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대학생의 인성수준과 대인관계능력과의 관계에서 분노조절의 매개효과
신명수 가야대학교 행정대학원 2021 국내석사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eek for an alternative that can improve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capability of the university student by verifying the mediating effect of the anger control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sonality level and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capability of the university student. For the measurement of the personality level, the scale for the use with the university students that had been developed by Kim, Seon-joo(2017) based on the core value virtue in the Personality Education Promotion Act had been used. Regarding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capability, the tool that had been developed by Waner(2007), which had been adapted by PSI Consulting in Korea, which, then had been revised by Chung, Tae-yeong(2011) had been used. Regarding the anger control, from the scale(STAXI-K) that had been developed by Chun, Gyeong-goo et al.(1997) as the Korean version based on the condition-characteristic anger expression scale that had been developed by Spielberger, Krasner, and Solomon(1988), the 8 questions that pertain to the anger-control had been used. Regarding the analysis of the data, by using the SPSS 22.0 statistical program, the reliability analysis, the frequency analysis, the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the t-test and the ANOVA, the correlation analysis, and the regression analysis that is based on the mediation model of Baron and Kenny (1986) had been carried out. If I were to summarize the results of the research, firstly, the averages of the personality level and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capability of the university student was 3.98 points and 3.81 points, respectively, based on the full score of 5 points. And the average of the anger control was 3.02 points based on the full score of 4 points. Secondl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personality level,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capability, and the anger control of the university student, it was possible to know that most of the correlations between each variable were the significant correlations on the level of p<0.001. Thirdly, the personality level of the university student had given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capability(p<0.001). Or, in other words, it appeared that, the higher the personality level(β=.623), the higher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capability got. And the explanatory power(adjR2) was 38.6%. Fourthl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influences of the sub-factors of the personality level on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capability, it appeared that, the higher the communication(β=.124), thoughtfulness(β=.290), cooperation(β=.138) and responsibility(β=.349), the higher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capability got. And the explanatory power was 45.8%. Fifthl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influence of the personality level on the anger control, it appeared that, the higher the personality level(β=.527), the higher the anger control got. And the explanatory power was 27.5%. It appeared that, among sub-factors of the personality level, the higher the honest(β=.176), communication(β=.222), and responsibility(β=.195), the higher the anger control got. Sixthl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influence of the anger control on the interpersonal relation ship capability, it appeared that, the higher the anger adjustment (β=.415), the higher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capability got. And the explanatory power was 16.9%. Seventhl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ntire personality level of the university student and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capability, the partially mediating effect of the anger control was confirmed. And, in a Sobel-test,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confirmed. Eight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mediating