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제2차 교육과정의 제정과 국사교과서의 편찬

        조성운(Cho, Seong-Woon) 고려사학회 2017 한국사학보 Vol.- No.66

        제1차 교육과정기에는 우리나라 교과서 발행제도의 형식적 틀을 마련했다고 볼 수 있으나 오늘날과 같은 기본적 틀이 제도적으로나 내용적으로 완비된 것은 제2차 교육과정기라 할 수 있다. 제2차 교육과정은 5・16군사정변 이후 수립된 박정희정권의 교육정책에 직접적인 관련이 있다. 따라서 경제개발과 반공주의에 입각한 교과서 서술과 검정이 이루어졌다. 이 과정에서 정부의 교과서 발행정책에 기존의 교과서업자와 저자들은 행정소송을 비롯한 다양한 방식으로 저항하였다. 그 기저에는 출판시장이 협소한 한국사회에서 교과서 시장이 차지하는 위상이 대단히 컸다는 경제적인 측면이 있었다. 그러함에도 불구하고 정부가 이를 강행한 것은 교과서 시장에 대한 정부의 통제와 간섭을 강화하려는 의도를 갖고 있었다는 것을 보여준다. 또한 이 시기 교과서 개편에는 교과서 용지난과 교과서 대금의 인상이라는 교육 외적인 측면도 작용하였다. 이 시기 국사교과서 발행에서 주목되는 다른 하나는 교과서 발행에 대한 정부의 통제와 간섭이 강화되었다는 점이다. 교육과정과 그에 따른 ‘집필상의 유의점’과 사열 기준을 통해 교과서 서술을 강제하였고, 그것에 부합하지 않은 교과서 출원본은 검정과정에 탈락시킨 것에서 확인된다. 이는 1968년 국민교육헌장의 제정 이후 더욱 강화되어 제3차 교육과정이 적용되는 1974년 국사교과서의 국정화가 단행되었다. 요컨대 제2차 교육과정기 국사교과서의 편찬은 5・16군사정변에서 표방한 경제개발과 반공주의를 교육과정에 반영하여 이를 교과서 집필과 검정 과정에 강제한 것에 기초한 것이었다. 그리하여 ‘대한민국의 건국이념은 인간의 가치를 부인하고 자유를 박탈하며 인간을 기계시하는 공산주의를 철저히 부인하는 민주주의 국가이념’이라고까지 강제하였던 것이다. 결국 제2차 교육과정기의 국사교과서는 이와 같은 정권의 이념을 구현하는 중요한 수단으로써 기능하였다고 판단된다. During its first round of educational regime, the Republic of Korea can be deemed to have formal rules of textbook publication policy. However, it is the second regime in which the contents and policy were completed. The second round of educational regime reflected the ideology of the 5.16 cou’de tat and embodied it. The second round is directly related to the Park Chung Hee’s administration established after 5.16 coup’de tat. Therefore, the textbooks described and were tested based on the idea of economic development and anti-communism. Meanwhile, many private textbook publishing companies and authors went against the Park’s rule through administrative lawsuit. This was mainly because within small Korean society, the textbook market was deemed significant and so did its economic value. Nevertheless, the government strongly enforced the new law to strengthen its supervision and control over the textbook market. Moreover, in this era, the change in textbook should have faced non-educational problems such as an undersupply of textbook papers and a rise of price of textbooks. The publication of history textbook in this period reflected the value of economic development and anti-communism, which was emphasized in the coup’de tat. It is based on the coercive enforcement of textbook writing and supervision. And it even brainwashed its people saying that “the founding principle of the Republic of Korea is a democratic nationale which completely denies the humanistic value, hinders any freedom, and denies communism which consider human beings mere robots.” Eventually, in the second round of educational regime, the history textbook functions as an important means of embodying the ideology of the Park’s regime.

