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꽃매미(Lycorma delicatula)의 발육단계별 표피탄화수소 비교

        조선란,이정은,정진원,양정오,윤창만,김길하,Cho, Sun-Ran,Lee, Jeong-Eun,Jeong, Jin-Won,Yang, Jeong-Oh,Yoon, Chang-Mann,Kim, Gil-Hah 한국응용곤충학회 2011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50 No.3

        Aliphatic cuticular hydrocarbons (CHCs) of different developmental stages of the spot clothing wax cicada, Lycorma delicatula (Hemiptera: Fulgoridae) were analyzed using GC and GC-MS. The numbers of carbons in the major CHCs of each developmental stage 32, 33, 28, 38, 37 in the egg, 1st, 2nd, 3rd, and 4th instar nymphal stages, and adults, respectively. The cuticle of Lycorma delicatula contains mainly methyl-branched 9-methylheptacosane (15.11%) in the egg stage, and a high proportion of n-heptacosane in nymphal stages (15.75, 22.42, 25.04, and 23.11 % in the 1st, 2nd, 3rd and 4th instars, respectively). In contrast, male and female adults had high proportions of n-nonacosane (13.42 and 16.55%). The chemical constituents of CHCs were classified into five groups (n-alkanes, monomethylalkanes, dimethylalkanes, trimethylalkanes, olefins) and group profiles of each developmental stage were compared. Egg surface was composed mainly monomethylalkanes (45.39%), a saturated hydrocarbon. Nymph CHCs consisted primarily of n-alkanes (37.63 to 46.12%).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adult male and female CHCs. However, both contained n-alkanes and monomethylalkanes. CHCs with trimethyl or double bonded structure were rare in all stages. 꽃매미의 발육단계별 표피탄화수소를 비교하기 위하여 GC와 GC-M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된 꽃매미의 표피탄화수소의 종류는 알이 32종, 약충은 령별로 각각 33, 28, 38, 37종이었고 2령 약충에서 가장 적게 나타났다. 반면 성충은 암 수 모두 46종으로 동일하였으며, 꽃매미의 충태 중 가장 많은 종류의 탄화수소를 함유하고 있었다. 발육단계별 물질 함량을 분석한 결과, 알은 메틸기를 갖고 있는 9-methylheptacosane을 가장 많이 함유하고 있었으며(15.11%), 령기별 약충은 n-heptacosane을 가장 많이 함유하고 있었다(15.75, 22.42, 25.04, 23.11%). 반면 성충은 암 수 모두 n-nonacosane을 가장 많이 함유하고 있었다(13.42, 16.55%). 표피탄화수소의 구성물질을 5개 그룹(n-alkanes, monomethylalkanes, dimethylalkanes, trimethylalkanes, olefins)으로 나누고 물질 함량을 꽃매미 발육단계별로 비교하였다. 꽃매미의 알 표피는 대부분이 monomethylalkanes인 포화탄화수소로 이루어져 있고(45.39%), 약충은 포화탄화수소의 기본구조인 n-alkanes이 대부분이었다(37.63-46.12%). 또한 성충은 암 수에 따라 차이가 있었지만, n-alkanes과 monomethylalkanes을 고루 함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모든 충태에서, 3개이상의 메틸기를 갖거나 이중 결합을 포함하는 구조는 극히 적었다.

      • KCI등재

        4종의 Diamide계열 살충제에 대한 배추좀나방과 파밤나방의 지역계통별 감수성 평가

        조선란,경예진,신소은,강원진,정대훈,이승주,박근호,김성일,성우,김현경,구현나,김길하,Cho, Sun-Ran,Kyung, Yejin,Shin, Soeun,Kang, Won-Jin,Jung, Dae Hoon,Lee, Seung-Ju,Park, Geun-Ho,Kim, Sung Il,Cho, Sung Woo,Kim, Hyun Kyung,Koo, Hyun-Na,K 한국응용곤충학회 2018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57 No.1

