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程明道 『定性書』에 대한 霞谷의 이해

        천병돈(Chun Byung-Don) 한국양명학회 2005 陽明學 Vol.- No.15

        霞谷 철학에 대한 연구도 이제 상당한 정도에 이르렀다고 생각된다. 그러나 일반 사람들이 『霞谷集』을 읽어 내려가는데 여전히 어려움이 있다는 것이다. 왜냐하면 현재 우리가 보는 『하곡집』은 옛날 그대로 것이 복사되어 있기 때문이다. 복사되어 있다보니 정확히 무슨 글자인지 알기 어렵고, 또 어떤 부분이 하곡의 말인지, 혹은 원저자의 말인지 구분하기 어렵다. 그리고 지금까지 발표된 논문 대부분은 하곡 사상 전체를 다루고 있다. 전체 사상을 알고 세부적인 부분으로 들어가야 하는 것은 당연한 학문의 입문과정이다. 그러나 그러다 보니 세부적인 부분을 소홀히 하는 경향이 있다. 그래서 본 논문은 작은 주제를 통해 하곡의 전체 사상을 조명해 보고자 한다. 하곡의 『年譜』 의하면 하곡은 宋 程明道를 흠모했고, 그래서 평소에도 정명도의 말을 외우고 음미했다고 한다. 하곡은 28세 때 당대의 대학자 宋 時烈에게 올리는 글에서 “心體가 과연 얽매인 바 없이 고요하여 움직이지 아니한다면 사물에 대한 생각이 아무리 많더라도 고요함에 무슨 방해가 되겠는가? 이것이 정명도가 『정성서』에서 말한 뜻이다”라고 말했다. 『정성서』란 張橫渠의 서신에 대한 정명도의 답장이다. 정명도는 이 짧은 답장에서 자신의 ‘一本’ 사상 즉 ‘主客’으로 대립되어 있는 ‘二本’을 대립이 아닌 혼연된 ‘一本’論을 유감없이 발휘한다. 하곡의 『定性書解』는 정명도의 『정성서』에 대한 해석으로 66세 때 쓴 글이다. 그러나 그는 이미 젊은 시절부터 정명도의 사상에 깊이 빠져 있었다. 하곡은 一本 즉 理氣合一, 體用-源의 관점에서 程朱學의 二元性 및 퇴계와 율곡에 대해서도 비판을 한다. 하곡철학을 양명학으로 분류하는 것이 일반적인 관점이다. 그러나 하곡 사상에는 양명학 못지않게 程明道의 一本 思想도 중요한 요소다. Considerable progress has been made in the study of Hagok's philosophy. A good number of papers on Hagok have been delivered through the international academic congresses held by the Korean Yang-Ming Society. This is an inspiring phenomenon, compared to the past. However, there still are certain discouraging difficulties in reading Collection 0/ Hagok(霞谷集). Since the copies of the worn-out manuscript of this book are the only available source to us for now, some letters are unreadable; and in certain parts, it is hard to determine whether the part is Hagok's own words or someone else's. Most of the papers published so far have dealt with the whole of his thoughts comprehensively. Although it seems to be a natural procedure of academic research to proceed to the details after adequately understanding the whole, there has been a tendency to pay no careful attention to the details. According to the Chronological Record(年譜) which recorded Hagok's entire life, he so much admired Cheng Ming-Tao(程明道) of Song(宋) Dynasty that he always memorized and appreciated Cheng's words. At the age of 28, in a letter he sent to Song Si-Yeal(宋時烈) who was an eminent scholar in his days, Hagok said that "if Xin(心) is unbounded, serene, and unmoving, then, no matter how many thoughts on things you might have, how could they possibly disturb the serenity of Xin? This is the meaning of what Cheng, Ming Dao said in Ding Xing Shu(定性書)." Ding Xing Shu is Cheng's reply to the latter of Chang Heng-Qu(張橫渠). In this short reply, Cheng fully expresses his idea of 'One Substance(一本)', that is, the theory of a united 'One Substance' that is distinguished from the 'Two substance(二本)' which is characterized by the 'subject-object' opposition. Jeng Sens Se Hae(定性書解) is a book which Hagok wrote at the age of 66 as a commentary on Ding Xing Shu. From his youth, however, he was already deeply immersed into Cheng's thoughts. From the perspective of One Substance, i.e., the perspective of 'Li Qi he yi(理氣合一)' and 'Ti Yong yi yuan(體用一原)', Hagok criticized the duality of Cheng-Chu(程朱) philosophy as well as the theories of Yulgok and Toegye. It is a general view to classify Hagok's philosophy as a theory of Yang-Ming philosophy. In his philosophy, however, Cheng's idea of One Substance is an element no less important than Yang-Ming philosophy.

