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등학교에서 학교장의 진정성 리더십, 교사임파워먼트, 학교장신뢰, 학교조직효과성 간의 구조적 관계

        이형주 ( Lee Hyong Joo ),엄준용 ( Uhm Joon Yong ) 안암교육학회 2019 한국교육학연구 Vol.25 No.2

        본 연구는 학교장의 진정성 리더십, 교사임파워먼트, 학교장신뢰, 학교조직효과성 간 구조적 관계를 밝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학교장의 진정성 리더십이 교사임파워먼트, 학교장신뢰, 학교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교사임파워먼트 및 학교장신뢰의 매개효과를 규명하여 학교조직효과성을 제고하기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에 대한 검토를 바탕으로 4개의 변인으로 구성된 구조방정식 모형을 설정하고, 경기도 내의 중ㆍ고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한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장의 진정성 리더십은 교사임파워먼트, 학교장 신뢰, 학교조직효과성에 영향을 미친다. 학교장의 진정성 리더십이 학교 현장에서 잘 발휘되면 학교장신뢰와 교사임파워먼트가 높아져 결국 학교조직효과성이 증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교장의 진정성 리더십과 학교조직효과성과의 관계에서 교사임파워먼트와 학교장신뢰는 부분적인 매개효과가 있었다. 셋째, 매개변수로서 교사임파워먼트는 학교장의 신뢰에 영향을 주지만, 학교장의 신뢰는 교사임파워먼트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한 주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장의 진정성 리더십 개발 및 확산을 위한 프로그램이 마련될 필요가 있다. 둘째, 교사임파워먼트와 학교장신뢰의 증진을 위한 방안이 병행되어야 한다. 셋째, 우리나라의 교육현장에 적용될 수 있는 학교장의 진정성 리더십 척도의 개발이 필요하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give a hint of educational change and improvement by revealing that the authentic leadership required in the present and future society affects teachers’ empowerment, teachers’ trust in school principal, and ultimately the improvement of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by clarifying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principal’s authentic leadership, teachers’ empowerment, and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is study is based on the survey carried out on 800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in Gyeonggi-do. Analysis of the data collected in the survey was conducted using the statistical programs SPSS and AMOS to analyze technical statistics, t-test, ANOVA and frequency, correlation, structural equation model evaluation, and bootstrapping.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First, the higher principal’s authentic leadership, the greater teachers’ empowerment, teachers’ trust in school principal and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Second, the higher teachers’ empowerment and teachers’ trust in school principal, the more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will be. Third, if principal’s authentic leadership works well on the site, teachers’ trust in school principal and teachers’ empowerment are increased, which in turn increase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 SCOPUSKCI등재

