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힐링을 위한 문학교육 1-문학, 힐링, 그리고 문학교육 : 치유를 위한 문학 교수 학습 방법

        정재찬 ( Jae Chan Jeong ) 한국문학교육학회 2014 문학교육학 Vol.43 No.-

        Literary education could be and must be one of the therapies healing the individual students and helping them to grow mentally and emotionally healthy. The therapist`s meeting to the patient through the medium of text compares to the teacher`s meeting to the students through the medium of literary text. However, in the traditional classroom of literary education, there used to a tendency to emphasize the communal, social, and cognitive values than the individual, psychological and affective values. Teachers` explanation of literary texts, though it is intended to help students understand the meaning of the text, often could be served as an intervention and oppression of the students` own interpretation on the text. So, literary education of today should focus on the individual`s healing and development, and progress the relationship between students and teachers through the medium of literary texts as a preventive therapy. Literary imagination has both exploratory and corrective aspects. The one helps us to broaden the breadth of ourselves by immersing us into to others` lives and cultures through literature, because the exploratory imagination make us acquainted with the potentials within ourselves. In contrast, the other serves us to deepen our depth which is useful to correct the faults and the mistakes that we could easily make when evaluating our potentials, because it let us turn to backwards, so to speak, turn our attention to the past. Literature gives us such a breadth and depth. In other words, it serves a role as a mechanism to make us feel sympathy and reflection. Thus, both of literary education and literary therapy should go on with each other for actualizing the true sense of well being itself.

      • KCI등재

        미디어 시대의 문학교육

        정재찬 ( Jae Chan Jeong ) 한국문학교육학회 2009 문학교육학 Vol.28 No.-

        교육의 장에서 미디어 문화를 문제 삼는 것은 주로 두 가지 측면인 것으로 보인다. 하나는 매스미디어로 대표되는 대중문화의 문제, 다른 하나는 새로운 커뮤니케이션 능력으로서의 미디어 리터러시의 문제, 특히 미디어 기술의 발전으로 말미암아 시각적 이미지를 주된 커뮤니케이션 수단으로 삼게 된 최근의 미디어 환경 문제가 그것이다. 그동안 미디어를 통한 문학교육은 미디어 문화를 본격문학에 이르기 위한 수단적 방편적 지위로만 인정한 경향이 있다. 이렇게 되면 결과적으로 문학과 미디어 문화 사이의 경계와 위계는 해체되긴커녕 오히려 더욱 공고화될 수도 있다. 문학과 미디어는 종속의 관계도 아니고 병치의 관계도 아니다. 미디어를 통한 문학교육이든 문학을 통한 미디어교육이든, 중요한 것은 학습자들의 생 체험 속에 이미 존재하고 있는 현상, 그러나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여 의미화하거나 실천하지 못하고 있는 그 문화적 현상을 교육의 장에서 적극적으로 현동화하여 서로 매개하고 교섭하고 통합함으로써 학습자 스스로 그것을 자신의 언어로 생산해 내게 하는 일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학습자가 텍스트를 인지적으로만 접할 것이 아니라 그 기표의 작동과 유희를 경험하고, 그것을 자신의 독특하고 다양한 문화적 체험과 지식들, 그리고 무엇보다도 미디어를 포함한 다양한 문화적 텍스트들과 상호텍스트적으로 조직하여 자신만의 비평과 분석, 적용의 수준으로 고양시키는 일이 필요하다. 이 과정에서 주체는 자신의 정체성이나 문화에 관한 입장을 발견할 수도 있으며, 특히 생비자로서 자신의 능력과 잠재력을 확인할 수가 있게 된다. 이에 이 논문은 이론적 논의와 더불어 문학교육의 장에서 그것을 실현할 수 있는 실천 사례이자 하나의 교육 자료물로서 일련의 비평적 에세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는 단순하게 매체를 읽고 이해하는 능력을 넘어 매체가 전달하는 문화 콘텐츠를 적극적으로 수용하는 심미안과 비평 능력, 나아가 문화콘텐츠를 표현하고 생산하는 능력 신장과 이어진다. 요컨대 미디어 시대 문학교육이 해야 할 일은 바로 이러한 멀티리터러시의 신장을 목표로 언어 및 문학 능력이 문화 능력에 기여하고 동시에 문화 능력이 문학능력 신장에 기여하는 선순환적 소통 관계를 정립하는 것이라 하겠다. The relationship between literature education and media education should have a virtuous cycle for enhancing the students` multi-literacy and cultural literacy. However, it is often thought that media culture including film, mass media, internet etc. has a bad influence upon the minds of youths. On the other hand, literature is now so boring to them and may not have much say in the development of their cultural literacy. This paper deals this situation from a viewpoint of literature education, but eventually tries to help the students to get an advanced literacy not only of literature but also of media culture. I suggest that literature/media education for media/literature education is needed in order to develop multi-literacy. So I give an example of teaching literature/media through media/literature for enhancing the student`s multi-literacy which is composed by combining various texts of literature and mass media. Actually I give a comprehensive and integrated series of lecture on literature by using multimedia that is related the literary text in terms of theme, subject matter, morals, etc. Then I ask college students to submit a report which shows their own literary or cultural experiences in reference to the text and presents the inter-textuality with other literary or cultural texts. It may look very strange to those who teach literature only by explaining literary texts itself with concrete exegesis on them. However, in my class, a lot of students write unique essays of their own and some of them show high level of cultural literacy. They find their abilities and potentials as so called `prosumers`. They navigate by the internet, follow the hypertexts, and combine them with their own ideas and experiences in relation to the literary text. Thus, multi-media in the literary classroom should be used not just to motivate the students, but to develop their potentials and literacies as producers and consumers in the age of new media.