effect of the anger control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ub-factors of the personality level and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capability, it appeared that, among the sub-factors, the communication and the responsibility had the partially mediating effects. And, in a Sobel-test,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confirmed. If I were to propose a few thing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research, they are as the following. Firstly, for the improvement of the personality level of the university student, by generally considering the contents, including the identity, the communication capability, the sympathizing and solidarity capabilities, the community awareness, etc., the development of a personality education program must be pushed ahead. Secondly, for the improvement of the anger control capability of the university student, an anger control program that integrally carries out the self-awareness regarding an anger situation, the cognitive bias, the misinterpretation self-awareness, the execution and practise of a positive alternative, etc. on the level of the university must be invigorated. Also, there is a need to aggressively push ahead with the conversation skills, the sympathization training, the emotional expression, the listening closely, the argument training, etc. through a social skills promotion program. Lastly, regarding this research, it has the meaning with regard to the point that, by confirming the mediating effect of the anger control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sonality level and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capability of the university student, an educational program for the improvement of the personality level had been developed and a basic material with regard to the preparation of a practical intervention plan for the control of the anger emotion had been provided. <국문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인성수준과 대인관계능력과의 관계에서 분노조절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여 대학생의 대인관계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대안을 모색하는 데 있다. 인성수준의 측정은 김선주(2017)가 인성교육 진흥법의 핵심가치덕목에 근거하여 개발한 대학생용 척도를 사용하였다. 대인관계능력은 Waner(2007)가 개발하고 국내의 PSI컨설팅이 번안한 도구를 정태영(2011)이 수정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분노조절은 Spielberger, Krasner와 Solomon(1988)가 개발한 상태-특성 분노표현척도에 기초하여 전겸구 외(1997)가 한국판으로 개발한 척도(STAXI-K) 중 분노조절(anger-control)에 해당하는 8문항을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2.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신뢰도 분석과 빈도분석, 기술통계 분석, t-검정과 ANOVA, 상관관계 분석, Baron과 Kenny(1986)의 매개모델에 근거한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대학생의 인성수준과 대인관계능력의 평균은 5점 만점기준으로 각각 3.98점과 3.81점이었으며, 분노조절의 평균은 4점 만점기준으로 3.02점이었다. 둘째, 대학생의 인성수준과 대인관계능력, 분노조절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각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는 대부분 p<.001 수준에서 유의한 상관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대학생의 인성수준은 대인관계능력(p<.001)에 유의한 영향을 주었다. 즉 인성수준이 높을수록(β=.623) 대인관계능력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설명력((adjR2)은 38.6%이었다. 또, 인성수준의 하위요인이 대인관계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소통(β=.124), 배려(β=.290), 협동(β=.138) 그리고 책임(β=.349)이 높을수록 대인관계능력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설명력은 45.8%이었다. 넷째, 인성수준이 분노조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인성수준이 높을수록(β=.527) 분노조절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설명력은 27.5%이었다. 인성수준의 하위요인 중에는 정직(β=.176), 소통(β=.222), 책임(β=.195)이 높을수록 분노조절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분노조절이 대인관계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분노조절이 높을수록(β=.415) 대인관계능력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설명력은 16.9%이었다. 여섯째, 대학생의 인성수준 전체와 대인관계능력과의 관계에서 분노조절의 부분매개효과를 확인하였으며, Sobel-test에서 통계적 유의성이 확인되었다. 일곱째, 인성수준 하위요인과 대인관계능력과의 관계에서 분노조절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하위요인 중 소통과 책임이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Sobel-test에서 통계적 유의성이 확인되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몇 가지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인성수준 향상을 위해 정체성, 의사소통능력, 공감·연대능력, 공동체의식 등의 내용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인성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추진해 나가야 한다. 둘째, 대학생의 분노조절능력 향상을 위해 대학차원에서 분노상황에 대한 자각, 인지적 편향과 오해석 자각, 긍정적 대안의 실행과 연습 등을 통합적으로 실시하는 분노조절 프로그램을 활성화해야 한다. 또한 사회적 기술 증진 프로그램을 통해 대화기술과 공감훈련, 감정표현, 경청하기, 주장훈련 등을 적극 추진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대학생의 인성수준과 대인관계능력과의 관계에서 분노조절의 매개효과를 확인함으로써 인성수준 향상을 위한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분노감정 조절을 위한 실천적 개입 방안을 마련하는데 있어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 그 의의가 있다.