      • KCI등재

        深齋 曺兢燮의 ‘格物’설 연구

        천병돈(Chun, Byung-Don) 한국양명학회 2014 陽明學 Vol.0 No.39

        본 논문은 심재의 ‘격물’설을 중심으로 양명의 ‘격물’설에 대한 그의 비판이 타당한 것인지를 고찰하는데 목적이 있다. 심재는 왕양명도 중점을 두었던 『대학』의 ‘격물’에 관한 길지 않은 글을 남겼다. 그것은 바로 格物說과 讀滄江金氏古本大學章句이다. 이들 저서는 언제 지어졌는지 알 수 없다. 글의 내용을 놓고 볼 때, 주자철학에 대한 상당한 식견이 있었을 때 지었던 것으로 보인다. 심재는 주자학적 관점에서 ‘격물’을 이해했다. 주자는 ‘格’을 ‘이르다(至)’로, ‘物’은 ‘사물의 理’로 해석했다. 왕양명은 ‘格’을 ‘바로잡다(正)’로, ‘물’은 ‘일(事)’로 해석했다. 이때 ‘일’은 외부에 있는 사물이 아니라, 心의 발동인 意가 지향하는 곳을 말한다. 그러므로 ‘物’은 지식의 대상으로서의 ‘物’이 아니라, 도덕실천대상으로서의 ‘物’이다. 따라서 致知의 ‘知’도 지식의 知가 아니라, 옳고 그름을 판단하는 ‘道德知’다. 심재는 양명의 ‘격물’설에 대해 物은 놔두고 오로지 心에서만 구하며, 설사物에서 구한다 하더라도 가까운 것에서만 구한다고 비판했다. 이러한 비판은 良知로서의 心즉 ‘道德적 心’을 理를 인식하는 認識心으로 파악한 것이다. 따라서 양명의 ‘격물’설에 대한 심재의 비판은 옳지 않을 뿐 아니라, 독단적이다. If you wish to extend our knowledge to the utmost, we must inversitigate the principles of all things welcome into contact with, for the intelligent mind of man is certainly formed to know, and there is not a single thing in which its principles do not inhear. It is only because all principles are not investigated that man’s knowledge is incomplete. For this reason, the first step in the education of the adult is to instruct the learner, in regard to all things in the world, to proceed from what knowledge he has of their principles, and knowledge he has of their principles, and investigate further until he reaches the limit. After exerting himself in this way for a long time, he will one day achieve a wide and far-reaching penetration. Then the qualities of all things, whether internal or external, the refined or the coarse, will all be apprechended, and the mind, in its total substance and great functioning, will be perfectly intelligent. This is called the investigation of things. This is called the perfection og knowledge. This is Zhuzi’s investigation of things and perfection og knowledge. Criticized Yangming Shimjae is based on the theory of Zhuzi. But Yangming is not that. According to Yangming, the extension of knowledge must consist in the investigation of things. A things is an event. For every emanation of the will there must be an event corresponding to it. The event to which the will is directed is a thing. Zhuzi’s opinion is thus different from Yangming. Therefore, Yangming criticism of the Shimjae is wrong.

