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ASD 조기진단도구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최진혁 ( Choi¸ Jinhyeok ),박재국 ( Park¸ Jaekook ),김지훈 ( Kim¸ Jihoon ),최민혁 ( Choi¸ Minhyeok ),김민영 ( Kim¸ Minyoung ) 한국특수아동학회 2021 특수아동교육연구 Vol.23 No.3

        연구목적: 본 연구는 ASD를 조기에 진단할 수 있는 조기진단도구를 개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ASD 진단과 관련된 기존 진단도구 및 선행연구에 기반하여 진단 문항을 추출하였다. 이후 ASD의 진단 관련 전문가 20명을 대상으로 2차에 걸쳐 델파이 조사를 시행하였다. 델파이 조사를 통해서 진단 문항의 적절성과 연령 적합도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연구 결과 ASD 조기진단도구의 문항은 ‘사회적 상호작용’, ‘감각반응’, ‘제한된 관심과 반복적 행동’ 총 3개 영역, 33개의 문항이 산출되었다. 결론: 본 연구에서는 ASD 조기진단 문항이 추출되었으며, 이를 기반으로 ASD 조기진단도구의 추후 방향 및 논의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early diagnosis tool that can diagnose ASD at an early stage. Method: In order to achieve this research purpose, the diagnostic questions were extracted based on the existing diagnostic tools and previous studies related to ASD diagnosis. Afterwards, a Delphi survey was conducted twice on 20 ASD diagnosis-related experts. Through the Delphi survey, the relevance and age fit of the diagnostic items were verified. Results: As the results of the study, 33 items were calculated for the ASD early diagnosis tool in 3 areas: 'social interaction', 'sensory response', and 'restricted interest and repetitive behavior'. Conclusion: In this study, ASD early diagnosis items were extracted, and based on this, the future direction and discussion points of the ASD early diagnosis tool were presented.

      • KCI등재

        스마트플랫폼 기반의 자폐스펙트럼 장애 조기진단도구 타당화 연구

        최진혁(Choi, Jinhyeok),박재국(Park, Jae-Kook),김지훈(Kim, Jihoon),김민영(Kim, Minyoung) 한국자폐학회 2022 자폐성 장애연구 Vol.22 No.1

        본 연구는 스마트플랫폼 기반의 ASD 조기진단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확인하고자 시행되었다. 이를 위해 서울, 부산, 울산, 대구 등의 어린이집, 특수학교, 특수학급에 재학 중인 ASD 아동 564명을 대상으로 검사를 실시하였다. 개발된 ASD 조기진단도구의 신뢰도는 Cornbach’s a값을 산출하여 검증하였고, 타당도는 구인타당도 및 집단간의 차이를 분석하여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ASD 조기진단도구의 각 영역별 신뢰도 계수의 범위는 .744 ~ .973로 나타나 안정적인 신뢰도 계수를 확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ASD 조기진단도구의 각 영역별 하위 상관계수는 .335~.918으로 각 영역간의 상관이 정(+)적 상관을 나타내며, 모든 상관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나 적절한 타당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집단 차이 분석 결과에서는 지원의 요구나 낮은 집단과 높은 집단을 분류하고, 지원요구가 다른 다섯 집단이 하위 척도의 표준 점수, 하위 척도의 표준점수 소계와 복합 표준점수(평가점수 총계)에서 차이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스마트플랫폼 기반의 ASD 진단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가 입증됨에 따라, 효율적이고 편리한 ASD 조기진단도구를 개발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nfirm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a smart platform-based ASD early diagnosis tool. Accordingly, 564 children with ASD attending daycare centers, special schools, and special classes in Seoul, Busan, Ulsan, and Daegu were tested.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developed ASD early diagnosis tool were verified by calculating Cronbach s α value and analyzing construct validity and differences among groups, respectively. First, the range of the reliability coefficient for each area of the ASD early diagnosis tool was found to be .744-.973, indicating that a stable reliability coefficient was secured. Second, the sub-correlation coefficient for each area of the ASD early diagnosis tool was .335-.918, implying a positive correlation among each area, and all correlations were significant, indicating appropriate validity. Third, in the group difference analysis result, the groups with low and high support needs were classified, and the five groups with different support needs differed in the subscale standard, subscale subtotal standard, and composite standard (total evaluation) scores. This study was significant in developing an efficient and convenient ASD early diagnosis tool because it established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smart platform-based ASD diagnosis tool.