김숙이 가야대학교 행정대학원 2014 국내석사
현대사회는 정보통신의 급속한 발달로 과거 산업사회와 대비되는 지식정보화사회로 변화하였다. 지식이 제화로써 중요한 가치를 가지며 컴퓨터와 정보통신기술을 바탕으로 정보와 지식의 생산과 전이가 급속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무분별한 정보의 홍수 속에서 인간의 유대관계와 사회성이 약화되어 내면의 심리적․정신적 문제가 발생하였다. 이러한 사회적 문제의 발생으로 인해 보완의학․대체의학 등 마음의 병에 관한 연구가 증가하기 시작하였다. 그 중, 미술치료는 다양한 매체를 통한 접근의 용이성과 다른 매체와 통합이 쉽다는 장점을 가지며, 예술치료의 한 방법으로 국내에서도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미술치료가 국내에 본격적으로 소개되기 시작한 것은 김동연 교수와 최외선 교수가 1992년 11월 1일 대구에서 한국미술치료학회(Korean Art Therapy Association: KATA)를 설립하면서부터이다. 그 이후 많은 사람이 미술치료에 대해 관심을 두게 되었고, 1999년 대구대학교 재활의학과학대학원에서 국내 최초의 미술치료 석사학위 과정이 개설되었다. 이를 계기로 국내 대학원과 대학교에서 정규 미술치료 학부과정과 석․박사과정이 지속하여서 신설되는 등 미술치료와 관련된 연구물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금까지 미술치료 관련 연구동향을 조사하고, 앞으로의 연구방향에 대하여 고찰해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미술치료 관련 연구동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2000년부터 2011년까지 발표된 미술치료 관련 논문 중, 국회전자도서관과 한국교육학술정보원에 소장된 박사학위 논문 139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자의 전공분야, 연구대상, 연구방법과 검사도구, 연구주제의 5가지 항목을 기준으로 조사하여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자의 전공분야 측면에서는, 미술치료 관련 전공자보다는 비전공자의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었다. 둘째, 연구대상별 동향을 살펴보면, 먼저 발달단계별 측면에서 성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아동, 청소년, 노인, 유아 순이었다. 다음으로 발달단계별 특성에서는 의학적 진단을 받은 사람보다 일반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2배 이상의 비율로 높았다. 셋째, 연구방법별 측면에서는, 전체 연구의 절반이상의 비율로 실험연구가 많았고, 다음으로 사례연구, 조사연구, 문헌연구 순이었다. 넷째, 검사도구별 측면에서는, 연구대상과 주제에 상관없이 비슷한 검사도구가 사용되었으며 투사검사에서는 집-나무-사람 그림검사(HTP), 동적 집-나무-사람 그림검사(K-HTP), 동적가족화(KFD)가 주를 이루었다. 객관검사로는 불안 척도(BAI, RCMAS, STAI), 아동․청소년 행동평가척도(K-CBCL), 우울 척도(BDI, SGDS), 자아존중감 척도(RSES, SEI, SES), 한국판 간이정신상태검사(MMSE-K) 등이 주로 사용되었다. 다섯째, 연구주제별 동향을 살펴보면, 먼저 시기별 측면에서는, 미술치료이론과 미술작품분석 그리고 프로그램 및 도구개발, 연구동향 및 슈퍼비전 등을 주제로 한 기타를 주제로 한 연구가 주를 이루었다. 다음으로 미술치료라는 학문의 가장 실질적인 효과를 볼 수 있는 자아성장과 심리건강 회복 순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연구대상별 측면에서는, 의사소통 및 대인관계 향상에 관한 연구주제가 가장 높은 비율로 나타났다. 앞선 연구결과를 종합한 미술치료 향후 연구방향에 대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재까지의 미술치료 관련 연구물이 비장애일반인을 대상으로 한 성인과 아동에 국한되었다면 의학적 진단을 받은 대상자와 노인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미술치료라는 학문의 특성상 실험연구와 사례연구라는 임상을 통한 연구물이 다수일지라도 미술치료학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 균형적인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미술치료관련 연구물이 구체적으로 어떠한 질적인 발전을 이루고 있는지에 대한 새로운 연구지표가 필요하다. 더 세부적인 기준을 설정하여 연구의 효과성, 타당성, 적합성에 대하여 향후 더욱 면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미술치료프로그램 참여아동들의 학부모만족도 연구 : 지역사회복지관 이용아동을 중심으로
김혜정 가야대학교 행정대학원 2014 국내석사
본 연구는 지역사회복지관을 통해 미술치료프로그램을 경험한 아동의 부모를 대상으로 부모가 평가하는 미술치료 만족도를 조사하고 다양한 개별요인에 따라 미술치료 만족도에 차이가 있는가를 분석해 보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부산, 김해, 창원, 양산지역의 지역사회복지관에서 자녀가 미술심리치료를 경험한 학부모 157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연구대상자를 직접 만나 설문조사를 수행하지 않고 지역사회복지관에서 담당 복지사를 통해 설문조사를 수행하다보니 설문지를 회수하는데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었다. 배부된 설문지 가운데 112부(74.7%)가 회수되었고, 이 가운데 무응답치나 연구의 가치가 없다고 판단된 자료 5부를 제외한 107부(71.3%)를 기초자료로 활용하였다.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된 질문지를 코딩화하여 통계프로그램인 IBM SPSS Statistics 21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연구대상 학부모 및 아동의 일반적 특성에 대한 분포상황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와 비율을 산출하였고, 미술치료 만족도에 대한 조사도구의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해 Cronbach's α 계수를 산출하였다. 또한 연구대상 부모 및 아동의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미술치료에 대한 학부모만족도를 알아보기 위해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집단 간 평균비교를 위해 독립표본 t 검증과 F검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술치료에 대한 학부모의 전반적인 만족도를 분석한 결과, 5점 만점에 평균 3.83점으로 나타났다. 