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Rotife 배양조에 혼재된 Artemia가 Rotifer 의 증식에 미치는 영향

        정민민,노섬,김필연,Jung, Min-Min,Rho, Sum,Kim, Pil-Yun 한국양식학회 1998 韓國養殖學會誌 Vol.11 No.1

        rotifer의 배양조에 혼재된 Artemia가 rotifer의 증식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실험에는 Koshiki주의 rotifer, Brachionus rotundiformis와 미국 샌프란시스코의 Great Salt lake주의 Artemia sp.를 사용했다. 그리고 모든 실험은 염분을 22ppt, 배양 온도는 $25^{\circ}C.$, 먹이로서 N. oculata을 2일 간격으로 ml 당 $7{\times}10^5$ 세포씩 공급하면서, 50 ml의 비이커에 N. oculata 현탁액을 40ml씩 넣고, rotifer 20마리 그리고 Artemia는 3마리씩 각 수조에 수용하여 각 생물들을 단일종 배양한 경우와 혼합 배양한 경우의 증식을 비교하였다. rotifer와 Artemia 유생을 혼합 배양한 경우, 두 생물은 한정된 먹이 N. oculata 조건하에서 먹이 경쟁(food competition)을 하였다. 또한, rotifer의 대량 배양조에 Artemia 성체의 급속한 섭식 활동에 의해서 심각한 먹이 부족 현상을 일으켰다. 결국, Artemia 성체는 rotifer의 안정적인 생산을 크게 방해하는 rotifer 증식 억제 요인으로서 작용했다. 즉, rotifer을 안정적으로 생산하기 위해서는 종묘 생산 과정에서 유발될 수 있는 Artemia의 혼재가 일어나지 않도록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Artemia often observed as a co-existing organism in the mass culture tank of marine rotifer. The rotifer and Atremia are commonly used as food organisms in the marine fish larvae rearing. In this study, interspecific relation between the rotifer Brachionus rotundiformis (formely called S-type) and anostracan Artemia of the two developmental stages (0 and 19 day old after hatching) were investigated in the larboratory. The population growth of B. rotundiformis and one of the stage (nauplius or adult) of Artemia in mixed culture was compared with that of each single species culture. Culture period was 16 days. Every two days, the number of organisms in each species was counted and transferred to a fresh medium containing $7{\times}10^5$cells/ml of food Nannochloropsis oculata. Culture volume, temperature, salinity and photoperiod were set at 40ml, $25^{\circ}C.$, 22ppt and 24h all dark except to observation time, respectively. The rotifer population growth was greatly decreased by co-existence with Artemia. The coexisting Artemia suppressed the rotifer population growth due to it's high filtering speed for food (N. oculata). This study suggested that contamination by Artemia must be prevented for the stable rotifer production in the rotifer mass culture tank.

      • KCI등재

        요각류 Paramphiasella vararensis(T. Scott) (Hapacticoida: Diosaccidae)의 유생 발생: I. nauplius 유생의 발생

        정민민,이화자,김형신,Jung, Min-Min,Lee, Hwa-Ja,Kim, Hyeung-Sin 한국해양학회 2000 바다 Vol.5 No.3

        The complete postembryonic development of nauplius stages of Paramphiascella vararensis T. Scotf (Copepoda: Harpacticoida) is described and illustrated based on specimens cultured in laboratory. The nauplii of P. vararensis feed on powder of a green algae, Ulva perusa. This species is metamorphosed to the stages of nauplius. Development from the nauplius stage to the nauplius stage take about 12 days under culture conditions of 33-34 ppt of salinity, 22-23$^{\circ}$C of temperature and feed on the algal powder. In the nauplius stages of P. vararensis, the rudiment of maxillule appeares at the third nauplius stage, and maxilla appeares at the fifth nauplius stage. Harpacticoida 목, Diosaccidae 과에 속하는 Paramphiascella vararensis를 실험실내에서 배양하여 nauplius 단계의 유생 발생을 기술, 도시하였다. P. vararensis는 부화 후 VI단계의 nauplius 유생기가 관찰되었으며, 제 VI nauplius 단계 이후에는 copepodid로 탈피하였다. 22${\sim}$23$^{\circ}$C의 배양 온도, 33${\sim}$34ppt의 염분 농도 그리고 구멍 갈파래의 분말을 먹이로 급이하면서 사육한 결과, 부화 후 nauplius VI 단계까지 12일이 소요되었다. nauplius 유생의 형태는 납작하고 체장의 길이보다 체폭의 길이가 긴 타원형이며, 전방에 하나의 붉은색 안점을 가지고 있었으며, 크기의 범위는 35${\sim}$98${\mu}$m였다. 그리고 제 2촉각의 저절과 기절의 강모식에 의해 제 I nauplius 유생기에서 제 IV nauplius 유생기까지 발생 단계의 식별이 가능하며, 제 V nauplius 유생기와 제 VI nauplius 유생기는 제 2소악과 미부의 강모식에 의해 식별이 가능하였다. P. vararensis의 nauplius 유생기에서 제 1소악의 원기는 제 III nauplius 유생기에서 관찰되었으며,제 2소악의 원기는 제 V nauplius 유생기에서 관찰되었다.

