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노인요양공동생활가정을 위한 자연친화적 디자인에 관한 연구 - 섬유 제품디자인 개발을 중심으로 -

        최임정(Choi, Im-jung),최 기(Choi, Ki),문정인(Moon, Jung-in) 한국조형디자인학회 2017 조형디자인연구 Vol.20 No.3

        본 연구는 고령화 사회 심화에 따른 노인복지시설의 급증으로 인한 획일화 된 환경으로부터 요양노인을 배려한 생활공간으로 개선하기 위한 방안으로써, 섬유 제품을 심미적 · 기능적 디자인으로 개발, 제안을 통하여 자연친화적 생활환경을 조성하고자 한다. 노인복지시설 중 노인요양공동생 활가정은 심신 및 지각 기능이 저하된 노인들이 생활하는 곳으로, 대부분을 실내에서 생활하기에 실내공간을 중심으로 섬유 제품을 개발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첫째, 자연친화적 디자인을 이해하기 위해 친환경 섬유소재와 친환경 기법인 천연염색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진행하였다. 둘째, 선행 연구의 일환으로 일본의 노인복지시설을 직접 방문하여 현장사례조사를 실시함으로써, 일본노인시 설의 실내 환경 현황 및 특성을 파악, 분석하였다. 이에, 도출된 내용을 근거로 국내 노인요양공동 생활가정의 실내 환경 개선 및 생활에 편리함을 줄 수 있는 방안을 섬유 제품디자인을 통하여 모색하고자 하였다. 셋째, 이론적 고찰과 사례조사를 기반으로 국내 노인요양공동생활가정에 적합한 자연친화적 섬유 제품디자인 11종을 개발하였다. 이에, 도출된 자연친화적 섬유 제품디자인에 대한 특징은 다음과 같다. 자연친화적 소재인 오가닉 코튼은 수분 함유량이 많고 보온성 및 흡수성이 뛰어나 요양노인들의 건조한 피부를 완화 시켜 숙면에 도움을 주었다. 또한, 자연친화적 기법인 쪽염은 항균·향취 및 스트레스 완화 등으로 생활의 편의를 주었고, 산수화를 모티브로 한 자연친화적 패턴은 요양노인들에게 감성적 기능에 도움을 주었다. 이러한 자연친화적 섬유 제품을 개발, 제안함으로써, 요양노인들을 위한 생활의 편리성과 정서적 편안함으로 쾌적한 환경을 도출하여 개선된 노인복지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또한, 향후 설치될 노인요양공동생활가정의 생활환경에 대한 자료로도 활용되어지리라 기대해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build nature-friendly living environment for the elderly by developing and proposing aesthetic and functional designs in a bid to make improvement on the living environment of elderly care facilities that have become somewhat uniform in conditions due to a sharp increase in such facilities as a result of a rapidly aging society in a way to facilitate elderly care. Among many elderly welfare facilities, the group home for the elderly is intended to serve the elderly people whose physical and mental functions are undermined and who stay indoor most of their time, and thus product development has been focused on fabric products used in indoor space. With this in mind, the study has conducted the followings. First, the theoretical study on eco-friendly fabric materials and eco-friendly processing technique called natural dye has been carried out to properly understand the natural-friendly design. Second, as a preliminary study, I have visited the elderly welfare facilities in Japan and conducted an on-site case study to identify and analyze the current indoor environment conditions and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care facilities in Japan, based on which, I have sought out ways to promote indoor environment and convenience of living of the domestic group homes for the elderly through design development of fabric products. Third, based on the theoretical considerations and case studies described above, I have come up with 11 different natural-friendly fabric product designs that are suitable to meet the needs of domestic group homes for the elderly.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natural-friendly fabric product designs are summarized as follows. Natural-friendly organic cotton features a high moisture content and excellent heat retention and absorptiveness, which helps with taking care of dry skin of the elderly and thus promoting deep sleep. In addition, the nature-friendly indigo dye technique has promoted the convenience of living due to its favorable features, including antifungal property, fragrance, and stress relief, and the nature-friendly pattern with the landscape painting as a motif has helped the elderly with improving their emotional function. The development of such nature-friendly fabric products has been intended to promote the convenience of living and emotional stability for the elderly under care as part of providing better elder welfare services, enabling the elderly to feel warm. I also expect this study to be used as a useful reference for group homes for the elderly to be established in the future.