        치즈 및 된장에서의 쓴 맛 펩타이드 특성

        김수호,이형주,Kim, Soo-Ho,Lee, Hyong-Joo 한국식품과학회 1985 한국식품과학회지 Vol.17 No.4

        To characterize bitter peptides in fermented protein foods, peptides were extracted with 2:1 (v/v) chloroform-methand from various samples and separated into fractions I, II, and III by Sephadex G-25 gel chromatography. Amino acid compositions of Mozzarella cheese, soybean paste, and each fraction from the two samples were analyzed to calculate the average hydrophobicity. All the solvent extracts of the food samples had strong bitter taste, although the original samples did not taste bitter. The yield of solvent extraction ranged from 0.08 to 62.50% of total nigrogen of food samples. The average hydrophobicity calculated from the amino acid composition of Mozzarella cheese was 1376 cal/mole, solvent extract 1,623 cal/mole, gel chromatography traction I, 1,797 cal/mole, fraction II, 2,454 cal/mole, and fraction III, 1,559 cal/mole. In the case of soybean paste, the average hydrophobicity of original sample, solvent extract, gel chromatography fraction I, II, and III wre 1,229, 1,654, 1,900,998 cal/mole, respectively. The important amino acids in bitter peptides were leucine, 2016, phenylalanine, proline, and voline. 단백발효식품에서의 쓴맛 펩타이드의 특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여러 시료로부터 소수성 펩타이드를 2 1(v/v) chloroform-methanol로 추출하였다 이 중 모짜렐라치즈와 된장으로부터 얻은 쓴맛 텝타이드 추출물을 다시 Sephadex C-25 겔 크로마토그라피한 결과 분획 I II, III을 얻었는데 이들 시료 자체와 각각의 크로마토그라피 분획을 구성하고 있는 펩타이드의 아미노산 조성을 분석하여 평균소수도를 계산하였다. 시료들 자체는 쓴 맛을 나타내지 않았으나 용매로 추출된 소수성 펩타이드 분획은 강한 쓴 맛을 나타내었다. 시료의 용매추출 수율은 총 질소 함량의 0.08내지 62.50%의 범위로 나타났다. 모짜렐라치즈 질소물의 평균 소수도는 1.376cal/mole, 용매추출 분획은 1.623cal/mole. 젤 크로마토그라피 분획 I은 1,797cal/mole, 분적 II 는 2,454cal/mole, 분획 III은 1,559cal/mole 이었다. 된장의 경우 된장 자체, 용매추출 분획, 겔 크로마토그라피 분획 I, II, III의 평균소수도는 각각 1,229. 1,654, 1900, 2016, 998cal/mole 이었다. 쓴맛 펩타이드에서 중요한 아미노산을 leucine, Phenylal anine. p-roline, valine으로 나타났다.

      • SCOPUSKCI등재

        유청 및 두유의 공동침전에 의해 제조된 치즈의 특성

        김정환,이형주,Kim, Jeong-Hwan,Lee, Hyong-Joo 한국식품과학회 1985 한국식품과학회지 Vol.17 No.3

        대두치즈의 풍미와 조직을 개선하기 위해서 유청-두유치즈를 유청, 유청분말, 두유, 분리대두단백의 여러가지 혼합물의 공동침전에 의해 제조하고, 유산균과 레닛을 첨가한뒤 $15^{\circ}C$에서 10주 동안 숙정시킨다. 치즈의 물리 화학적 특성은 수소이온농도, 적정산도. 수용성질소, 10%TCA가용성질소, 아미노산조성, 풍미, 색, 경도등을 분석함으로 조사하였다. 유청-두유치즈의 pH는 최초 5.3에서 숙설 5${\sim}$6주에 4.2로 떨어져 이후는 일정하였으나 두유치즈의 pH는 시종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유청-두유치즈의 적정산도는 점차 증가하여 8주후 0.4${\sim}$0.45에 달했으나, 두유치즈는 숙성이 끝난뒤에도 0.2에 불과했다. 수용성 및 10%TCA가용성 질소함량은 숙성중 점차 증가하였다. 치즈의 경도는 3 : 1 치즈와 두유치즈의 경우가 가장 컸으며 숙성 3주째 최고치를 나타내었다. 두유치즈에 비해 유청-두유치즈의 색은 밝았으며 대두치즈의 비린내는 숙성 전기간을 통해 강렬하였으나 유청-두유치즈의 경우 산취로 인해 비린내가 부분적으로 상쇄되었다. As a way of improving the texture and flavor of soybean cheese, whey-say cheeses were made by coprecipitation of various mixtures of whey, whey powder, soy milk and soy protein powder, and mixed culture of str. lactis, str. cremoris and rennet were added, then the cheeses were cured at $15^{\circ}C$ for up to 10 weeks.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the cheese were investigated by analyzing pH, titratable acidity(TA), water soluble nitrogen, 10% TCA soluble nitrogen, amino acid composition, beany flavor, color and hardness. The pH of whey-soy cheeses during ripening changed from 5.3 to 4.2 after 5 or 6 weeks and maintained that value while that of soybean cheese maintained a higher pH value. TA of whey-soy milk cheeses was gradually increased to the value of 0.4-0.45 after 8 weeks, but that of soybean cheese reached only 0.2 after the same period. Water soluble and 10% TCA soluble-nitrogen increased steadily during ripening. Hardness of the whey-soy milk cheeses reached maximum after three weeks of ripening and greatest at those made from 3 : 1 mixture of whey and soy milk and that from soymilk. Color of the whey-soy milk chesses was lighter than that of soybean cheese. The bean flavor of soybean cheese was strong and persistent for the whole ripening period. Acid flavor was dominant in the whey-so milk cheese and masked the beany flavor partially.