      • KCI등재

        ASD 학생을 위한 증거기반 학교교육과 문제행동 지원에 관한 특수교사의 인식 조사:

        최진혁(Choi, Jinhyeok),김민영(Kim, Minyoung),김대용(Kim Daeyong) 한국자폐학회 2018 자폐성 장애연구 Vol.18 No.1

        본 연구에서는 ASD 학생을 위한 증거기반 학교교육과 문제행동 지원에 관한 특수교사의 인식을 중요도와 수행도의 측면에서 살펴보고, 이를 IPA기법으로 분석하여 증거기반학교교육의 실태 및 우선적 고려 사항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서울, 대전, 대구,부산, 경남 등 특수학교 및 특수학급의 교사들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고, 195명의 조사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특수교사들은 ASD 학생을 위한 증거기반 학교교육에 대해 중요도는 매우 높게 인식하였으나, 수행도는 유의하게 낮게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특수교사들은 ASD 학생을 위한 문제행동 지원에 대해서도 중요도는 매우 높게 인식하였으나, 수행도는 그에 비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IPA매트릭스에서 증거기반교수방법에 대한 특수교사의 중요도와 수행도를 IPA매트릭스 분석으로 나타낸 결과, 1사분면과 3사분면에 대다수 문항이 분포되어 중요도와 수행도가 비례하는 교수방법이 많은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문제행동 지원에 대한 중요도와 수행도는 2사분면과 3사분면에 다수 분포하여, 높은 중요도에 비해 ‘저순위’에 분포하는 양상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는 ASD 학생을 위한 특수교사의 증거기반 학교교육 및 문제행동 지원에 대한 중요도 및 수 행도를 파악하고 점검하였으며, ASD 학생을 위한 증거기반 학교교육 및 문제행동 지원에 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and examine special education teachers’ perception on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evidence-based practices for stud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ASD). For this purpose, a survey was developed and conducted for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Seoul, Daejeon, Daegu, Busan, and Kyungnam.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applying IPA.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special education teachers’ perceptions on their performance of all subareas (i.e., evidence-based practices for teaching and problem behaviors) showed lower levels than their perception levels on their importance of the same areas. Second, the IPA matrix on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the evidence-based teaching methods showed that most of the teaching method were distributed in the first and third quadrants. In addition,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the evidence-based problem behavior interventions were distributed in the second and third quadrants, and showed a low order distribution compared to the high importance. We discussed that the potential reasons of the differences of teachers‘ perceptions between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the evidence-based practices

      • KCI등재

        스마트 환경에서의 ASD 조기진단도구의 타당화 연구

        최진혁 ( Choi Jinhyeok ),박재국 ( Park Jae-kook ),김지훈 ( Kim Jihoon ),최민혁 ( Choi Minhyeok ),김민영 ( Kim Minyoung ) 한국특수아동학회 2023 특수아동교육연구 Vol.25 No.2

        연구목적: 본 연구는 스마트 환경에서 구현 가능한 ASD 조기진단도구의 타당도를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경남 소재의 대학병원 이용자 중 ASD 아동 144명을 대상으로 검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조기진단도구의 신뢰도는 Cronbach’s α값을 통해 검증하였고, 타당도는 구인타당도와 준거타당도를 통해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본 연구에서 개발된 진단도구의 신뢰도 계수의 범위는 .842 ~ .953으로, 안정적인 신뢰도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ASD 조기진단도구의 하위영역별 상관계수는 .335 ~ .918으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모든 상관이 유의하게 나타나 적절한 수준의 타당도가 확인되었다. 셋째, 집단의 차이를 분석하여 지원 요구가 낮고 높은 집단을 분류하였고, 지원의 요구가 다른 다섯 개의 집단으로 분류하여 하위 척도의 표준 점수, 표준 점수 소계, 평가점수 총계인 복합 표준점수에서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이에 스마트환경에서 구현 가능한 ASD 진단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함에 따라, 시공간에 제약을 뛰어넘는 간편하고 효율적인 ASD 조기진단도구가 개발되었다는 것에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tool that can diagnose ASD at an early stage. Method: In order to achieve this research purpose, diagnostic questions were extracted based on the existing diagnostic tools and previous studies related to ASD diagnosis. Afterwards, a Delphi survey was conducted twice on 20 ASD diagnosis-related experts. Through the Delphi survey, the relevance and age fit of the diagnostic items were verified. Results: As a result of the study, 33 items were calculated for the ASD early diagnosis tool in 3 areas: ‘social interaction', ‘sensory response', and ‘Restricted interest and repetitive behavior'. Conclusion: In this study, ASD early diagnosis items were extracted, and based on this, the future direction and discussion points of the ASD early diagnosis tool were presented.