      • KCI등재

        MAKINORI의 표현효과를 이용한 텍스타일 디자인 연구

        최임정(Choi, Im Jung),임혜숙(Im, Hye Sook) 한국디지털디자인협의회 2013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3 No.3

        최근 텍스타일디자인은 상품성과 예술성을 모두 충족시 킬 수 있는 디자인의 고급화를 지향하는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어, 새로운 재료와 기법으로 다양한 표현 연구와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마키노리는 일본의 전통의상인 기모노 제작에 주로 사용되고 있는 염색기법으로써, 그 제작과정이 쉽고 간편하며, 다양한 다각형의 자연스러운 형태와 겹침과 같은 독특한 표현효과를 가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일본의 염색기법인 마키노리를 활용하여 독창적인 패턴디자인 개발의 가능성을 확인하고, 창의적인 텍스타일 디자인을 제안하고자 한다. 첫째, 문헌조사를 통하여 마키노리의 발생과정과 개념에 대해 알아보고, 마키노리의 활용사례에 대한 조사를 통하여 마키노리의 특징을 파악하였다. 둘째, 샘플 제작을 통하여 마키노리 기법의 공정과 제작과정, 표현효과의 이해를 돕고 마키노리의 조형적 특성을 살펴보았다. 셋째, 텍스타일디자인을 위한 패턴디자인의 단위형태로서 6점의 모티브를 실물 제작하였으며, 이를 회전과 조합의 방법으로 기하학적 요소와 현대적인 그래픽 라인의 패턴을 디자인하였다. 그리고 추출된 패턴디자인은 넥타이, 스카프, 쿠션의 텍스타일 제품에 3D 맵핑화 시켜 시뮬레이션 하였다. 본 연구는 마키노리의 조형적 표현효과를 활용하여 제안된 현대적 감각의 텍스타일 디자인을 토대로 다양한 텍스타일 제품의 개발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Recently, textile design is being conducted in the direction to pursue high quality of design that can satisfy both marketability and artistry, so they are performing active research and development for various expressions based on new materials and techniques. Makinori is the dyeing technique being mainly used to produce kimono, Japanese traditional costume.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it is simple and easy, and it also has its unique expression effects like overlapping and also diverse polygons’ natural shapes. Thereupon,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possibility of developing original pattern design by using Japanese dyeing technique, Makinori, and suggest creative textile design. First, this study examined the process of generation and concept of Makinori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figured out the characteristics of Makinori through research on the examples of Makinori. Second, as designing samples, the paper supported understanding on the processes and manufacture of Makinori and also its expressive effects and examined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Makinori as well. Third, as the unit form of pattern design for textile design, the study designed the actual-size motif with 6 points, and with the method of rotation and combination, it designed geometric elements and modernized graphic line patterns. And the pattern design extracted went through simulation after 3D mapping on the textile products such as neckties, scarves, and cushions.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support the development of various textile products based on the textile design of modernized sense suggested by utilizing the effects of formative expression of Makinori.