      • KCI등재

        1930년대 식민지 조선의 근대 관광

        조성운(Cho Seong-Woon)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연구소 2010 한국독립운동사연구 Vol.0 No.36

        본고는 1938년 국가총동원법의 실시를 기준으로 그 이전을 제1기, 그 이후를 제2기로 나누어 1930년대 식민지 조선의 근대 관광을 분석한 것이다. 이를 통해 1910~1920년대의 식민지 조선의 근대 관광은 일본제국 주의의 팽창 과정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음을 다시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므로 식민지 조선의 근대 관광은 식민지성을 가지고 출발하였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조선총독부는 1910년대 이래 관광지 개발정책을 채택하여 1930년대에 이르기까지 꾸준히 전개하였다. 이는 관광을 하나의 산업으로서 인정하고 발전시키고자 했던 조선총독부의 의도에 부응하는 조치로 판단된다. 이는 곧 식민지 조선의 근대 관광이 식민지성을 가지고 탄생했지만 그 기저에는 자본주의적 경제법칙이 관통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 할 것이다. 그러나 1937년 중일전쟁의 발발 이래 전황이 점차 일제에 불리하게 전개되는 시기였다. 그리고 1939년 7월 자동차용 가솔린의 배급제가 실시되어 관광산업은 타격을 받기 시작하였고, 1940년 미국의 대일 석유금수 조치와 ‘육운통제령’의 실시는 관광버스운행을 전면 중단시켰으며, 1944년에는 철도 탑승자 우선순위가 정해지는 등 여행과 관광을 전면적으로 중단시켰다. 결론적으로 1938년 국가총동원법의 실시는 식민지 조선을 포함한 ‘제국 일본’의 관광산업을 사실상 고사시켰던 덧이다. This research aimed at making an analysis of the modern tourism of colony Chosun in the 1930s by dividing that period into Period 1 prior to the execution of the National Mobilization Law in 1938 and Period 2 after the execution of the national mobilization law. Through this study, this research could re-confirm that the modern tourism of colony Chosun was closely linked with Japanese imperialism. Thus, the modern tourism of colony Joseon was believed to start with the launch of the Colony Office. In addition,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had adopted a tourist attraction development policy since the 1910s and steadily spread this policy up to the 1930s, which is judged to correspond to the intention of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which intended to acknowledge and develop tourism as an industry. This means that the modern tourism of colony Joseon was born to the Colony Office, but shows that the capitalistic economic principle underlay this aspect. However, it was the period when the war situation was going on to the disfavor of Japan since the outbreak of the Sino-Japanese War in 1937. Moreover, the tourism of colony Joseon began to get an impact due to the execution of rationing of gas for automobiles in July, 1940, and what was worse, the US enforcement of oil embargo and “Land Transportation Control” resulted in complete interruption of tourist bus service; finally, in 1944, the US completely suspended traveling and tourism, such as prioritizing the railroad passengers. Conclusively, the execution of the enforcement of the National Mobilization Law in 1938 actually caused the tourist industry of the empire of Japan to wither including colony Joseon.