      • KCI등재

        자연혼합배양에 의한 초기 먹이생물의 종 조성 변화

        정민민,오봉세,구학동,이창훈,양문호,문태석,김삼연,김형신,Jung, Min-Min,Oh, Bong-Sae,Ku, Hag-Dong,Lee, Chang-Hoon,Yang, Moon-Ho,Moon, Tae-Seok,Kim, Sam-Yeon,Kim, Hyeung-Sin 한국해양학회 2010 바다 Vol.15 No.1

        본 연구에서는 자연혼합배양(nature mixed culture)이라는 기법을 이용하여 해수관상어를 사육하는데 성공하였고 자연혼합배양수조에서 해수관상어의 자어는 정상적으로 성장하고 생존 가능하였다. 자연혼합배양수조에 출현한 플랑크톤성 미소생물은 모두 34종이었으며 그 중에는 Detonula pumila, Nitzschia sp., Fragilaria oceanica, Chaetoceros curvisetus, Stephanodiscus sp., Chaetoceros decipiens, Chaetoceros sp., Thalassiosira rotula, Eucampia zodiacus, Diploneis splendica, Nitzschia longissima, Surirella cuneata, Asterionella glacialis, Nitzschia spp., Chaetoceros debile, Thalassionema nitzschioides, Nitzschia, closterium, Skletonema costatum과 Licmophora sp와 같은 규조류가 19종, Euglena sp, Gonyaulax sp., Pyramimonas sp., Protoperidinium sp., Eutreptia, sp., Parapedinella sp., unidentified micro-flagellate, Gyrodinium sp., Scrippsiella trochoidea, Gymnodinium sanguineum, Chrysochromulina sp., Gymnodinium sp., Prorocentrum triestinum과 Micromonas sp.와 같은 편모조류가 14종 그리고 1종의 섬모충으로서 Mesodinium rubrum가 관찰되었다. 한편, 미소생물 종 중에서 편모조류의 한종인 Chrysochromulina sp.는 사육기간 동안 우점하였는데 이와 같은 결과는 배양 개시 후 10일째부터 지속적이고 안정적으로 유지 가능하였다. We were successfully reared young marine ornamental larva fish in a unique process of microalgae blooming culture tank. The marine fish larva was grown and survived in this method. Generally, we called this method as natural mixed culture. Observed planktonic microalgae were 34 species with 19 diatoms (Detonula pumila, Nitzschia sp., Fragilaria oceanica, Chaetoceros curvisetus, Stephanodiscus sp., Chaetoceros decipies, Chaetoceros sp., Thalassiosira rotula, Eucampia zodiacus, Diploneis splendica, Nitzschia longissima, Surirella cuneata, Asterionella glacialis, Nitzschia spp., Chaetoceros debile, Thalassionema nitzschioides, Nitzschia closterium, Skeletonema costatum and Licmophora sp.), 14 flagellates (Euglena, sp., Gonyaulax sp., Pyramimonas sp., Protoperidinium sp., Eutreptia sp., Parapedinella sp., unidentified micrc-flagellate, Gyrodinium sp., Scrippsiell trochoidea, Gymnodinium sanguineum, Chrysochromulina sp., Gymnodinium sp., Prorocentrum triestinum and Micromonas sp.) and 1 ciliate (Mesodinium rubrum) in this culture tank. Dominant microalgae were Chrysochromulina sp. during the larval rearing periods. Blooming condition maintained continuously and stably from 10 to 60 days in this microcosm.