      • KCI등재

        후기 하곡학파의 실천정신

        천병돈(Chun, Byung-don) 한국양명학회 2018 陽明學 Vol.0 No.50

        실심은 하곡학의 常道이며, 상도로서의 실심은 후기 하곡학자 영재 이건창, 경재 이건승 그리고 난곡 이건방으로 이어지고, 후에 위당 정인보로 계승되었다. 영재, 경재, 난곡은 실심을 바탕으로 서세동점과 일제 강점기라는 국가적 위기에 여러 가지 방식으로 대응했다. 후기학곡학파의 학문적 지도자라고 할 수 있는 영재는 왕에게 올리는 시무책을 통해 국왕의 공정한 법집행 · 인재등용 · 공정한 시험 등을 통해 국가적 위기를 극복하고자 했다. 영재 동생 경재는 을사늑약으로 나라를 일본에 빼앗겼을 때, 자결하지 못하고 간도로 망명했다. 강화도에 있을 때에는 계명의숙을 통해어 동양의 학문 뿐 아니라 서양의 학문도 가르치면서 인재를 양성했다. 고난한 망명지에서는 민족정신과 역사의식을 고취시키기 위해 한국역사 및 독립투사들의 항일운동을 기록했다. 영재의 從弟난곡은 종형 경재의 만류로 강화에 남아 하곡학을 전수했다. 난곡은 을사늑약으로 인한 순절 문제, 剃髮문제 등에 대해 실심을 지키면서 시의성 있는 행동을 주장했다. 다시 말하면 순절과 체발의 적절성 여부는 상황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각자의 상황에 따라야 한다고 주장했다. 학문적인 부분에 있어서는 형 경재와 마찬가지로 서양의 학문을 적극적으로 배워야 한다고 주장하고, 난곡 자신도 서양의 학문을 탐구했다. Real Mind(實心) is the unchanging principle of Hagok. The Unchanging Principle of Real Mind was passed on to Lee geonchang, Lee geonseung and Lee geonbang, who later became Chung inbo scholars. Lee geonchang, Lee geonseung and Lee geonbang responded in various ways to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based on the Real mind. The academic leader of the late Hagok school is Lee geonchang. He argued that the king should be given fair law enforcement, good talent recruitment and fair test. He tried to overcome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rough this system. Lee geonseung When he lost his country to Japanese imperialism, he refused to commit himself and exiled to the north Gando of China. When He was in Ganghwa Island before exile, He built a school(啓明義塾) and cultivated talent while teaching Western sciences as well as oriental sciences. After the exile, he wrote history of Joseon and anti-Japanese movement of independence fighters to inspire national spirit and historical consciousness. Lee geonbang is a cousin of Lee geonchang. Lee geonbang remained in Ganghwa Island in opposition to his cousin Lee geonseung’s asylum, teaching his students the discipline of Hagok. He insisted on keeping the Real mind in mind for self-immolation for one’s loyalty, the ordinance prohibiting topknots, and so on. In academic terms, like Lee geonseung, he argued that he should actively learn Western studies. And he himself explored Western studies.

      • KCI등재
      • KCI등재

        蘭谷 李建芳과 深齋 曺兢燮의 道德文章론

        천병돈(Chun, Byung-Don) 한국양명학회 2014 陽明學 Vol.0 No.38

        文章은 반드시 道를 담아야한다. 그러므로 문장을 짓기 위해서는 먼저 經書 부터 닦아야 했다. 經書를 닦으면 문장은 저절로 이루어진다. 이것이 ‘文以載道’다. 이러한 文以載道는 문장가에게 매우 난감한 문제다. 왜냐하면 문장의 독립성을 잃어버리기 때문이다. 한말의 명문장가 深齋역시 이러한 고민에서 자유롭지 못했다. 그래서 蘭谷에게 편지를 보내 ‘도덕과 문장’에 대해 물어보면서 자신의 주장을 서술했다. 도덕과 문장에 대한 심재와 난곡의 주장은 다음과 같다: 난곡: 훌륭한 도덕의 소유자는 문장도 잘 짓는다. 설사 문장을 잘 짓지 못한다 하더라도 문장에 힘을 쏟을 필요는 없다. 이런 점에서 난곡은 도덕가는 문장도 잘 짓는다는 도덕제일주의자는 아니다. 심재: 훌륭한 도덕의 소유자라도 문장을 못 지을 수 있다. 그러나 도덕과 문장을 겸비할 수 있다. ‘도덕과 문장을 겸비할 수 있다’라는 점에서 난곡과 일치한다. 단 도덕만 추구하면 문장은 저절로 따라온다는 점은 반대한다. 이점이 난곡과 다른 견해다. 심재는 난곡의 편지를 받고 ‘도덕’에 전념하려고 결심한다. 그러나 深齋가 추구하고자 하는 ‘도덕’의 내용은 난곡의 양명학과 근본적으로 다른 ‘성리학’이다. 양명학에 대한 深齋의 평가는 亂道다. 심지어 유가가 아니라 선종으로까지 폄하해 버린다. 결국 ‘도덕’에 전념한다는 점에서 난곡과 같지만, ‘도덕’의 내용은 난곡과 다르다. Principle should be sure to put the Sazhang(詞章). So had to study Principle to write. If you cultivate oneself spiritually, Sazhang comes naturally. This si ‘Principle put in Writing’. But ‘Principle put in Writing’ is very difficult problem in writer. Because lose Sazhang’s identity. Famous writer Simjae also from these worries not free. So write to Nangok, about to ‘Moral and Sazhang’ ask him. About to Moral and Sazhang, Nangok and Simjae’s claim is as follows: Nangok: Fine Moralist can write a good article. If can not write article, There is no need to pour power in write article. So Nangok is not Moralism. Simjae: Even though Fine Moralist cannot write article. But Can not equip both moral and Sazhang. In Equip both moral and Sazhang, agrees with Nangok. However, oppose if you just the practice of morality, Sazhang(詞章) comes naturally. This points out the different points of view with Nangok. Simjae get a letter, and come to a resolution become to Moralist. But Simjae want to Moral is with Nangok’s Yangming school radically different ‘Neo-Confucianism’. About Yangming school, Simjae’s assessment is immethodical Principle(亂道). Even Simjae is convinced that is not Confucius, but Zen sect. Eventually in concentrate on moral, with Nangok identical, but moral’s content is different to Nangok.