      • KCI등재
      • KCI등재

        기획 논문 : 이상(李箱)과 칸딘스키의 상호텍스트성 탐구 -<권태>를 중심으로-

        정재찬 ( Jae Chan Jeong ) 한국문학교육학회 2015 문학교육학 Vol.46 No.-

        This study discovered the resemblance between The Weariness [Gwontae, 倦怠] by Lee Sang and Uber das Geistige in der Kunst by Wassily Kandinsky. It implies that the former might be influenced by the latter. However, this does not mean that Lee Sang’s genius has been overestimated, but shows his sincerity to catch up with the contemporary literature and art of the Western Europe’s. The more important thing we have to do is to admit the intertextuality as one of the resources of his writings. So, this study researched the intertextuality between the two, not only on the surface but also on the deep structure of their texts, thoughts, and ideas. According to Kandinsky, the green color represents the calmness, relaxation, and also weariness. While we read The Weariness, we can easily find that this corresponds with the Lee Sang’s thought on the green color around him in Seongcheon. But he wrote that text not in Seongcheon surrounded by the green, but in Tokyo by the grey. In terms of spirituality, Kandinsky says, the green and the grey have the same value. Lee Sang showed us his hatred and disgust to the green, but he had already known that the grey could not save himself. At that time, he shortly focused the redness of fire watching a garden tiger moth. The red means passion and energy. But for him it was merely an object of observation, so he could not go beyond the weariness and nihility. If the green met the red, it became the light grey which implies the hopefulness. Nevertheless, he never tried to do it and then just encountered the black and darkness in the night. Kandinsky argue that the darkness means nothingness after the sunset, the eternal silence without any future and hope, a discontinuous pause, and the body after the death. For Lee Sang, the darkness was no more than the despair of the intellectual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So he had no choice without death. We do not have to be reluctant to admit the Kandinsky’s influence upon Lee Sang. However, we also have to say that the universality of Kandinsky’s thought on color could be proved and developed by Lee Sang’s own writings.

      • KCI등재

        기획 주제 : 텍스트, 상호텍스트, 콘텍스트 ; 상호텍스트성에 기반한 문학교육의 실천

        정재찬 ( Jae Chan Jeong ) 한국독서학회 2009 독서연구 Vol.0 No.21

        문학교육계는 작품 중심, 교사 중심, 해설 중심보다는 텍스트 중심, 학습자 중심, 활동 중심으로 문학교육의 방향을 취해 나가자는 데 대략 합의를 해 온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변화의 흐름은 결국 학습자 개인의 주체성과 능동성에 입각한 적극적 내면화와 자기화를 지향하는 것으로 귀결된다. 이에 이 연구는 문학을 비롯한 다양한 매체의 텍스트를 활용하여, 학생 개인이 자신의 독자적인 상호텍스트성을 발견, 생산해 내도록 도모하는 교육적 실천을 목적으로 삼는다. 이를 위해 강의용 텍스트를 제작하고 실제강의를 준비하면서 필자는 고급문화와 대중문화의 위계와 경계를 넘어서고, 특별히 인터넷의 하이퍼텍스트를 포함한 문학적 문화적 상호텍스트성의 힘을 극대화하는 데 힘을 기울였다. 그리고 교사의 시범 이후, 자신만의 텍스트와 콘텍스트들로 이루어진, 새로운 하이브리드 텍스트를 만들어보라고 학생들에게 요구하고 격려했다. 유사성과 차이를 발견하고 새로운 유의미한 것을 융합하는 것은 창의적이고 독창적인 행위를 수반한다. 그러면서도 문화 공동체, 해석 공동체의 공감도 획득할 수 있게 되어 탈영토화가 가능해진다. 이 강의는 학생들에게 문학에 관한 흥미와 자신감을 불러일으키는 데 성공한 것으로 평가된다. 동시에 이 연구는 이상의 <오감도>를 가르칠 때 현장에서 참고가 될해석 텍스트를 제공하기도 하였다. 한편 이 논문에서 인용된 어느 학생의리포트 또한 주목할 가치가 있다. 상호텍스트로 이루어진 하이브리드는 계속 진화하며 새로운 종을 내어놓는다. 그 중에서 가치 있는 결과물과 체험을 교육적으로 축적하고 공유하는 작업이 요구된다. The society of literary education has recently moved its direction from the canon and the teacher centered orientation to the text and the learner centered orientation. This reorientation would lead our students to have their own subjectivities and originalities. But, how come? I suggest the way to teach by intensifying the intertextuality of the texts, not only literary ones, but also various non-literary cultural ones. Actually, I produce the text for my lecture by the intertextualities between poetry and other artistic, cultural texts. I try to go beyond and traverse the border between them, and concentrate to find the similarity and the difference, then make my own text composed by various texts. I often use the internet which is a very powerful tool to search the intertextualities, because the hypertextuality of internet could bring me some ideas I had never dreamed of. In the classroom, I show my own text on the screen and link other texts including paintings, musics, photos, and mass media, etc. My students enjoy them very much, because before my presentation they never thought there would be any relationship among the texts. At the end of the semester, I ask them to hand in their essay with uniqueness and creativity focusing the intertextuality among the texts they had read or experienced. Many of them succeed. In addition, I suggest the way to approach to the <Ogamdo>, one of the most difficult text to understand and teach. I think it would be easier to teach it by intertextuality with film and paintings such as abstract arts. As such, sometimes the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dvance the content knowledge itself. Finally, I propose that we acknowledge that most of students are amateurs in terms of lovers, not professionals. The classroom with intertextuality gives us a pleasure to find, create, share and communicate each others` interpretations and subjectivities.