      • KCI등재

        자폐스펙트럼장애 조기 선별을 위한 행동발달지표 개발 기초 연구

        최진혁(Choi, Jinhyeok),박재국(Park Jae Kook),김은라(Kim Eunra),김대용(Kim, Daeyong) 한국자폐학회 2021 자폐성 장애연구 Vol.21 No.1

        본 연구는 ASD 조기 선별을 위한 행동발달지표를 개발하고, 개발된 지표의 내용 타당도, 연령 적합성, 관찰 가능성, 중재 가능성, 구조화 가능성 등을 확인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선행 연구, ASD 선별 및 진단 도구 등을 문헌 분석하였고, 포커스 그룹 인터뷰, 전문가 협의회를 실시하여 행동발달지표의 초안을 구안하였다. 다음으로, 델파이 조사 및 전문가 협의회를 실시하여 행동발달지표의 초안에 대한 내용 타당성, 중재 가능성, 연령 적합성, 구조화 가능성 등에 대한 의견을 수렴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행동발달지표를 확정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최종 구안된 ASD 조기 선별을 위한 행동발달지표는 3개의 대영역, 14개의 소영역, 40개의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둘째, 대영역인 사회적 의사소통은 호명반응, 눈 맞춤, 공동관심, 모방, 얼굴표정, 요구하기, 또래 및 기타 상호작용으로 구성되었다. 셋째, 대영역인 감각 반응은 시각, 청각, 촉각으로 구성되었다. 넷째, 대영역인 제한되고 반복된 관심 또는 상동증적 행동은 음성상동행동 및 반향어, 신체 상동행동, 사물을 이용한 상동행동, 제한된 관심․집착․강박으로 구성되었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향후 특수교육 및 의료 현장에서 ASD를 조기 선별하는 것의 중요성과 조기 선별의 결과를 실질적인 중재로 연계하는 것의 중요성을 강조하였고, 4차 산업혁명 시대를 고려한 AI 기술 등과 융합한조기 선별 도구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ed primarily to develop and identify the validity of the developmental psychological behavioral development indicators for early screening of Autism Spectrum Disorders (ASD). For this purpose, we (a) analyzed prior ASD-related research and ASD screeningdiagnostic instruments, (b) carried out focus group interviews, (c) conducted expert consultations to draft the behavior development indicators, and finally (d) administered a Delphi survey to collect opinions on the content validity, interventional applicability, age suitability, structural possibility, etc. of the draft behavior development indicators. Through these four major procedures, we finalized the behavior development indicators to identify ASD infants in the early childhood period.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Developmental Psychological Behavioral Indicators for early screening of ASD consisted of three primary areas (i.e., social communication, sensory responses, repetitive and restricted interests, and behaviors), 14 sub-areas, and 40 questions. Second, the social communication consisted of response to name calling, eye contact, joint attention, gross motor imitation, response to facial expression, demand, peer, and other interactions. Third, sensory responses consisted of the responses to the visual, auditory, and tactile stimuli. Fourth, Repetitive and Restricted interests and Behaviors (RRB’s) consisted of vocal/physical stereotypes, echolalia, stereotyped behaviors using objects, and limited attention, obsession, and coerc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highlighted (a) the importance of early screening, (b) linkage between ASD early screening and practical interventions in future special education and medical sites, and (c) the possibilities of early screening tools that converge with AI(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ies.