        4종의 diamide계열 살충제를 이용한 배추좀나방과 파밤나방의 지역계통별 감수성을 조사하였다. 배추좀나방의 경우 성주와 거창지역 집단에서 4종의 약제 모두 추천농도에서 100%의 살충활성을 보인 반면, 평창지역 집단에서는 chlorantraniliprole에 대해 42.3%의 낮은 살충활성을 보였다. 감수성계통 배추좀나방과 저항성비를 비교한 결과 cyclaniliprole은 비교적 4지역에서 유사하거나 낮은 저항성비(0.1~6.3배)를 보인 반면, 평창지역 집단은 chlorantraniliprole (1,196.3배)와 cyantraniliprole (105.6배), flubendiamide (191.6배)은 매우 높은 저항성비를 보였다. 파밤나방의 경우 청주와 진도, 영광지역의 집단 모두 4종의 약제에 낮은 감수성을 나타났는데, 특히 청주와 진도지역의 집단은 flubendiamide에 대해 100,000배 이상의 저항성비를 보였다. 채집 연도(2014년과 2017년)에 따른 파밤나방에 대한 chlorantraniliprole의 감수성을 비교한 결과 2014년에 채집된 집단들은 모두 100%의 살충률을 보인 반면 2017년에 채집된 집단들은 살충활성이 매우 낮게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diamide계열 살충제가 빠르게 저항성이 발현되고 있으며 작용기작이 다른 약제와의 교호살포 등 종합적 방제전략을 수립하는데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resent study evaluated the susceptibility of field populations of Plutella xylostella and Spodoptera exigua larvae to four diamide insecticides-chlorantraniliprole, cyantraniliprole, cyclaniliprole, and flubendiamide. All the four diamide insecticides induced 100% mortality in the populations from Seongju (SJ) and Geochang (GC) when treated at a concentration recommended for P. xylostella. However, a very low insecticidal activity was observed in the population from Pyeongchang (PC) with 42.3% 3 d after treatment with chlorantraniliprole. The relative resistance ratio of P. xylostella to cyclaniliprole was similar or low (0.1-6.3 folds) in all the four areas. However, the population from PC exhibited a high resistance ratio to chlorantraniliprole (1,196.3 folds), cyantraniliprole (105.6 folds), and flubendiamide (191.6 folds) compared with that of the susceptible strain P. xylostella. Further, the populations of S. exigua from Cheongju (CJ), Jindo (JD), and Yeonggwang (YG) were not completely controlled by the 4 diamide insecticides. These populations also showed high relative resistance ratio when compared with that of the susceptible strain S. exigua. In particular, the populations from CJ and JD showed 100,000-fold higher resistance ratio to flubendiamide. A comparison of susceptibility of S. exigua larvae to chlorantraniliprole between 2014 and 2017 showed that chlorantraniliprole induced 100% mortality in all populations in 2014, whereas a very low insecticidal activity was observed among the populations in 2017.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indicate that the insect pests rapidly develop resistance to diamide insecticides. Therefore, alternative insecticides with a different mechanism of action and comprehensive control strategy are needed. This study can serve as a basis to control pests effectively using diamide insecticides.

      • KCI등재
      • KCI등재

        꽃노랑총채벌레와 대만총채벌레에 대한 51종의 살충제 감수성 평가

        성우,경예진,조선란,신소은,정대훈,김성일,박근호,이승주,이영수,김민기,인준,구현나,김현경,김길하,Cho, Sung Woo,Kyung, Yejin,Cho, Sun-Ran,Shin, Soeun,Jeong, Dae Hun,Kim, Sung Il,Park, Geun-Ho,Lee, Seung-Ju,Lee, Young-Su,Kim, Min-Ki,Jo, In-Jun 한국응용곤충학회 2018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57 No.3