만족도 하위요인 가운데 미술치료사만족도와 미술치료프로그램 효과만족도는 상대적으로 높게 인식하였지만, 미술치료를 위한 행정절차만족도, 미술치료 환경 및 시설만족도, 미술치료프로그램 운영만족도는 상대적으로 낮게 인식하였다. 미술치료를 위한 행정절차만족도에서는 미술치료를 받기 위한 절차 편리성, 미술치료에 대한 다양한 정보 지속적 제공을 상대적으로 낮게 평가하였고, 미술치료 프로그램운영 만족도에서는 미술치료 1회 운영시간과 1회 비용 적절성에 대해 상대적으로 낮은 만족도를 보였다. 또한 미술치료 환경 및 시설만족도에서 집에서 지역사회복지관 미술치료실까지 걸리는 시간, 지역사회복지관 미술치료실의 공간 구성, 지역사회복지관 미술치료실의 필요한 도구의 충분한 구비성, 미술치료를 통한 학업성적 향상 기대는 상대적으로 낮은 평가를 보였다. 둘째, 학부모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미술치료만족도를 분석한 결과, 학부모의 성별에서 아버지가 어머니보다 높은 만족도를 보였고, 연령에서는 연령이 낮을수록 미술치료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학력에서는 전문대졸, 대학원졸, 대졸, 고졸 이하 학부모 순으로 높게 나타났고, 가정의 생활수준에서는 300만원 미만, 500만원 미만, 400만원 미만, 500만원 이상, 200만원 미만 학부모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심리치료 경험 유무에서는 심리치료 경험이 있는 학부모가 경험이 없는 학부모보다 높게 인식하였고, 미술치료 이해도에 따른 미술치료 만족도는 매우 잘 알고 있음, 어느 정도 알고 있음, 전혀 모름, 보통 정도로 안다, 모르는 편이다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셋째, 대상 아동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미술치료 만족도를 분석한 결과, 아동 성별에서 여학생의 학부모가 남학생의 학부모보다 행정절차만족도, 프로그램운영 만족도, 환경 및 시설 만족도, 미술치료사 만족도, 프로그램효과 만족도를 높게 인식하였다. 미술치료 집단구성에 따른 미술치료만족도에서 행정절차만족도는 6∼10명, 2∼5명, 개별적 순으로, 환경 및 시설 만족도와 프로그램효과 만족도에서는 2∼5명, 개별적, 6∼10명 순으로 미술치료사 만족도에서는 2∼5명, 6∼10명, 개별적 순으로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미술치료 받은 기간에서 행정절차만족도는 1년 미만, 1년 이상, 1개월 미만, 6개월 미만 순으로 프로그램운영 만족도는 1년 이상, 1년 미만, 6개월 미만, 1개월 미만 순으로 환경 및 시설 만족도와 미술치료사 만족도는 1년 미만, 1년 이상, 6개월 미만, 1개월 미만 순으로 프로그램효과 만족도에서는 1년 미만, 6개월 미만, 1년 이상, 1개월 미만 순으로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최근 심리치료기법으로 많이 부각되고 있는 미술치료에 대해 전반적으로 만족함을 보였고 특히 프로그램의 효과성에 대해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미술치료를 경험한 아동의 학부모를 대상으로 미술치료프로그램의 만족도를 분석해 봄으로써 미술치료 서비스평가에 대한 객관적인 자료를 제공하는 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고 본다. 또한 효과적이며 의미 있는 미술심리치료가 이루어지도록 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미술치료 대상아동 및 부모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구체적인 요인을 인식하고 발전방안을 모색하는 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무엇보다 본 연구를 통해 미술치료에 대한 학부모의 기본적인 이해와 인식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고 본다.
성인학습자의수업참여도와 사회적지지가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영향
김묘진 가야대학교 행정대학원 2024 국내석사
본 연구는 성인학습자의 수업참여도와 사회적지지가 대학생활적 응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대상은 부산지역 3개의 대학교에 다니고 있는 만 30세 이상의 성인학습자이고, 설문 조사는 대상자들이 다니고 있는 부산지역 대학교에 직접 방문하여 설문지를 배포한 후 취합한 것을 회수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총 311부의 설문지 중 불성실한 응답 자료 18부를 제외한 293부가 최 종 분석에 사용되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인학습자의 수업참여도 평균은 3.79점으로 나타났고, 사회적지지의 평균은 4.11점, 대학생활적응의 평균은 3.91점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인학습자의 수업참여도, 사회적지지, 대학생활적응의 상관 관계를 분석한 결과, 수업참여도의 하위요인인 수업준비하기와 대학 생활적응의 하위요인인 사회체험(p>.05)을 제외한 각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가 p<.05, p<.01 수준에서 유의한 상관이 있음을 알 수 있 다. 셋째, 수업참여도 전체(p<.001)는 대학생활적응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업참여도 하위요인 중 수업활동하기 (p<.01), 의사표현하기(p<.001), 수업확장하기(p<.01), 수업열정 (p<.001)은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수업준비하기는 대학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 났다. 넷째, 사회적지지 전체(p<.001)는 대학생활적응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지지 하위요인 중 친구지지(p<.01), 특 별한 사람 지지(p<.001)가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 타났다. 반면, 가족지지는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 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였다. 첫째, 성인학습자의 대학생활적응을 높이기 위해서는 수업참여도를 높일 필요가 있다. 성인학습자들의 수업참여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역량 향상과 더불어 대학의 학습주인공이 될 수 있도록 학습동기부여과 성인학습자 융합프로그램을 운영할 필요가 있다. 그 리고 성인학습자 스스로도 수업참여도를 높이기 위해 자신의 대학 생활을 기록해보는 슬기로운 성인학습자 되기 대학생활 기록 프로 젝트를 통해 자기반성적 학습을 유도하고, 성인학습자들을 대학생활 의 새로운 도전기에 적극 참여하고자 하는 자세를 가질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둘째, 성인학습자의 대학생활적응을 높이기 위해서는 사회적지지를 높일 필요가 있다. 성인학습자가 여유와 쉼을 얻고, 스스로 마인드 컨트롤 할 수 있는 내면의 힘을 가지게 해주는 성인학습자를 위한 마인드셋 교육과 일반학생, 선배, 후배 협동수업으로 멘토링 프로그 램을 운용하여 성인학습자에게 자신의 경험과 지식을 서로 공유하 고 멘토링을 함께 한 사람들과 함께 성장하고 발전함으로써 여러 학생들과도 소통하며 대인관계를 증진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여 야 한다. 또한 학생지원센터에서는 성인학습자를 위한 맞춤형 프로 그램을 지속적으로 운영하며,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 성인학습자의 마음 건강 챙김은 물론 수업참여도를 높이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 해야 할 것이다.