      • KCI등재

        노인 요양공동생활 가정 실내공간의 감성적 디자인에 관한 연구 - 쪽염을 활용한 패브릭 소품디자인의 효과를 중심으로 -

        최임정 ( Choi Im-jung ),최기 ( Choi Ki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4 한국디자인포럼 Vol.44 No.-

        노인복지시설의 하나인 노인 요양공동생활 가정의 입소자들은 노인성 질환 등으로 대부분의 생활을 실내에서 보내고 있지만, 일관된 공간으로 입소자 개개인의 특성과 욕구에 맞추어진 적합한 대응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노인 요양공동생활 가정의 실내 환경복지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여, 보다 나은 환경개선을 위해 노인 요양공동생활 가정을 대상으로 시설환경의 현황을 파악하고 거기에 따른 문제점들을 분석하여, 개선방안으로 패브릭 소품디자인을 제시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첫째, 노인들의 특성을 고려한 실내색채 및 감성디자인에 관한 선행연구조사 및 분석을 통하여 이론적 고찰을 하였다. 둘째, 실태조사를 실시하여 노인 요양공동생활 가정의 생활환경을 파악하고 실내 환경의 개선과 프라이버시가 존중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셋째, 선행연구와 실태조사를 기반으로 감성적 패브릭 소품디자인을 제안하였다. 소취, 보온(消臭, 保溫) 및 방충(防蟲)효과의 자연친화적 특징을 가진 쪽염(藍染)에 착안하여 개인생활공간과 공동생활공간에 사용되는 커튼을 제안하였다. 이러한 감성적 패브릭 소품디자인을 제시함으로써 환경개선의 일환으로 쾌적한 환경을 도출하고자 하며, 고령화 사회에 들어선 현시점에 개선된 노인복지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향후 설치될 노인 요양공동생활 가정의 생활환경에 대한 자료로도 활용되어지리라 기대해 본다. At senior group homes, one of the elderly welfare facilities, they spend most of their time inside due to the senile disorders they suffer; however, as they are open for all in the same way, each individual`s needs or characteristics cannot be satisfied properly. This researcher has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interior environment welfare at senior group homes and necessity to improve their environment better and suggested fabric prop design as a way of improvement by figuring out the current status of the facility environment with its subjects of senior group homes and analyzing the problems based on that. Therefore, this study takes the following procedure: first, it conducts theoretical consideration through advanced research review and analysis on interior color or emotional design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Second, it intends to examine living environment at senior group homes by conducting actual investigation on them and find out ways to improve the interior environment and respect each individual`s privacy. Third, based on advanced research review and analysis on the actual status of them, it suggests emotional fabric prop design. With the blue dye equipped with eco-friendly characteristics such as deodorant, heat-retaining, and insect-proof effects, the study suggests curtains that can be used in their private and also group living space. Suggesting this emotional fabric prop design, the researcher attempts to create pleasant environment as part of environmental improvement and provide better senior welfare at this point that we have entered aging society. Moreover,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be used as material for living environment at senior group homes to be built afterwards.

      • KCI등재

        실내 환경개선을 위한 가이드라인 기획 연구 - 국내노인요양공동생활가정의 공간, 가구, 패브릭 디자인을 중심으로 -

        최임정(Choi, Im-jung),문정인(Moon, Jung-in),최 기(Choi, Ki) 한국조형디자인학회 2017 조형디자인연구 Vol.20 No.4