        시판되고 있는 51종(단제 21종과 합제 30종)의 살충제를 이용한 꽃노랑총채벌레와 대만총채벌레 성충에 대한 약제 감수성을 검토한 결과 90% 이상의 살충률을 보인 약제 15종을 선발하였으며, 시판되고 있는 합제에서 많은 유효성분들이 오남용되고 있다고 보여진다. 2종의 총채벌레에 대한 살충제 감수성을 비교한 결과 모든 약제에 대하여 대만총채벌레가 꽃노랑총채벌레에 비해 높은 감수성을 보이기 때문에 꽃노랑총채벌레에 효과 있는 약제로 동시방제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꽃노랑총채벌레를 대상으로 선발된 15종의 약제를 이용하여 약효발현속도($LT_{50}$과 $LT_{95}$), 침투이행성, 잔효성을 비교하였다. 약효 발현속도를 $LT_{95}$ (hour)값으로 비교했을 때, chlorpyrifos WP, chlorpyrifos + diflubenzuron WP가 2시간 이내로 가장 빨랐고, spinetoram WG은 62.3시간으로 가장 느렸다. Chlorfenapyr SC에서 뿌리와 엽면을 통한 침투이행 효과가 나타났고, spinetoram WG에서 엽면을 통한 침투이행 효과만이 나타났다. 약제 잔효성 실험에서 chlorfenapyr SC는 14일, benfuracarb WG와 chlorpyrifos WP는 3일까지 효과가 지속되었다. 꽃노랑총채벌레 야외집단(화훼재배지와 과채류재배지)간의 감수성 비교에서는 화훼재배지에서 채집된 집단이 더 낮은 약제 감수성을 보였다. The susceptibility of the western flower thrips, Frankliniella occidentalis and garden thrips, Frankliniella intonsa was evaluated using 51 commercial insecticides. 15 kinds of insecticides which showed more than 90% mortality against both thrips, F. occidentalis and F. intonsa was selected. Many active ingredients were misused and abused in commercial mixture formulation insecticides. Since the F. intonsa was more susceptible than F. occidentalis, it was considered that both thrips can be controlled by insecticides that showed insecticidal activity on the F. occidentalis. Lethal time ($LT_{50}$ and $LT_{95}$), systemic toxicity and residual toxicity of selected insecticides were compared. Both chlorpyrifos WP and chlorpyrifos + diflubenzuron WP revealed the fastest toxicity within 2 h ($LT_{95}$), while spinetoram WG revealed the slowest toxicity as 62.3 h ($LT_{95}$). Chlorfenapyr SC showed toxicity at foliar and drenching application while spinetoram WG was toxic only in foliar application. Chlorfenapyr SC showed residual effect at 3, 5, 7, 10, 15 days after treatment and both benfuracarb WG and chlorpyrifos WP showed residual effect at 3 days after treatment. As a result of treatment of selected insecticides for field population of F. occidentalis, the population collected from horticultural crops showed lower susceptibility than the population collected from vegetable crops.

      • KCI등재

        서식환경에 따른 모기 분포조사(2016-2018)

        박근호,김성일,성우,조선란,이승주,김현경,구현나,이욱교,신형,김길하,Park, Geun-Ho,Kim, Sung Il,Cho, Sung Woo,Cho, Sun-Ran,Lee, Seung-Ju,Kim, Hyun Kyung,Koo, Hyun-Na,Lee, Wook-Gyo,Cho, Shin-Hyeong,Kim, Gil-Hah 한국응용곤충학회 2018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57 No.4

        3년간(2016-2018년) 청주지역에서 채집된 모기의 발생분포를 채집지 3곳(주거지와 철새도래지, 축사)에서 2종의 트랩(BL트랩과 BG트랩)을 이용하여 비교 조사하였다. 주거지에서 가장 많이 채집된 모기 종은 빨간집모기였으며, 철새도래지와 축사에서는 금빛숲모기가 가장 많이 채집되었다. 철새도래지와 주거지에서는 BG트랩이 BL트랩보다 모기가 더 많이 채집되었으나 축사에서는 BL트랩에서 더 많은 모기가 채집되었다. 빨간집모기와 흰줄숲모기, 큰검정들모기는 BG트랩에서 많이 채집되었고 금빛숲모기, 얼룩날개모기류, 동양집모기는 비교적 BL트랩을 선호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채집된 모기를 분류 동정한 결과 2016년에는 10종 22,679개체가 채집되었고, 2017년에는 8종 6,502개체가 채집되어 2016년보다 3.49배 감소하였다. 2018년에는 6,803개체가 채집되어 2016년보다 3.33배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가 강수량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보이며 기상조건과 여러 변인들(채집지역과 모기종류, 트랩종류)에 의한 모기밀도와의 관련성을 비교한 결과 특정 관련성을 확인할 수는 없었다. 채집된 모기의 병원체 감염을 확인한 결과, 2016년도 축사에서 채집한 금빛숲모기 2개 pool, 2018년에 축사에서 채집한 빨간집모기 1개의 pool에서 차오양바이러스(chaoyang virus)가 검출되어 각각 0.088와 0.147의 최소감염율(MIR)을 보였다. 2017년에는 바이러스가 검출되지 않았다. The distribution of mosquitoes collected in the Cheongju area from 2016-2018 were compared. The collection sites were established at a residential area, migratory bird sanctuary, and cowshed using black light (BL) and BG sentinel traps. Culex pipiens was the most collected species in the residential area, and Aedes vexans was the most collected species in the migratory bird sanctuary and cowshed in all years. The BG trap collected more individuals than did the BL trap in the residential area and migratory bird sanctuary. In total, 22,679 (10 species) mosquitoes were collected in 2016, and 6,502 (8 species) and 6,803 (9 species) mosquitoes were collected in 2017 and 2018, accounting for 3.49- and 3.33-fold decreases, respectively. The relationship between meteorological conditions and mosquito density, according to various variables, was not significant different. The Chaoyang virus was found in Aedes vexans and Culex pipiens collected at the cowshed in 2016 and 2018, respectivel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considered that continuous surveillance of mosquitoes should be performed for controlling mosquito populations and mediating diseases spread by this vector.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식물에 대한 꽃매미의 섭식행동과 섭식자극