      • KCI등재

        요각류 Paramphiascella vararensis(T, Scott) (Harpacticoida: Diosaccidae)의 유생 발생: II. copepodid 유생의 발생

        정민민,이화자,김형신,Jung, Min-Min,Lee, Hwa-Ja,Kim, Hyeung-Sin 한국해양학회 2000 바다 Vol.5 No.3

        The complete postembryonic developments of copepodid stages of Paramphiascella vararensis T. Scott(Copepoda: Harpacticoida) are described and illustrated based on specimens cultured in laboratory. The copepodites of P. vararensis feed on powder of one of green macro-algae species Ulva pertusa. Developmental time from copepodid stage to adult (copepodid stage) is about 15 days with culture conditions of 33-34 ppt of salinity, 22-23$^{\circ}$C of temperature and feed on algae powder. Sexual characters of the species are distinct on the copepodid stage. Sexual characters appear in size, antennule, pereiopods of second and bases of the fifth and sixth legs. Males are considerably smaller than females in size. In the antennule, the fourth segment of the male extremely is modified and swollen for female. In the segment number of the endopod of second pereiopod, female has 3 segments while male bears 2 segments. The female has 3 setae while the male bears 2 setae on the inner lobe of basis of fifth leg. In the basis of sixth leg, the female has 2 setae while the male has 3 setae. 이 연구에서는 갑각강, 요각아강, Harpacticoida 목, Diosaccidae과, Paramphiascella 속의 Paramphiascella vararensis의 copepodid유생단계 및 성체의 발생과정에 대하여 보고한다. P. vararensis는 구멍 갈파래의 건조 분말을 먹이로 수온 22${\sim}$23$^{\circ}$C, 염분 33${\sim}$34 ppt의 배양 조건하에서 copepodid I 단계에서 copepodid VI 단계인 성체까지 발생하는데, 15일이 소요되었다. 성 분화는 제 IV copepodid기에서 이루어지며, 크기, 제 1 촉각, 제 2 흉지, 제 5 흉지 및 제 6 흉지 등에서 발생을 거듭하면서 형태적 차이를 보였다. 즉, 크기에서는 숫컷이 암컷보다 훨씬 작으며, 제 1 촉각은 암컷에 비하여 숫컷이 매우 변형되었고, 특히 제 1 촉각의 네 번째 마디가 암컷에 비해 매우 부풀어져있었다. 그리고 암컷의 제 2 흉지의 내지는 3마디이나, 숫컷은 2마디로 차이를 보였다. 한편, 제 5 흉지의 내엽의 강모수는 암컷이 3개, 숫컷이 2개였고, 제 6 흉지에서는 암컷은 2개, 숫컷은 3개의 강모를 갖는다.

      • KCI등재후보

        Teaching Culture in Foreign Language Classes

        Esther Stockwell 서울대학교 외국어교육연구소 2018 외국어교육연구 Vol.22 No.-

        Even though many researchers emphasise the interrelatedness of language and culture and the significance of teaching culture in foreign language education, understanding how culture can be taught has proven to be a difficult undertaking in many respects. This problem is hardly new, and the problems of defining what culture is and how to teach it in language classes have been of concern to researchers for decades. Developments in technology have opened up access to cultural resources from all over the world, and to this end, methods of teaching culture using technology have started to appear more regularly in research associated with second language teaching and learning. A glance through the literature reveals, however, that where in the past many teachers focused on teaching a single culture within a language class, in recent years there has been a movement to try to broaden the focus to include general intercultural communication competence, but a systematic approach for methods of teaching culture have been still lacking. However, it is generally accepted that cross-cultural understanding is indeed a by-product of foreign language learning, and language should be taught as an explicit element of cultural practic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sider issues about teaching culture in foreign language education such as what role culture plays in language teaching and how it is being taught. Based on current developments in technology, it is timely to think about effective teaching methodologies for integrating culture and language that prepare learners to communicate and collaborate effectively in the 21st century

      • KCI등재

        자바리, Epinephelus bruneus의 난 발생과 부화에 미치는 수온의 영향

        양문호,최영웅,정민민,구학동,오봉세,문태석,이창훈,김경민,한석중,Yang, Moon-Ho,Choi, Young-Ung,Jung, Min-Min,Ku, Hag-Dong,Oh, Bong-Sae,Moon, Tae-Seok,Lee, Chang-Hoon,Kim, Kyong-Min,Han, Seock-Jung 한국발생생물학회 2007 발생과 생식 Vol.11 No.2