        본 연구는 국내 노인요양공동생활가정 실내 환경개선을 위한 공간디자인 가이드라인을 구축하기 위해 표준 모델을 설치한 후 적합도 조사를 통하여 가이드라인의 기획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첫째, 선행연구를 통하여 노인요양공동생활가정의 현황을 파악하였고, 이를 통해 가이드라인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둘째, 가이드라인의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방법 도출을 위해 국내 노인요양공동생활가정에 적합한 표준 모델을 제작하여 설치하였다. 또한, 객관성 평가를 위해 표준 모델의 적합성 조사 및 분석을 진행하였다. 셋째, 앞서 도출된 연구의 내용과 전문가와의 인터뷰를 토대로 국내 노인요양공동생활의 실내 환경개선을 위한 공간디자인 가이드라인의 기획 방향을 제안하였는데, 그 내용으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편리한 구조와 기능적인 공간 조성, 둘째, 가정적 이미지의 극대화, 셋째, 사생활을 존중한 환경형성에 있다. 또한, 현장에서도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도록 20페이지의 간단한 책자로 제작하여 관련기관 및 시설 운영자에게 배포하여 가이드 라인의 적정성을 검증할 예정이다. 이는 향후 설치될 노인요양공동생활가정의 효율적인 실내 환경을 구성할 수 있는 자료로도 활용되어지리라 기대해 본다. In order to establish a space design guideline for the improvement of the indoor environment of elderly nursing homes in Korea, this study tried to suggest the direction of guideline by establishing prototypes and conducting a survey on goodness of fit. To this end, first, this study examined the current status of elderly nursing homes through previous studies, which revealed the necessity of setting a guideline. Second, in order to deduce a concrete and practical method for the guideline, this study established prototypes suitable for elderly nursing homes in Korea, conducted a survey and an analysis on goodness of fit, and carried out an objectivity evaluation. Third, based on the survey results and interviews with experts, this study proposed a direction for planning the space design guideline to improve the indoor environment of elderly nursing homes in Korea. As for the direction of planning the guideline of space design to improve indoor environment, this study suggests utilizing convenient structure and functional space, maximizing home-like images, and creating an environment respecting privacy. Also, a 20-page booklet will be made to be used in the field and be distributed to relevant institutes and facility operators to verify the appropriateness of the guideline. I also expect this study to be used as a useful reference for group homes for the elderly to be established in the future.

      • KCI등재

        자원재생에 있어 공예적 요소를 부각한 해외 사례 연구

        최임정(Choi Im jung),최기(Choi Ki),박성철(Park Soung chuel) 한국조형디자인학회 2018 조형디자인연구 Vol.21 No.3

        최근 자원의 한계성과 환경오염에 대한 위기의식이 부각되면서 폐기물을 자원이라는 인식전환으로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의 모색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자원재생에 앞장서고 있는 일본 브랜드를 현장 방문하여 그들의 상품을 조사, 분석함으로써 자원재생 브랜드 전략의 특징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첫째, 이론적 고찰을 통하여 자원재생의 이해와 국내 자원재생 현황을 파악하였고, 이를 통해 자원재생 브랜드 이미지 강화를 위한 공예적 요소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둘째, 자원재생에 있어서 인식의 전환에 성공한 일본의 대표적인 자원재생 브랜드 3곳을 선정하고, 관계자의 설명 및 면담을 토대로 현장사례조사를 실시하였다. 셋째, 현장 방문 조사 및 수집된 자료들을 토대로 공예적 요소에 의한 자원재생의 브랜드 전략의 특징이 도출되었는데, 그 내용으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물을 보는 관점과 생각에 대해 새로운 시점을 제시해 주고 있었고, 둘째, 자원 재생을 위한 자원의 선택 면에서는 각기 다르지만, 활용 면에서는 제작 시 스토리 전달이라는 공통점이 있었다. 셋째, 자원 재생의 활용은 재이용과 새로운 생산과 새이용의 모습으로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마지막으로, 여러 가지 사회적 활동의 기획과 개최로 자원재생 브랜드가 아닌 고급 공예브랜드로써 인식이 개선되어 일상생활 속에 자리 잡고 있었다. 이는 향후 진행될 국내 자원재생을 위한 공예 시장 활성화 및 가능성 모색을 위한 기초자료로 사용하고자 한다. Recently, we are facing the shortage of resources and also the crisis of environmental pollution. At this point, we should find out ways to use wastes efficiently thinking them as resourc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isit Japanese brands taking the initiative in resources recovery, investigate and analyze their products, and draw the characteristics of the brands’ resources recovery strategies. First, based on theoretical consideration, the researcher tried to understand resources recovery and examined the actual status of resources recovery in Korea. As a result, this researcher has found that crafts elements are needed to enhance the image of resources recovery brands. Second, the researcher has selected three representative resources recovery brands in Japan which have successfully changed their consciousness about resources recovery and carried out field investigation grounded on the explanations and interviews of those concerned. Third, based on the field investigation and also data collected, this researcher has drawn the characteristics of resources recovery brands’ strategies in terms of crafts elements. The details can be summed up as follows. First, they are suggesting new viewpoints about things or thoughts. Second, although they are different in selecting resources for resources recovery, they commonly try to deliver a message in terms of their utility. Third, the use of resources recovery is being conducted in various ways, for example, reutilization, new production, or upcycling. Lastly, they are planning and holding a variety of social events and changing people’s recognition about them not as resources recovery brands but classy crafts brands. They are positioning in people’s everyday lives in that way.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sed as foundational material to vitalize the crafts market in Korea and find the potential of resources recovery to be carried out afterwards locally.