        이정은,문상래,안희근,조선란,양정오,윤창만,김길하,Lee, Jeong-Eun,Moon, Sang-Rae,Ahn, Hee-Geun,Cho, Sun-Ran,Yang, Jeong-Oh,Yoon, Chang-Mann,Kim, Gil-Hah 한국응용곤충학회 2009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48 No.4

        꽃매미의 식물에 대한 선호도을 조사한 결과, 가죽나무와 포도나무를 가장 선호하였으며, 사과나무, 배나무, 무궁화나무, 소나무와 복숭아 나무는 선호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7종 식물에 대하여 꽃매미 약충과 성충은 가죽나무와 포도나무에서 가장 오래 생존하였고, 다른 식물에서는 생존기간이 짧았다. 과수열매에서는 거의 생존하지 못하였다. 꽃매미의 섭식행동 분석결과, 약충과 성충 모두 가죽나무와 포도나무에서 섭식하지 않는 시간(non-probing time)은 가장 짧았고, 체관부 섭식시간(phloem-feeding time)은 가장 길었다. 이를 제외한 나머지 식물과 열매에서는 체관부 섭식시간이 0분으로 섭식을 하지 못하였다. 5종 식물을 당 분석한 결과, 가죽나무는 sucrose 함량이 가장 높았고 fructose > glucose순으로, 포도나무에는 glucose > fructose > maltose > sucrose > rhamnose순이고, 사과나무는 glucose > fructose, 배나무는 glucose > unknown > fructose, 무궁화나무는 sucrose > glucose 순으로 당 성분이 존재하였다. Parafilm membrane 검정법으로 생존기간을 조사한 결과, 약충과 성충 모두 sucrose 5%용액에서 가장 생존기간이 길었으며, fructose 5%용액이 그 다음이었다. 이를 제외한 나머지 성분에서는 짧은 수명을 나타내었다. 분석된 당 성분의 조합에 의한 검정에서도 약충과 성충 모두 가죽나무와 포도나무의 당 성분조합에서 다른 당 성분조합과 비교하여 긴 수명을 보였다. 당 성분이 꽃매미가 기주를 선택하고 섭식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생각된다. Host preference was tested on the 7 species plants against ggot-mae-mi, Lycorma delicatula (Hemiptera: Fulgoridae). This insect highly preferred Ailanthus altissima and Vitis vinifera however, didn't choose the other plants preferentially. Both nymphs and adults lived longest in A. altissima and V. vinifera but lived in short and low ecdysis rate against other plants and 3 species fruits. By analyzing the phloem-feeding behavior using EPG, L. delicatula was showed the short time in non-probing phase and it also exhibit the longest feeding time in A. altissima and V. vinifera, but other plants did not feed the phloem at all. In sugar contents analysis, A. altissima existed high sucrose proportion and followed by fructose>glucose, V. vinifera was analyzed by an order of glucose> fructose>maltose>sucrose>rhamnose, Malus pumila was as glucose> fructose, Pyrus calleryana was as glucose>unkown>fructose, Hibiscus syriacus was as sucrose>glucose. Nymphs and adults of L. delicatula lived longest in 5% sucrose solution, and next is in 5% fructose solution. However, they lived short in other sugar solutions. L. delicatula nymph and adult according to the combination of sugar proportion found in original plants lived longer in sugar combination solution of A. altissima and those of V. vinifera was next. Analyzed original sugar proportion from M. pumila, P. calleryana, H. syriacus respectively, L. delicatula lived short period comparing to the A. altissima, V. vinifera. This result was judged that sugar contents affected on choosing the host plants.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