대학생의 인간관계적 요인과 보상적 요인이 자원봉사활동의 참여동기와 지속의지에 미치는 영향
안유진 가야대학교 행정대학원 2018 국내석사
This research was conducted in order to study the influence of the university student's human relation and volunteering reward on the motives and sustainability of volunteer activities. As for a research method, a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300 students attending 1-4 year diploma course in Kimhae si, 287 of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The analysis used the survey and do that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22. The result of this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regarding university student's human relation, what students regard as important was relationship with fellow volunteers. And about reward of volunteering, monetary compensation was found to be more prefer than non-monetary compensation. And the motives and sustainability of volunteer activities were 3.09 points on a five-point scale on average. Second, found that there was no strong correlation betwee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motives & sustainability of volunteer activities. Especially, sex and religion were irrelevant, grade and major were relevant. Third, regarding correlation of university student's human relation, reward of volunteering, motives and sustainability of volunteer activities, found that there was a strong overall correlation between each factors. Fourth, the university student's human relation and volunteering reward factor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motives of volunteer activities. Fifth, the university student's human relation factor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sustainability of volunteer activities. However, volunteering reward factors did not. Based on such results of this study, the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can be mad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take measure to encourage the participation of volunteers in other departments other than the social welfare students to encourage and sustain the volunteer activities.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motivation and continuity of volunteering activities of students in port logistics department were lower than those of social welfare students. Therefore, university should actively and realistically support volunteering activities of university students and increase their willingness to continue. Second, Measures are needed to encourage older students to participate in volunteer activities and encourage their continued commit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older students are less willing to continue their volunteer activities, so older students need to be socially interested and support the school / government so that they can continue their volunteer activities. Third, Significant changes are needed in the voluntary agency. Providing education about volunteer activities has a very significant effect on the volunteer motivation and sustainability of university student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hange from the traditional volunteer organizations that demand voluntary sacrifice and service of volunteers so as to provide realistic management of volunteers.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인간관계적 요인과 보상적 요인이 자원봉사활동 참여동기와 지속의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함으로써 대학생들의 자원봉사활동의 지속적 참여를 이끌어 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경상남도 김해시에 소재하고 있는 가야대학교 재학생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사회복지학과 학생 154명과 사회복지학과와 학생 수가 비슷한 항만물류학과 학생 146명 등 총 300명에게서 자료를 수집하였다. 이 중 불성실하거나 판독이 불가능한 응답을 한 17명을 제외한 283명을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자료는 2018년 4월 2일부터 4월 30일까지 연구에 대한 사전 설명과 동의하에 설문지를 배포하고 수집하였다. 수집된 설문 자료는 SPSS 22.0을 이용하여 신뢰도검사, 빈도분석, 기술분석, 독립t-test, 상관분석, 일원배치분산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 자원봉사자의 인간관계적 요인, 보상적요인, 참여동기, 지속의지의 정도를 알아본 결과 인간관계적 요인은 동료봉사자와의 관계를 중요시 여겼으며 보상적요인은 금전적 보상의 관심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참여동기와 지속의지는 5점 만점에 3.09점으로 전반적으로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둘째, 연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자원봉사특성에 따른 참여동기, 지속의지의 차이는 성별, 종교는 유의미 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년과 학과는 유의미 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인간관계적 요인, 보상적요인, 참여동기, 지속의지 간의 관계는 유의한 상관이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전반적으로 강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넷째, 대학생 자원봉사자의 인간관계적 요인과 보상적 요인은 참여동기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대학생 자원봉사자의 인간관계적 요인은 지속의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보상적 요인은 지속의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대학생들의 자원봉사 참여활성화와 지속성을 높이기 위해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였다. 첫째, 사회복지학과 이외의 다른 학과 학생들의 봉사활동 참여 독려 및 지속의지 고취를 위한 대책이 필요하다. 본 연구결과, 항만 물류학과 학생들의 자원봉사활동 참여동기와 지속의지는 사회복지학과 학생들 보다 낮았으므로 대학은 적극적이고 현실적인 지원을 통해 대학생들의 자원봉사활동 활성화와 함께 지속의지를 높이는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 둘째, 고학년 학생들의 자원봉사활동 참여 독려 및 지속의지 고취를 위한 대책이 필요하다. 본 연구를 통해 고학년 학생일수록 지속의지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고학년 학생도 자원봉사활동을 지속할 수 있도록 사회적으로 관심과 함께 학교/정부차원의 지원이 필요하다. 학점제를 강화하고 전공과 연계된 봉사프로그램을 제도화하여 대학생 자원봉사활동의 비중을 높여야 할 것이다. 셋째, 봉사활동 기관의 의미 있는 변화가 필요하다. 자원봉사 활동에 대한 교육제공은 대학생의 자원봉사활동 참여동기와 지속의지에 매우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본 연구를 통해 밝힌 바 있다. 따라서 봉사자의 맹목적인 희생과 봉사만 요구하는 전통적인 봉사활동기관의 모습에서 탈피하여 자원봉사자를 고려한 교육, 분위기 조성 등 자원봉사자들에 대한 현실적인 관리가 제공될 수 있도록 봉사활동기관의 변화가 필요하겠다.