      • KCI등재

        경재 이건승의 민족정신

        천병돈(Chun, byung-don) 한국양명학회 2015 陽明學 Vol.0 No.40

        耕齋李建昇은 1858년 11월 28일(철종) 강화도 沙器里에서 세 아들 중 둘째로 태어나 1924년 2월 18일 67세에 西間島安東縣(현 丹東) 接梨村에서 돌아가셨다. 문집으로 『海耕堂收艸』(혹은 『耕齋集』이라고도 함)가 있다. 경재가 처한 시대적 상황은 죽지 않으면 일본의 臣民으로 살아야 했다. 그렇기 때문에 학문에만 전념할 수 없었다. 더구나 망명지의 생활은 그야말로 비참했다. 이런 이유로 경재의 학술사상은 체계적인 면이 부족하다. 그러나 망명전에 보이는 그의 사상은 매우 분명했고, 그것을 생활에서 보여주었다. 이는 담원이 쓴 ‘耕齋丈’ 제문에도 보인다. 경재는 교육을 통해 민족정신을 회복하고자 했으며, 망명 후에는 역사서를 통해 민족정신을 되찾고자 했고, 독립운동 열사들의 전기를 통해 이 민족정신은 ‘義’로 승화된다. 따라서 경재에게 있어서 학교와 역사서 그리고 독립운동은 한 나라에 국한된 일이 아니라 인간의 가치를 확립하는 ‘義’로 승화된다. 지금까지의 독립운동사는 일본 제국주의에 대한 항거에 중점을 두었다. 그래서 일반 사람들이 알고 있는 것 대부분은 일본 제국주의에 저항하는 역사적 사실이다. 경재가 기록한 항일의사들의 전기는 일본군에 대한 항거의 기록도 있지만, 그들의 의로운(義) 삶의 태도도 있다. 항일투사들의 민족정신은 일본제국주의에 대한 항거가 아니라, 實心에서 나온 義이다. 다시 말하면 인간에 의한 인간의 핍박에 항거하기 위한 ‘義’이다. Gyeongjae Geonseung, Lee born in Ganghwa Island sagili 1858 september 28. Seogando(西間島) 1924 February 18, 67-year-old died in Andonghyun(安東縣)(now 丹東) Jeoprichon(接梨村). Miscellany is 『Haegeongdangsucho(海耕堂收艸)』(Also known as 『Gyeongjaejip(耕齋集)』). Korea in 1910 was merged with the Japanese Imperialism. If you do not die so people had to live as servants of Japan. So Gyeongjae Could not concentrate only on studies. His Exile life was pretty miserable. Because it, There is no systematic thought. But Exile ago His thought is very clear, and practice it in life. It is will see Damwon write ‘Gyeongjaejang(耕齋丈) memorial address. Gyeongjae through of education, tried to restore the national spirit. After exile, through of History book tried to restore the national spirit. Through of Independence Movement memoir, national spirit is sublimated Righteousness(義). Therefore in Gyeongjae, School and History book, Independence Movement are not something confined to one country, are sublimated establishing the value of human. Independence Movement history focus on resistance to Japanese Imperialism. So Most people know that in general terms for Japanese imperialism is protest. By Gyeongjae writed down a fighter for national independence of biography is resist write to Japanese Imperialism, but is his the attitude of the righteous life. Independentista’s national spirit is not resist to Japanese Imperialism, is from Practical Mind Righteousness(義). In other words, The Righteousness to protest the human persecuted by humans.

