direction of constructing traditional culture education in the curriculum of 3rdgrade elementary social studies to foster citizenship, which is required in multi-cultural society. Korean society has recently turned into a multi-racial and cultural society without cultural and educational preparation due to the rapid increase in population of migrant workers and those who have come because of marriage. It is desirable that the direction of education for multi-culture has changed. The government, which has been supportive, has also helped multi-cultural families adjust to Korean society, and most students understand and support it. However, it is only a one-time program and is not even included in the history curriculum. Because traditional culture in the 3rdgrade traditional living culture curriculum has been described as a typical stereotype of Korean tradition and homogeneous culture, it can not present the point that traditional culture has constantly changed by accommodating other cultures and that it continues to change. In order to overcome these limitations and discuss citizenship, which is required in a multi-cultural society,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raditional culture with a multi-cultural perspective and to construct new elementary curriculum for traditional culture education in elementary social studies. It is because the curriculum that has been setup as traditional living culture was completed in the latter part of the Joseon Dynasty, and the class which focuses on the though t of it belonged to us. This denies the newly created traditional living culture in the latter part of Joseon Dynasty, which gives a negative feeling about accepting other cultures. This paper aims to understand and analyze the 3rdgrade living culture textbook and teacher’s guide with a multi-cultural and integrated perspective so that the curriculum can be reconstructed. Multi-cultural society requires citizens to acquire knowledge about various cultures, to have an attitude of existing together with many ethnic groups and nations, and an ability to solve the problems of multi-cultural society and social participation for peaceful co-existence. To bring up this citizenship issue, the curriculum for traditional culture education in the elementary social studies must consist of integrating thematic issues like traditional culture, place and environment, consistency and change, and relations with other nations. Key words: multi-cultural society, multi-cultural education, homogeneous culture, multi-culturalism, multicultural citizenship. 다문화사회의 시민성 육성을 위한 초등학교 3학년 사회과 생활문화사 교육과정의 재구성 방안 - 의식주 생활영역을 중심으로 - 정 용 진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역사교육학과 논문 요약 이 논문은 다문화사회에서 요구되는 시민성을 육성하기 위해 초등 3학년 사회과의 전통문화교육과정을 구성하는 방향에 관해 탐색한다. 최근 한국사회는 문화적, 교육적 준비가 없는 상태에서 이주노동자와 결혼이주민의 급속한 증가로 인해 다종족, 다문화 사회로 빠르게 진입하고 있다. 다문화 교육의 방향이 다문화 가정과 그 가정의 학생들을 한국 사회에 적응을 위한 지원 사업에서, 다수 학생들이 다문화 가정의 문화를 이해하고 배려하는 것으로 나가고 있음은 바람직하다고 하겠다. 하지만 그 다문화 이해 교육이 일회성 프로그램에 머물러 있고, 역사과 교육과정 속에서는 나타나지 않는다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 초등학교 3학년 전통생활문화사에서는 여전히 정태적 전통관과 단일문화주의적 관점에서 서술되고 있어 전통문화라는 것이 끊임없이 다른 문화를 수용하여 변화하여 온 것이고, 오늘날도 계속 변화해 나가는 것이라는 관점을 제시해 주지 못하고 있다. 이런 한계를 극복하고 다문화사회에서 요구되는 시민성을 육성하기 위해서는 역동적 전통관과 다문화주의적 관점에서 전통문화를 이해하고, 그것에 기초하여 전통문화 교육과정을 새롭게 구성하는 것이 필요하다.전통생활문화를 조선 후기에 완성된 것으로 설정하고, 그것을 우리만의 고유한 것으로 생각하게 한 수업은 조선 후기 이후에 새롭게 생성된 전통생활문화를 부정하는 것이 되고, 또 다른 문화를 받아들이는 것에도 부정적인 관점을 주기 때문이다. 이 논문은 역동적이고 다문화주의적 관점에서 초등학교 3학년 사회과 생활문화사 교과서와 교사용지도서를 이해하고, 분석하여 교사의 눈으로 재구성해 보고자 한다. 다문화사회는 여러 인종이나 민족 및 다양한 문화들을 비교 이해하고, 그들과 상호작용하며 공존하는 태도를 형성하고, 다문화사회의 문제들을 합리적으로 해결하는 시민의 자질을 요구한다. 이런 다문화적 시민성을 기르기 위해 초등 사회과의 전통문화 교육내용은 ‘문화’ 주제에서 전통생활문화를 다루고, 전통생활문화를 ‘장소와 환경, 지속성과 변화, 다른 국가와의 상호관계’라는 주제와 연결해 통합적으로 구성해야 한다. 또한, 학생들 생활 이야기로 수업을 구성하고, 수업을 타 교과와 수평적으로 연계해서 구성해야 한다. 주요어: 다문화사회, 다문화교육, 전통문화교육, 단일문화주의적 관점, 다문화주의적 관점, 다문화적 시민성