      • SCOPUSKCI등재

        카세인을 이용한 치즈곤죽의 발효특성

        장해동,이형주,Jang, Hae-Dong,Lee, Hyong-Joo 한국식품과학회 1985 한국식품과학회지 Vol.17 No.5

        치즈곤죽의 제조공정과 기간을 단축시키기 위해서 생치즈 커드를 제조하지 않고 Na-caseinates, cream, 여러가지 미량성분, 유산종균, 효소를 혼합하여 치즈곤죽을 제조하고 $30^{\circ}C$에서 매일 30초간 교반하면서 7일 동안 발효시킨 다음 치즈곤죽의 물리 화학적 특성을 조사하기 위해 수소이온 농도, 적정산도, 수용성 질소, 생균수, 활성 SH기, 총 휘발성산, 유리 지방산. 전기영동에 의한 단백질분해를 분석하였다. 유산균에 의한 산생성은 단백질분해효소를 첨가하지 않은 치즈곤죽보다 첨가한 치즈곤죽에서 더 잘발히 일어나 3일 후에는 PH를 4.90이하로 떨어뜨려 5N NaOH로 PH를 5.40으로 조정해 주었으며 이후에 pH는 약간 증가하였고, 적정산도의 변화는 pH변화와 비슷한 경향을 보여주었다. 단백짙분해효소를 첨가하지 많은 치즈곤죽은 발효가 끝났을 때 총 질소의 약 40%가 수용성 질소로 되었으나 효소를 첨가한 치즈곤죽은 70%정도의 단백질이 수용성 질소로 분해되었다. 사용한 유산종균. 즉 Streptococcus lactis와 treptococcus cremoris에 의한 단백질 분해는 Cheddar치즈에서와 같이 as-casein이 $\beta$-casein보다 먼저 분해되며, 첨가한 단백질분해호소는 $\alpha$-casein과$\beta$-casein을 모두 활발히 분해 시켜 3일이 지나면 모든 단백질이 펩타이드와 아미노산으로 되었다. 단백질 분해효소를 첨가한 치즈곤죽에서는 쓴맛 펩타이드가 형성되었다가 사라짐을 관찰할수 있었다. 한편 지질분해효소를 침가할 경우 총 휘발성산이 4일 이후에 급격히 증가함을 통해 사용한 효소는 유지방을 잘 분해함을 알 수 있었으며 GLC에 의한 유리 지방산의 분석 결과는 Cheddar치즈곤죽은 시판Cheddar 치즈와 비슷하고 Italian형 치즈곤죽은 시판 Italian치즈보다 약간 떨어졌다. Cheddar치즈의 중요한 품미성분인 활성 SH기는 glutathione을 첨가한 치즈곤죽에서 발효 4일부터 증가하였으며 단백질분해효소를 함께 첨가할 경우 그 증가현상이 현저하였다. 단백질분해요소의 첨가유무에 따라 점도 변화는 다른 두 가지 양상으로 나타나 효소를 첨가할 경우 단백질이 분해됨에 따라 점도가 급격히 감소하였다. To shorten the processing of cheese slurry, four different slurries, ie, Control, Cheddar 1 and 2, and Italian-type that were made of Na-caseinates, cream, trace elements, lactic culture, and enzymes were fermented at $30^{\circ}C$ for 7days with daily stirring. PH, titratable acidity, soluble nitrogen, viable cell count, active SH groups, total volatile fatty acid, free fatty acid, electrophoretic patterns of degraded caseins, and viscosity were analyzed to investigat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fermented slurries. Acid production was accelerated in the cheese slurries with protease than that without the enzyme and PH of the former was decreased after three days of fermentation to 4.90. The Change of titratable acidity agreed to PH patterns. Soluble nitrogen of the Control slurry was increased slowly for four days and then rapidly to 40% of total nitrogen while those containing protease to 70%. The protease of lactic cultures used (Streptococcus lactis and Streptococcus cremoris) broke down as-casein more rapidly than $\beta$-casein and most proteins were degraded to peptides and amino acids after three days of fermentation. Total volatile fatty acids were increased by added lipase and free fatty acids composition analyzed by GLC in cheddar slurry with 0.00001% lipase was similar to that of commercial cheddar cheese, while that in Italian-type slurry was a half of that in commercial Italian cheese. Active SH groups were increased in the cheese slurries with glutathione from fourth day of fermentation. The viscosity of slurries decreased very rapidly by addition of protease.