      • KCI등재

        영화 속 가구, 소품 및 패션디자인의 계획적 사용에 의한국가 이미지 메이킹 사례 연구 - 영화 `카모메 식당`의 가구, 주방용품, 의류를 중심으로 -

        최임정 ( Choi Im-jung ),최기 ( Choi Ki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4 한국디자인포럼 Vol.42 No.-

        본 논문은 영화에서 소품 디자인이 계획적으로 사용될 경우 관객과의 다양한 소통효과를 획득할 수 있다는 사실을 검증하는데 궁극적인 목적이 있다. 연구진은 우선 영화 `카모메 식당`을 선정하여 연출 의도 및 제작과정을 조사하였으며, 영화의 국가 이미지 메이킹 과정을 분석하였다. 또한 영화에 사용된 가구, 의류, 그릇 디자인의 개요를 면밀히 검토하였고, 영화 스토리 전개과정과의 사용연관성을 평가하였다. 마지막으로 사용된 영화소품이 관객들에게 어떠한 감성적 이미지를 전달하는지를 관찰, 소품활용에 의한 국가 이미지 메이킹 가능성을 검증하였다. 결과적으로 영화에 사용되는 소품 디자인은 준비단계에서 계획적으로 구성될 경우 영화에 대한 긍정적인 평가를 이끌어 낼 수 있으며, 특히 소품에 의한 감성적 메시지 전달이 가능하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향후 한국영화의 소품 디자인 기획 및 사용에 적절한 이미지 메이킹 방법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This paper intends to prove that a set design in movies can be purposefully used to communicate various messages to the audience. The research team selected the movie “Kamome Diner” to investigate its directional intentions and the production details and analyzed the national image making process in the movie. Additionally, the furniture, clothing, and the design of the tableware used in the movie were closely examined to study their relevancy to the plot of the movie. Lastly, the kind of emotional messages the props used in the movie delivered to the audience were examined to clarify the possibility of the national image making by the use of prop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calculated set design of the movie during a planning stage can earn positive reviews about the movie and deliver emotional messages by the means of props. This requires a future research of image making methods in the planning of set design for Korean movies and their use.

      • KCI등재

        시간적 물성 변화에 따른 공예의 심미적, 감성적 표현 요소로서의 재료 활용 가능성 연구 : 자원 재생 개념의 공예품 및 브랜드를 중심으로

        최기(Choi Ki),최임정(Choi Im jung),박성철(Park Soung chuel) 한국조형디자인학회 2018 조형디자인연구 Vol.21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시간성에 의해 물성이 변화한 재료를 공예와 접목하였을 때 표현될 수 있는 감성적 심미성의 가치를 사례 분석과 가능성 검토 조사를 통해 자원 재생의 공예적 가능성과 함께 확인하는데 있다. 시간성에 의해 표면 질감이 변화한 목재는 공예 재료로 적절히 사용되었을 때 사용자의 감성에 의한 심미성 강화효과를 가져오며, 공예 작품의 스토리텔링에 의한 표현요소가 될 수 있다. 한옥 고재는 시간성에 의한 재료의 물성 변화와 더불어 고재 자체가 가지고 있는 국산 목재 고유의 조형성 및 질감이 공예 재료로서 충분한 미적 가치를 보유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자원 재생에 의한 공예의 미적 가치 표현은 사용자의 감성을 자극하여 ‘시간성=희소가치’ 라는 의미를 부여하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he value of emotional aestheticity that can be expressed when materials of which physical properties have changed by time are combined with crafts through case analysis and investigation on the possibility of it and also the potential of resources recovery as crafts. Wood of which surface texture has changed through temporality can bring the effect of enhancing aestheticity by the user’s sentiment when properly used as crafts material and can turn out to be an expressive element grounded on the storytelling of craftwork. It has been found that the ancient material of Korean-style houses is equipped with the unique formativity of Korean wood which ancient material originally obtains along with the changes of physical properties by time and also plenty of aesthetic value of texture as crafts material. Expressing the aesthetic value of crafts through resources recovery may arouse the user’s sentiment and bring the result of providing the meaning of ‘temporality= scarcity value’.