      • 과학교과와 기술·가정교과의 중복 및 연계성을 위한 교육과정 및 교과서 비교 분석 연구 : 전기분야를 중심으로

        김세기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9663

        ABSTRACT Comparative Analysis on Middle School Curriculum and Textbooks for Overlapping and Consistency between Subjects of Science and Technology·Home Economics - With Reference to Electricity - Kim Sei-Ki Department of Physics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ongju National University The purpose of the study is comparative analysis on the 7th middle school curriculum and textbooks for overlapping and consistency between the subjects of science and technology·home economics especially focused on the learning contents of electricity part. We have used four 8th garde science textbooks, five 9th grade science textbooks, and six 9th grade technology·home economics textbooks to analyze the overlapping and consistency between the contents of these two subjects. The detail analysis on the contents of textbooks are ① list of contents about 'electricity' section in published 8th grade science textbooks, ② list of contents about 'how current works' section in published 9th grade science textbooks, ③ list of contents about 'fundamentals of electricity and electrical wiring', 'electrical lightening', 'safe usage and inspection of electricity', etc. sections in published 9th grade technology·home economics textbooks, ④ over all ordering of detail contents in electricity, and ⑤ rationality of learning order and redundantly overlapped contents among textbooks between two subjects. The analyzed results and suggestions are as follows: 1. In order to find the rationality of learning order we have investigated the middle school curriculum about electricity part in the subjects of both science and technology·home economics. The sequence of 8th grade and 9th grade middle school science curriculum about electric power, voltage, resistance, voltmeter, ammeter, Ohm's law, series/parallel connection of resistance, and 9th grade middle school technology·home economics curriculum about the electrical wiring, electrical lighting, appliances and safe types of usage and inspection, and finally leading to real life applications of electricity, etc is appropriate in the point of view of the learning order apparently. 2. The analysis of detail contents in both subjects of science and technology·home economics shows that science subject is more emphasized on the basic theory of scientific disciplines to study clearly regarding demonstrating the significant and loyal to the basic concepts. The technology·home economics subject is more emphasized on the techniques being used in real-life consumer safe use of equipment and also including inspection and repairing electrical appliances comparatively. 