결혼이주여성 배우자의 문화적응스트레스와 가족건강성의 관계에서 사회적지지의 조절효과
이미경 가야대학교 행정대학원 2018 국내석사
본 연구는 결혼이주여성 한국인 배우자의 문화적응스트레스와 가족건강성과의 관계에서 사회적지지의 조절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하였다. 연구대상은 경상남도 15개 시, 군 지역에 거주하는 결혼이주여성의 배우자 280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문화적응스트레스 측정도구는 Sandhu와 Asrabadi(1994)가 개발한 Acculturative Stress Scale for International Student를 이승종(1996)이 한국어로 번안하고, 이무영(2010)이 다문화가정의 한국인 남성배우자에 맞게 수정·보완한 것을 사용하였으며, Cronbach's α 신뢰도 계수는 .83이었다. 가족건강성의 측정도구는 유영주 등(2013)이 개발한 한국형 가족건강성 척도Ⅱ를 활용하였으며 Cronbach's α신뢰도 계수는 .95로 나타났다. 사회적지지의 측정도구는 박지원(1985)이 개발한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Cronbach's α 신뢰도 계수는 .95이었다. 자료 분석은 SPSS 22.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신뢰도 분석과 빈도분석, 기술통계 분석, t-검정과 ANOVA,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 Baron과 Kenny(1986)의 매개모델에 근거한 조절효과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결혼이주여성 배우자의 문화적응스트레스의 전체 평균은 2.73점이었으며, 가족건강성의 전체 평균은 3.42점이었고, 사회적지지의 전체 평균은 3.43점이었다. 둘째,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문화적응스트레스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경제수준에 따라 다문화수용, 자문화전달, 차별감스트레스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남편학력에 따라 다문화수용스트레스, 부인학력과 종교유무에 따라 차별감스트레스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가족건강성은 경제수준, 부인학력, 결혼기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결혼이주여성 배우자의 문화적응스트레스와 사회적지지, 가족건강성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각 하위변인들 간의 상관관계는 대부분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넷째, 결혼이주여성 배우자의 문화적응스트레스 전체와 하위요인 모두 가족건강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설명력은 각각 28.4%와 36.8%이었다. 다섯째, 결혼이주여성 배우자의 사회적지지 전체와 하위요인 모두 가족건강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었으며, 설명력은 각각 66.9%와 68.0%이었다. 여섯째, 결혼이주여성 배우자의 문화적응스트레스와 가족건강성의 관계에서 사회적지지의 조절효과를 분석한 결과, 사회적지지의 조절효과를 확인하였다. 또한 조절변수인 사회적지지는 직접적으로 가족건강성에 유의한 영향을 주므로 유사조절변수임을 알 수 있었다 일곱째, 문화적응스트레스의 하위요인과 가족건강성과의 관계에서 사회적지지의 조절효과를 분석한 결과, 차별감스트레스만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현재 결혼이주여성 중심으로 실시되고 있는 문화적응프로그램에 남편들도 적극 참여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아울러 가족 복지적 차원에서 다문화가정의 부부갈등, 가족갈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가족상담프로그램을 활성화해야 할 것이다. 또한 결혼이주여성 배우자를 위한 사회적지지 서비스를 강화할 수 있는 정책적·실천적 노력을 해야 할 것이다.
지적장애인의 직업재활을 위한 전통공예 프로그램 개발 연구 : 짚풀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이수종 가야대학교 행정대학원 2011 국내석사
직업이란 생계를 위한 생업과 그 어떤 목적을 위하여 전문적으로 종사하는 일로서 일시적 또는 평생을 통해 삶의 가치를 추구하는 수단이라고 할 수 있다. 사회에서 생활하는 사람들이 재능과 능력에 따라 직업에 종사하며, 정신적·육체적 에너지의 소모에 따른 대가로서 경제적 급부를 받아 생활을 지속해 나가는 활동 양식에 속하는 사항인데 모든 사람들이 각각이 다른 직업을 가지고 있다. 농사를 짓는 농부, 탄광에서 일하는 광부, 나무를 심고 키우는 임업, 기타 공업 등, 인간의 직업은 제각기 다른 일들을 하며 살아간다. 그런데 정신지체 장애인에게는 치열한 경쟁의 대열에서 도태 될 수 밖에 없는 현실로 인해 정신지체장애인이 직업을 통해 삶의 가치를 추구하기는 매우 어려운 실정이다. 정신지체 장애인의 경우 신체적 정신적 발달의 지체로 인하여 자신이 속한 사회 집단 내에서 요구하는 사회적 행동기준에 부합하지 못하게 되며, 부적절한 행동으로 또래 집단으로부터 고립되고 배척을 당하게 되어 사회문제나 병리현상으로까지 나타나기도 한다. 신체적, 정신적으로 장애가 있는 사람도 그들의 능력 범위 내에서 일 할 권리가 있으며 일 할 의무가 있다. 그러나 그동안 우리사회에서는 장애인은 일을 할 수 없는 것처럼 여겨져 일할 권리를 포기해야만 하는 경우가 많았다. 또한 이들은 적절한 직업을 선택받지 못하고, 선택 받았다 하더라도 그것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많은 어려움이 따른다. 왜냐하면 일반적으로 정신지체장애인들은 지적인 결함뿐만 아니라 운동능력, 상호작용능력 등의 장애를 가지며 주의력 결핍과 단기기억의 결함, 학습의 전이와 일반화의 곤란, 언어매개 기능의 결함이라는 특징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정신지체 장애인들에게 직업수행능력과 직업인으로서의 자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자신감의 배양, 사회성의 증진, 불안이나 긴장상태의 회복, 긍정적인 사고의 배양 등이 무엇보다도 필요하다. 이러한 정신지체 장애인을 위한 직업재활에는 전통공예의 하나인 짚풀공예는 중요한 수단이 될 수 있다고 본다. 즉, 전통공예치료프로그램으로서 짚풀공예는 짚, 풀잎 등을 재료로 하여 물건이나 다른 동물의 형태를 만들어 가는 과정을 통하여 사회적, 교육적, 심리적 혹은 신체적 적응력을 기르고 이로 말미암아 육체적 재활과 정신적 회복을 추구하며 나아가 제품을 판매를 통한 직업으로서의 길도 찾을 수 있는 것이다. 기존의 연구사례들을 살펴보면 아래와 같은 결과가 나타났다. 첫째, 사회적 교류능력, 대인관계능력, 참여성, 언어능력 등 사회성이 증진된다. 둘째, 욕구·충동적 적응력이 증진되고 울음, 흥분, 울화의 감소 등 정서의 안정이 된다. 셋째, 참여성, 관심 및 조력성, 인식 및 문제해결능력, 숙련도 등 작업수행 능력 및 직업적응력이 향상된다. 넷째, 운동지각능력, 체력·지각적 인식능력, 신체적 능력이 향상된다. 