      • KCI등재

        1910년대 조선총독부의 금강산 관광개발

        조성운(Cho Seong Woon) 한일민족문제학회 2016 한일민족문제연구 Vol.30 No.-

        근대관광에 대한 연구가 21세기에 접어들면서 비교적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독립운동사와 식민지 지배정책사연구를 중심으로 했던 한국근대사 연구가 20세기말 일상사 영역으로까지 연구 영역을 확대하면서 나타난 현상이라고 할 수 있다. 일상사의 연구에서 주의해야 할 점은 ‘근대(성)’를 어떻게 파악하는가 하는 데 있다고 할 수 있다. 즉 ‘근대(성)’가 ‘나’의 일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하는 것을 보다 면밀히 파악해야 한다. 다시 말하면 식민지를 경험한 우리의 입장에서는 근대문물의 수용에 따라 ‘나’의 생활이 어떻게 변화하였는가도 연구해야 하겠지만 그 근대문물이 어떠한 방식으로 ‘나’의 생활을 변화시켰는가도 연구해야 한다는 것이다. 근대관광1)은 이러한 점에서 매우 유용한 주제가 될 수 있다. 근대 관광은 산업화와 대중화라는 특성을 갖는다. 이는 식민지 근대관광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다만 식민지라는 특성상 식민지 근대관광은 산업화, 대중화하면서도 다른 한편으로는 피지배민족을 야만시하는 이중의 시선이 작용하는 것이다. 그리하여 식민지에서의 관광개발은 산업화로서의 관광개발, 지역개발이 이루어지는 동시에 피지배민족에대한 지배민족의 우월감, 지배민족에 대한 피지배민족의 열등감을 강조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여기에 일본의 경우에는 대내외적으로 자신들의 식민지 지배가 식민지 조선의 근대적 발전을 이루어냈다는 선전효과도 필요하였다. 그리하여 식민지 조선의 발전상을 대내외에 선전하기 위한 각종 자료나 사진집을 출판하고 서구 각국에 배포하였던 것이다. 이러한 일제의 식민지 지배정책에 부합하는 선전대상은 금강산 관광이라 할 수 있다. 금강산은 당시 식민지 조선의 실상을 대내외에 선전할 수 있는 대표적인 상징물이었기 때문이다. 식민지시기 금강산 관광에 대해서는 몇 편의 연구가 제출되었다.2) 이 연구들은 주로 기행문이나 사진 자료 등을 텍스트로 분석한 것이어서 조선총독부의 금강산 관광개발 추진 과정이나 추진 주체 등에 대해서는 거의 알 수 없다. 따라서 금강산 관광개발의 과정이나 그 주체에 대한 연구가 시급하다고 할 것이다. 이는 더 나아가 조선총독부 혹은 일본제국주의가 식민지 근대관광을 추진한 정책을 파악하는데도 매우 유용한 작업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본고는 1910년대 조선총독부의 금강산 관광개발의 추진과정과 그 내용을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먼저 개항 이후 금강산 관광에 대한 논의를 살핌으로써 금강산 관광개발이 조선총독부 혹은 일제의 아이디어에서 나온 것만이 아니라 대한제국 이래 근대산업으로서의 관광개발이 논의되었다는 점을 먼저 밝히고자 한다. 그리고 일제의 조선 강점 직후인 1915년 조선총독부가 개최한 조선물산공진회를 계기로 금강산 관광개발을 본격화하는 과정을 살핀다. 이는 1914년 경원선 개통 이후 금강산에 대한 접근성을 강화하기 위한 도로의 건설과 숙박시설의 정비, 통신시설의 설치를 중심으로 살필 것이다. 이를 통해 금강산 관광개발이 본격화된 것은 1910년대이며 이는 조선물산공진회의 개최를 통해 식민지 지배를 통해 조선이 근대적으로 발전하였다는 것을 대내외에 알리고자 하였던 조선총독부의 정책에 기인한 것이라는 점을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참고로 본고에서는 대한제국과 조선총독부의 관광정책에 대한 자료를 아직 발견하지 못한 관계로 주로 ꡔ독립신문ꡕ과 ꡔ매일신보ꡕ 등 당시에 발행되었던 신문기사를 기본 자료로 활용하였음을 밝혀둔다. 그리고 향후 지금까지의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조선총독부 혹은 일제의 지배정책을 실증적으로 파악하는 연구가 보다 활성화되기를 기대한다. Geumgang Mountains touring development after Japan’s occupation of Korea by force was proceeded under the control of the Japanese Government- Genetal of Korea. We could confirm that Geumgang Mountains touring development officially initiated after the competitive exhibition of Chosun local products that is opened at 1915. This Geumgangsan Mountains touring development is judged to have reflected the demands of local residents regarding the opening of Gyeongwon line and related lands devlopment at 1914. The foremost matter to be repaired and constructed for Geumgang Mountains touring development was the terminal route from Wonsan station, terminal station of Gyeongwon line, to Geumgang Mountains, and thus, this traffic route fundamentally possessed the traits of a