      • SCOPUSKCI등재

        부산지역 소아 및 성인의 A형 간염 바이러스 항체 양성률에 대한 역학적 조사

        권영옥,최임정,정진화,박지현,Kwon, Young Ok,Choi, Im Jeong,Jung, Jin Wha,Park, Ji Hyun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2007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CEP) Vol.50 No.3

        목 적 : A형 간염 유병률은 그 지역의 생활환경과 위생상태와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시간 및 지역에 따라 다양한 양상을 보인다. 최근에 들어와 A형 간염 유병률의 변화에 대하며 많은 이들이 보고하여 왔다. 이에 본 연구는 부산 지역에 거주하는 소아과 성인을 대상으로 A형 간염 항체 유병률을 측정하였다. 방 법 : 부산시에 거주하고 2004년 10월부터 2005년 3월까지 메리놀병원에 입원한 472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전 연령층의 혈청으로부터 면역방사계수 측정법을 이용하여 항 A형 바이러스 IgG 항체 유무를 측정하였다. 결 과 : 1) A형 간염 IgG 항체 양성률은 총 472명 중 108명에서 항체가 검출되어 22.8%이었고, 2-5세가 1.7%, 6-10세가 1.7%, 11-20세가 0%, 21-30세가 40.5%, 31-40세가 82.1%, 41-50세가 94.7%, 51세 이상이 100%로 조사되었다. 2) 각 연령군 모두에서 남녀간의 항체 양성률(P=0.2)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 론 : 우리 나라에서는 최근 경제발전과 더불어 생활환경이 향상되어 A형 간염 항체 양성률이 지난 20년 전보다 현저하게 감소되었다. 현재 소아 연령에서 A형 간염 항체 보유율이 매우 낮아 이들이 성인이 되는 경우 현증 A형 간염의 유행이 초래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따라서 개인위생 및 생활환경을 개선하고, 고위험군을 대상으로 수동면역 및 능동면역을 시행하여 바이러스의 전파를 막아 A형 간염의 발생을 적극적으로 예방하여야 하겠다. Purpose : The prevalence of hepatitis A virus (HAV) in a certain community reflects that community's living standards and hygienic conditions. And the pattern of HAV infection differs over time and geography. Recently, a shift in prevalence has been observed in cases from chilhood to adulthood. We studied the HAV antibody prevalence in the general population in Busan. Methods : From October 2004 to March 2005, total 472 subjects were tested for HAV antibodies. All samples were collected from patients in Maryknol Hospital. Results : The overall seropositive rate was 22.8% (108/472). The seropositive rates were 1.7% in subjects aged 2-5 years, 1.7% in 6-10 years, 0% in 11-20 years, 40.5% in 21-30 years, 82.1% in 31-40 years, 94.7% in 41-50 years, and 100% in subjects aged over 50 years. There was no significant gap between gender groups. Conclusion : As the socioeconomic conditions in Korea have improved, the HAV seropositive rate in school-aged children has dramatically decreased in the last 20 years. But, the seropositive rate of HAV didn't differ according to gender. The seropositive rate of HAV in the pediatric group was very low, which suggests the increasing possibility of clinical HAV infection in adults in the near future. Therefore, we should actively prevent the spread of hepatits A virus. In order to do that, we need to reorganize our lifestyle and personel hygiene and carry out active and passive immunization to high risk groups.