이와 같은 결과는 전통공예치료프로그램이 정신지체 장애인의 직업재활훈련에 있어 효과적인 방법을 제공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장애인들에게 있어 직업재활이란, 직업의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의 독특한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행동적인 요소들을 체계적으로 습득하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는데, 전통공예 짚풀공예 프로그램은 정신지체장애들에게 이러한 요소들을 습득할 수 있게 해주는 효과적인 재활프로그램을 제공 해 줄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정신지체 장애인의 직업 재활을 위한 전통공예 짚풀공예를 프로그램으로 만들어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몇 가지 짚풀공예 프로그램이 열매를 맺어 정신지체장애인들이 사회에 적응하여 바람직한 자립생활을 영위하기를 간절히 바란다. Job can be an occupation for a livelihood and the means to pursue the values of life by engaging in work professionally for any purposes for temporary or a life time. It's a pattern of activity that people who are living in the society follow an occupation based on their interests and abilities, and are engaged in vocational and mental and physical energy in exchange for the economic benefits to continue their life activities. Everyone has different professions like farmers working in the farm, miners working in mines, forestry that plants and raises trees and other industries. However, it is a very difficult situation for mentally disabled men to pursue their values of life through their jobs because of the reality that the mentally disabled men fall behind the cutthroat competition. In the case of mentally disabled men, they can't correspond to the requirements which are made in the society where they are in because of the delay of physical and mental development. They are isolated and excluded from their peer group because of inappropriate behaviour, and this causes social and pathological problems. People with physical or mental disability can go to work within the scope of their abilities and have a duty to have a job. But in the meantime, our society regarded disabled people as unable ones to work, so they had to give up their job. They can't select an appropriate job, and even if they did, they maintain it with many difficulties. Because in general, people with disabilities have not only mental retardation but also a defect in athletic ability and interaction skills, intellectual defects, attention deficit disorder, short-term memory, the difficulties of learning and generalization of the transition, improper functioning of the speech mechanism. Therefore, for the mentally disabled people, the cultivation of confidence, the improvement of sociality, the recovery from social anxiety or tension, and the cultivation of positive thoughts are needed to be taken care of more than anything else to improve the ability and qualification to perform their job as professionals. Straw craft is one of the traditional arts and it can be the great method of the vocational rehabilitation for those people with disabilities. In other words, people create a form of social, educational, psychological or physical adaptation capacity through the process of making objects or shapes of animals physical in the traditional crafts as therapy programs. Because of this activity, they pursue physical rehabilitation and psychological recovery, and furthermore, they can find occupational path through selling products. The existing case studies show the following results. First, the social interaction skills, interpersonal skills, participation skills, language skills and sociality are enhanced. Second, the desire and impulsive adaptability are enhanced and crying, agitation, and resentment are reduced-emotionally stabilized. Third, participation skills, interests, assistance skills, awareness, problem-solving skills, ability to perform tasks, and ability to adapt in career are enhanced. Fourth, movement perception, physical and sensory awareness and physical abilities are enhanced. These results show that traditional crafts program provides an effective way of the vocational rehabilitation for mentally disabled people. To people with disabilities, a vocational rehabilitation is a process of learning the individual unique physical, mental, social, and behavioral factors that affects the conduct of occupation systematically, and Straw traditional crafts can provide the effective rehabilitation program to acquire those elements. This study proposed the traditional straw crafts program ,which is created based on these results, as the vocational rehabilitation program for people with disability. Hopefully, some of the proposed programs in this study come to fruition and help people with disability in adapting to the society and leading a preferred independent living.