sightseeing road. The cooperation of military police unit stationed at the region was essential for the construction of Geumgang Mountains’ sightseeing road, owing to safety matters in a road construction procedure. Furthermore, Gangwon-do Province or its county office helped as road construction had the trait of land development, and sponsoring organization operated to facilitate public involvement. As one can see in the case of Seong Suyeong especially, there are cases in which private citizens voluntarily donate their own lands and assets to repair and construct roads. This shows the passion of locals on the land development of their region. Road construction was premised on the running of vehicles, and vehicles running on Geumgang Mountains roads have appeared. As such, Geumgang Mountains touring have become much more convenient after road traffic activated. Traffic that took one night and two days from Gyeongseong from Geumgang Mountains now takes one day if one uses Gyeongwon line and roads. Therefore, I believe that touring days or expenses have gone cheaper. Along with a road construction, another matter that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had paid attention was the expansion of accommodations. During 1910s, inns managed by Japanese amd Koreans were established in Geumgang Mountains. However, there were no accomodations for Westernerd, so Western style hotels were built at Onjeong-ri and Jang-an temple with the competitive exhibition of Korean local products as a turningpoint. These hotels were managed by the Railway Bureau of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but civilians didn’t visit them a lot because the costs were too high for civilians. Considering that the registering rate of Onjeong-ri hotel and Jang-an temple hotel at 1924 were under 20%, only 17.5% and 19.3% accordingly,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would have taken the business of other inns around Geumgang Mountains into consideration. In addition, it /endeavored for the safety and communication of tourists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information and guarding facilities. In conclusion, Geumgang Mountains touring development officially initiated since the competitive exhibitions of Korean local products at 1915 was realized according to the policy of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Therefore, Geumgang Mountains touring development of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during 1910s was achieved as a part of colonization policy. This was in effect in order to notice domestic and foreign countries that the modernization of colony Chosun was possible through the colonization. 日本帝国主義の朝鮮の強制占領以来、金剛山の観光開発は朝鮮総督府の主導の下で進められた。1915年に開催された朝鮮物産共進会をきっかけに金剛山の観光開発は本格化した。こうした金剛山の観光開発は、1914年の京元線の開通とこれに伴う地域開発という地域住民の要求が反映したものと考えられる。金剛山の観光開発にあたって最優先に考慮すべきことは京元線の終着駅である元山駅から金剛山に至る交通路の整備、建設であって、この交通路は基本的には観光道路の性格を有するものであった。金剛山のළ