      • 인욕(人欲)의 해방은 가능한가? -유즙산(劉즙山) 사상의 희노애낙론(喜怒哀樂論)을 중심으로-

        천병돈 ( Byung Don Chun ) 경희대학교 비폭력연구소 2010 비폭력연구 Vol.4 No.-

        사회적 다윈주의자들의 주장에 의거하면, 인간에게 있어서 `선`한 행동은 이미 유전자에 의해 결정되어 있다. 이것을 리처드 도킨스는 `이기적 유전자`라고 규정했다. `이기적 유전자`는 유가에서 人欲으로, 구체적으로 말하면 七情이다. 어떤 유학자도 인욕의 해방을 주장하지 않으며, 오히려 節欲 혹은 寡欲을 주장한다. 물론 朱子나 陸象山은 滅欲 혹은 去欲을 주장한다. 당대 중국의 대표적 철학자 侯外盧 馮友蘭은 유물론적 관점에서 劉宗周를 `氣本論`자로 규정했고, 이후 葛榮晉은 여기서 한 발 더 나아가 유종주를 `天理를 보존하고, 人欲을 滅하자.`를 반대하면서 `情欲解放`을 주장한 유학자로 규정했다. 그러나 유종주는 情欲해방론자가 아니다. 유종주는 전통적으로 내려오는 形而下의 `喜怒哀樂`을 形而上의 仁義禮智(獨體)로 끌어 올려, 본체로서의 喜怒哀樂이 실생활 속에서 그대로 드러나도록 하는 것을 함양의 수양 공부로 삼았다. 喜怒哀樂(仁義禮智 혹은 獨體)이 실생활에서 그대로 드러날 때, `私意`인 人欲은 본체에 어긋나지 않게 드러난다. 이것이 바로 유종주의 공부론이다. 즉 유종주의 공부론은 주자처럼 形而下의 氣(情)에서 시작하는 것이 아니라, 形而上의 獨體에서 시작한다. 이것이 바로 `卽本體卽工夫`의 진정한 의미다. According to the social Darwinists, the good behavior of human being is already determined by Gene. Richard Dawkins called it `Selfish Gene.` `Selfish Gene` may be called `desire,` if put into Confucian terms. Put it more specifically, they are `Seven Emotions.` No Confucian has insisted on the liberation of desire. Instead, most of them demanded its reduction. Zhu Xi and Lu Xiangshan even want to eliminate desire. Two famous contemporary Chinese philosophers, Hou Wailu and Feng Youlan, from the perspective of materialism, said that Liu Zongzhou was a person who advocated Qi as an essential, material substance. Ge Rongjin took one more step to regard Liu Zongzhou as a Confucian who insisted on the liberation of passions, refusing to accept the principle "Keeping Li and Elimination of Desire." But as a matter of fact Liu Zongzhou was not a liberator of desire. Liu Zongzhou attempted to elevate concepts such as `joy, anger, sorrow, pleasure`, that is "Qi within form", to `humanity, righteousness, propriety, wisdom,` that is metaphysical substance, so that the revelation of `joy, anger, sorrow, pleasure`(personal desire) in real life does not transgress the metaphysical substance. This is the aim of the self-cultivation. In short, the self-cultivation of Liu Zongzhou starts from the metaphysical substance, whereas Zhu Xi`s cultivation of starts from "Qi within form." This is the genuine meaning of "substance qua cultivation."