정흥희 가야대학교 행정대학원 2011 국내석사
The in-home welfare service for the elderly is centered on the elderly long-term care insurance system based on Elderly Housing Services in Japan. This service goes almost useless if one is placed in the blind spots of welfare owing to senile diseases or if one fails to get the grade of long-term care. Those the elderly staying at home are subject to physical and mental risks. That's why we need to consistently take care of them and provide every help they need.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in-home support service for the elderly which originated from the home volunteer dispatch service for helping the single elderly who live under the basic livelihood security. It aims to reveal the problems of the in-home welfare service for the elderly and suggest the improvement alternatives. The case of Japan was examined because Japan started the welfare services for the in-home elderly earlier than Korea. The researcher wanted to look for any alternatives in Japan's in-home welfare service for the elderly support service. The following guidelines can be summed up: 1. Prevention-oriented welfare service is necessary. 2. The blind spots of welfare should be eliminated by classifying the kinds and targets of the service. 3. Every in-home welfare service for the elerly including the long-term care insurance system for the elderly recuperation service should be subjectively managed by every city, gun [county], or gu [ward] authorities. 4. Professionalized personnel should support systematic in-home support service for the elderly through case management. 5. For safe financial resources, taxation and social insurance should be paralleled while the business should be run not by the local transfer but by the state. 6. As in the case of Japan, easier access should be allowed through the services for the in-home aged by improving the professional social welfare administrative system. For this purpose, in-home support service center for the elderly should play a role of the general welfare information center and provide simple service use procedures through case management. 7. The standardization of the records management business is necessary to develop the welfare of in-home support services for the elderly safely and steadfastly. In sum, professional case management by the service personnel is very important. The expert classes for national case administration in the Korea Association In Community Care for the Elderly are necessary. Also, each in-home support service center for the elderly should increase its capacity in order to act as a general information center for the aged in the respective area. 재가노인복지서비스는 일본의 개호보험제도를 기초로 제정된 노인장기요양보험이 서비스의 주축이 되고 있다. 하지만, 노인성질환으로 복지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더라도 노인장기요양등급을 받지 못하면 방문요양서비스를 비롯한 재가서비스를 받는데 한계가 있다. 재가노인들은 신체적․정신적 위험에 노출되어 있으므로, 도움이 필요한 노인들을 지속적으로 관리하고 지원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독거 기초생활수급노인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던 구가정봉사원파견서비스 제공기관이 발전적으로 변경되었다고 할 수 있는 재가노인지원서비스를 중심으로 재가노인복지서비스의 문제점과 개선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우리나라보다 먼저 재가노인복지서비스를 진행하고 있는 일본의 경험을 통하여 현재 우리나라 재가노인복지서비스의 개선점을 재가노인지원서비스를 중심으로 찾고자 하였다. 일본의 재가노인복지서비스를 통해 살펴본 우리나라 재가노인복지서비스의 방향을 제시하면 몇가지로 요약된다. 첫째, 예방적 복지서비스가 필요하다. 둘째, 서비스 종류 및 대상자를 세분화하여 복지 사각지대를 해소하여야 한다. 셋째, 노인장기요양서비스를 비롯한 모든 재가노인복지서비스는 시․군․구에서 주체적으로 운영해야 한다. 넷째, 구성인력을 전문화하여 사례관리를 통한 재가노인지원서비스가 체계적으로 지원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다섯째, 재원을 안정적으로 확보하기 위해서 조세방식과 조세와 사회보험이 병행된 방식으로 재정을 확보하고 지방이양사업이 아닌 국가사업으로 환원하여야 한다. 여섯째, 전달체계를 개선하여 일본의 경우처럼 전문적인 사회복지행정조직을 통하여 재가노인들에게 서비스를 제공하여 접근성을 높여 누구나 쉽게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 재가노인지원서비스센터가 노인복지종합정보센터 역할을 담당해서 사례관리를 통하여 서비스를 전달하고, 서비스 이용절차를 간소화할 필요가 있다. 일곱째, 재가노인지원서비스를 안정적으로 발전시키기 위해서 실적관리 업무표준화가 필요하다. 재가노인지원서비스 종사자의 전문적인 사례관리가 대단히 중요하므로, 사례관리 전문인력을 양성하기 위해서는 한국재가노인복지협회나 국가의 사례관리 전문가 양성을 위한 심화과정 개설이 필요하다. 재가노인지원서비스센터가 지역의 노인복지종합정보센터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종사자의 역량과 기관의 역량을 키워나가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