        This study examined temperature effect in egg development and hatching of longtooth grouper, Epinephelus bruneus. Fertilized embryos was not growth after morula stage at $15^{\circ}C$, at 18, 21, 24 and $27^{\circ}C$, the required time from fertilized embryos to hatching were 70 h. 30 min., 44 h. 10 min., 29 h. 10 min. and 24 h. 30 min., respectively. The hatching rates at $24^{\circ}C$ were higher than the other conditions and the hatching was not occurred at $15^{\circ}C$.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water temperature range of egg development and hatching was $18{\sim}27^{\circ}C$. 이 연구는 실내 사육수조에서 자연산란 후 수정된 난을 대상으로 수온에 따른 난 발생속도와 부화율을 조사하였다. 부화에 이르기까지 각 수온조건에서 소요된 시간은 $15^{\circ}C$에서 상실기 이후 발생이 진행되지 않았고, 18, 21, 24, $27^{\circ}C$에서 각각 70시간 30분, 44시간 10분, 29시간 10분 그리고 24시간 30분이 소요되었다. 부화율은 $15^{\circ}C$에서 0%였고, 18, 21, 24 그리고 $27^{\circ}C$에서 각각 $8.3{\pm}1.2%$, $18.0{\pm}6.2%$, $24.0{\pm}4.0%$ 그리고 $17.0{\pm}7.2%$로 뚜렷한 차이 없이 $24^{\circ}C$에서 다소 높았고 21와 $27^{\circ}C$에서 비슷한 경향이었으며 $18^{\circ}C$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에서 자바리의 난발생 수온범위는 $18{\sim}27^{\circ}C$로 제안된다.

      • KCI등재
      • KCI등재

        기수산 물벼룩 Diaphanosoma celebensis 의 배양 밀도와 섭이에 미치는 염분 농도의 영향

        정민민(Min Min Jung),김형신(Hyeung Sin Kim),노섬(Sum Rho),허성일(Seoung Il Hur),윤영석(Young Seok Yoon),김재우(Jae Woo Kim) 한국수산과학회 2001 한국수산과학회지 Vol.34 No.6

        이 연구에서는 해산어의 종묘 생산 과정에서 rotifer의 다음 단계 먹이생물로 이용되고 있는 Artemia의 대체 먹이생물로서 Diaphanosoma celebensis의 배양 환경 중 염분 농도가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염분 농도 0 ppt에서 45 ppt 사이에서 5 ppt 간격으로 염분 조정된 10단계의 조건하에서 D. celebensis의 증식 밀도, 안정배양 가능 정도 (RPGI: Relative Population Growth Index) 그리고 먹이섭이력 (RCN; Remaining Cell Numbers)을 비교 검토하였다. 그 결과, 염분 농도 0 ppt에서 45 ppt까지 10단계의 염분 배양 환경하에서 가장 높은 증식 밀도, 안정 배양도 (RPGI) 그리고 양호한 섭이력 (RCN)이 관찰된 실험구는 염분 농도 20 ppt였으며, 15∼35 ppt의 염분 배양 환경하에서도 비교적 안정적인 배양 결과가 관찰되었고 20 ppt를 중심으로 저염분 또는 고염분 배양 조건으로 갈수록 증식, RPGI 그리고 RCN은 저하되는 경향이 뚜렷하였다. 그리고 염분 농도 0 ppt에서는 실험 개시 직후 전 개체가 사망하였다. 이 연구 결과 D. celebensis는 해산어의 종묘 생산 과정에서 Artemia의 대체 먹이생물로 광범위한 염분 농도 범위하에서 비교적 손쉽게 배양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salinity on an estuarine cladoceran, Diaphanosma celebensis as a substitute live food organism of Artemia, which has been used for the next step of rotifer, in the course of seedling production of marine fishes. Culture density for growth, possibility of stable culture (RPGI: Relative Population Growth Index) and food feeding activity (RCN: Remaining Cell Numbers) of D. celebensis were investigated at intervals of 5 ppt under 10 steps of different saline conditions from 0 to 45 ppt.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was regarded as the best condition of culture density for growth, stable culture possibility (RPGI) and good food feeding activity (RCN), was salinity culture condition of 20 ppt, and relative stable culture conditions were observed under saline concentrations 15∼35 ppt. Their functions under culture conditions of lower or higher salinities than 20 ppt appeared remarkably to be decreased, while all individuals were dead under the saline condition of 0 ppt after the beginning of the experiment. From thes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assumed that estuarine cladoceran, D. celebensis can be cultured easily as a substitute live food organism of Artemia in the course of seedling production of marine fish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