      • KCI등재

        다중반응교수법(MEI)이 발달장애 학생의 네이밍(Naming) 습득에 미치는 효과

        최진혁(Choi, Jinhyeok),김대용(Kim, Daeyong) 한국자폐학회 2017 자폐성 장애연구 Vol.17 No.2

        본 연구는 다중반응교수법이 발달장애 학생들의 네이밍 습득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 였다. 본 연구는 단일대상연구로 독립변인과 종속변인 사이의 기능적 관계를 검증하기 위해 대상자간 중다 간헐 기초선 설계를 적용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만 3-5세의 발달장 애를 보이는 아동 3명이었다. 본 연구의 독립변인은 다중반응교수법으로 20개의 사진으로 구성된 사진세트 4개를 활용하여 중재하였다. 다중반응교수법은 청자행동인 매칭과 포인트, 화자행동인 택트와 인트라버벌을 비연속개별시도의 형태로 교수하였다. 본 연구의 종속변인은 네이밍(naming)이다. 종속변인의 측정은 청자행동 중 하나인 매칭을 직접 적으로 가르 친 뒤, 직접적으로 가르치지 않은 화자행동(택트, 인트라버벌)을 측정하였다. 본 연구는 빈도기록법을 사용하여 관찰 기록하였다. 관찰자간 신뢰도(IOA)를 산출하여 관찰 기록의 신뢰도를 입증하였으며, 관찰자간 신뢰도는 98.5%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중재충실도는 총 8문항으로 구성된 검사문항을 제작하여 측정하였으며, 중재충실도는 95% 로 나타났다. 사회적 타당도는 총 15문항으로 구성된 중재척도프로파일(IRP-15)을 활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사회적 타당도는 72.5점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 3명의 연구 참여자는 네이밍이 습득된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Multiple Exemplar Instruction (MEI) on the emergence of Naming. Three kindergarten students, who were 3-5 year old males and diagnosed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A multiple probe design across participants was employed to identify a potential relationship between the independent and dependent variables. The dependent variables of this study was the emergence of Naming. The independent variable of this study was the mastery of the MEI in which listener (matching and pointing) and speaker (tact and intraverbal) responses were taught in a randomized sequence. This study was observed and recorded using the frequency recording method. The interobserver reliability (IOA) was calculated to demonstrate the reliability of the observations and the interobserver reliability was 98.5%. The intervention fidelity of this study was measured by making a total of 8 items. The intervention fidelity was 95%. Social validity was measured using the Intervention Scale Profile (IRP-15), which had a total of 15 items. The social validity score was 72.5. The results depict that the MEI effectively increased the number of correct responses to the Naming probe trials (i.e., the emergence of Naming).

      • KCI등재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자폐성장애 진단 관련 연구 동향 분석: 2011-2020년까지 발행된 국내 전문학술지 중심으로

        최진혁(Choi, Jinhyeok),박재국(Park, Jaekook),김민영(Kim, Minyoung) 한국행동분석학회 2021 행동분석․지원연구 Vol.8 No.1

        본 연구는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이용하여 자폐성장애 진단과 관련된 논문들의 연구동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분석 논문은 2011-2020년까지 발표된 자폐성장애 진단과 관련된 논문 42편이었다. 분석자료는 텍스톰과 UCINET을 활용하여 일반적인 연구동향 및 주요 키워드의 빈도분석,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에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11년부터 2020년까지 총 42편의 연구가 수행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자폐성장애의 진단과 관련된 논문은 대부분 특수교육 분야의 학술지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폐성장애의 진단과 관련된 연구의 주요 키워드의 출현 빈도를 살펴본 결과, ‘자폐성장애’, ‘조기진단’, ‘포커스’, ‘조기선별’, ‘영유아’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TF-IDF 가중치 분석 결과 출현 빈도의 순위와 유사한 결과를 보여주었다. 다섯째, N-gram 분석에서 “자폐성 장애” 키워드와 연관성이 높은 키워드는 ‘조기진단’, ‘조기선별’, ‘아동’, ‘영유아’ 순서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의미연결망 분석에서는 ‘자폐성장애’ 키워드는 ‘조기진단’과 가장 높은 연결정도 중심성을 보여주었다. 여섯째, CONCOR 분석에서는 주요 클러스트인 ‘자폐성장애 특징과 지원체계’, ‘진단도구 개발’, ‘조기진단’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자폐성장애의 진단과 관련된 연구의 동향을 분석하고, 향후 연구 방향에 대해 논의 및 제언하였다. This study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s of papers related to the diagnosis of autism spectrum disorder by using keyword network analysis. The analysis papers were 42 papers related to the diagnosis of autism disorder published from 2011-2020. As for the analysis data, general research trends, frequency analysis of major keywords, and network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textome and UCINE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confirmed that a total of 42 studies were conducted from 2011 to 2020. Second, most of the papers related to the diagnosis of autism spectrum disorder were found to be academic journals in the field of special education. Thir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frequency of occurrence of major keywords in research related to the diagnosis of autism disorder, it was found in the order of ‘autism spectrum disorder’, ‘early diagnosis’, ‘focus’, ‘early screening’, and ‘infants’. Fourth, the result of TF-IDF weight analysis showed similar results to the order of appearance frequency. Fifth, in the N-gram analysis, the keywords that are highly related to the keyword ‘autism spectrum disorder’ were found to be in the order of ‘early diagnosis’, ‘early screening’, ‘children’, and ‘infants’. In addition, in the analysis of the semantic network, the keyword ‘autism spectrum disorder’ showed ‘early diagnosis’ and the highest degree of center of connection. Sixth, in the CONCOR analysis, the main clusters such as characteristics and support system for ‘autism spectrum disorder’, ‘diagnosis tool development’, and ‘early diagnosis’ were identified. This study analyzed the trends of research related to the diagnosis of autistic disorder, and discussed and suggested future research direc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