3. Although the 8th grade students have learned the fundamental theory of electricity, the 9th grade students are having difficulties to learn the electricity part in technology·home economics subject. The reason might be due to a semester gap period between 8th grade science subject and 9th grade technology·home economics subject with reference to electricity part. 4. The detail analysis between contents of all textbooks for both science and technology·home economics subjects shows that there are some differences in the title of sections of among textbooks but the detail contents of each textbook are very faithful and consistency without missing concepts and basic theories of electricity reflecting every attribute of the middle school curriculum. From the above results our suggestions to overcome such students' learning difficulties on the electricity part for both subjects are as follows. Firstly, the 8th grade science curriculum about the electricity may be fine, but the 9th technology·home economics curriculum should be continue without a long-term break from the 8th science subject to avoid losing concepts of electricity during the break and direct connecting the basic concepts to its' applications. Secondly, in order to link teaching and learning these two subjects more effectively the overlapped basic theories of electricity in the technology·home economics subject can be omitted to save the teaching time. Thirdly, the cooperation between two subjects are very important to keep students' interest on the electricity which is becoming more important in daily life of their future. 초록 과학교과와 기술·가정교과의 중복 및 연계성을 위한 교육과정 및 교과서 비교 분석 - 전기 분야를 중심으로 -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물리교육전공 김 세 기 본 연구에서 사용된 교과서는 제7차 교육과정에서 사용하고 있는 중학교 2학년 과학 교과서 2학년 4종, 3학년 5종과 중학교 3학년 기술․가정 교과서 6종을 선정하였다. 연구 과제는 7차 교육과정의 중학교 2, 3학년 과학 교과와 중학교 3학년 기술․가정 교과의 내용 중에서 전기 관련 내용들을 비교 분석하여 중복 및 개선할 점들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각 교과서의 내용 구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① 2학년 과학 교과의 ‘전기’ 단원 내용들에 대한 출판사별 교과서의 세부적 나열, ② 3학년 과학 교과의 ‘전류의 작용’ 단원 내용들에 대한 출판사별 교과서의 세부적 나열, ③ 3학년 기술․가정 교과의 전기․전자 기술 단원 내용들에 대한 출판사별 교과서의 세부적 나열, ④ 교과별 전기 관련 세부적 내용 순서 나열, ⑤ 교과별 이수 순서의 합리적 여부 및 중복의 여부를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및 제언은 다음과 같다. 1. 학습 시기에 따른 순서상 문제점 고찰 결과는 중학교 2학년 과학 교과에서 전기의 기초 이론인 전원, 전압, 저항, 전압계, 전류계, 옴의 법칙, 저항의 직렬·병렬 연결 등을 배우고 중학교 3학년 기술·가정 교과에서 전기 기초 이론과 전기 배선과 조명, 가전 기기의 종류 및 안전한 사용법, 점검 등 실 생활의 응용으로 이어지기 때문에 학습 순서상으로는 문제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2. 과학 교과와 기술·가정 교과의 전기 분야 내용을 검토한 결과 과학 교과는 기초 이론을 명확하게 학습하도록 기본 개념들에 충실하였음을 보여주고 있고, 기술·가정 교과에서는 기초 이론보다는 실생활에 사용하고 있는 가전 기기들의 안전한 사용법, 점검 및 수리 등 응용 전기 분야에 비중을 많이 두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 학생들이 중학교 2학년 과학 교과에서 전기 기초 이론을 학습하였음에도 3학년 기술·가정 교과에서 전기 응용 분야의 내용을 어려워하는 원인을 분석해 본 결과 학생들이 중학교 2학년 과학 교과에서 전기 기초 이론을 학습한 후 한 학기만큼의 전기 분야 학습의 공백 기간이 지나서 전기 응용 분야의 학습을 하는 것이 이유인 것 같다. 4. 교과별 전기 분야의 각 교과서의 세부 내용들의 차이점들에 대한 분석 결과는 중단원들의 제목은 교과서마다 특성 있게 사용되었지만 세부 내용들은 기본 이론에서 벗어나거나 누락된 것이 없이 모든 교과서들이 충실하게 내용수록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학생들이 전기 분야의 학습을 어렵게 대하지 않고 학습에 충실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제언 하고자 한다. 첫째, 중학교 2학년 과학 교과에서 전기의 기초 이론 학습은 현행대로 기 본 개념을 습득하도록 진행하고, 바로 긴 공백 기간 없이 기술·가정 교과의 전기 응용 분야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연계하는 방법을 모색해야 한다. 둘째, 과학 교과와 기술·가정 교과의 연계 학습이 이루어지면 기술·가정 교과에서 중복되어 나오는 전기 기초 이론은 삭제하여 학생들의 비효율적인 재학습 시간을 줄이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셋째, 미래는 현재보다 더 많은 전기가 사용될 것이 명백함으로 전기 분야에 흥미를 잃지 않도록 두 교과는 깊이 있게 협조하여 학생들의 전기 분야 학습에 최선을 다 하여야 할 것이다.

