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현장 중심 교사교육 연구 - 영국 옥스퍼드 대학교와 캐나다 퀸즈 대학교의 사례를 중심으로

        진석언(Sukun Jin),곽덕주(Duck-joo Kwak),조덕주(Duck-joo Jo) 한국비교교육학회 2007 比較敎育硏究 Vol.17 No.3

          본 논문은 이론 중심적이고 지식평가 중심적인 우리나라 교사교육 프로그램의 개선을 위하여 현장 중심적이며 반성적 실천성에 초점을 둔 것으로 잘 알려진 영국의 옥스퍼드 대학교와 캐나다의 퀸즈 대학교의 교사교육 프로그램을 면밀히 검토하였다. 이때 분석의 요소는 크게 두 가지 범주로 나뉜다. 먼저 현장 중심성의 확인을 위해 프로그램이 지향하는 교육목적과 교육내용, 그리고 전체적 구성을 살펴보았고, 반성적 실천성의 확인을 위해 프로그램의 실제적 운영 양상, 즉 교사교육 담당자들 간의 협력관계와 학생 평가의 방식을 살펴보았다.<BR>  분석의 결과는 우리나라 교사교육의 변화 방향에 많은 시사점을 준다. 대표적인 것으로 먼저 예비교사들의 현장실습 기간을 늘리되, 이 기간을 현장실습에 대한 분명한 목적을 가지고 적절히 구조화해야 한다는 점이다. 이때 교사교육의 목적으로 ‘반성적 실천인’을 들 수 있다. 둘째, 대학과 협력학교의 교사교육 담당자들 간의 명확한 역할 분담과 함께 이들 간의 상호작용이 적극 유도될 필요가 있다.   This paper attempts to examine in detail two well-known teacher education programs at Oxford University in UK and Queens University in Canada, as a way to find some realistic implications for the improvement of the Korean teacher education program which is usually criticized as theory-oriented and knowledge test-directed. The category of the analysis is two-folded. One is the overall structures of the programs, including their educational purpose and curriculum; the analysis of them is expected to reveal how well the programs are designed in terms of their relevance to the school demands and concerns. The other is the ways the programs are run, i. e., the roles of and relations among teacher educators and school teachers; the analysis of them is expected to show how well they are operating in terms of their effectiveness in encouraging student teachers to be more reflective upon their field experiences.<BR>  This examination brings to us a few important implications for the future direction of the teacher education program in Korea. One is, among others, that, while extending the period of practicum, we should be able to structure student teachers" field experience under the clearly set-up purpose of teacher education, such as “reflective practitioners.” Another is that we need to develop a clear idea about the role division between teacher educators and school teachers as well as to encourage both the parties to cooperate with each other in educating student teachers.

      • KCI등재

        The Integrated Model for a Location-Inventory Problem in a Two-Stage Supply Chain with Capacitated-Facility

        박수근(Park, Sukun),임대은(Lim, Dae-Eun) 한국물류학회 2013 물류학회지 Vol.23 No.4

        This paper considers a single-source, capacitated-facility location-inventory problem in a two-stage distribution network consisting of multiple suppliers, facilities, and retailers. By many researchers, it has been indicated that to operate supply chain more efficiently, fIxed facility installation, transportation, and inventory costs should considered simultaneously. In the problem, network design and inventory control decisions are simultaneously made to minimize total cost consisting of fIxed facility installation, transportation, and inventory costs. The problem is formulated as a nonlinear integer programming model. Numerical experiments show that the total cost can be reduced by integrating the network design and inventory control decisions in a two-stage network. Thus, when designing supply chains in practice, the presented formulation can be applied to minimize operating cost. 본 연구는 공급자, 분배 센터와 고객의 2단계로 이루어진 공급 사슬망을 고려한다. 위 요소들은 모두 유한 용량이며 복수 개를 가정한다. 최근 많은 연구자들이 공급사슬망의 최적 운용을 위해서 건설 및 운반비용과 재고비용이 동시에 고려돼야 함을 지적하고 있다. 이에 제시된 공급 사슬망을 대상으로 세가지 비용을 동시에 고려하여 비용 측면에서 최적인 네트워크 설계 방법을 제시한다. 이를 위해 비선형 정수 계획법으로 정식화된 결과가 제시되었다. 또한, 다양한 수치예제를 통해 위 세 가지 비용을 동시에 고려하여 네트워크를 설계할 때에 총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음을 보였다. 따라서 정식화된 결과는 실제 공급 사슬망을 설계 시 효과적으로 이용되어 비용 최소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후보