      • KCI등재

        寧齋 李建昌의 『讀易隨記』연구 -「繫辭十則說」을 중심으로 -

        천병돈(Chun byung-don) 인천대학교 인천학연구원 2020 인천학연구 Vol.32 No.-

        영재의 학술사상에 대한 지금까지의 연구는 문학, 정치학, 철학(특히 하곡학적 사유) 등에 집중되어 왔다. 영재의 문집에는 易學에 관한 저술로 『독역수기』가 있다. 한국고전종합DB 『明美堂集』에 있는 「易說僭疑」는 바로『독역수기』에 있는 여러 편 중 한 편이다. 「역설참의」든 『독역수기』든 그 어느 것도 연구된 적이 없다. 본 논문은 『독역수기』에 실려 있는 8편 중「繫辭十則說」를 논했다. 易學에 관한 연구는 크게 의리역과 상수역으로 나눌 수 있다. 의리역은 철학적 관점에서 易을 해석한 것이다. 상수역은 象數學적 관점에서 易을 해석한 것으로 漢代易學이 대표적이다. 영재의 易學은 漢代 상수역을 근원으로 한다. 영재의 상수역의 특징은 다음 네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전통적인 四象說은 태양(太陽) 소음(少陰) 소양(少陽) 태음(太陰)이다. 즉 두 개의 효로 이루어져 있다. 영재 ‘사상’설의 핵심은 건괘(☰) 곤괘(☷)를 기본으로 ‘두 개의 짝수, 하나의 홀수’ 혹은 ‘하나의 짝수, 두 개의 홀수’로 이루어진 三爻 單卦를 말한다. 둘째, 전통적인 易學에서의 重卦는 단괘 팔괘를 중첩한 것으로 乾 · 坤 · 震 · 巽 · 坎 · 離 · 艮 · 兌이다. 영재 易學의 중괘 팔괘는 乾 · 坤 · 頤 · 大過 · 坎 · 離 · 小過 · 中孚이다. 이들 八卦는 相錯 관계이기 때문에 ‘相錯八卦’라고 했다. 셋째, ‘相錯 八卦’ 卦象의 특징은 위아래로 뒤집어도 괘상이 똑같다. 넷째, 영재는 乾 · 坤 · 坎 · 離 · 頤 · 大過 · 中孚 · 小過 등 팔괘를 ‘시작팔괘(始八卦)’로, 泰 · 否 · 旣濟 · 未濟 · 隨 · 蠱 · 漸 · 歸妹 등 팔괘를 ‘마침팔괘(終八卦)’라고 했다. ‘마침 팔괘’는 ‘合’해질 뿐 交錯하지 않는다. 교착하지 않기 때문에 ‘마침 팔괘’라고 했다. Up to now, Yangjae"s research on scholarship has focused on literature, politics, and philosophy (especially Hagok"s school philosophy). In Yongjae"s collection of books, there is 〃Docyeksoog i〃. "Yeokseolchamui" in the Institute for the Transtation of Korean Classics DB "Myeongmidangjib" is one of several in "Docyeksoogi". Neither "Yeokseolchamui" nor "Dokyoksugi" have been studied. This paper discusses "Gyesaslpchikseol" in the eight papers in "Docyeksoogi". The study of the science of divination can be divided into philosophical IChing and Xiangshu IChing. Philosophical IChing is an interpretation of IChing from a philosophical point of view. Xiangshu IChing is an interpretation of the problem from the Xiangshu perspective, and Han-dynasty IChing is representative. Lee gun-chang’s IChing is based on Han-dynasty IChing. The characteristics of Lee gun-chang IChing can be summarized in the following four. First, the traditional Sasang is Taiyang, Shaoyin, Shaoyang(少陽) Taiyin. The core of Lee gun-chang"s Sasang theory is three Xiao (爻), which is composed of two even, one odd, or one even and two odd numbers based on Qian(☰) Kun(☷). Second, Pal-kye in traditional IChing theory is Qian(乾) · Kun(坤) · Zhen(震) · Xun(巽) · Kan(坎) · Li(離) · Gen(艮) · Dui(兌). The Pal-kye of Lee gun-chang"s IChing theory is Qian, Kun, Yi(頤), Daguo(大過), Kan(坎), Li(離), Xiaoguo(小過), and Zhongfu(中孚). These pal-kyes are called cross-over pal-kye because they are cross-over. Third, the cross-over pal-kye features the same shape upside down. Fourthly, Fourth, Lee gun-chang called pal-kye as “Start pal-kye”(始八卦) such as Qian, Kun, Yi(頤), Daguo(大過), Kan(坎), Li(離), Xiaoguo(小過), and Zhongfu(中孚). In addition, Tai(泰), Bi(否), Jiqi(旣濟), Weiqi(未濟), Sui(隨), Gu(蠱), Jian(漸) and Guimei(歸 妹) pal-kye ‘End pal-kye(終八卦)’ was called. End pal-kye combine but not cross-over. It is called ‘End pal-kye’ because it does not cross ov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