      • KCI등재
      • KCI등재

        부안지역의 동학농민운동과 백산대회

        조성운(Cho, Seong-Woon) 역사실학회 2016 역사와실학 Vol.61 No.-

        본고는 동학농민운동의 전개과정에서 동학농민운동이 ‘혁명성’을 갖게 된 사건이라 할 수 있는 백산대회를 부안지역의 동학농민운동의 관점에서 고찰한 것이다. 부안지역의 동학농민운동은 김낙철, 김낙봉 형제의 활동을 중심으로 전개되었다. 김낙철, 김낙봉 형제는 최시형의 직계인 ‘북접’ 계열의 인물이이었다. 그는 고부농민봉기를 민요라 판단하였고, 부안군수와 협력하여 ‘탁란배’를 단속하는 등 군내의 치안을 유지하는데 크게 기여하였다. 또한 황토현전투에 참여한 것도 손화중이 부안군수 이철화를 처형하려 하자 이를 막기 위한 것이었다. 이와 같은 그의 활동은 그가 최시형의 직계이기 때문만이 아니라 요호부민으로서의 그의 사회경제적 위치에서도 비롯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백산대회의 경우 기존의 연구에서 백산대회 자체를 부정하거나 백산대회 일자를 다양한 기록에 의해 추정하는 등 논란이 많았으나 이번에 발굴된 『鴻齋日記』에서는 그 동안 논란이 되었던 백산대회에 대해 1894년 3월 25일 동학농민군이 백산으로 진을 옮겼다고 기록하여 오지영의 『동학사』의 기록을 뒷받침하고 있다. 그러므로 지금까지 백산대회의 유무와 일자 추정과 같은 논란은 더 이상 없어야 한다고 생각된다. 다만 『동학사』에 수록된 백산대회 격문의 발표 일자와 경위에 대해서는 보다 깊은 연구가 필요하다. 무장창의문은 정부에 간청 혹은 청원하는 내용이었고, 백산대회의 격문은 정부에 대해 투쟁하자는 것이므로 백산대회의 격문이 발표된 이후 동학농민운동은 혁명성을 갖고 치열하게 전개되었으리라는 점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This writing contemplates BaekSan Meeting, which is an incident that allowed Donghak peasant movement to have its revolutionary in its process of development, from the perspective of Donghak peasant movement of Bu An region. Donghak peasant movement of Bu Ah region is processed under brother of Kim Nakchul and Kim Nakbong. Kim Nakcheol and Kim Nakbong are people of ‘Northern Party’, who are descendants of Choi Sihyung. He regarded Peasant Revolution as a civil commotion, and contributed in maintaining public order within the group by cooperating with Bu An governor and managing ‘Tak Ran Bae’. Furthermore, they participated in Hwang To Hyung war to prevent Son Hwajoong from assassinating Bu An governor, Lee Cheolhwa. Such activities by him was not only because he was descendants of Choi Sihyung, of also judged to be because of his socioeconomic position as Yoho wealthy peasants. In case of Baeksan Meeting, there were many research that negates the existence of Baeksan Meeting or assumes the date of the meeting through various records. Yet, in recently excavated 『鴻齋日記』, regarding Baeksan Meeting which has been controversial, it records that Donghak peasants has moved the camp to Baeksan in March 25th, 1894, which backs up the records 『Donghaksa』 by Oh Jiyoung. Hence, there should be no more controversies regarding existence and exact date of Baeksan Meeting. Yet, there should be further investigation regarding announcement date and incidents of Baeksahn declaration contained in 『Donghaksa』. Mujang Rebellion Writing was about entreating or petition towards the government, and declaration of Baeksan Meeting was about striking against the government. Hence, it seems obvious that Donghak Peasant Movement has its revolutionary and fiercely processed after the declaration of Baeksan Meeting has been announced.

      • KCI등재

        『매일신보』에 나타난 경기지방의 3·1운동과 일제의 대응 -수원지역을 중심으로-

        조성운 ( Cho Seong Woon )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05 한국민족운동사연구 Vol.42 No.-

        The 3.1 Independent Movement was so severe and fierce that Japan regarded it as the most violent one. It stemmed not only from a traditional anti-Japan bias since the late Joseon, but from the prevalence of the religious groups leading the movement. However, this thesis doesn’t include how the movement in Suwon(水原) developed. That's because this was written to explain the confrontation of Japan against the 3.1 Movement in Suwon(水原). The following show how Japan moved against the 3.1 Independent Movement. Firstly, Japan seemed to regard the movement as a temporary demonstration caused by the death of Gojong(高宗). However, as the 3.1 Movement had developed throughout the country, Japan ordered troops in and suppressed the movement. After that, Japan announced sending more troops to Joseon(朝鮮) and made some institutional devices, such as the Act of Riot Penalty and the Regulations of People in Joseon. Secondly, Japan took advantage of the press and the governing classes in order to make people subsided. Thirdly, Japan started to support Joseon by offering treatment for the wound and free feeding, and restoring houses. Among them, aids for Suwon(水原) area was reported on an extensive scale. Lastly. Japan regarded their ruthless act they had done as an inevitable mistake which occurred while putting down the movement. The most well-known example was the Jeamri(堤岩里) event. This was in order to make people believe that the 3.1 Movement was illegal, at the same time, oppression of Japan was legal. Japan had treated 3.1 Movement as a simple demonstration followed after the death of Gojong. Though, Japan seemed to realize that demand of Joseon was from desire of independence, as the movement had developed all over the country. As a result, they had to send more troops in to bring pressure on the movement by force. This caused a great number of the dead and the injured. And japan carried on the works for relieving the sufferers, as there had been a momentary lull in the movement. This conduct aroused great indignation among the people in Joseon, but they couldn't help finding out that they had to accept their aids. Consequently, we could find out the features of Maeilsinbo(每日申報) as a newspaper of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Joseon again, judging from the reports and attitude for the 3.1 Movement.