        K-CBCL을 통한 성취 영재와 미성취 영재의 문제행동 비교

        진석언,이수진 국립특수교육원 2006 특수교육연구 Vol.13 No.2

        본 연구는 K-CBCL을 이용하여 성취 영재와 미성취 영재의 문제행동을 비교하고 이를 통해 성취에 장애가 되는 문제행동 특성을 분석하여 미성취 영재의 성취에 도움을 주기 위한 교육적 처방에 기초 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를 보면, 문제행동의 정도에 있어서 미성취 영재가 성취 영재에 비해 높았으며, 그러한 경향은 위축, 신체증상, 우울/불안 영역, 공격성, 비행의 영역, 사회적 미성숙, 주의 집중 영역 등에서 일관되게 나타났다. 한편, 임상적 수준의 문제행동을 보이는 학생의 빈도를 살펴본 결과 성취 영재집단에서는 임상적 수준의 문제행동을 보이는 학생이 한 명도 나타나지 않았으나, 미성취 영재 집단에서는 내재화 문제행동 2명, 외현화 문제행동 3명, 총 문제행동 3명이 임상적 수준의 문제행동을 보였으며 문제행동의 한 영역에서라도 임상적 수준의 문제행동을 보이는 학생은 총 4명으로 나타났는데, 이 인원수는 미성취 영재 집단의 22.2%에 해당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에 따르면, 문제행동 또는 문제행동과 관련된 원인이 미성취 영재를 발생 시키는 원인들 중 하나일 가능성이 높은을 시사하고 있다. 이는 미성취 영재의 미성취 현상을 치료하기 위해 문제행동 형태에 따른 교육적 혹은 임상적 조처가 필요함을 의미한다. The present study compared the problem behaviors of gifted achievers and underachievers by K-CBCL, and analysed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problem behaviors that are supposed to obstruct gifted students from achieving to the level of their potential. The results showed that gifted underachievers had significantly higher levels of problem behaviors in most aspects, including withdrawal, somatic symptom, depression/anxiety, aggressiveness, delinquency, social withdrawal, attention getting and so on. The study also investigated the frequencies of clinical levels of problem behaviors. While none of gifted achievers was found in the category, four(22.2%) of gifted underachievers were classified as cases of clinical levels. The implications of the results we re discussed.

      • KCI등재
      • KCI등재

        ICT기반 창의인재상 정립에 관한 연구

        이재호 ( Jaeho Lee ),진석언 ( Sukun Jin ),신현경 ( Hyunkyung Shin ) 한국인터넷정보학회 2016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Vol.17 No.5

        본 연구는 ICT 분야의 영재교육이 길러내야 할 21세기형 인재상을 `ICT 기반 창의인재`로 규정하고, ICT 기반 창의인재가 갖추어야 할 핵심역량을 중심으로 한 ICT기반 창의인재상 모델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ICT기반 창의인재상은 핵심역량, 특성요인, 특성요소 등의 3단계 구조로 정의되었다. 인재상 영역은 지식기술 역량, 통합창의 역량, 인성 역량 등의 3 개 영역으로 정의하였으며, 각 영역별 3 개씩의 특성요인을 정의함으로써 총 9 개의 특성요인을 정의하였고, 각 특성요인별로 역시 3 개씩의 특성요소를 정의함으로써 총 27 개의 특성요소를 정의하였다. 본 연구가 제시한 ICT기반 창의인재상에 대해 현장교육의 전문가들인 초중등학교의 현직 교사들에게 그 타당성을 평가하도록 의뢰한 결과, ICT기반 창의인재의 3개 핵심역량과 각 역량별로 제시된 특성요인과 특성요소 등의 타당성에 대해 긍정적인 평가의견을 보여주었다. 결론적으로 ICT기반 창의인재상은 양호한 타당도를 가진 모델로 확인되었으며, 이러한 인재상은 21세기에 활약할 미래 인재의 양성을 위한 초중등학교의 ICT 교육 및 ICT 영재교육의 설계 및 운영에 좋은 지침을 제공해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proposed the concept model of ICT-based Creative Talented Persons as the type of persons that gifted education in the ICT area should cultivate for the 21st century. The model of ICT-based Creative Talented Persons is made of three dimensions by 3 core competencies, 9 traits, and 27 characteristics. The field experts, that is, teachers o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levels evaluate the validity of the model. Teachers expressed positive opinions about the validity of the multi-dimension model of ICT-based Creative Talented Persons. We expect that this model can provide a useful guide to designing and operating ICT education and ICT gifted education for cultivating talented persons to contribute for the future society.