      • KCI등재

        노인 그룹홈의 현장 사례 연구 - 독일, 스웨덴 그룹홈 사례조사를 중심으로 -

        문정인 ( Moon Jung-in ),최임정 ( Choi Im Jung ),최기 ( Choi Ki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5 한국디자인포럼 Vol.48 No.-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의 노인공동생활가정 공간계획 및 리모델링 시 기초자료로 사용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에 독일, 스웨덴의 위치한 그룹홈의 현장 사례조사를 진행하였으며 도출된 실내공간 계획 및 실내 디자인 요소의 특징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공간별 계획의 특징으로 접근공간의 진입로는 경사로와 계단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다양한 활동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외부공간이 계획되어져 있는 특징이 나타났다. 생활공간으로 침실은 1인용으로 구성되어져 있으며 거실과 주방은 인접배치, 미닫이문으로 분리되어 있었다. 위생공간은 노인의 특성을 고려한 시설물이 배치되어 있는 특징이 도출되었다. 내부 이동 공간으로 복도는 중복도 형식으로 알코브공간이 있어 휴식이 가능하게 계획되어 있었다. 관리 사무 공간은 직원을 위한 휴게실과 상담공간으로 이루어져 있었으며 현관에 인접하여 위치하고 있는 특징이 도출되었다. 둘째, 실내 요소 디자인 특징은 다음과 같다. 마감 재료는 노인들의 신체적 특성을 고려하여 미끄럽지 않고 친환경 재료를 주로 사용하였으며 문과 창은 각 실마다 채광 등 기능에 따라 차별을 두게 디자인되어져 있는 특징이 나타났다. 조명은 간접조명과 직접조명이 각 실의 기능에 따라 사용되었으며, 사인은 개별 침실 문 앞에 이름표와 색채로 구분을 두는 특징이 나타났다. 가구 및 패브릭은 일반 가정집과 같은 공간을 조성하기 위해 자신이 사용하던 가구를 가져올 수 있도록 한 특징이 나타났다. The aim of this study to use as a basis when planning and remodeling the elderly group home. The subjects are the elderly group home in Germany and Sweden. The method of this study is on-site case studies. Summariz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terior space planning and interior design elements derived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features of the interior space planning is as follows. Access space is composed of ramps and stairs and the exterior space is planned various activities. The bedroom is a single type and living room and kitchen were separated by the adjacent arrangement, a sliding door. Toilet facilities are characterized by considering of the elderly. The corridor is double type and also planned alcove space to rest. Management office is consisted of a meeting space, counsellor space and located adjacent to the entrance. Seco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terior design elements is as follows: Finishing materials are eco-friendly things used considering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Doors and windows are considering a plan to design lighting for each room. Lighting is used direct and indirect lighting, depending on the features of each room and also signs are characterized by putting name tags, separated by the color at the door of each room. Furniture and fabrics are brought to make their used furniture in order to create a home like space.

      • KCI등재

        노인요양시설 목재가구 개발을 위한 목재 짜맞춤 기법 선호도 조사 및 내구성 분석 연구

        최기(Ki Choi),문정인(Jung In Moon),최임정(Im Jung Choi) 한국가구학회 2016 한국가구학회지 Vol.27 No.4

        As a detailed process for the development of new wooden furniture design that is to be used in elderly group homes, this study measured and analyzed physical and visual durability of joint techniques, one of the essential manufacturing techniques. By selecting a total of 4 joint techniques, an experiment to measure a compressive strength was conducted and targeting a group of 50 elderly people, a survey on visual durability and preference of visual aesthetics was carried on. As a result of closely analyzing the experiment of measuring compressive strength and the preference survey, ‘mitre joint technique’ was found to be the most suitable in manufacturing wooden furniture and through follow-up studies, the result of this study will be applied in the development of wooden furniture design for elderly group hom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