      • KCI등재

        상호텍스트성을 통한 현대시 교육 연구

        정재찬 ( Jae Chan Jeong ) 국어교육학회 2007 國語敎育學硏究 Vol.29 No.-

        현대시 교실은 여전히 작품의 섭렵과 주해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지만 이로 인해 학생들의 텍스트 능력, 특히 상호 텍스트 능력을 신장시키는 데에는 실패하고 있다. 이에 본고는 실체 중심과 속성 중심, 그리고 활동 중심을 아우르는 관점에서 텍스트를 분석하고 종합적으로 감상하며 나아가 문학 및 문화 텍스트와의 상호 텍스트성을 강조하는 교육용 시 텍스트 해설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뿐만 아니라 교육 현장에 투입되어 실천적으로 활용되기 위해 교수학적 변환을 포함하여 다양한 흥미로운 해설을 덧붙였다. 본고는 김광규의 시 <희미한 옛사랑의 그림자>, 이호철의 소설 <탈향>, 그리고 송수권의 시 <면민회의 날>을 각각, 또 상호 교직하여 읽어 냄으로써 작품의 새로운 의미와 더불어 작품 간의 놀랄 만한 관계를 도출하기도 하였다. 본고는 특히 작가들의 문학적 지향이 서로 다르고 문학사적으로도 서로 별 연관이 없어 보이는 텍스트들이 문학교육적으로는 매우 유의미한 연관 관계를 보이고 있음을 밝혔다. 이는 궁극적으로 문학교육의 독자적 관점에서 문학교육의 내용을 구성하려는 노력으로 이해되길 바란다. 본고는 섭렵과 주해 일변도로만 이루어지는 우리 문학교육의 전통적인 모습에 대한 하나의 대안으로 이해되어도 좋다. 교육과정이나 교재, 수업 구성의 체계와 방식이 반드시 시대별 장르별 혹은 주제별로 텍스트를 나열하고 그 각각을 섭렵하는 길만 있는 것은 아닐 것이다. 위의 세 텍스트가 하나의 수업 단원을 구성하는 교육과정과 교재를 생각해 보면 된다. 그러한 체제와 방식을 통해 얻을 수 있는 능력이 기존의 체제보다 더 가치 있고 생산적임이 증명되길 기대한다. Our literature education still sticks to the system so called "coverage and exegesis" of literary canons. Beneath this system there lies a belief and a premise that reading every great text with analysis would let our students to develop reading skills and to enhance their textual power. However most of students are complaining that reading poetry is too difficult and even they could not understand another poem of the same poet` that was already taught. It shows that the system cannot work as well as we expected and fails in giving them textual and inter-textual power. This study tried to provide an educational expository essay which has a wide and profound appreciation about text with a synthetic view point including substance-based, property-based and activity-based approaches. Eventually it emphasized intertextuality not only among literary texts but also among cultural texts. I analyzed three literary texts, <The Misty Shadow of a Bygone Love(희미한 옛사랑의 그림자)> by Kim Kwang-gyu(김광규), <Leaving Hometown(탈향)> by Lee Ho-cheol(이호철), and <The day of Township(면민회의 날)> by Song Su-kwon(송수권), reading each by each and all together. Then I found there is a very interesting and remarkable relationship among them. Even though those authors have different orientations and seem not to have any influential relation to each other, the three texts show us as if they are a set of series. The first and the second shows common concern on ``song`` and ``story`` that means not only the ``lyric`` and the ``narrative`` but also the romanticism and the realism. And if the first and the second are mixed together, the third would be made like a chemical change. Even though I used my literary knowledge to read the texts, my discovery such as the interrelationship among the irrelevant texts owes to the viewpoint of the study of literary education. It proves that the pedagogical approach to literature can produce the pedagogical contents independently from the literary studies. There could not be the only one way to teach poetry like coverage and exegesis. Therefore, this study might be recognized as an alternative to the traditional system of our literature education. Teaching poetry through intertextuality will help our students understand not only the relationship among texts but also each text.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