      • 멀티미디어를 활용한 중학생의 가창학습에서 남녀학생의 차이

        노인화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9663

        국문초록 멀티미디어를 활용한 중학생의 가창학습에서 남녀학생의 차이 노인화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가창은 음악교육에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영역 중의 하나이다. 전통적인 가창교육은 교사의 반주에 맞추어 따라 부르기 형태였다. 그러나 이러한 교육 방법은 학생들의 흥미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기가 어렵다. 7차교육과정에서는 다양한 악곡과 음악 활동을 통하여 음악성과 창의성을 기르고, 음악적 정서를 풍부하게 하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다. 또한 가창을 창의성을 기르는 중요한 수단으로 채택하고 있다. 7차 교육과정에서는 이러한 다양성 있는 가창교육 방법으로 멀티미디어 활용 교육을 권장하고 있다. 멀티미디어는 소리, 비디오, 이미지 등과 같은 다양한 요소를 제시할 수 있기 때문에 복합적인 교육 매체로 볼 수 있다. 이러한 멀티미디어를 통해 부르기, 지휘, 듣고 평하기 등과 같은 가창 교육의 영역을 효과적으로 지도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중학교 2학년 가창교육을 위한 멀티미디어 학습자료를 제작하고 이를 활용한 수업을 했을 때 가창 능력과 가창에 대한 흥미도가 향상된 정도를 조사하였다. 또한 남학생과 여학생이 어떤 차이를 보이는 지도 조사하였다. 멀티미디어 학습자료는 가창에 대한 학습 안내자료, 가창에 필요한 음악파일 자료, 학습자 의견 제시 자료 등으로 구성하였다. 학습 안내 자료는 악곡의 특성, 가창 방법 등에 대한 자료이며 파워포인트로 작성하였다. 가창에 필요한 음악파일 자료는 wav, rm, mp3 등으로 구성된 사운드 자료이다. 학습자 의견 제시 자료는 웹을 통해 학습자의 의견을 제시할 수 있는 웹게시판이나 웹자료실 형태이다. 이들 자료는 CD Player, VTR, PC 등을 통해 학습자에게 제시되도록 하였다. 가창 능력에 대한 검사를 멀티미디어 수업전과 후로 나누어 실시한 결과 수업 후에 의미 있게 증가하였다. 멀티미디어를 활용해 수업을 한 후 남학생과 여학생의 가창 능력 변화를 비교해본 결과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해 학습효과가 컸다. 가창에 대한 흥미도에 대한 검사를 멀티미디어 수업전과 후로 나누어 실시한 결과 가창에 대한 흥미도가 수업 후에 의미 있게 증가하였다. 흥미도 변화에서는 남학생과 여학생의 차이가 별로 없었다. ABSTRACT The Gender Effect on the Vocalism Learning with Multimedia Program in the Middle School Nho, Ihn Wha Major in Music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Kongju National University Chung-Nam, KOREA Supervised by Professor, Lee Joo Keyoung The vocalism is one of the major part in the music education. The pattern of the traditional vocalism education was sing along style. But this education method could not induce the students' interest and active participation. The goal of the 7th curriculum is improvement of the musical talent and the originality and making the musical emotion plentiful by musical activity with various piece of music. In this curriculum, the vocalism was adopted important method for improving the originality and the education method using the multimedia was encouraged for the variety of vocalism education. The multimedia can be regarded as educational complex media because it can present various element like as sound, video and image. This study intended to compare the students' ability and interest on the vocalism before the class on the vocalism with after the class. Also, this study investigated the gender effect on the vocalism. The multimedia learning materials were composed with learning guide on the vocalism, midi file and internet bulletin board for students' idea presentation. The learning guide was formed with character of musical piece and vocalism and its making program tool was powerpoint. The midi files were formed with sound files like as wav, rm, mp3. The internet bulletin board were prepared for students' idea presentation and files' upload. The multimedia learning materials could be present to the student by CD player, VTR and PC. The results are follow as; The students' vocalism ability after the class showed better than before the class. Also, it was proved that the females' learning effects after the multimedia class on the vocalism were better than males'. It was revealed that the interest on the vocalism was increased meaningfully after the class. But the gender effect on the vocal interest could not be foun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