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분위회귀 분석을 활용한 기업규모별 고용 성장에 관한 연구

        홍운선(Woon-Sun Hong),송치승(Chi-Seung Song),김상태(Sang-Tae Kim) 한국산업경제학회 2015 산업경제연구 Vol.28 No.2

        기업규모와 성장사이의 관계에 대한 기존 국내 연구결과들은 비정규성을 지닌 표본특성이 반영되지 않았고 표본규모도 매우 작아 연구결과의 신뢰성을 제약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분위회귀분석 방법과 방대한 ‘전국사업체조사통계’를 기초자료로 활용하여 기업규모와 성장을 분석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저성장 기업과 평균적 기업의 경우 대-중소기업간 성장속도의 차이는 없으나, 고성장 기업의 경우 중소기업의 성장속도가 대기업보다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특성은 전체 산업과 산업별 분석 모두에서 유지되었다. 고성장기업군에서 중소기업의 성장속도가 가장 빠른 산업은 섬유산업과 전문 과학기술 서비스업이었으며, 대-중소기업간 성장속도의 차이가 가장 작은 산업은 자동차 산업과 운송장비 산업이었다. 정책적 측면에서 볼 때, 중소기업을 통한 일자리 창출을 위해서는 고성장 중소기업 지원 정책이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ize of firm and its growth rate. Unlike previously domestic researches, for the first time we use the Quantile Regression as statistical methods, and the ‘Census on Establishments’ by the Statistics Korea as the most extensive data set, ever available in Korea. We obtain the following results from empirical studies: First,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growth rates between small and large firms either in low-growth or medium growth ones for the entire industry. Second, In some specific industries, large firm grows faster than small one in the low-growth group. However, among high-growth firms, small ones grow faster than large ones.

      • KCI등재

        한국과 미국의 기술이전 제도 비교 연구

        김상태(Sang-Tae Kim),홍운선(Woon-Sun Hong) 한국기술혁신학회 2013 기술혁신학회지 Vol.16 No.2

        본 연구는 미국과 한국의 기술이전을 위한 제도 구축 과정을 살펴보고, 한국의 KAIST와 미국의 캘리포니아대학교의 사례를 통해 비교 탐색한다. 이를 위해 한국과 미국의 기술이전 정책과 제도가 형성되는 과정이 해당 대학의 제도 개선과 어떤 관계를 지니는지를 함께 비교하며,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한다. 캘리포니아대학교는 1960년대부터 구성원의 기술이전 활동을 규제 또는 촉진하기 위한 규범과 지침을 제정하였다. 이러한 제도화는 특허관리에서 연구자로서의 올바른 행동 지침까지 규율하고 있다. 규범화와 관행을 통해 산학협력활동에 따른 위법과 적법의 경계를 명확히 함으로써 불확실성을 감소시켰다. 이에 반해, KAIST는 기술이전에 관하여 국내의 우수 사례이지만 제도 개선이 내부 요구보다는 정부의 정책방향에 좌우되는 바가 크다. 특히, 미국의 베이-돌 법안과 같은 정부차원의 법적 제도가 2002년에도 도입됨에 따라 아직 제도 구축의 초기단계에 머물고 있다. 본 비교 연구의 결과, 기술이전의 실질적 성공을 위해서는 대학에 기술이전 권한을 위임하고 대학 자율권을 확대해야 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explores the trajectories of institutionalization for technology transfer both in the U.S. and Korea, particularly focusing on two universities: Korea Advanced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KAIST), and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UC). By comparing the diverging paths of the two universities in setting up institutions, this paper examines the limits of and lessons for technology transfer policies both to Korean government and universities in Korea.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was involved in designing rules and codes, on one hand, to stimulate its members’ engagements with technology transfer activity and, on the other hand, to keep its academic integrity since, no later than, the 1960s. The efforts and consequences range from its rules of patenting system to its codes of conducts. Through making rules formal and resolving conflicts on technology transfer activity, the U.S., and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have decreased uncertainties for its members’ engagements with industries. By contrast, KAIST has not built up such range of rules or codes due to its shorter experience and its constraining legal contexts. Korea introduced the legal format of the US Bayh-Dole Act in 2002, and its central government has led the initiatives for technology transfer, not allowing much latitude for its universities. This study implies a set of policy recommendations to the Korean government and KAIST: to build entrepreneurial universities, the government should give greater latitude to universities, so universities should be more rigorously engaged in developing their own rules and routines; the government, rather, should focus on providing bridging R&D funds like the Small Business Innovation Research (SBIR), so researchers could draw on resources to move their basic research into next phases; KAIST would be better to promote its members to engage with industries, and introduce conduct codes that allow its academics to engage in industrial activity, rather than building up its commercialization facil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