      • KCI등재
      • KCI등재

        1910년대 日帝의 同化政策과 日本視察團 - 1913년 日本視察團을 中心으로 -

        조성운(Cho Seong-Woon) 한국사학회 2005 史學硏究 Vol.- No.80

        일제는 1876년 조선을 개항시킨 이래 친일적인 인물과 세력을 육성하는데 힘을 기울였다. 이것은 조선에 대한 식민지 지배를 위한 사전 정지작업의 성격을 갖는 것이었다. 그리고 이러한 작업은 ‘성공’해서 일제는 조선을 ‘합법적’인 방법으로 획득하였다. 이렇게 조선을 식민지로 ‘합병’한 이후 일제는 조선인 중에서 식민지 지배에 협력했던 인물들을 관리하고 새롭게 협력할 인물들을 발굴하고 양성해야 했다. 이러한 작업의 일환으로 조선귀족이 탄생하였으며 일본시찰단이 조직되어 지속적으로 일본에 파견되었다.<br/> 본고에서 다룬 1913년의 동척시찰단에 대해 다음의 몇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일제가 조선을 영구히 지배하기 위해 채택했던 동화정책을 구현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1910년대의 동화정책은 일본어의 일상화, 조선인과 일본인의 雜婚, 한일 양민족의 ‘사업 공동 경영’, 위생문제의 해결을 통한 조선의 풍속 개량, 조선의 중류층 획득 등의 방법에 의해 추진되었다. 일본시찰단은 바로 조선의 중류층을 획득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실시된 것으로 보인다. 둘째, 시찰단으로 선정되고 파견된 인물들은 구한 말 이래 일제의 조선 침략과 식민지 지배에 협력했던 인물들이었다. 셋째, 일본시찰단이 시찰한 시설은 농업과 관련된 시설, 교육 및 공공시설, 근대산업시설, 일본의 국체를 내면화하려는 시설 등의 유형으로 나누어진다. 이 중 일본의 국체를 내면화하려는 시설을 제외한 나머지는 모두 근대적 시설로 볼 수 있다. 따라서 일제는 일본 시찰을 통해 조선의 유력자들에게 일본의 근대성, 선진성을 보여줌으로써 조선이 근대 국가로 발전할 수 있다는 환상을 심어주고자 하였던 것으로 판단된다.<br/> 이상의 정리를 통해 볼 때 1913년 동척시찰단은 조선에 대한 식민지지배를 위해 협력할 조선인을 관리하고 양성할 목적으로 시행되었으며 이를 위해 일제는 다양한 기관을 동원하였음을 알 수 있다. Japanese had been concentrating every effort on training the pro-japanese groups and widening their power since they forced Korean ports to be opened. This was like foundation work for colonizing Joseon.<br/> And Japanese achieved such an effect that they could acquire Joseon by 'lawful' means. After the Japanese annexation of Joseon, they needed to manage those who had helped Japan to colonize Joseon and scout for new people who would help them. In this procedure, Joseon nobility class was created, and Japan observation party was made up and sent to Japan regularly.<br/> Several facts about Dong-cheok observation party this thesis says are showed as followings.<br/> First, it was formed in order to realize assimilationism Japan had adopted to rule Joseon ever after. Assimilationism in 1910s included these: forcing people of Joseon to use Japanese in daily life, intermarrying them to Japanese, 'joint management' of two countries in business of Joseon, improving manners and customs of Joseon by controling health and hygiene, and keeping the middle class of Joseon. The observation party mentioned above was considered that it was organized to keep that middle class.<br/> Second, it was those who helped Japan to invade Joseon and put Joseon under its colonial rule that Japan selected as members of the party and dispatched to Japan.<br/> Third, the party observed various facilities, such as agricultural, educational and public ones, modern industrial ones and those used to internalize the national polity of Japan. All of them but the last belong to the modern facilities. Consequently, it was obvious that Japan intended potentates of Joseon to have illusion that Joseon could be also modernized as much as Japan could by showing modernized and developed Japan to them.<br/> Based on the above facts, it was no doubt that Japanese made up Dong-cheok observation party in order to cultivate and train the pro-japanese group who is willing to support to colonize Joseon, and mobilized various facilities for this purpose.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