      • KCI등재
      • KCI등재
      • SCOPUSKCI등재
      • SCOPUSKCI등재
      • KCI등재

        오가자 추출물의 기능성 검정

        정성근 ( Sung Keun Jung ),이형주 ( Hyong Joo Lee ) 한국산업식품공학회 2010 산업 식품공학 Vol.14 No.2

        본 연구에서는 강원도에 자생하는 오가피(Acanthopanax sessilifloru) 열매(Ogaza)를 80% MeOH 추출하고, 기능성식품소재로써의 기능성을 규명하였다. 오가자 추출물의 페놀성 화합물은 오가자 1 g 당 56.1±5.2mg 의 gallic acid로 나타났다. 오가자 추출물 0.25, 0.5, 1, 2mg/mL은 각각 vitamin C 34.0, 73.0, 194.3, 339.7μg/mL에 해당하는 항산화 효과를 보였다. 오가자 추출물 1 과 2mg/mL의 농도에서 LPS로 유도한 TNF-α와 IL-6의 생성량을 각각 22±2, 19±6% 그리고 18±2, 24±3% 억제하였다. 또한, 자외선 조사에 의해 증가한 COX-2 luciferase 활성이 오가자 추출물(0.25, 0.5, 1, 2mg/mL)에 의해 각각 80±1, 83.±7, 96±4, 98±2% 억제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잎 이나 뿌리에 비해 연구 및 활용도가 낮았던 오가피 열매의 항산화활성 및 항염증 효능을 규명함으로써, 오가자가 고부가가치기능성 식품소재로 활용 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Multiple lines of study have shown that Acanthopanax species have anti-oxidant and chemopreventive effect. However, the suitability of Acanthopanax sessilifloru fruit (Ogaza) as a functional food source remains to be investigated. Therefore, we have investigated the effect of Ogaza as an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substance. The phenolic content of Ogaza is 56.1±5.2mg gallic acid equivalents (GAE) per 1 g of Ogaza. The 2,2`-azino-bis(3-ethylbenzthiazoline- 6-sulphonic acid (ABTS) radical scavenging effects of Ogaza extract at 0.25, 0.5, 1, or 2mg/mL were 34.0, 73.0, 194.3, or 339.7μg/mL vitamin C equivalent antioxidnat capacity (VCEAC), respectively. Ogaza extract (1 or 2 mg/mL) inhibited LPS-induced TNF-a production (decrease of 22±2% or 19±6%, respectively). It also inhibited LPS-induced IL-6 production (decrease of 18±2% or 24±3%, respectively). In addition, Ogaza extract (0.25, 0.5, 1, or 2mg/mL) inhibited COX-2 luciferase activity (decrease of 80±1%, 83.±7%, 96±4%, or 98±2%, respectively). Overall,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Ogaza is promising as a functional food source due to its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