      • KCI등재

        과학영재를 위한 ICT 핵심역량 교육에 대한 전문가 인식 조사

        이재호 ( Jaeho Lee ),진석언 ( Sukun Jin ),신현경 ( Hyunkyung Shin ) 한국인터넷정보학회 2016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Vol.17 No.6

        본 연구에서는 과학영재들에게 ICT 핵심역량을 키워줄 수 있는 교육 방안을 수립하기 위해 과학영재들에게 필요한 ICT 핵심역량은 무엇이며, 과학영재들에게 ICT 핵심역량을 키워줄 수 있는 효과적인 교육 방법은 무엇인지 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창의적인 미래인재에게 필요한 ICT 역량에 대한 기존 연구[6]를 기반 모델로 설정하여, 해당 연구에서 제시하고 있는 핵심역량 등에 대해 영재교육 전문가 그룹을 대상으로 의견조사를 실시함으로써 그 타당성을 검토하였다. 본 연구의 특성상 대규모의 영재교육 담당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한 의견조사가 필요하다는 점과 이러한 전문가들이 지리적으로 전국에 걸쳐 분산되어 있다는 난점을 극복하기 위해 온라인 의견조사지를 제작하여 전문가들의 의견을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주로 빈도분석에 의해 요약, 종합하는 방법으로 현장 전문가들의 의견을 확인하는데 활용되었다. 일부 ICT 역량 수준별 비교 등의 집단비교를 위해 x2검증 또는 변량분석(ANOVA)이 활용되었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부분의 G/T 전문가들은 과학영재학생들을 위한 교육과정에 ICT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내용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대부분의 G/T 전문가들은 지식기술역량, 통합창의역량, 인성역량의 3대 핵심역량이 과학영재들을 위한 ICT 역량으로서 타당한 것으로 인식하였다. 셋째, 대부분의 G/T 전문가들은 각 핵심역량별로 제시된 하위 교육목표들을 과학영재들을 위한 ICT 역량 강화 교육의 교육목표로서 타당한 것으로 인식하였다. 넷째, 대부분의 G/T 전문가들은 과학영재들을 위한 ICT 역량 강화 교육의 교육 형태로서 `산출물 제작 중심 교육`과 `정보기기 활용 교육`이 중요하다고 인식하였다. In this paper, we attempted to provide the bases of effective educational programs for fostering ICT competencies of gifted students in science. For this purpose, we tried to answer the questions like `What are the ICT core-competence for gifted students in science?` and `How can we educate those competencies effectively?` We started by reviewing existing studies on ICT competencies for talented people in future society and then adopted one[6] as the basis for further validation. We tried to work with as many G/T experts as possible, and decided to use the online survey methodology because the experts are scattered all over the country. The survey was sent to the corresponding person who is in charge of G/T education in each area, and then e-mailed to G/T experts in that area. Through these procedures, three hundred four(304) G/T experts from all around the country participated in this survey. The results showed the followings: (1) G/T experts agreed with the importance and necessity of ICT competencies for gifted students in science; (2) G/T experts agreed with the validity of three core ICT competencies, which are `knowledge and skills competence, creativity competence, and characteristic competence,` for gifted students in science; (3) G/T experts agreed with the validity of educational goals, which are suggested for fostering each ICT core-competence of gifted students in science; and (4) G/T experts regarded `product-oriented education` and `ICT device-oriented education` as important and effective types of education programs for fostering ICT competencies of gifted students in scie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